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남 신안군 우이도 풍식력에 대한 연구

        김종연 ( Kim Jong Yeo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6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6 No.4

        전남 신안군 도초면 우이도리에는 약 50m 높이의 등반형 사구가 존재한다. 이 대사구는 하계와 동계에 각각 남-북 방향으로 탁월풍의 풍향이 바뀌는 환경에서 전사구의 모래가 비산되어 형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지역의 주된 기반암은 백악기의 유문암 또는 유문암질 응회암으로 알려져 있다. 자갈 또는 기반암 면이 바람에 따라 운반되는 퇴적물질에 의한 마식으로 형성된 풍식력이 등반 사구가 형성된 곡지의 능선 부분에서 발견되었다. 연구지역의 등반 사구의 경우 풍식력이 곡지를 따라 능선 방향으로 가속되는 계곡을 따라서 발견된다. 능선 부분의 암석 노출부에는 유문암과 유문암질 응회암이 나타난다. 풍식 찰흔과 풍식면은 노출된 유문암의 표면에 나타나며 찰흔의 방향은 풍향과 일치한다. 유문암질 안산암의 경우 피트, 플루트, 그루브가 관찰되는데 비하여 풍식면은 일부 광택면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찾아보기 어려웠다. 한편 풍식릉과 풍식면이 유문암과 응회암에서 기원한 자갈에는 발달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피트, 플루트 그루브가 관찰된다. 풍식릉은 직선이나 톱니형의 형상을 지니고 있으며 이로 미루어 보아 이지역의 풍계가 단순함을 알 수 있다. 이 풍식 지형들은 원인이 아직 명확하지 않은 전사구에서 능선 부분으로의 모래 공급 감소로 인하여 노출된 것으로 보인다. 모래 공급이 안정적인 경우 이 풍식 지형들은 모래에 의하여 하면서 매몰될 것으로 보인다. There is a climbing dune about 50m high at Wooyidori, Docho myun, Shinan gun, Jeollanamdo. This dune is known to be formed by scattering the sand of the transfer zone in an environment where the wind direction of the fine wind changes in the south-north direction in summer and winter. The main bedrock in this area is known as rhyolite or rhyolitic tuff in the Cretaceous. Ventifacts, which is formed by the abrasion of gravel or rock mass by the transporting sand or silt particles, were found in the ridge part of the crust where the climbing dune was formed. In the case of climbing dunes in the study area, ventifacts are found along the valley, which rises along the ridge along the crust. Rhyolite and rhyolitic tuffs appear in the rock exposed part of the ridge. Wind striation and facets appear on the surface of exposed rhyolite, and the direction of the strikes coincides with the wind direction. In the case of rhyolite andesite, pits, flutes and grooves were observed on the exposed surface. Its directions coincides with main wind directions. In the case of rhyolitic tuffs, pit, flute and grooves are found but facets hard to find though weakly polished surface are recognized. Meanwhile keels and facets(polished surfaces) are developed on surface of rhyolite and tuff gravels(zweikante), along with pits, flutes, and grooves. The keels have straight or surrogated forms in planform so, it is supposed that the wind direction of this area is relatively simple. These forms appear to have been exposed due to a decrease in sand supply from beach to ridge where the cause is still unclear. If the sand supply is stable, these ventifacts will be buried under sand.

      • KCI등재후보

        Sn-Ag 범프의 조성과 표면 형상에 영향을 미치는 도금 인자들에 관한 연구

        김종연,유진,배진수,이재호,Kim, Jong-Yeon,Yoo, Jin,Bae, Jin-Soo,Lee, Jae-Ho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03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10 No.4

        Sn-Ag 전해도금시 도금욕의 Ag 이온의 농도, 전류밀도, 펄스 주기, 첨가제등의 인자들이 솔더의 조성과 표면형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Ag 이온의 농도와 시편에 가해지는 전류밀도를 변화시킴으로써 Sn-Ag 솔더내의 Ag 조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였고 또한 전류밀도를 증가시키면 솔더의 미세조직의 크기가 감소되는것을 관찰하였다. 펄스 인가 주기와 첨가제의 양등을 변화시키면 솔더내 Ag의 조성이 달라지고 솔더의 표면 거칠기가 감소하면서 표면 형상이 변화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30 $\mu\textrm{m}$의 미세피치와 15$\mu\textrm{m}$의 범프 높이를 가지는 공정 Sn-Ag 솔더 범프를 형성하였다. 도금된 솔더의 조성은 EDS와 WDS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표면형상은 SEM과 3D surface analyzer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With the variation of Ag concentration in bath, current density, duty cycle, additive and agitation for electroplating of Sn-Ag solder, the compositions and the morphologies of solder were studied. It was possible to controll Ag content in Sn-Ag solder by varying Ag concentration in bath and current density. The microstructure size of Sn-Ag solder decreased with increasing current density. Duty cycle of pulse electroplating and quantity of additive affected on Ag content of deposit and surface roughness. In this work eutectic Sn-Ag solder bumps with fine pitch of 30 $\mu\textrm{m}$ and height of 15 $\mu\textrm{m}$ was formed successfully. The Ag content of electrodeposited solder was confirmed by EDS and WDS analyses and the surface morphologies was analyzed by SEM and 3D surface analyzer.

      • KCI등재후보

        미호천 퇴적층의 매몰연대에 대한 연구: 정북동 토성과 범람원의 물질을 대상으로

        김종연 ( Jong Yeon Kim ),성정용 ( Jeong Yong Seong ) 한국지리학회 2016 한국지리학회지 Vol.5 No.2

        플라이스토세와 현세에 걸친 금강 유역의 퇴적 환경 변화는 일부 연구자에 의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전의 연구는 금강의 지류인 미호천의 단구를 분류하고 후빙기 이후의 저위 단구의 형성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미호천의 하성 퇴적층에 대한 수리적 매몰연대 추정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호천의 자연제방에 축조된 것으로 알려진 청주시의 정북동을 대상으로 하여 토성의 하부와 성벽 구성 물질, 그리고 주변 지역에서 시료를 채취하였다. 연구 지역의 미호천 인근 지역에서는 가장 하부에 모래 퇴적층이 나타나고 그 위로 하상성 자갈과 모래 및 세립질 퇴적층이 나타났으며, 그 매몰연대는 모래층의 경우 13.65±2.04ka BP, 세립질층의 경우 약 4ka BP로 나타났다. 성벽의 남동부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는 성벽의 아래 부분에서 약 9ka, 성벽의 중간 부분에서 6ka, 그리고 그 위에서 다시 약 9ka의 매몰연대가 추정되었다. 성벽의 남측 부분에 노출된 성벽의 하단 부분과 인근의 범람원 부분의 점토 중심의 층에서 수직으로 발달한 쐐기 구조가 관찰된다. 이 층의 매몰연대는 17~12ka BP로 파악되었으며 해당 시기는 최후 빙기 최성기 이후 온난화 및 습윤화가 진행되는 시기로 알려져 있다. Depositional environment changes of drainage basin of Geum River during Pleistocene and Holocene have been studied by some researchers. Previous studies classified fluvial terraces along the channel of Miho river by the relative height from the current river channel. The lower terraces of this area supposed to be formed after the last glacial maximum. However, the burial age of fluvial sediments of Miho river have not estimated using numerical method. Samples for age estimation were collected from the Jeongbuk earth wall and adjacent area. The Jeongbuk earth wall is supposed to be constructed on the natural levee of Miho river. Sand layer forms the basis of fluvial depositional layers of the study area. The fluvial gravel layer, can be found from the channel bed, overlain the basal sand layer and are covered by upper sand and finer particle layer. The burial age of upper sand layer and finer particle layer are estimated as 13.65±2.04ka BP and 4ka BP respectively. At the south-east part of the wall three burial ages are estimated from samples of the lowest part (sand; 9ka), middle part (finer particles; 6ka) and the upper part (sandy: 9ka). The soil wedges are found from clay layer at the bottom of south part of the wall and adjacent floodplain area. The burial age of these layer estimated as 17~12ka BP and it is the time global warming after the last glacial maximum. It was reported that precipitation of that period also increased.

      • KCI등재후보

        충청북도의 하천 지형 연구에 대한 고찰

        김종연 ( Jong Yeon Kim ) 한국지리학회 2016 한국지리학회지 Vol.5 No.1

        충청북도 지역에 분포하는 하천 지형에 대한 하천 지형학적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소백산지의 화강암 지역을 개석하는 산지 하천들의 하상에는 포트홀, 그루브와 같은 다양한 미지형이 출현하고 있다. 그러나 화양계곡을 제외한 다른 지역의 하상미지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남한강의 중류에 속하는 단양지역을 중심으로 하안단구가 나타나고 있다. 이 단구들 가운데 저위단구는 충적단구의 성격이 강한데 비하여, 고위단구들은 풍화된 침식단구의 성격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각 단구들의 형성시기에 대해서는 다양한 추론이 존재하나 풍화된 퇴적물의 성격에 대한 분석과 매몰연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남한강의 지류인 달천의 중상류에는 곡류절단으로 형성된 다수의 구하도가 존재한다. 하도 퇴적층의 매몰연대에 대한 연구는 소백산지의 지형 발달 연구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남부지역인 영동의 초강천에도 유기된 구하도가 있으며 다수의 단구가 존재한다. 중부지역인 미호천에도 단구에 대한 선행연구가 있으나 최근에 형성 시기가 밝혀지고 있다. Previous studies on fluvial landforms in Chungcheongbukdo (Province) are reviewed in this study. Various micro-forms, like pothole and grooves, are found from channel bed of mountain streams incising granite area of Sobaek mountain range. However only the forms at Hwayang valley area were studied. Fluvial terraces can be found from the Danyang area, mid reach of the Nanhangang (River). Lower terrace of this area are regarded as fill terrace, while upper terraces are weathered strath terrace. There are some proposed hypothesis on the age and forming processes of terraces, but further scientific analysi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weathered sediment and burial ages are needed. Number of abandoned channels are formed by meander cut along the head and mid reach of Dalchen (River), a tributary of Namhangang. Information on the burial age of the sediment can contribute to the studies on the landform change of Sobaek mountain range. Abandoned palaeo-channel and terraces can be found from the Chogangcheon (River) in Yeongdonggun, southern part of Chungcheonbukdo. There are previous studies on fluvial terraces along the Mihocheon (River), the forming age and processes of terrace are reported recently.

      • 西海沿岸 潮間帶에 하는 接息하는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의 食性

        김종연(Jong-Yeon Kim)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1997 水産科學硏究 Vol.- No.13

        To know the food chain of an intertidal community, feeding habits of Favonigobius gymnauchen were studied by analyzing stomach contents. F. gymnauchen were monthly collected in the intertidal zone of Doksan-ri, Yoongchon-myon, Poryong from July 1993 to June 1994. Ration of stomach contents to weight of F. gymnauchen was 1.22%, and fullness of stomach showed a similar value to ratio of stomach contents to weight, Fullness of stomach was increased twice a day in the morning and the afternoon. The most important food item was copped amounting to 68% of the total stomach contents. Of these, Porcelainous parvus was most abundant in spring, Curvaceous affinity in summer, Calanus sinicus in autumn, and Acaryia sp. In winter. Degree of overlapping for the food items between seasons was below 0.6.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feeding habits among the size groups. For all size groups of F. gymnauchen, the occurrence rates of copped, deacons, mollusks and corrupted larvae were high. As the fish grows, those of amphibious, polycrates larvae, isotopes, cumaceans and stomatopods increased gradually, The importance index of the major food items was in the order of Curvaceous affinis, Calanus silicons, and Porcelainous parvus.

      • KCI등재

        아야진 구릉에 분포하는 풍화대와 토양의 특성에 대한 연구

        김종연 ( Jong Yeon Kim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5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5 No.4

        화강암을 기반암으로 하는 해안의 지형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그 형성과정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강원도 고성군 아야진리의 암석 노출 해안과 배후 구릉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배후 구릉의 표면 구성 물질에 대한 화학 분석과 OSL 연대 측정을 실시하였다. 아야진 해안의 암석 해안 표면에는 풍화 기원의 선상의 와지와 원형의 와지가 출현한다. 선형의 와지들은 절리를 따라 진행된 화학적 풍화와 풍화 산물 탈거를 통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원형의 와지들은 구조선과 관련 없는 부분을 중심으로 나타나며, 깊이가 얕고 표면의 마식흔이 나타나지 않는 점 등을 고려할 때 풍화 기원의 나마가 변형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해안의 기반암 암체 위에는 핵석 기원으로 보이는 구형의 거력이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 이 지역의 암석 해안은 해수에 의한 침식으로 형성된 지형이라기보다는 화강암 풍화로 형성된 풍화 전선대가 풍화 산물의 탈거 과정에서 노출되면서 만들어진 풍화 기원 지형으로 판단된다. 해안의 배후의 새프롤라이트가 나타나는 구릉의 시료를 대상으로 화학 성분을 분석하였다. 구릉의 능선 부분은 중심으로 CIA 70 내외의 수준이었으며 토양화 되지는 않았다. 그리고 해안 쪽으로 형성된 사면 부분을 중심으로는 CIA80 이상의 풍화 정도를 보이는 토양이 나타나고 있다. 토양화 된 상당 부분의 풍화 산물이 제거되고 새프롤라이트층이 구릉의 능선 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부에서는 풍화층을 피복하는 20cm 내외의 적갈색 층이 나타났다. 원력을 포함하는 이질적인 물질이 나타나는 층에 대한 분석에서 구릉의 능선 부분의 퇴적층에서는 0.38±0.06 ka의 OSL 매몰 연대를, 해안 쪽의 사면 피복 퇴적층에서는 0.29±0.04 ka의 매몰 연대 값을 얻었다. 이들의 기원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Rock coast and coastal hill at the Ayajin, Goseong, Gangwon province are investiga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characteristics and forming processes of landscape of granite coastal area. In addition, chemical analysis and OSL age estimation are performed to surface material of the coastal hill. The linear depressions and circular depression which are formed by rock weathering are found from the rock surface of the coast. The linear depression are formed by the weathering along the joint and removal processes of weathered material. The circular depressions are regarded as modified gnamma which is formed by weathering, as those are found from the area where the joints sets not cross and abraded features are not observed. The large rounded rocks which are the modified corestones are found from the surface of the rock platform. It can be concluded that rock coast of this area are weathering-origin landforms which are rocks are exposed weathering front by the processes removal of weathered material rather erosional forms which are eroded by sea water. The samples from the hill of saprolite near of the coast are analysed for chemical composition. The CIA values of samples from the ridge are about 70 which are chemically weathered but far from soil. The soil samples of seaward slope showed over 80 CIA values. It can be proposed that soil which are severely weathered part are removed and sprolite are exposed. Reddish brown soil layer of 20cm in thickness which covers in-situ weathered are found. The layer from the ridge which including rounded pebbles showed 0.38±0.06 ka burial age while slope layers of seaward slope showed 0.29±0.04 ka burial age. The origin of these sediments should be investigated in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근무시간이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김종연(Kim, Jong Yeon),이건희(Lee, Keon Hee) 한국산업경영학회 2015 경영연구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성과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 중 개인성과급과 집단성과급에 따른 근로시간과 직무만족도, 조직몰입도의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독립변수는 근로시간, 종속변수는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 조절변수는 성과급제의 형태인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조사대상은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실시하는 제15차 한국노동패널데이터를 활용하였다. GLM을 이용한 분석 결과 근로시간이 적을수록 직무 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과급제의 형태는 근로시간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과급제의 형태는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working hou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ocuse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type of pay-for-payment syst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 satisfaction and working hou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ing hours. The authors have used data from the 15th Korea Labor Income Panel Study to achieve the goal of it. The result has showed that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is different by working hours, but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was not different by pay-for-payment system. Also, we have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ype of pay-for-payment syst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hours and job satisfac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different by working hours, but there is no difference on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tment by the type of pay-for-performance system. We have also found that the type of pay-for-payment system does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hou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end of the study, the limit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is discussed.

      • KCI등재

        Zn - 22wt%Al 합금의 진동감쇠특성에 미치는 냉간가공과 온도의 영향

        김종연(Jong Yeon Kim),박희석(Hee Seok Park),나형용(Hyun Yong Ra) 대한금속재료학회(구 대한금속학회) 1996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34 No.9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specific damping capacity(SDC) of rolled Zn-22Al alloy(Superplastic Zinc, SPZ). SDC is foun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reduction ratio, because of the microstructure change from network to particle type. SDC is very sensitive to the change of frequency, so that the variation of frequency with reduction ratio was investigated. Frequency is almost constant with reduction ratio. But the frequency is decreased when the specimen is heat treated. SDC of both as-rolled and heat treated sheets are increased largely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at is, SDC is about 11~14% at room temperature, but 50% at 130℃. This reason is considered as follows. Relaxation time τ subjects to thermal activation process and SDC becomes a maximum(has a peak) when ωτ is equals to 1 in SDC =△0ωτ/ (l +ω2τ2).

      • 서해연안 조간대에 서식하는 점망둑(Chasmichthys dolichognathus)의 식성

        김종연(Jong-Yeon KIM)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2004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 Vol.4 No.-

        To know the food chain of an intertidal community, feeding habits of Chasmichthys dolichognathus were studied by analyzing stomach contents. C dolichognatluIs were monthly collected and the feeding habits were investigated in the intertidal zone of Dodun-ri, Sochon from May 1997 to April 1998. Fullness of stomach was increased twice a day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except winter. C dolichognathus(1.0-6.0cm TL) was a carnivore which consumed mainly gammarid amphipods, polychaetes, copepods and crabs. Its diets included minor quantities of gastropods, shrimps, bivalves, cirriped larvae and stomatopods. C dolichognatluIs showed ontogenetic changes in feeding habits. Small individuals fed mainly on gammarid amphipods, polychaetes and copepods. While the portion of the stomach contents attributable to polychaetes and crabs increased steadily with increasing fish size, consumption of copepods decreased progressivly. Although gammarid amphipods, polychaetes, copepods and crabs were major prey organisms for all seasons, the relative proportion of these food items changed with seasons. Consumption of copepods was relatively high in spring and fall and consumption of gammarid amphipods, polvchaetes and crabs was relatively high in summ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