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차원 수치모의 실험을 통한 진해·마산만의 계절별 해수순환과 염하구 특성

        김지하,최병주,최재성,하호경,JIHA KIM,BYOUNG-JU CHOI,JAE-SUNG CHOI,HO KYUNG HA 한국해양학회 2024 바다 Vol.29 No.2

        진해·마산만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해수순환, 조석, 조류, 적조, 수질, 빈산소 환경을 주제로 많이 연구되었으나 주로 단기간 동안 일어나는 해양현상에 대해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만 전체적인 해수순환을 일으키는 물리적 기작을 자세히 살펴본 연구는 부족했다. 오염 물질의 이동과 확산 같은 현상은 주로 계절별로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진해·마산만 해역의 해수순환이 계절적으로 어떻게 변동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차원 해양 순환 모델을 이용하여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진해·마산만의 해수순환을 수치모의하고, 여름철과 겨울철 해수순환을 표층, 중층, 저층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조석, 바람, 담수 유입에 대한 민감도 실험을 수행하여 각 요인들이 해수 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진해·마산만의 해수순환은 가덕수도 저층에서 대한해협의 해수가 유입되고, 표층에서 진해·마산만의 해수가 유출되는 대류성 염하구 순환이 일어난다. 가덕수도를 통해 교환되는 해수의 순환은 크게 진해만 동부해역과 진해만 서부해역으로 나누어져 일어난다. 각 해역의 수로 방향을 기준으로 해수 수송량을 계산하였을 때, 진해만 동부해역의 남북방향 해수 교환 수송량은 진해만 서부해역에서 일어나는 동서방향 해수 교환량보다 겨울철에는 2.3배, 여름철에는 1.4배 크다. 진해만 서부해역은 계절별로 작용하는 힘들의 균형이 변화하여 해수순환 특성이 계절에 따라 크게 다르다. 겨울철에는 북서풍이 만드는 전단응력과 해수면 기울기의 영향으로 표층 해류가 남쪽으로, 저층 해류는 북쪽으로 흐르는 남북방향 대류성 순환이 강화된다. 반면, 남서풍이 부는 여름철에는 바람 응력에 의해 표층 해수가 동쪽으로 유출되고, 또한 남동쪽 해수면이 높아 북쪽 방향 순압성 압력경도력이 커져 동쪽 방향 유속이 강화된다. 저층에서는 밀도 구배가 커져 경압성 압력경도력이 남쪽으로 크게 작용하여 지형류 균형에 의해 가덕수도의 해수가 서쪽으로 강하게 유입하는 동서방향 대류성 순환이 겨울철보다 26% 강화된다. 진해만 서부의 대류성 순환은 겨울과 여름 모두 조류와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진해만 동부해역과 마산만에서는 모든 계절에 표층에서는 해수가 외해로 유출되고, 저층에서는 해수가 만 안쪽으로 유입되는 전형적인 염하구 순환을 보였다. 겨울철에는 바람과 담수유입이, 여름철에는 조류의 영향이 남북방향 염하구 순환 규모에 크게 기여하였다. 진해만 동부해역에는 지형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조석 잔차류도 뚜렷하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진해·마산만의 계절별 해수순환 특성은 이 해역의 오염물질 확산, 여름철 빈산소수괴의 형성 기작 파악, 적조 생물의 유입과 유출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Circulation, tides, currents, harmful algal blooms, water quality, and hypoxic conditions in Jinhae-Masan Bay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However, these previous studies primarily focused on short-term variations, and there was limited detailed investigation into the physical mechanisms responsible for ocean circulation in the bays. Oceanic processes in the bays, such as pollutant dispersal, changes on a seasonal time scal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how the circulation in Jinhae-Masan Bay varies seasonally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ides, winds, and river discharges on regional ocean circulation. To achieve this, a three-dimensional ocean circulation model was used to simulate circulation patterns from 2016 to 2018, and sensitivit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is study reveals that convective estuarine circulation develops in Jinhae and Masan Bays, characterized by the inflow of deep oceanic water from the Korea Strait through Gadeoksudo, while surface water flows outward. This deep water intrusion divides into northward and westward branches. In this study, the volume transport was calculated along the direction of bottom channels in each region. The meridional water exchange in the eastern region of Jinhae Bay is 2.3 times greater in winter and 1.4 times greater in summer compared to that of zonal exchange in the western region. In the western region of Jinhae Bay, the circulation pattern varies significantly by season due to changes in the balance of forces. During winter, surface currents flow southward and bottom currents flow northward, strengthening the north-south convective circulation due to the combined effects of northwesterly winds and the slope of the sea surface. In contrast, during summer, southwesterly winds cause surface seawater to flow eastward, and the elevated sea surface in the southeastern part enhances northward barotropic pressure gradient intensifying the eastward surface flow. The density gradient and southward baroclinic pressure gradient increase in the lower layer, causing a strong westward inflow of seawater from Gadeoksudo, enhancing the zonal convective circulation by 26% compared to winter. The convective circulation in the western Jinhae Bay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both tidal current and wind during both winter and summer. In the eastern Jinhae Bay and Masan Bay, surface water flows outward to the open sea in all seasons, while bottom water flows inward, demonstrating a typical convective estuarine circulation. In winter, the contributions of wind and freshwater influx are significant, while in summer, the influence of mixing by tidal currents plays a major role in the north-south convective circulation. In the eastern Jinhae Bay, tidally driven residual circulation patterns, influenced by the local topography, are distinct.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pollutant dispersion, summer hypoxic events, and the abundance of red tide organisms in these bays.

      • Multi-Link Operation 의 Internal Interference 를 위한 적응적 Contention Window 기법

        김지하(Jiha Kim),김병찬(Byungchan Kim),박현희(Hyunhee Park)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be 의 기술 중 하나인 multi-link access 를 위한 새로운 contention window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contention window 기법을 이용하여 랜덤 백오프를 진행하는 경우 두 개의 링크를 사용하는 MLD 에서는 각 링크에 대하여 기본 링크와 보조 링크를 공정하게 교대로 사용할 것을 보장할 수 없다. 또한 전송 시 내부 간섭으로 인해 신호의 충돌이 자주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적응적 contention window 기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효율적인 전송을 보완할 수 있다. 이를 Bayes theorem 과 3D markov chain model 을 통해 수치상으로 분석하고, 모든 MLD 의 수가 50 대일 때 전송 성공 확률이 약 6.4481% 성능 향상을 보인다.

      • KCI등재

        한국 실험영화 감독들의 장르정체성과 해외경험에 따른 미학적, 제도적 인식의 차이

        김지하(Kim, Jiha) 한국영화학회 2014 영화연구 Vol.0 No.59

        The rapid change of media environment has made diversify experimental filmmakers’ perception toward aesthetic components of experimental film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experimental film-making. Using a statistical method, the present study aimed to empirically understand how filmmakers’ genre identity and cultural capital prduced the difference of their perception on aesthetic components, institutional support. T-test showed that filmmakers’ perception of aesthetic components and institutional support were partia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genre identities and cultural capitals. First off, experimenatal filmmakers perceived technology, governmental support and aesthetic value more importantly than mediaartists, meanwhile media artists evaluated interactive communication more crucially than filmmakers. Next, filmmakers more strongly asked for governmental support than media artists. Thirdly, those who had cultural capital estimated art higher than have-not, which means cultural capital is the very factor to affect their perception of art of experimental film. However, have-not perceived filmmakers’ subjective expression higher than have, which is contrary to other aesthetic components. Lastly, interactive effects between genre identity and cultural capital was found to increase the level of difference of communication, institutional support, and aesthetic evaluation. In sum, the present study found there existed diversified filmmakers’ perception toward experimental film and it influenced their actual activities. Furthermore, filmmakers’ cultural capital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symbolic axis in the filed of film production, and consequently, the level of cultural capital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to make a difference of filmmakers’ perception on art and aesthetic components of experimental film.

      • 보스턴미술관의 한국미술 컬렉션 연구 (1892~1950)

        김지하 ( Kim Jiha ) 동양미술사학회 2019 동양미술사학 Vol.9 No.-

        보스턴미술관의 한국미술 컬렉션은 보스턴미술관의 운영 및 소장품 수집과 관련된 컬렉터들과 큐레이터에 의해 변화를 겪어왔다. 보스턴미술관의 동양미술품 소장 및 연구는 일본과 중국이란 큰 축을 중심으로 이뤄졌으며, 그 중 한국미술은 부수적인 부분으로 다뤄졌다. 본 논문은 동양컬렉션의 조성 과정 및 소장과 연구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 두 명의 큐레이터와 컬렉터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보스턴미술관의 한국미술 컬렉션의 형성과 특징에 대해 조명해보고자 하였다. 보스턴미술관에 한국 미술품이 처음 소장된 1892년에서 1910년 사이 에드워드 실베스터모스(Edward Sylvester Morse, 1838~1925)의 한국 도자 컬렉션이 가장 주요하다. 일본도자기와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표본으로 삼국시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시기의 다양한 한국도자기가 수집되었으며 특히 신라, 가야의 토기가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시기, 종류의 구분없이 하나의 캐비넷에 전시된 한국도자기는 민족학, 인류학과 유사한 맥락에서 연구되었다. 이어지는 1910년대와 1920년대에는 기존 동양미술 컬렉션에 부족한 일본 조각과 중국 미술품들을 보강하는 과정에서 회화, 공예 등 다양한 매체의 한국미술품이 함께 소장되었다. 그 중 특별 기금을 통해 수집된 고려청자는기형, 색감, 문양, 유약 등의 특징을 파악하는 등 청자 자체로서 전시, 연구되는 양상을 띠었다. 연구를 통해 과거부터 중국, 일본인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은 우수함과 고분 출토 도자기가 갖는 진품성이 고려청자를 한국미술의 대표격으로 자리잡게 하였다. 한편 고려청자는 중국 고대 역사를 바탕으로 다양한 동양미술의 보고로 발전한 일본미술까지의 시대적 변화를 담은 보스턴미술관 동양미술 전시에 한 부분으로 자리하였다. 전시구성과 함께 보스턴미술관의 동양미술 소장, 연구에 반영된 오카쿠라 카쿠조(岡倉天心, 1868~1913)의 영향은 동양미술 연구자와 컬렉터들로 이어졌다. 다음으로 도미타 코지로(富田幸次郎, 1890~1976)가 동양미술부를 이끌어 나가던 1930년 이후, 일본 미술상과의 관계 속에서 고려시대 금속공예품이 주로 소장, 연구되었다. 동서양을 오가며 주요 컬렉터 및 기관과의 관계를 형성해 온 야마나카 회사(Yamanaka Company)를 통해 수집된 금속공예품은 코지로에 의해 일본 연구자들의 발굴, 연구성과를 활용하여 연구되며 한반도 내 일본 식민정책의 성과를 함께 담아내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한국미술 컬렉션에 가장 큰 기여한 찰스 베인 호이트(Charles Bain Hoyt, 1889~1949)의 한국 컬렉션은 고려청자, 금속공예에 편중되어 전체 한국미술 컬렉션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조선시대 도자기가 청자와 비슷한 수준으로 수집되었으며 다양한 기형, 기법을 반영하고 있어 개인의 취향도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Museum of Fine Arts, Boston(MFA), opened in 1876, have a extensive history and collections. The museum’s collection of Asian art especially is one of the finest in the United States and over 100,000 works are included about 1,045 Korean art works and related materials. In this dissertation aims to consider how the Korean art collection had been acquired and studied during the period from 1892 through 1950. Morse’s collection of Korean ceramics is the most important between 1892 and 1910. Various types of Korean ceramic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modern times were collected as a sample to show their relationship with Japanese ceramics, especially pottery from Silla and Gaya. The collection displayed in one cabinet, regardless of tim and type, were studied in a similar context to ethnology and anthropology. Korean art was collected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scarce Chinese and Japanese art from the Oriental art department. A variety of Korean artworks have been collected while reinforcing scarce Chinese and Japanese art from the Department of Chinese and Japanese Art. Among the collection, Goryeo celadon collected through a special fund and displayed in exhibition from ancient China to modern Japanese art. Through the research, the outstanding quality and authenticity of Goryeo celadon, which was highly appreciated by the Chinese and Japanese people, made Goryeo celadon as a representative of Korean art. Goryeo celadon has become a part of the Eastern art exhibition, which has developed from ancient China art to modern Japan art. Okakura Kakuzo’s influence on the exhibition and research of Eastern art at the Boston Museum of Art continued with later researchers. After 1930, metal crafts of Goryeo Dynasty were mostly housed and studied by Tomita Kojiro who led the Department of Eastern Art. He used Japanese researchers' achievements in studying metal crafts of Goryeo Dynasty and reflected the outcome of Japan’s colonial policy on the Korean Peninsula. Finally, Hoyt's Korean art collection, which is the biggest contributor to the collection of Korean art, is concentrated on Goryeo celadon and metal crafts, and has a similar composition to the entire collection of Korean art. Hoyt’s Korean collection, the largest portion of the Korean art collection, is concentrated on Goryeo celadon and metal crafts like entire collection of Korean art in MFA. On the other hand, the pottery of Joseon Dynasty were possessed in the similar amount Goryeo celadon. Also, the ceramics with various shapes and techniques were reflected tastes of the collector.

      • NHANES 데이터를 이용한 생활 패턴 기반의 우울증 예측 머신러닝 기법

        김용호(Yongho Kim),김지하(Jiha Kim),우기문(Gimoon Woo),김형빈(Hyungbin Kim),박현희(Hyunhee Park)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본 논문은 NHANES(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에서 제공되는 설문조사 데이터 세트를 이용하여 PHQ-9 척도의 우울증 점수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 사용자가 접하기 어려운 의료 설문을 통해서 우울증을 진단받는 것 보다 쉽게 수집할 수 있는 생활 패턴 기반의 설문 응답을 가지고 예측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면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다중 클래스 분류에서는 DNN 의 F1 score 가 60%로 가장 높은 성능이 나왔고 이진 클래스 분류에서는 Decision Tree F1 score 가 71%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다.

      • 사용자별 가중치 표준 편차를 활용한 Federated Learning 성능 향상 기법

        김형빈(Hyungbin Kim),김용호(Yongho Kim),우기문(Gimoon Woo),김지하(Jiha Kim),박현희(Hyunhee Park)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본 논문에서는 FL(Federated Learning)에서 데이터 분포의 Non-IID(Independent and Identically Distributed) 문제 개선을 목표로 한다. FL의 경우 edge device들의 데이터 분포가 IID 할 때는 학습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지 않지만, Non-IID 할 때는 클라우드 컴퓨팅 성능에 도달하지 못하는 결과를 보일 수 있다. 본 논문을 통해 우선 기본적인 FL의 개념을 살펴보고, edge device들의 데이터 분포가 Non-IID하여 FL 학습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소개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Non-IID 상황에서 사용자별 가중치 표준 편차를 활용하는 기법을 제안하며, 기존 FedAvg(Federated Averaging algorithm)와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accuracy와 loss 비교를 통하여 성능을 검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