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깅과 부스팅 알고리즘을 이용한 핸드볼 결과 예측 비교

        김지응,박종철,김태규,이희화,안지환,Kim, Ji-eung,Park, Jong-chul,Kim, Tae-gyu,Lee, Hee-hwa,Ahn, Jee-Hwan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redictive power of the Bagging and Boosting algorithm of ensemble method based on the motion information that occurs in woman handball matches and to analyze the availability of motion information.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predictive power of the result of 15 practice matches based on inertial motion by analyzing the predictive power of Random Forest and Adaboost algorith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ediction rate of the Random Forest algorithm was 66.9 ± 0.1%, and the prediction rate of the Adaboost algorithm was 65.6 ± 1.6%. Second, Random Forest predicted all of the winning results, but none of the losing results. On the other hand, the Adaboost algorithm shows 91.4% prediction of winning and 10.4% prediction of losing. Third, in the verification of the suitability of the algorithm, the Random Forest had no overfitting error, but Adaboost showed an overfitting err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vailability of motion information is high when predicting sports event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andom Forest algorithm was superior to the Adaboost algorithm. 본 연구는 여자핸드볼 경기에서 발생되는 움직임 정보를 바탕으로 앙상블 기법의 배깅과 부스팅 알고리즘의 예측력을 비교하고, 움직임 정보의 활용가능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5번의 연습경기에서 관성센서를 활용해 수집한 움직임 정보를 활용한 경기 결과예측을 랜덤포레스트와 Adaboost 알고리즘을 활용해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랜덤포레스트 알고리즘의 예측률은 66.9 ± 0.1%로 나타났으며, Adaboost 알고리즘의 예측률은 65.6 ± 1.6%로 나타났다. 둘째, 랜덤포레스트는 승리 결과는 모두 예측하였고, 패배의 결과는 하나도 예측하지 못하였다. 반면, Adaboost 알고리즘은 승리 예측 91.4%, 패배예측 10.4%라고 나타났다. 셋째, 알고리즘의 적합성 여부에서 랜덤포레스트는 과적합의 오류가 없었지만, Adaboost는 과적합의 오류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포츠경기를 예측할 때 움직임 정보도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랜덤포레스트 알고리즘이 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연구논문 : 대학생들의 커피전문점 브랜드 인지도가 전환의도, 구매행동,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응 ( Ji Eung Kim ),조원영 ( Won Young Cho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4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brand awareness, switching intentions, purchasing behavior, and revisiting intentions. Brand awareness consisted of three factors: brand image, physical environment, and affiliation of coffee brand. Good brand image was associated with reduced switching intentions, whereas negative image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witching intentions.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was most affected by interior decoration, including furniture, decorations, etc. Switching intentions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revisiting intentions. Finally, purchasing behavior and revisiting intention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s limitations, the only participants wer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not representative of all consumers at coffee shops. Moreover, this study did not divide coffee shops into franchises and individually owned.

      • KCI등재
      • KCI등재

        한식홍보행사 참가동기와 관광행동의도의 관계에서 행사만족도의 매 개효과 연구/일본 돗토리현 하야부사역 축제 참가자를 중심으로

        김지응 ( Ji Eung Kim ),강진희 ( Jin Hee Kang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3 觀光硏究 Vol.28 No.5

        본 연구는 2013년 8월 12일 일본 돗토리현에서 개최된 제 5회 하야부사역 축제에서 한국과 한식문화교류를 위한 활동으로 한식홍보행사를 진행하고, 참가자의 동기와 행사만족도,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한식세계화의 일환으로 활발하게 진행 중인 한식관련 홍보행사에 대한 현지인들의 인식파악과 홍보행사의 구성과 내용기획, 한식과 연계한 관광 상품의 개발, 관광목적지로서의 한국 인식제고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연구결과 한식홍보행사 참가자의 동기요인은 경험성과 매력성, 독특성으로 구분되었으며, 참가동기요인 중 경험성과 매력성 요인은 행사만족도와 관광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독특성은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사만족도가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사만족도는 행사 참가동기와 관광행동의도를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한식홍보행사 만족도는 한식홍보행사 참가자의 동기가 관광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해외에서의 한식홍보행사는 한식에 대한 매력성과 경험성 요인을 부각시킴으로써 한식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인 인식을 고취시키고, 현지인들로 하여금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켜 한국으로의 관광행동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were studied the impact on the motivation of the participants, events satisfaction and degree of tourism on conducted Korean Food promotions for the purpose of Korea and Korean Food cultural exchange activity at Hayabusa reverse Festival held in Tottori Prefecture, Japan in August 12, 2013.This study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local residents, configuration and contents planning of the promotions, the development of tourism products Korean Food related and raising awareness of Korea as a tourist destination about the Korean Food related promotions actively in progress as part of Korean Food Globaliz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otivation factors of the participants of the Korean Food promotion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ence, the attractiveness and the uniqueness. the experience and the attractiveness of which were found to affect th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event satisfaction and the tourist behavioral intentions, but the uniqueness of which was found to affect the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tha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the event satisfaction was also found to affect th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tourist behavioral intentions, and the results of its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n the motivation of the participants and the tourist behavioral intentions, then the event satisfaction of the Korean Food promotions was found to give mediated effect to the motivation of the participants affect th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tourist behavioral intentions. Through this study, the Korean Food promotions in foreign countries encourage positive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Korean Food, increase interest of the local residents in the culture of Korean and then affect th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tourist behavioral intentions to Korea by Highlighting the factors of the attractiveness and the experience of the Korean Food.

      • KCI등재

        매스티지 상품의 소비가치가 프레이밍 효과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응 ( Ji-eung Kim ),강진희 ( Jin-hee Kang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6 觀光硏究 Vol.3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유행하고 있는 매스티지 외식 상품의 이용 고객들을 대상으로 매스티지 전략이 소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이러한 매스티지 상품의 소비가치가 소비자들의 프레이밍 효과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요인임을 증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 매스티지 상품의 소비가치의 하위요인인 경제적 가치, 감정적가치, 사회적 가치, 상황적 가치는 프레이밍 효과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레이밍 효과도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스티지 상품의 소비가치의 하위 요인과 구매의도 간의 관계에서 프레이밍 효과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감정적 가치, 사회적 가치, 상황적 가치는 부분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적가치는 완전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양극화된 소비시장에서 합리적인 가격에 고품질 및 감정적 만족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와 니즈를 만족시켜 치열한 외식시장 환경에서 생존하고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 외식기업들은 소비자의 소비가치를 충족시키고 브랜드에 대한 프레이밍 효과를 자극시킬 수 있는 다양한 마케팅 기법들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그 중 매스티지 전략을 활용한 메뉴 상품과 브랜드 구축이 차별화에 효과적이고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외식산업 경영자들은 물론 소비자 모두에게 유익한 정(+)의 영향을 줄 수 있는 마케팅 전략 수립과 학문적 기초토대를 구축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도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analysis how masstige strategy affect customers who using the masstige goods recently trend, and then it was carried out to demonstrate that this consumption value of masstige goods was a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the consumer’s framing effect and 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research model was verified that economic value, emotional value, social value and situational value in consumption value of masstige goods sub-factor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raming effect and purchase intention, and framing effect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oo, And also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fram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of consumption value of masstige goods and purchase intention, emotional value, social value and situational value factors were found on the part mediating effects and economic value factor was found on the full mediating effects in statistics. In order to survive and develop in the recent the polarized foodservice market environment, they have to find a variety of marketing techniques that can satisfy consumer``s consumption value and stimulate the framing effect for brand that can satisfy consumer``s wants and needs who pursuing a high quality at a reasonable price and emotional satisfaction. In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this masstige goods strategy was effective in differentiating and had the competitiveness among various marketing techniques, it was considered applicable to manager of Foodservice industry and also consumers that could gi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nd then this study was attempt to build an academic foundation and marketing strategy.

      • KCI등재

        로컬푸드에 대한 인식이 소비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지응(Kim, Ji-Eung) 대한관광경영학회 2013 觀光硏究 Vol.28 No.2

        본 연구는 로컬푸드에 대한 인식이 소비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신뢰를 매개변수로 실증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로컬푸드 매장이 있는 지역에서 소비자들의 인식에 따른 신뢰가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여 향후 로컬푸드 마케팅전략에 있어서 소비자 신뢰의 중요성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 분석을 토대로 하여 향후 지역의 로컬푸드 마케팅수립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로컬푸드 인식은 소비자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신뢰 향상을 위해서는 로컬푸드 인식의 하위요인별 환경적 측면, 건강적 측면, 교육적 측면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지역사회 유지 측면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로컬푸드의 이용이 소비자들에게 지역사회의 상생적인 경제활동의 인식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둘째, 소비자 신뢰는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독립변수로서 소비자 신뢰는 구매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소비자 신뢰가 높아지면 구매행동은 690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비자 구매행동 향상을 위해서는 신뢰의 향상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소비자 신뢰는 로컬푸드 인식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로컬푸드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구매행동을 하는 것으로 알 수 있지만 로컬푸드가 지역사회의 경제적인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지역사회의 로컬푸드의 소비와 지역사회의 경제적인 효과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높이는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recognized for local food influence on the impact of trust on consumer buying behavior as a parameter empirical. The aim of the study is due to consumer awareness of local food stores in the area, trust look no impact on the purchasing behavior, using data and analysis about the importance of consumer confidence in the future of local food important to the future of local food in marketing strategy. First, local food perceptions appeared to affect consumer confidence. And then in order to improve consumer confidence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educational aspects, environmental aspects, health aspects, and local food awareness of the sub-factors that. But keep the community aspect was low. It can be inferred that the recognition of the win-win economic activities of the community does not effect the use of local food to consumers. Second, consumer confidence will affect the purchasing behavior. Showed that consumer confidence in buying behavior,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p < 001), the consumer confidence rises, the purchasing behavior showed a rise of 0.690. Therefore, improvement of trust can be seen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order to improve the consumer buying behavior. Third, recognition of local food consumer confidence, was found to mediate the impact on purchase behavior. Looking at the above results, you can see that the purchasing behavior based on trust for the local food, but about the positive impact on the economic aspects of the community, the local food consumer confidence appears to be insufficient, therefore Education and promotion of the community in the future, the consumption of local food and to increase consumer awareness about the economic impact of the community are needed.

      • KCI등재

        로컬푸드 재료를 이용한 베이커리 제품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응(Kim, Ji-Eung) 대한관광경영학회 2014 觀光硏究 Vol.29 No.2

        본 연구는 전주지역의 농산물을 이용한 베이커리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항을 미치는 가에 대하여 알아보고 나아가 지역 개인 윈도우 베이커리에 대한 상품 마케팅 수립에 유용한 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을 갖고 연구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로컬푸드 제품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안전성 측면, 건강적 측면, 미각적 측면, 지역사회 유지적 측면이 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즉, 안전성 측면이 높아지면 신뢰는 .290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각적 측면이 높아지면 신뢰는 .217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지역사회 유지적 측면이 높아지면 신뢰는 .178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건강적 측면이 높아지면 신뢰는 .173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 신뢰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소비자 신뢰는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소비자 신뢰가 높아지면 구매의도는 .680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로컬푸드 제품과 구매의도과 관계에서 신뢰의 매개역할을 분석한 결과 독립변수인 안전성 측면, 건강적 측면, 미각적 측면, 지역사회 유지적 측면의 회귀계수가 2단계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매개변수인 신뢰도 유의미하게 나타나 신뢰는 안전성 측면, 건강적 측면, 미각적 측면, 지역사회 유지적 측면과 구매의도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의 다양한 베이커리 제품에 대한 욕구를 수용하려면 수입밀로 만든 빵과의 차별화와 이를 위해 수요시장 조사를 통한 목표시장을 세분화하고 로컬푸드 제품과 수입제품과의 안전성, 약리성, 영양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소비자 욕구에 맞는 제품을 개발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지역사회는 지역 농산물의 안전한 판로를 확보하여 농가소득 증대와 지역경제 활성성화 그리고 최종 판매자인 지역 개인 윈도우 베이커리 전문점들의 유기적인 관계를 통해 윈도우 베이커리가 활성화 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onsumer trust to what extent bakery products made by local ingredients in Jeonju and the effect on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s, and to serve an useful information to make marketing plans for local window bakery shops. As a result, the safety, health, taste and upkeep of the local society consuming local food products has a positive effect on trust(p<.01). This means that if the value of safety is increased, trust also increases 0.290 as well. If the value of taste is increased, the trust is also rised 0.217, if the value of upkeep of local society is increased, trust grows 0.178, and if value of the health is increased, trust increases too 0.173. Besides, it has been verified that consumer"s trust could effect purchasing intentions(p<.001), and if consumer trust is increased, purchasing intention grows 0.680 as well. Finally, as an outcome from the analysis of mediating roles of trust between local food products and purchasing intention, the regression coefficient value of independent variable including safety, health, taste, and upkeep of local society decreases. However, the parameter, the trust, got heed so that the trust was verified as a part-parameter. To satisfy the consumer"s desire for varieties of bakery produc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ducts that are suitable for the consumer"s wants with analysis of nutrition and health benefits of local food products and imported ones. In addition, local societies should secure the safe route for the sale of local food to increase rural household incomes and vitalize the local economy, so that the windowbakery shops would be invigorated by close relationships between them.

      • KCI등재

        커피전문점의 환경마케팅이 소비자 신뢰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응 ( Ji Eung Kim ),박지양 ( Ji Yang Park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2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7 No.3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practical environmental marketing data by measuring the effect of environmental marketing on customer loyalty and trust at coffee stores. The results were obtained by empirical analysis an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hypothesis, the effect of environmental marketing on consumer trust at coffee stores, showed that environmental marketing at coffee stor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nsumer trust. Price, product, and facilities as sub-factors of environmental marketing at coffee stores had effects on consumer trust. Especially, facilities was the highest. The second hypothesis, the effect of environmental marketing on customer loyalty at coffee stores, showed that environmental marketing at coffee stor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ustomer loyalty. Price, product, and facilities as sub-factors of environmental marketing at coffee stores had effects on customer loyalty. Especially, facilities was the highest. The third hypothesis, the effect of consumer trust on customer loyalty at coffee stores, showed that consumer trust at coffee stor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ustomer loyalty. Improvement of consumer trust by environmental marketing wa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customer loyalty. As for these findings, price, product, and facilities as sub-factors of environmental marketing at coffee stores had effects on consumer trust and loyalty. Consequently, these findings provide helpful information for coffee stores to plan environmental marketing strategies and establish direction, and they can be used for management activities.

      • KCI등재

        연구논문 : 외식기업의 멘토링 기능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상사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지응 ( Ji Eung Kim ),안호기 ( Ho Ki An ),이은준 ( Eun Jun Lee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9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4 No.6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better understand the factors of the mentoring function in the foodservice industry that improv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ubordinates, and to asses the roles that trust towards supervisors pla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ntor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survey was of subordinates who were conducting the mentoring in foodservice companies (hotels, family restaurant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was conducted from May 1 to May 30, 2008.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00 employees in 50 restaurants and, 341 of them were received and a total of 320 were finally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mentoring function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ubordinates indicated that the career developing function and psychosocial fun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al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p<.01), and the career developing function, psychosocial function and role modeling fun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enduring commitment (p<.01). Second, the mediating roles of supervisory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ubordinates indicated that supervisory trus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developing function of the mentoring functions, and enduring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in addition, it met the mediating requirement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modeling function, and the emotional commitment, enduring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Consequently, the high career developing function, psychosocial function and role modeling function in mentoring raised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thus, the mentoring system should used as on of the mentoring functions in the foodservice industry and mentoring functions should be also established.

      • KCI등재후보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이용한 커피전문점 메뉴선택행동 연구

        김지응(Kim Ji Eung),강진희(Kang Jin Hee) 한국식공간학회 2017 식공간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최근 성장하고 있는 커피전문점의 메뉴상품을 소비자들이 선택하는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더 나아가 ETPB 모형을 통해 행동의도와 구매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증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ETPB 모형의 하위요인인 소비자의 태도, 주관적 규범, 사전지식, 과거경험이 행동의도와 선택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동의도 또한 선택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커피전문점에 고객을 유인하고 잠재고객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태도와 주관적 규범도 중요하지만 과거 경험 및 사전지식이 행동의도와 선택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방문고객이 재방문할 수 있도록 맛과 품질이 뛰어난 커피메뉴상품을 개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는 최근 일반 기업들이 고객에게 다양한 체험을 통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고양하는 감성 마케팅과 체험마케팅을 실시하고 있는 것과 일치하기 때문에 커피전문점들도 이러한 방향으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analyze the selection behavior that consumers choose the menu of the recently growing coffee shops by using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ETPB)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 intention and selection behavior by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attitude, subject norm, prior knowledge, and prior experience, which are ETPB sub-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behavior intention and selection behavior. Also the behavior inten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ection behavior.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coffee menu products with excellent taste and quality so that customers revisit in order to attract customers and bring potential customers to the cafe as customers’ attitude and subject norm are important but more importantly, past experiences and prior knowledge have a great impact on behavioral intention and selection behavior. This is consistent with the recent marketing strategies of general companies designed to stimulate the consumer sensibility to draw purchasing intention using emotional and experience marketing methods through a variety of media, and therefore, coffee shops may want to consider a differentiating marketing strategy in this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