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식세포 및 배아 대상 유전자 치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김한나,김성혜,김소윤 한국의료법학회 2015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3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인간 생식세포 및 배아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유전자 치료(germline gene therapy)에 관련된 최신 연구 및 국제 법제 동향을 분석하고 의학적·법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생식세포 및 배아를 대상으로 유전자 조작을 시행하는 유전자 치료를 금지해왔는데, 이는 인간 배아 내지 생명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한 사회적 합의에 근거한 것이다. 그런데 최근 중국에서는 배아 대상 유전자 편집 연구가 성공하면서 유전자 편집 기술의 현실화 가능성이 열려지고, 미토콘드리아 교체 기술에 대해서도 최근 영국이 기술의 허용을 합법화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연구 규제에 대한 법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아직까지 영국을 제외한 세계 주요 국가들에서는 인간 생식세포 및 배아를 대상으로 하는 미토콘드리아 교체 기술에 대한 연구는 금지하고 있다. 연구를 허용하지 않는 것은 유전자 편집 연구도 마찬가지이나 유전자 편집 연구는 규범의 강제성이 국가마다 상이할 뿐 아니라 관련 규정도 모호하여, 완벽하게 유전자 편집 연구를 금지하지는 못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중국 사례를 보듯이 인간 배아의 유전자 편집 연구는 아직까지 기술의 불완전성으로 인하여 생명의 존엄성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고, 인간 복제나 자원 분배의 문제와도 연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헌법재판소 판결에서 배아에 대한 생명의 존엄성을 인정하고 있으나, 최근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개정안은 유전자 치료 및 유전자 치료 연구에 대한 의학적 재검토를 통하여 포괄성 내지 일관성을 보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clinical problems of genetic modification in human embryo and current international trend of its technologies, hoping to provide suggestion for its future orien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consensus embedded in the society that protects the dignity of life, South Korea prohibits therapeutic research and gene therapy that use human embryos and reproductive cells. Yet, a group of Chinese scientists reported having used genome editing technologies with CRISPR-Cas9 to human embryos, starting again the debates whether we could use it as research subject or not. Also, recent legislation of mitochondrial replacement technologies for therapeutic purpose in the U.K. has further emphasized the advancement of genetic engineering and its application in real clinical setting. Authors, in this article, suggest for temporary moratorium of having genetic modification in hunan embryos. For suc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s such as UNESCO and WHO have to elaborate the discussions on human dignity and risk of these researches.

      •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고등교육기관 관련 연구 : 국내 선행연구 및 주요국의 정책, 사례 탐색을 중심으로

        김한나 총신대학교 2022 總神大論叢 Vol.42 No.-

        국가균형발전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사안이다. 특히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 간의 발전을 위한 기회균등 및 주체적인 발전역량을 증진하게 시킴에 있어 필요하다. 국가적 관점에서의 균형발전은 국가경쟁력과 직결된다. 교육적 관점에서 대학은 지역에서의 주요 역할을 감당하며 인재를 양성하는 기관으로 지역의 발전에 유의미한 연결 관계를 가진다. 지역과 지역 내 고등교육기관은 밀접한 영향을 주고받기에, 국가균형발전을 위해서 이에 대한 다음의 3가지를 연구하였다. 먼저,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고등교육기관 관련 국내 연구를 살펴보고, 이를 통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주요국 고등교육기관 정책 운영 사례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고등교육기관 관련 국내·외 연구 및 정책, 운영 사례를 통해 실질적 결론 및 함의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지역 실정에 맞는 협업체계를 자체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또한, 기존 국가균형발전에서 대학의 역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고등교육기관의 연구로, 후속 연구를 위한 포괄적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Trends and Directions in Personality Genetic Studies

        김한나,김형래 한국유전체학회 2011 Genomics & informatics Vol.9 No.2

        How personality forms and whether personality genes exist are long-studied questions. Various concepts and theories have been presented for centuries. Personality is a complex trait and is develop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genes and the environment. Twin and family studies have found that there are critical genetic and environmental components in the inheritance of personality traits, and modern advances in genetics are making it possible to identify specific variants for personality traits. Although genes that were found in studies on personality have not provided replicable association between genetic and personality variability, more and more genetic variants associated with personality traits are being discovered. Here, we present the current state of the art on genetic research in the personality field and finally list several of the recently published research highlights. First, we briefly describe the commonly used self-reported measures that define personality traits. Then, we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ndidate genes for personality traits and investigate gene variants that have been suggested to be associated with personality traits.

      • KCI등재

        구매사의 이익예측치 미달이 납품업체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한나,박세열,어준경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23 기업과 혁신연구 Vol.46 No.1

        Using transaction data between customer firms and supplier firms in Korea from 2014 to 2019, we examine how the event of customers missing analyst forecasts affects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ir supplier firm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firms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such as earnings management or stock repurchases, to meet analyst forecasts once they miss them. We investigate a new channel that has yet to be explored, the firm's transaction with its supplier firms. We find that supplier firms experience a decrease in the net profit margin in the year following the event of their customers' missing analyst forecasts. Our result suggests that, when facing such events, customer firms could attempt to improve profits by lowering the purchase price from the supplier firm. We also find that, over the sample period, the customers in trouble change their primary trading strategy with suppliers from purchasing unit price adjustment to purchasing and payment cycle adjustment.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19년까지의 국내 구매사와 납품업체 간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매사의 애널리스트 이익예측치 미달이 납품업체의 경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실적이 이익예측치를 하회했을 때 기업이 이익조정이나 자사주 매입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실적 개선을 꾀한다는 선행연구들이 존재하나, 본 연구에서는 납품업체와의 거래 관계라는 아직 연구되지 않은 새로운 경로에 대해 최초로 검증한다. 분석 결과, 구매사의 이익 실적이 애널리스트 이익 예측치를 심하게 하회하는 사건이 발생한 다음 년도에 그 구매사와 거래하는 납품업체의 매출순이익률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구매사 실적이 이익 예측치에 미달하였을 때 구매사가 납품업체로부터의 매입 단가 조정을 통해 이익 개선을 시도하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경향은 표본 기간 중 전반부에서 특히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후반부로 갈수록 이익예측치 미달을 경험한 구매사의 납품업체 거래 전략은 매입 단가 조정에서 매입 및 대금지급 주기 조정으로 옮겨가고 있는 것을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 KCI등재

        보건의료 분야 인공지능 연구자를 위한 연구윤리 지침 개발

        김한나,이정임,심진아,이유리,김은애,김수민,김준혁 한국의료법학회 2023 한국의료법학회지 Vol.31 No.1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healthcare holds potential for addressing disease challenges, optimizing the alloc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and improving medical accessibility. However, concerns have emerged regarding potential risks and harms, including the misuse of personal data, privacy infringements, issues of bias and discrimination. Given the dual nature of AI, it becomes crucial to provide ethical guidance for promoting good practice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 AI, to prevent negative consequence of raised from the use of AI in healthcare, as well as to offer directions for improving legal frameworks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propose six ethical principles for AI R&D in healthcare, along with checklists for good practices. The principles are developed with the objectives of harmonizing existing research governance, such as data sharing, and ensuring responsible R&D of AI in healthcare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Firstly, it is crucial to respect and protect the autonomy of individuals. This principle entails striking a balanced emphasis on the autonomy of data subjects, whose information is used by AI researchers, while ensuring that control over automated decision-making remains in humans. Secondly, researchers in the field of AI in healthcare aim to contribute to the well-being, safety, and public benefits of humans. It implies that researchers recognize the various risks and societal concerns associated with the technology, and that legal and social efforts are inevitable to promote the collective benefit. Thirdly, AI technology in healthcare should ensure transparency, explainability, and foster social trust. The outcomes generated by AI should be interpretable and explainable, and the utilization of data, including R&D outcomes from researchers and affiliated institutions, should be appropriately disclosed to the public in order to building social trust. Fourthly, AI researchers in healthcare should demonstrate responsibility, while the legal liability needs improvement. Given the shortcomings of the current compensation system for medical errors caused by such technology, researchers and affiliated institutions should collaborate to minimize harm for patients and consumers. Fifthly, it should strive for inclusitivy and fairness. This principle necessitates designing the technology to be used appropriately and equitably regardles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ddressing digital disparities, and resolving issues of bias. Lastly, it should be responsive and sustainable. This implies that systematic responses should be undertaken to address societal perceptions of the technology, and there should be a commitment to pursuing sustainable R&D approaches. 헬스케어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이하 “헬스케어 인공지능”이라 한다)은 질병의 해결, 의료자원의 효율적인 사용과 의료 접근성 향상에 기여할 주요 기술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헬스케어 인공지능 연구·개발에 있어 개인정보의 부당 활용, 프라이버시 침해, 편향과 차별의 발생 등으로 인하여 개인의 권리와 인간 존엄성이 침해될 수 있다는 사회적 우려 또한 분명하다. 이러한 기술의 양면성은 윤리적인 헬스케어 인공지능 연구·개발의 중요성과 연구ㆍ개발에 따른 책임에 대한 법적 체계를 마련하고 개선하는 일을 통해 사회가 이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를 예방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헬스케어 인공지능 연구ㆍ개발과 이를 위한 데이터 활용에 있어 기존 연구윤리원칙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책임 있는 연구ㆍ개발을 보장하기 위해 준수되어야 할 다음의 원칙을 제언한다. 첫째, 인간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보호해야 한다. 이는 연구자와 연구개발에 활용되는 데이터의 정보주체의 자율성을 균형적으로 강조하는 것이고, 자동화된 의사결정의 통제권이 인간에게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둘째, 인간의 행복과 안전, 그리고 공공의 이익 증진에 기여해야 한다. 이는 연구자가 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위험과 우려를 인식해야 한다는 점과, 합목적적인 이익 증진을 위해서는 법적·사회적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셋째, 투명성, 설명가능성, 신뢰성을 담보해야 한다. 헬스케어 인공지능이 제공하는 결과는 해석과 설명이 가능해야 하고, 데이터 활용과 기관 및 연구자의 연구ㆍ개발 결과는 대중에게 제대로 공개됨으로써 사회적으로 신뢰받을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넷째, 책임감이 있어야 하고 법적 책임이 확립되어야 한다. 이는 해당 기술로 인해 발생하는 의료과실에 대한 법적 보상 체계 구축이 미흡하므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연구자와 소속 기관이 함께 노력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다섯째, 포괄성과 공정성을 갖추어야 한다. 이는 기술이 개인적 특성과 관계없이 적절하고 공평하게 사용되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며 편향성의 문제를 해결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여섯째, 대응성과 지속가능성을 지녀야 한다. 이는 해당 기술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체계적으로 대응해야 하며 지속 가능한 연구ㆍ개발 방식을 추구해야 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파랑을 앎knowing: 감각 지각의 직접성immediacy에 대한 아비달마 논사들의 설명

        김한나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23 불교학 리뷰 Vol.33 No.-

        불교 전통에서 직접적인 혹은 개념적이지 않은nonconceptual 혹은 구성되지 않은unconstructed 인지cognition(無分別智, nirvikalpajñāna)가 차지하는 위상은 무엇인가? 이는 복잡하고 논쟁적인 문제이다. 이전 글에서 나는 디그나가와 다르마키르티와 연관되는 지식론(Pramāṇavāda) 전통이 흥기하기 전까지 불교 주석가들이 인지를 설명하면서 무분별지를 전면에 내세우지 않았음을 밝혔다. 디그나가 전에 무분별지는 일반적으로 신비한 요가 수행의 경지이자, 붓다와 상급의 수행자들의 영역으로 간주되었다. 지식론이 흥기하고 나서야 무분별지는 인지cognition[識]의 모든 상태가 가지고 있는 전-반성적이고 자기 지시적인 특성으로 재구성되었다. 간략히 말하자면 디그나가 이후에야 구성되지 않은 인지(현대 현상학의 “전-반성적인 의식consciousness”과 가깝다)가 불교 마음 이론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차지하게되었다. 이 장에서 나는 초기 (지식론 흥기 이전) 주석에서 구성되지 않은 인지에 가장가까운 것을 집중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이것은 전오식이 그 대상의 토대[境依]를 직접적으로 혹은 즉각적으로 파악하는 반면, 제6식-의식mind consciousness (manovijñāna)-은 유일하게 개념적 구분을 위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아비달마의 개념이다. 자주 반복되는 사례에서, 안식(眼識)은 “파랑”을 안다고 말하지 “이것이 파랑이다”를 안다고 말하지는 않는다. 제6식이 “이것이 파랑이다”를 안다. 이 글에서 나는 비바사사, 경량부, 그리고 초기 유식의 감각 지각sense perception의 직접성을 다루는 문헌들을 탐색하고자 한다. 그들은 정말로 비-개념적 “내용 content”을 전오식이 가지고 있다고 보았는가, 그리고 그렇다면 이는 어떻게 이해 되었는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