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음주 여부 및 빈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김지경,균희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drinking and drinking frequency among korean youth 5,594 based on eco-system theor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National Youth Saftey(Protection) Status Survey(2010) data collected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nd analyzed through Binary Logit Model and Multinominal Logit Model.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whether drinking or not was affected by sociodemographic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arent‧family, friends, teacher‧school, community and system characteristics i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econd, drinking frequency was affected by sociodemographic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friends and system characteristics i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is results show to need to consider the ecological context for the policy of the prevention of youth drinking and the abstinence from drinking alcohol.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2010 청소년안전(보호)실태조사」를 통해 수집된 중·고등학생을 5,594명을 대상으로 Binary Logit Model과 Ordered Logit Model을 이용하여 청소년의 음주 여부와 음주 청소년의 음주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음주 여부는 모의 취업 여부, 거주지역, 본드·가스 흡입 빈도, 부의 음주 여부를 제외한 모든 개인적 특성 및 환경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음주 여부는 학교급, 부의 교육수준, 유해약물로부터의 보호행동습관, 흡연 빈도 등의 개인적 특성과 모의 음주 여부, 부모의 신체적 체벌, 친구의 음주 정도, 교사의 신체적 체벌, 집 주변 청소년 유해업소 종류의 수, 술·담배 및 유해업소에 대한 접근성 등 부모 및 가정, 또래, 교사 및 학교, 지역사회, 제도적 환경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셋째, 음주 청소년의 음주 빈도가 증가할 가능성은 학교급, 흡연 빈도, 본드‧가스 흡입 빈도 등의 개인적 특성과 친구의 음주 정도, 유해업소에 대한 접근성 등의 또래, 제도적 환경 특성에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음주 예방과 음주 청소년의 금주 지도를 위해 생태학적 맥락을 고려한 차별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첫 자녀 출산 후 노동시장 신규진입의 결정요인

        김지경 대한가정학회 2004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42 No.1

        This study has examined factors of young married women's new entry in labor market after the birth of their first child. For the dynamic analysis, the Cox Regression Hazard Model is applied.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irst, about 33% of married women who did not have a job at the pre-birth enter in labor market at the post-birth. Second, compared to those out of the labor force, women who succeeded in finding their first jobs after the birth of their first child are more likely to be younger, have baby-sitters, have working experiences in the past, and have lower level of household income. Third, age, having baby-sitter and the experience of job transition are vital factors in entering the labor market after the first child birth.

      • KCI등재

        외상 후 성장 연구의 국내 동향과 과제

        김지경,장현아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4 인지행동치료 Vol.14 No.2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 65편을 대상으로 방법론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방법론적 측면에서 연구대상은 일반인 중 외상 경험을 보고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주제별 동향은 과정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 단계별로는 성인기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 연구대상자들이 경험한 외상적 사건 경험의 유형으로는 질병 및 죽음을 경험한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도구로는 PTGI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연구 설계 측면 및 주요자료 분석방법 측면에서는 횡단연구만 이루어졌으며 질적연구에 비해 양적연구가, 그 중에서도 상관분석을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적 측면에서 외상 후 성장은 성별과 나이, 인지과정인 반추 변인이 가장 많이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the 65 academic dissertations and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in Korea during the period between 2005 and 2013, focusing on methodologies and cont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has been found that in the case of study carried out in terms of methodology, the number of studies focused on common people who reported a traumatic experience was the highest, and in the case of thematic trends, the process research accounted for the largest part. As for the developmental stages, the number of studies focused on adulthood was the highest, and in the case of trauma-causing accident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in the studies, the experiences of disease and death accounted for the largest part. And the PTGI was the most used measuring instrument, and in the aspect of research design and major data analysis methods, only the cross-sectional studies were carried out.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ere less qualitative studies than quantitative studies, among which the correlational analyses was the most used method. In terms of the contents, it was found that the studies on posttraumatic growth were mostly focused on gender, age, including rumination factors that are known as a cognitive process. Based 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신뢰와 사회적 가치지향이 사회적 딜레마상황에서 협동행동에 주는 영향

        김지경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n cooperative behavior by trust, social value orientation, fear, greed, and the belief in a just world. A questionnaire was preparedfor this goal, and answered by 185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data, following results are found; those people who trust other people cooperate. And those people who have a value orientation that is prosocial, also cooperate. Fear and greed have a negative effect on cooperative behavior. Trust and social value orientation were rooted in attachment, they were found to develop better when one experienced secure attachment. And trust is related to the relational self and the belief in just world. Those people who empathy with other people and believe that the world is just have strong trust on other people. The future study need to examine variables influencing trust and social value orientation's development. 우리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많은 문제들은 개인의 단기적 이익과 사회공동체의 집단적 이익이 상충하는데서 비롯된다. 본 연구는 개인과 집단의 이익이 상충하는 사회적 딜레마 상황에서 협동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히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타인에 대한 신뢰와 사회적 가치 지향(social value orientation), 탐욕(greed)과 두려움(fear), 정의로운 세상에 대한 믿음(just world belief)이 협동행동의 선택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보았다. 결과는 타인에 대한 신뢰가 강할수록, 또 친사회적 가치지향을 지닌 사람일수록 사회적 딜레마 상황에서 협동 행동 쪽으로의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신뢰와 사회적 가치지향의 형성에 애착(attachment)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여 애착유형별로 신뢰와 사회적가치지향의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결과는 안정애착 유형일수록 타인에 대한 신뢰가 강하며 친사회적 가치지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정한 세상에 대한 믿음, 신뢰, 사회적 가치지향의 세변인간에도 관계가 있어서 타인에 대한 신뢰가 강한 사람일수록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 정의롭다고 믿으며 친사회적 가치지향의 유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수들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이후의 연구에서는 사회적 딜레마 상황을 좀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것으로 조작하여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신뢰와 사회적 가치지향 형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대해 좀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