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트남 대학 한국어 학과의 發表 교육 과정 개선을 위한 要求分析 연구 –H대학의 한국어 發表 교육 과목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김참이,응우옌티하이쟝,백승주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1 No.2

        김참이·응우옌티하이쟝·백승주, 2023, 베트남 대학 한국어 학과의 發表 교육 과정 개선을 위한 요구분석 연구, 어문연구, 198 : 519~549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대학 내 한국어 학과의 發表 교육 과정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베트남 H대학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예비 조사를 시행 후 본 조사에서는 學習者와 敎授者를 대상으로 焦點集團面接을 진행하였다. 예비 조사 결과 H대학 한국어 전공생들은 2021년도부터 ‘한·영 프레젠테이션 전략’이라는 전공 필수 과목을 통해 한국어와 영어의 發表 기술을 통합하여 학습하고 있었다. 敎授者는 학습 자료를 직접 제작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는데 교수 요목 설계부터 자료의 활용까지 많은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조사 결과 學習者는 한국어 發表 교육의 수강이 현재의 한국 기업 근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원어민 敎授者 및 실제적인 한국어 표현이 추가되기를 요구하였고, 敎授者는 현지 사정에 맞는 맞춤형 發表 교재 개발 및 제작의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하였다. 조사 내용을 종합 후 4장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육 과정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기초 연구로 삼아 한국인 敎授者와의 협업을 바탕으로 외부적인 기준을 마련하고 교재를 개발한다면 실제성 있는 한국어 發表 교육 내용을 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세종학당재단 유튜브 채널 내 한국어교육 콘텐츠의 특성과 이용자 반응 분석 연구

        김참이,최지영,이수진 국제어문학회 2022 국제어문 Vol.- No.95

        본 논문은 세종학당에서 운영하는 유튜브(YouTube) 채널 내 한국어교육 콘텐츠의 특성과 이용자 반응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논의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2022년 9월 말을 기준으로 세종학당재단 유튜브 채널에 게시된 한국어교육 콘텐츠 997개에 대해 내용적 특성(수준, 내용)과 형식적 특성(자막 유형, 교수자 수, 교수자 유형, 전달 방식, 태그 유무)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영상별 조회 수, ‘좋아요’ 수, ‘싫어요’ 수, 댓글 수를 조사한 후 이를 통계 분석하여 교육 콘텐츠의 특성과 이용자 반응 사이의 연관 관계를 파악해 보았다. 한국어 교육 콘텐츠 분석 결과 내용상으로는 ‘초급’에 집중되어 있으며 ‘어휘 및 표현’, ‘문법’을 주요하게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형식적으로는 다수의 콘텐츠에 태그가 없었으며 자막 제공과 함께 1∼2명의 교수자가 문법이나 어휘를 ‘설명’하는 방식으로 4분 8초 내외의 영상이 제작되고 있었다. 콘텐츠의 특성과 학습자 반응의 연관 관계 검증 결과 세종학당재단 유튜브 채널에 전문적인 한국어교육 콘텐츠가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자의 호응은 상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학습자와 라포를 형성하고 상호작용을 끌어낼 수 있는 콘텐츠의 추가 제작, 태그 설정을 통한 학습자의 검색 편의 증대, 재생목록 정리 등의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세종학당재단 채널에 업로드된 한국어교육 콘텐츠의 내용적⋅형식적 특성을 분석하고 학습자의 반응을 살핌으로써 채널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어 입문 단계 교육 자모 제시 방법 연구 -한글의 형태적 특징을 중심으로-

        김참이 이중언어학회 2021 이중언어학 Vol.8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ffective Hangeul teaching method at the introductory sta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an educational plan to expand the number of Hangeul letters from 17(8 vowels and 9 consonants) to 40 characters by adding or combining strokes on basic characters which were selected by the researcher. To increase the readability of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each step was presented in a table so that learners could logically understand the concept of expanding letters. The educational effect was statistically verified by conducting the ‘Hangeul summer course’ for four weeks for two different classes composed of Italian studen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could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Hangeul by early Korean learners, and it was particularly effective in the ‘reading’ part. However, the fact that the experiment was held online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and the subject with prior Hangeul learning experience was mixed in the randomly recruited sample group remains a limitation of this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의 입문 단계에서 효과적인 한글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글의 형태와 소리를 기준으로 모음 8자, 자음 9자의 기본자를 설정하고 획을 추가하거나 조합하여 40자로 쉽게 확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육 자료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각 단계를 표로 구성하고 제시하여 학습자가 글자 확장 개념을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이탈리아 학생들로 구성된 2개 반을 대상으로 4주간 '한글 여름 특강'을 진행하여 본 연구의 교육 효과를 실험을 통해 통계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한글 자모 교육 방법이 학습자의 한글에 대한 이해와 관련하여 특히, 조합된 음절 구조를 읽는 것에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효과성 인지 확인을 위해 실험집단에 대해 추가적으로 시행한 만족도 조사를 통해서도, 학습자들은 기존 한글 교육 방식과의 차이를 인지하고 본 연구의 자모 제시 방법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실험이 Covid-19 상황으로 인해 온라인으로 진행된 점, 무작위로 모집한 학습자 중 선행 한글 학습 경험이 있는 피험자가 섞여 있었던 점은 이번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 KCI등재

        여성 결혼이민자의 ‘국적취득 준비 한국어 수업’ 경험을 통한 정체성 탐색 연구

        김참이 이중언어학회 2022 이중언어학 Vol.88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ense of identity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relation to their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the "Korean Class for Nationality Acquisition Preparation Program". This study aimed particularly to thoroughly examine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hat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perception of the Korean language would be like and what changes occurred in their sense of identity through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in the "Korean Class for Nationality Acquisition Preparation Program". This study found that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active class participation and their purpose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were not just related to learning the language itself, but also to developing and reinforcing their sense of identity. First,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were aware that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Korean language in settling down in Korea and Korean language can have economic value in combination with their native language. Moreover, they were found to actively invest their time and effort in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s a means of self-realization, which enhanced their learning motivation. Second, the active class participation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showed that their purpose for the program is to adapt to Korean society better, rather than to acquire nationality itself since they perceived themselves as a social and cultural subject who voluntarily migrated. In addition, their self-efficacy was improved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surrounding people in this process. Third,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tried to establish their roles at home as wives and mothers by improving their knowledge and Korean language skills through the program. In particular, their sense of identity as a mother who can guide children's education became stronger. It can be seen that they strengthened their sense of identity positively, constantly negotiating for it through various experiences through the class participation process and learning cont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결혼이민자의 정체성을 ‘국적취득 준비 한국어 수업’ 참여 경험과 관련하여 탐색해 보고자 함이다. 특히 ‘국적취득 준비 한국어 수업’에 참여한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국적취득 준비 한국어 수업 경험을 통해 학습자는 어떠한 정체성의 변화를 겪는지를 수업 관찰 및 참여자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 결혼이민자의 수업 참여와 한국어 학습은 단순히 언어적 요소를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정체성 형성 및 강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첫째, 여성 결혼이민자는 ‘한국어’가 결혼이주민으로서 안정적인 자리매김을 위해 필수적이며 모국어와 결합하여 경제적 자본으로 치환 가능한 것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자아실현을 가능하게 해 주는 도구로서 한국어 학습에 적극적으로 투자하였으며 학습 동기는 강화되었다. 둘째,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는 ‘국적취득’ 자체가 목적이라기보다, 자발적으로 이주해 온 사회문화적 주체로 스스로를 인식함에 따라 수업 내용을 통해 한국 사회에 더 잘 적응하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주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셋째, 여성 결혼이민자들은 본 수업에서 배운 지식 및 한국어 능력 향상을 을 통해 아내와 어머니로서 가정 내에서 위치를 확고히 하고자 하였다. 특히 자녀교육을 주도할 수 있는 어머니로서의 정체성이 공고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업 참여 과정과 학습 내용을 통한 다양한 경험을 통해 여성 결혼이민자는 자신의 정체성을 끊임없이 협상하며 긍정적으로 강화해 나가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게임 요소 기반 디지털 학습 프로그램을 활용한 초급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카훗(Kahoot)의 게임화 요소 분석과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김참이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3 한국어교육연구 Vol.- No.20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amification elements of Kahoot, a game-based digital learning program, and propose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can be used for beginner’s leve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Gamification is the application of game structures and principles to non-game fields to engage and focus users. By applying gamification to education,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extrinsic motivation of games to trigger the intrinsic motivation of games and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 analysis of Kahoot, a digital learning program, based on the gamification elements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review, shows that Kahoot not only faithfully reflects each element of gamification, but also has a variety of devices that can engage learners in sensory, challenging, and illusory immersion. Based on the needs of digitally savvy learners and the classroom that is equipped with digital equipment, Kahoot is appropriate to be utilized in the practice phase of beginner’s level of Korean. Chapter 4 presents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gamification to Korean language classes. The failure to conduct learner surveys or experimental studies based on the gamification concept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pointed out as a limitation of this study. In the future, m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how to use Kahoot and other digital learning programs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based on their effectiveness. 본 연구는 게임 기반 디지털 학습 프로그램 카훗(Kahoot)의 게임화 요소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초급 한국어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핵심 개념인 게임화는 영어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을 번역한 신조어로 게임이 아닌 분야에 게임의 구조와 원리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참여와 집중을 유도하는 것을 뜻한다. 교육에 게임화를 적용하면 게임의 외재적 동기를 활용하여 게임의 내재적 동기를 유발하고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도출된 ‘게임화 요소’를 기준으로 디지털 학습 프로그램인 카훗(Kahoot)을 분석한 결과 카훗(Kahoot)은 게임화의 각 요소를 충실하게 반영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감각형, 도전형, 환상형 몰입을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지니고 있었다. 디지털에 익숙한 학습자의 요구 및 교실 내 디지털 기자재가 갖추어져 있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카훗(Kahoot)은 초급 한국어의 연습 단계에서 활용하기에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4장에서는 게임화를 한국어 수업에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게임화 개념과 교수·학습 방안을 기초로 학습자 설문 조사나 실험연구 등을 진행하지 못한 것은 본 연구의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추후에는 카훗(Kahoot)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지털 학습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수·학습에의 활용 방안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