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이스크림 전문점의 고객 선택 요인과 만족에 관한 연구

        김하윤,윤수경,김명희,Kim, Ha-Yun,Youn, Su-Kyung,Kim, Myung-Hee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7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7 No.3

        This study focused on the attribution factors affecting customers' satisfaction and revisit behaviors related to ice cream stores. For this study, 180 ice cream consumers who were patrons of ice cream franchise stores were randomly selected. Among them, 31 did not completed the survey. Therefore, a total of 149 surve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e results. All results were carried out using the frequency, factor analysis, cross tabs, and regression procedure of the SPSS 10.0 package. The results indicated that customers who visit ice cream stores $2{\sim}3$ times per month have a preference for a particular ice cream store. Determinant factors for ice cream specialty stores were summarized as the extensiveness of the menu, advertisements and familiarity, economical benefits, convenience inside the store, location and accessibility, and kindness. Among these, four factors (extensiveness of menu, advertisement and reputation, economical benefits, location and accessibility) significantly affected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 KCI등재

        PRECEDE 모형을 통한 페루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자살시도 경험요인

        김하윤,남은우,Kim, Ha Yun,Nam, Eun Woo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 2017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Vol.18 No.2

        Objectives: There is higher rates of experience of suicide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of adolescents in the Lima and Callao region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epidemiological study (2013) conducted by Peru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and the Global School-based Student Health Survey (2010) which is was conducted among adolescents across all regions of Peru. Based on the PRECEDE model, this study analyzed the prevalence and the factor associated with the suicide attempt among the adolescent in a poor urban area in Peru. Methods: A stratified random sampling was used for the survey to select study participants from the 6 secondary schools based in Comas or Callao. The survey was conducted November 25th and December 4th in 2015 and a total of 738 individuals included in the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suicide attempt, comparison of predisposing factor, reinforcing factor, enabling factor, behavioral factor, environmental factor, psychological factors by suicide attempt and suicide risk group were identified through the chi-square test an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Results showed that those who reported having less parental understanding, less time spent with parents, and 'almost none/none' for parental affection had more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 and were more likely to sort into the high suicide risk group. Also, a greater proportion of those with the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 had more experience of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and experience of physical abuse and feeling insulted and depression in comparison to that of those without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e attempt included depression, subjective happiness, smoking experience, sexual intercourse, involvement in fight, parental affection, and gender (mal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can serve as grounds for the necessity of acknowledging that adolescent suicide does not simply depend on a couple of factors, but arises from situations in which individual, home, school, social factors influence one another, and therefore adolescent suicide should be prevented and addressed through a multi-dimensional and integrated approach.

      • KCI등재후보

        로스터리 커피숍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하윤(Kim Ha Yun),허정(Hur Jung) 한국식공간학회 2016 식공간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로스터리 커피숍의 서비스 품질요소가 고객만족과 고객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연구이다. 로스터리 커피숍은 다른 서비스 품질 요소가 존재한다. 이 연구를 위하여 총 250명의 로스터리 커피숍 소비자들에게 설문을 하였고 이중 35개의 설문을 제외하고 총 215개의 설문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요인분석, 크롬바흐 α,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로스터리 커피숍의 서비스 품질을 결정짓는 요인은 공감성, 신뢰성, 제품성, 유형성 등 총 4가지 요인을 추출할 수 있었다. 공감성은 종업원의 친절함, 커피에 대한 지식과 진심을 다하는 특성이다. 신뢰성은 고객과의 약속과 시간을 지키고, 계산이 정확한지 여부이다. 품질성은 로스터리 커피의 맛, 향, 품질과 커피에 대한 만족감이다. 유형성은 매력적인 인테리어, 익스테리어, 메뉴판이다. 이 4가지 요인 중 공감성, 제품성, 유형성은 신뢰와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신뢰성은 만족에는 긍정적 영향을 주고, 충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고객의 만족은 고객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d on the roastery coffee shop s service quality affect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Roastery coffee shops have different service quality attributes. For this study, 250 customers who were patrons of roastery coffee shops were randomly selected. Among them, 35 did not completed the survey. Accordingly, a total of 205 surve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e results. All results went through the frequenc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or regression procedure of the SPSS 22.0 packag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Determinant factors for roastery coffee shops were summarized as the empathy, reliability, product quality and tangibility. Empathy factor refers to employee s kindness, knowledge in coffee and sincerity. Reliability is whether they keep their promise and time, and charge accurately. Product quality includes roastery coffee s taste, smell and quality and satisfaction with the coffee. Tangibility is attractive interior decor, exterior design and menu book. Among these, three factors (empathy, product quality and tangibility) significantly affected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but reliability affected satisfaction only. Finally customer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ed customer loyalty.

      • KCI등재
      • KCI등재

        가곡과 시조의 유사성 연구 -악보상 가사를 중심으로

        김하윤 ( Ha Yun Kim ) 한민족어문학회 2014 韓民族語文學 Vol.0 No.67

        가곡과 시조는 같은 노랫말을 사용하고 있다. 악보 구조 상 가곡은 5장, 시조는 3장으로형성되어 있어 얼핏 같은 가사에 음악 형식이 다른 것과 같이 인식할 수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세조실록악보』의 16정간 6대강보를 원전으로 삼아 16정간보로만 인식하고 있는 가곡의 악보 상 구조를 살펴 1각·전반각·후반각·대강·정간을 밝혀 보았다. 그 결과 가곡과 시조는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가곡의 구조를 생략 및 축약을 하여 그때 그때 시용에 따라 변형해 사용하던 것을 “‘時用歌曲調’라는 의미의 ‘시ㅅ조(時調)’”라고 할 수 있으며 장단배열은 장안으로부터 온 이세춘(一般時調排長短 來自長安李世春)으로부터 고정화된 것이었다. 그리고 그것을 뒷사람들이 시조라고 명명하였던 것이다. 가곡의 구조는 삭대엽 ‘언락’과 편곡 ‘언편’을 살펴본 결과를 토대로 난해하기까지 한 ‘장진주’를 분석해 보았다. 한 곡의 악보로는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로 3개의 장고장단으로 연주하게끔 되어 있어 누가 보던지 불합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정간보만 인식하는 짧은 견해로는 더 이상 분석해내지 못하고 있던 실정이었다. 그러나 정간보를 뛰어넘어 대강보로 시각을 바꾸어 1개의 장고장단으로 장진주곡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또한 그 구조 역시 쉽게 분석해낼 수 있었던 것이다. 이어서 시조의 구조를 살펴본 결과 따로 형성된 음악이 아니라 가곡의 時用性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그 모습을 드러내 보였던 것으로써 이런 예는 『시용무보』 와 『시용향악보』 가 있다. 그리고 지방마다 특성에 따라 자유롭게 여러 종류들을 분포시키며 공존해 오면서 가곡의 또 다른 유형을 퍼트리며 다양성을 풍부하게 하여온 것이었다. 이를 근거로 다른 음악과의 유사성을 분석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말이 하나인 민족은 그 표현 방법 중 하나인 노래도 하나밖에 없는 것이다. Gagok and Sijo use similar kinds of lyrics. As for score structure, Gagok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and Sijo of three ones, which seem to be different in their musical forms at a glance. But, this study, on the reference of the original volume of 16 jeonggans, 6 daegangbos of 『 Sejosilokak Score 』 , examined score structure of Gagok, known to be composed of 16 jeongganbos, and clarified 1gak, jeonbangak, hubangak, daegang, and jeonggan.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Gagok and Sijo are composed of the similar structures. A structure of Gagok, omitted, contracted, and used by transformation case by case, is Sijo in the meaning of ‘Siyonggagokjo’. The arrangement of beat is fixed from Lee Se Chun originating in Jangan. Afterwards, it was named Sijo by the descendants. As for the structure of Gagok, on the basis of Sak dae Yeop ‘Eonrak’ and arranged ‘Eonpyeon’, this study analyzed very difficult ‘Jangjinju. Played by three janggo beats it was unreasonable at anybody’s glace and difficult to be understood by one score. It was impossible to analyze it with the view of recognizing only Jeongganbo. But, this study changed the view from Jeongganbo to Daeganbo. Jangjinju was composed of one janggo beat and was easy to analyze. Afterwards,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e of Sijo and knew that it was not a separate music. It was used at a real time like 『 Siyongmubo 』 and 『 Siyonghyangyakbo 』 . Coexisting together, diffusing other forms, and making diversity, they were dispersed in many kinds of Gagok, depending on the traits of provinces. It may be said to be a basis of analyzing the similarity with other music. The tribe having only one language will have only one song with which they can express something.

      • KCI등재

        석정(石亭) 이정직(李定稷)의 기문(記文) 연구

        김하윤 ( Ha Yun Kim ) 한민족어문학회 2014 韓民族語文學 Vol.0 No.67

        본고는 舊韓末(구한말) 문장가인 石亭(석정) 李定稷(이정직)(1841-1910)의 記文(기문)을 개관하고, 그 특징을 고찰하려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석정은 매천 황현·해학 이기와 더불어 근대 ‘湖南三傑(호남삼걸)’로 지칭될 정도로 문학성을 인정받았으며, 詩(시)·書(서)·畵(화) 三絶(삼절)에도 뛰어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동학혁명으로 인해 54세까지 창작했던 詩文(시문)이 모두 소실되었지만, 이에 절망하지 않고 꾸준히 학문에 전념하여 모두 20여 문체와 1500편이 넘는 작품을 남겼다. 특히 산문 중에서 22편에 달하는 기문은 高名한 能文者(능문자)에게 청탁하는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석정의 文才를 가늠할 수 있는 좋은 장르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석정 記文 22편을 연구대상으로 삼았고, 이들은 청탁의 성격이 강한 여느 기문과는 달리 자발적인 창작이 많았고, 다양한 諸(제) 經典(경전)을 차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발성이 강한 기문은 석정이 宦路(환로)에 나가지 않았기에 公的(공적)인 기문보다 교유를 통한 자발적인 기문 창작이 활발하였고, 載道文學(재도문학)의 특징인 다양한 경전들을 차용하여 자신의 의론을 서술해 나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석정은 기문을 통해 儒者(유자)로서 지녀야 할 학문의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비가 마땅히 해야 할 것은 문학이기 때문에, 학문을 게을리하지 말고 나날이 정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그리고 끊임 없이 성찰하는 자기 수양[自修(자수)]의 태도로 人欲(인욕)을 잘 극복해야 한다고도 하였다. 인욕은 학문하는 사람이 가장 경계해야 할 대상이므로, 이를 잘 억누르고 天理(천리)를 통해서 仁義(인의)의 길로 나아가는 것만이 유자가 지녀야 할 자세라고 역설하였다. This manuscript give an overview of Seokjung Lee Jeongjik’s written documents who is the writer at the late period of Chosun, and consider that features. Seokjung is called three respectable persons in Honam province like Maechun Hwanghyun and Haehak Lee gi, and has talents at the poetry, the calligraphy, and the painting. All his cento works before fifty four years of his age disappeared because of Donghak peasantry movement, however he had concentrated on studies, and left 20 styles of writing and over 1500 behind works. Among his cento works, written documents are good genres to see his literary talent with characters that he requested famous writers. This manuscript consider Seokjung’s 22 written documents as subjects of study, these have strong spontaneity not like others’ written documents, and take different scriptures. Seokjung did not work at the chosun government so thathis written documents could have strong spontaneity with social intercourse, it could be understood to describe his ideas with different scriptures. Moreover, Seokjung tried to suggest the right way of studies as confusion scholars through his written documents. He emphasized that scholars keep studying without laziness because studies are suitable things to do. Also, he mentioned how to get over our greed with the constant attitude of self-discipline. He accentuated people take greed away and proceed humanity through natural law as our greed is the thing that scholars keep strict watch.

      • KCI등재

        기축진찬의궤(己丑進饌儀軌)의 상차림에 관한 문헌적 연구 -자경전정일진별행과(慈慶殿正日進別行果)를 중심으로-

        김하윤 ( Ha Yun Kim ),양진석 ( Jin Suk Yang ),김명희 ( Myung Hee Kim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5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0 No.2

        조선왕조 궁중의궤 기축진찬의궤의 별행과에 대한 고찰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829년 순조29년 순조의 40세 생신과, 즉위 30년을 기념하는 기축진찬의궤의는 2월 9일 명정전 외진찬, 3일 후 2월 12일 자경전 내진찬이 거행되었다. 자경전 내진찬에 각전에 올린 찬안과 함께 올린 상이 별행과이다. 찬안은 연회 전에 미리 차린 음식으로 고임과 장식적인 의미가 크며, 실제로 왕이나 왕족들이 먹는 음식은 별 행과나 미수를 드셨다. 찬안과 함께 별행과도 계급에 따른 차등이 있었음을 알 수 있는데, 자경전 내진찬에서 올린 별행과는 대전, 내진헌, 세자궁 세자빈궁, 명온 공주에게만 별행과 상이 올려졌다. 대전에 올린 진어별행과와 내진헌에 올린 진별행과의 음식수와 종류는 모두 같은데, 총 30그릇으로 면류 1그릇, 과정류7그릇, 과일류 8그릇, 음청류 2그릇, 탕류 4그릇, 찬물류 8그릇을 올렸고 상화는 총 22개가 올렸다. 세자궁과 세자빈궁에 올린 진별행과도 음식수와 종류가 같은데 총 20그릇으로 면류 1그릇, 과정류 4그릇, 과일류 6그릇, 음청류 1그릇, 탕류 2그릇, 찬물류 6그릇을 올렸고 상화를 총 14개가 올렸다. 명온공주는 순조의 장녀로, 별행과에 올린 음식은 총 15그릇으로 면류1그릇, 과정류 3그릇, 과일류 4그릇, 음청류 1그릇, 탕류 1그릇, 찬물류 4그릇이 올렸고 기축진찬의궤에는 상화는 총 10개가 올려졌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궁중연회 상차림 중 별행과에 대하여 깊이 살펴보았다. 이전의 연구들이 주로 조선 후기 고종 시대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지만, 본 연구는 그 이전인 순조시대의 연회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전의 연구가주로 식재료와 음식의 빈도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는데, 본 연구는 별행과에 대한 의미와 역사와 함께 각전에 올리는 상차림과 상화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외에 후속으로 찬안이나 미수 등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져야 하겠다. 또한 본 연구가 조선시대의 궁중음식에 대한 시대적인 변화와 흐름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GichukJinchanEuigwe is a celebration of King Soonjo`s 40th birthday and 30th accession to the throne. The Royal banquet was carried out on February 9th MunggunggunJinchan and JagyeongjeonJeongilJinchan 3 days later. JagyeongjeonJeongilJinbyulhangua is located beside JagyeongjeonJinchanan. The banquet table setting, table, dish level, and table type are different according to royal hierarchy class. Jinbulhangua is served to only the king, queen, crown prince, crown princess, and Myongon princess. The number of JagyeongjeonJinchanan served was as follows: king 30 plates, crown prince 20 plates, and Myongon princess 15 plates. Tableware used were brassware and pott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