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 장애인의 일상적 차별 경험과 심리적 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김춘이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5

        This study aimed at suggesting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in everyday life of middle-aged people with disabilities to solve the problem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11 middle-aged disabled people in their 40s to 50s. Discrimination experienced in daily life by research participants was drawn into four categories: discrimination experienced in language, discrimination experienced in behavior, discrimination experienced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d in education and employment.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methods selected after experiencing discrimination were drawn into three categories: psychological adaptation through disability acceptance, psychological adaptation through religious dependence,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through social support. This study examines the need to develop mentor and mentee programs between generations using positive resources of each stage of the life cycle, the need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education and programs considering the type of disability of each disabled person, psychological conditio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family, Institutional support was required to continuously help the disabled by establishing connectivity between institutions such as schools and workplaces.

      • KCI등재

        몰트만의 생애와 저서에 관한 고찰: 발달심리학적 측면을 중심으로

        김춘이,김재현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2 No.-

        In this paper we read the life and writings of J. Moltmann from perspective of a psychology(especially development psychology) So far, we have seen Moltmann within systematic theological horizon. However, if psychological horizon is added, we will come to a deeper understanding. A significant theologian like Moltmann can be a good model example for Christian counseling. Erikson’s study on ‘young man Luther’ shows this. Therefore, we think that reading Moltmann through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contribute to both systematic theology and christian counseling. We investigated his life by using steps of development psychology, then we criticized his books, Theology of hope and Crucified God from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in the paper. Recently inter–disciplinary studies between theology and psychology had begun. Although Christian counseling itself without theological studies of other departments could help clients, inter–connections of Christian counseling and outcomes of different theological departments(ex, biblical theology, systematic theology) could be more serviceable to clients.

      • KCI등재

        목회상담 관점에서 본 여성 장애인에 대한 연구

        김춘이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5

        우리 사회에서 여성 장애인은 장애에 대한 편견과 여성이라는 이중의 잣대로 차별을 받으며 사람으로뿐 아니라 여성으로서 당연히 누려야 할 권리를 갖지 못한 채 가장 소외된 사회적 약자로 살아가는 즉 ‘약자 중의 약자’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 결혼, 취업 문제 등 여성 장애인이 직접 몸으로 실감하는 상황을 살펴보고 이해함과 더불어 신학적 고찰을 통하여 목회상담 영역에서 여성 장애인을 도울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그리하여 여성 장애인들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의 해결 능력을 배양시킬 뿐만 아니라 여성 장애인의 심리적 성숙을 돕고 한 걸음 더 나아가 문제 해결과 더불어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과 일 대 일로 만나는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을 목회상담이 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가지며 연구를 진행 하였다. 그 연구의 결과로 여성 장애인을 도울 수 있는 목회상담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이 원리를 뒷받침 하는 이론으로는 여성의 문제를 목회상담의 입장에서 다룬 C. S. Bohler의 이론을 선택했다. 그녀는 이 사회에서 장애인과 같이 소외 받고 있는 또 다른 계층인 여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구조와 문화를 바꿔야 한다는 주장을 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는 Bohler의 주장에 동의하며 그녀의 이론을 참조하여 여성 장애인을 위한 목회상담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여성 장애인을 위한 목회상담은 궁극적인 삶의 해답을 찾아나가는 과정으로 제기된 문제의 해결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뿐만 아니라 하나님과 그들 사이의 진정한 관계 회복에 더 역점을 두어야 한다. 또한 목회 상담자 자신이 여성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과정을 겪으면, 그들과의 상담에 효과적이 된다. 이는 여성 장애인을 이해하고, 자신의 발전 가능성을 발견하고 그것을 인정하는 체제와 문화로 변화되도록 안내하고 격려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아직도 장애인에 대한 차별 문화가 존재하는 우리 사회나 교회의 상황에서 여성 장애인에 대한 목회상담은 상담자도 내담자와 함께 변화되도록 초청하는 상담이다. In our society, on the one hand disabled women are discriminated against because of bia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but on the other they are discriminated against because of bias toward women. They are ‘the weak people of weak people’. They lose their right of woman as well as of human. They are the most disadvantaged people as the social weak. This study looked into and understood disabled women's living condition of education, marriage, employment and found the possibility helping disabled women through theological consideration in the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So, this study shows that pastoral counseling must play a role in growing disabled women'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n helping their mental to mature and in providing opportunities for one to one meeting with God. I suggested the principle of Pastoral counseling which can help the disabled women. As the theory supporting this principle I selected the C. S. Bohler's theory which treated women's problems in terms of pastoral counseling. She insists that the social system and culture should be chang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women, who belong to anther isolated class like the disabled in this society. Agreeing with her opinion I proposed the principle of Pastoral counseling for the disabled women. The Pastoral counseling for the disabled women is the process to seek for the ultimate answer of life. In Pastoral counseling, we have to not only pay attention to solve the problems but also focus on the true recovery of relation between God and the disabled women. Also, it would be effective for Pastoral counselors themselves to undergo certain courses for wid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disabled women, because, through these courses, they can encourage the disabled women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to discover their possibility of development, and they can lead society and culture to change into acceptance. At last, the Pastoral counseling for the disabled women requires a counselor to change herself along with an applicant, in situation of our society and our church where the culture of discriminating against the disables still exists.

      • KCI등재

        장애 청소년의 자기 효능감 증진을 돕는 기독교 상담에 관한 연구

        김춘이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42

        자기 효능감에 관한 연구가 일반 심리, 교육, 사회 복지학 분야에서는 심도 있게 다루어지고 있지만 기독교 상담 분야에서의 연구는 아직까지 심도 있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인 장애인에 관한 연구는 더욱 미흡한 실정이며, 설령 그 연구가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발달 단계, 장애 유형별 등에 대한 고려 없이 장애인이라는 큰 범주 안에서만 연구되어 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 기초를 놓기 위한 작업으로 장애 청소년들의 자기 효능감의 증진을 돕는 기독교 상담 의 원리를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자기 효능감은 행동을 선택하거나 지속하 는데 가장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심리적 요인 중의 하나로 그 역할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자기 효능감은 어떤 일의 목표를 산출하기 위한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며, 인간은 자신의 주위 환경에 대한 자기 효능감이 높으면 그 환경 안에서 주어진 과제 를 잘 수행할 수 있지만, 자기 효능감이 낮으면 환경 부적응자가 될 수 있다. 장애 청 소년들의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기독교 상담은 일반 심리학의 관점과는 다른 관점 에서 그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심어 줘야 한다. 새로운 가치란 하나님이 나를 창조하 셨고 구원해 주셨으며 능력을 주셨기 때문에 장애를 갖고 있지만 자신은 사랑스럽고 유능하고 소중한 존재라는 사실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즉 하나 님의 형상(Imago Dei)으로 지음 받고 성령으로 말미암아 회복되고 새로워진다는 확신 에 기반을 둔 자기 효능감을 말한다. 이는 불변하고, 견고한 가치이며, 세상의 예측 불허한 반응과는 다르다. 따라서, 장애 청소년의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기독교 상 담은 하나님의 말씀과 관점에 근거를 둔 자기 효능감만이 진정한 자기 효능감이라는 것을 장애 청소년들에게 상기시켜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기 효능감에 대해 자신을 하나님의 소중하고 사랑스러운 존재, 용서와 구속의 은혜를 받을만한 피조물의 관점 에서 재해석하여 건강한 자기 효능감의 기준을 제시한 Carlson의 이론 중 자기부인 (self-denial), 겸손(humility)함, 자격이 없는 것(unworthy) 등의 입장에 근거하여 장 애 청소년의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기독교 상담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장애 청소 년은 장애인이기 이전에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인간 그 자체이다. 장애인이기 이전에 비장애 청소년과 다름이 없는 청소년이다. 그 이유만으로도 그들은 존재의 목 적이 있다. 또한 자기 효능감은 현재를 해석하여 내가 미래를 만들어 가는 미래 지향 적이다. 따라서, 기독교 상담자는 장애 청소년을 상담함에 있어서 미래가 인간의 삶에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인식하고 상담에 임해야 한다. 즉 장애 청소년들이 장 애로 인해 겪는 갈등과 스트레스 등 모든 상황에 대해 집착하고 고통 받고 좌절하는 것이 아니라 그 상황에 대해 정직하게 직면하게 한 다음 미래를 향해 다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러한 기독교 상담자의 관점은 장애 청소년들에게 청소년 의 시기가 갈등과 방황의 시기가 아닌 미래에 대한 꿈과 동경, 도전 의식을 긍정적인 쪽으로 발전을 시켜줄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In-depth studies about self-efficacy are being conducted in general fields of psychology,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However, research is not being conducted deeply in the field of Christian counseling. In particular, there is a great insufficiency in the research about those dealing with disabilities, who are the research targets of this study, and even when research takes place, it is only executed within a wide category of subjects with disabilities without consideration of development stages or types of disabil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is field of research by suggesting principles of Christian counseling that can assist the enhancement of self-efficacy in disabled adolescents. Self-efficacy is one of the psychological factors which cause the most important influence on selection or sustenance of behaviors and its role is gradually becoming more emphasized. Self-efficacy is belief in one's own abilities to generate a certain objective, and human beings can well implement given tasks within an environment if they hold high self-efficacy about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However they may end up as a misfit to their environment if they have low self-efficacy. Christian counseling, which enhances self-efficacy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must provide new values to them from a dimension which differs from general psychology. The subjects will be able to perceive the meaning of new value and recognize themselves as a loveable, capable, and valuable existence despite their disabilities since God created them, brought salvation, and provided competence. In other words, this refers to self-efficacy which bases on the foundation that subjects are created by the Imago Dei of God and recovered and renewed by the Holy Spirit. This is an unchangeable and solid value and is different from the unpredictable responses of the world. Accordingly, Christian counseling which aims for the enhancement of self-efficacy i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remind them about how self-efficacy that bases on the word of God as well as his perspective is a genuine form of self-efficacy. This study interpreted self-efficacy from the dimension of considering oneself as a valuable and loved being of God as well as a new creation who deserves to receive forgiveness and grace of redemption. Then, the theories Carlson suggested for the criterion for self-efficacy such as self-denial, humility, and worthiness were based on to suggest principles of Christian counseling for the enhancement of self-efficacy i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re human being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nd this identity is much more significant than their identity as an adolescent with disability. They are just like any other adolescent without disabilities if it isn't for their disabilities. This reason itself holds a purpose in their existence. Additionally, self-efficacy is future oriented by the fact that individuals analyze their present condition and shape their own future. As a result, the Christian counselor should recognize how the counseling sessions caus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ives of the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upon providing counseling. In other words, assistance should be provided so that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will not feel attached and fall into despair about all the situations related to the disabilities such as conflicts and stress but encounter those situations honestly and take the next steps towards their future. This perspective of the Christian counselor will provide support for the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so that they can make positive developments for their dreams, longing, and sense of challenge during their adolescent period instead of go through a period of conflicts and confusion.

      • KCI등재후보

        창의성의 철학적 시각과 교육과정적 시사

        김춘 한국교육과정학회 2003 교육과정연구 Vol.21 No.2

        창의성의 연구는 창의성교육의 이론과 방법의 토대가 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다. 그러나 지난 반세기를 돌이켜보면 창의성연구는 다분히 심리적인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경향이다. 창의성교육 역시 이러한 그간의 심리학적 지식의 토대 위에서, 오늘날 프로그램이나 검사지의 개발과 활용이 이루어지는 등 다분히 심리학적 시각에서 전개되고 있다. 본 논문은 창의성의 연구에 있어서 사회학적 접근이나 미학적 또는 철학적 접근 등 여러 다양한 접근이 보다 활발히 전개되어야 좀더 균형있는 창의성의 이해와 교육이 전개된다고 보는 견해에 입각해서, 현상학적·실존주의적·불교론적 시각 등 몇 가지 관점에서 창의성을 검토해 보았다. 즉 초월, 자아실현, 지혜 등의 관점에서 조명해 보았다. 그리고 그것이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평가와 관련하여 언급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es of creativity from the philosophical viewpoint and to find some curricular implications attributable to the examination. The present perspective based on the phenomenology, existentialism, and Buddism were examined on the whole: Firstly, in the phenomenological aspect, the concept of creativity is no more than the 'intuition' in terms of knowing the essence of a nature. The creative activities in any field of science and arts are to find and to express the very essence. Secondly, in the existentialist aspect, the creativity is closely connected to the concept of the self-actualization. Individuality and originality of a person were the substantial concepts of existentialism. The self-actualization is the full realization or expression of the originality and the individuality of a person in the long run perspective. So we can say that the real creativity comes from the individual and original personality and ended in its actualization. Thirdly, in the bibles of Buddism, the concept of creativity is included in terms of the 'wisdom'. The real meaning of the wisdom comprehend the three ways of knowing: differentiation, integration, and liber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above, some suggestions for the curriculum were drived as follows: the aims of schooling should emphasis the cultivating creativity and individuality;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must be selected carefully to activate the creativity of every child; the methods of teaching should be differentiated to fulfil the need of self-actualization; and the criteria of evaluation must be centralized on the creative thinking and attitude of children.

      • KCI등재후보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