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잎새버섯 신품종 ‘백연’ 균사배양 및 자실체 생육 특성

        김정한,김연진,신복음,최준영,하태문,최종인 한국버섯학회 2022 한국버섯학회지 Vol.20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duce the phenomenon of the biased cultivation of certain mushroom varieties and to develop a competitive variety of Grifola frondosa. We developed the first Korean white commercial mushroom strain, ‘Bakyeon’, by crossing monokaryons derived from brown strains. We have collected and tested the characteristics of mushrooms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genetic resources since 2018. We bred the unique domestic variety, ‘Bakyeon’, which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 optimal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was 25~28o C and the optimal temperature for fruit body growth was 16~18o C. The new variety was similar to the control variety (Daebak) in terms of the pileus, which formed a pine cone shape, and the number of days of cultivation. The yield was 94.1 g/bottle, which was 23% lower than the 108.5 g/bottle yield of the control variety. When incubating the parent and control varieties, the replacement line was clear. Moreover,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of mycelial DNA resulted in different band patterns between the parent and control varieties, confirming the hybrid species.

      • KCI등재

        상자, 병을 이용한 표고 재배특성 및 자실체 생산성

        김정한,강영주,백일선,신복음,하태문,정구현 한국버섯학회 2020 한국버섯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에서 생력화가 가능하면서 친환경적인 재배법을 개발하고자 병, 상자를 이용하여 표고의 재배적 특성 및 자실체 생산성을 분석하였다. 재배용기별 배양기간은 병에서 배양된 처리구가 30일, 상자에서의 배양이 35일로 나타났고, 갈변기간은 병 재배가 25일, 상자 재배가 40일 이었으며, 병 배양 후 상자재배가 50일로 가장 길었다. 전체 재배기간은 병이 75일, 상자가 90일, 병 배양 후 상자 재배방식이 105일로 가장 길었다. 재배방식별 버섯 발이 수는 상자 17.8개, 병 배양후 상자재배 14.7개, 병 1개 순으로, 자실체 생산성에도 영향을 끼쳐 상자재배는 945 g, 병 배양 후 상자재배 638 g, 병재배가 70 g으로 나타났다. 건조 배지량별 신선버섯 수량(BE, %)은 상자재배가 32.7%, 병 재배가 24.3%, 병 배양 후 상자재배가 22.1% 순으로 상자재배의 자실체 수량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상자재배는 갈변기간의 단축과 버섯 수량성에서 병 재배, 병 배양후 상자재배 방식보다 유리한 장점이 있어 친환경 생력화 재배법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method for cultivation of Lentinula edodes that would reduce both labor and waste. 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and mushroom yields were estimated to identify the most suitable method to culture L. edodes, using bottles and boxes. Among these, box cultivation with 7 kg of substrate had 40 days of browning period and the maximum yield of 945 g fruiting body; its biological efficiency was 32.7%. In contrast, box cultivation after pre-culture, and the bottle cultivation were found to be un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L. edodes, due to long periods of browning, and low yields with poor quality, respectively. Further studies on box cultivation of L. edodes are necessary for commercial application of this method.

      • KCI등재

        배지영양원및톱밥종균저장기간에따른표고‘화담’의자실체 생산성

        김정한,백일선,최종인,강영주,하태문,정구현 한국버섯학회 2022 한국버섯학회지 Vol.20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n appropriate period of use of sawdust spawn at low temperatures and a nutrient supplement medium for cultivation of Lentinula edodes ‘Hwadam’. Of the nutrient supplements, the total yield of rice bran (5%) + corn flour (5%) treatments were 673.3 g, which was higher than rice bran (551.6 g) and wheat bran (546.7 g) treatments, respectively. As shown by the growth of Lentinula edodes ‘hwadam' during to the sawdust spawn storage period (at 4o C), the period of spawn running, browning, fruiting body formation, and development was 27 d, 81 d, 5 d, and 11-13 d, respectively, regardless of the length of the storage period at 4 o C. After 3 months of storage of sawdust spawn, the number of fruiting bodies and yield de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Therefore, the period of use of sawdust spawn (at 4 o C) for the stable production of fruiting bodies of Lentinula edodes ‘Hwadam’ was a maximum of 3 months.

      • KCI등재

        임의제출물의 압수에 관한 실무적 고찰

        김정한 대검찰청 2020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68

        Articles 108 and 218 of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both stipulate the seizure without warrants for lost articles and articles voluntarily submitted by the occupants during the trial and investigation stages, and their contents are almost the same. However, as in the case of lost objects, allowing the exception of warrantism too easily for arbitrary submitted objects is a big legislative issue and is considered a relic of the past when human rights awareness was weak. However, interpretive theory and precedents of this become a bigger problem as the occupants do not have the right to submit or that the object of submission is not limited to evidence or confiscated objects. The above regulations should be revised human rights, and interpretive theory and precedent should also be transformed into human rights. My arguments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① Articles 108 and 218 stipulate that the subject that can be submitted voluntarily is “owner, holder, or custodian”, but the concept of custodian and owner does not need to be separately stipulated, so it is sufficient to unify it as “holder”. ② Submissions referred to in Articles 108 and 218 are based on the natural premise of submission by the holder with the authority to submit in principle, and in the case of submitting evidence of illegal collection of individuals or submission of stolen property exceptionally, it is not Articles 108 or 218, but'just act'. It can only be justified with logic. It is also required to be a legitimate holder as a natural premise of the logic of the “holder with the right to submit”. ③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voluntary submission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of an investigative agency, the voluntary nature can be recognized only when the submitter recognizes the existence of the right to refuse. ④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investigation agency is obligated to notify the right of refusal. However, if the right to reject is not notified, it will be difficult for the prosecutor to prove the applicant's volition. ⑤ In addition to the provisions for applying compulsory disposition by the court (Article 209) to report the seizure of arbitrarily submitted goods as a forced investigation, the provisions for the return and restitution of the seized object (Article 218-2), the provisions for quasi-appeal (Article 417), and the seizure It is believed that the provisions of the preparation of the record and the issuance of the seizure list (Articles 49 and 129) apply. ⑥ It is interpreted that objects that are confiscated as objects submitted voluntarily in accordance with the minimum necessary principle emphasized in forced disposition are also limited to evidence or items to be confiscated. ⑦ Seizure without a warrant by implied consent cannot be allowed, but seizure without a warrant by express consent may be allowed under strict requirements, and the prosecutor must clearly demonstrate that the holder has consented to the seizure arbitrarily, knowing that the holder has the right to refuse. . ⑧ In order to protect the right holder, a separate objection system for voluntary submission is require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appeal, quasi-appeal, refund and provisional refund application system. 우리 형사소송법 제108조와 제218조는 각 재판단계와 수사단계에서의 유류물과 임의제출물에 대하여 영장 없는 압수를 함께 규정하고 있고 그 내용도 거의 비슷하다. 그런데 유류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임의제출물에 대하여도 너무 쉽게 압수영장의 예외를 허용한 것은 입법론적으로 큰 문제이고, 인권 의식이 약하던 과거의 유물이라고 생각된다. 그런데 이에 대한 해석론과 판례는 제출권한을 요하지 않는다거나 증거물이나 몰수 대상물에 한정하지 않는다는 등 더더욱 인권적이지 못한 방향으로 가고 있어 더 큰 문제이다. 위 규정을 인권적으로 개정하여야 하고, 해석론과 판례 역시 인권적으로 변모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① 제108조와 제218조는 임의제출의 주체를 ‘소유자・소지자 또는 보관자’라고 규정하고 있지만 보관자, 소유자 개념은 굳이 별도로 규정할 필요 없으므로 ‘소지자’로 통일하면 족하다. ② 제108조와 제218조 소정의 임의제출은 원칙적으로 제출권한 있는 소지자의 제출을 당연한 전제로 하고 있으며, 사인의 위법수집 증거 임의제출 또는 절도범인의 장물 임의제출의 경우는 제108조 또는 제218조가 아닌 정당행위 논리로 예외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을 뿐이다. ‘제출권한 있는 소지자’ 논리의 당연한 전제로 적법한 소지자일 것도 함께 요구된다. ③ 특히 수사기관의 권고에 의한 임의제출의 경우 제출자가 거절권의 존재를 인식하면서 제출하여야 임의성이 인정될 수 있다. ④ 수사기관에게 거절권 고지 의무가 있다고 해석하기는 어렵다. 다만 거절권을 고지하지 않은 경우 검사가 제출자의 임의성을 입증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⑤ 임수제출물 압수를 강제수사로 보고 법원 강제처분 준용 규정(제209조) 뿐만 아니라 압수물의 환부・가환부 규정(제218조의2), 준항고 규정(제417조), 압수조서의 작성 규정과 압수목록의 교부 규정(제49조, 제129조) 등이 모두 적용 또는 유추적용 된다고 해석된다. ⑥ 특히 강제처분에서 강조되는 필요최소한의 원칙에 따라 임의제출물 압수의 대상도 증거물 또는 몰수할 물건으로 한정된다고 해석된다. ⑦ 묵시적 동의에 의한 무영장 압수는 허용될 수 없지만, 명시적 동의에 의한 무영장 압수는 엄격한 요건 하에 허용될 수 있고 검사는 소지자가 거절권 있음을 알면서도 임의로 압수에 동의하였음을 명백히 입증하여야 한다. ⑧ 권리자 보호를 위하여 기존의 항고・준항고, 환부・가환부 신청 제도 외에 임의제출에 대한 별도의 이의신청 제도가 필요하다.

      • KCI등재

        제1회 공판기일 전 증인신문제도에 대한 실무적 고찰 - 특히 증거보전제도와 비교하여 -

        김정한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법학논고 Vol.0 No.47

        Article 221-2 in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Code has prescribed examinationof the witness before first trial court. Examination of the witness was imposed in1973. In 1996.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delivered a decision that examinationof the witness for concern of change of the witness and restriction of the presenceright of suspect. In 2007. according to the decision, Criminal Procedure Code wasreformed partly, and remains the case in today. Although the constitutional decisionand reforming, there still remains some problems, for example, the concern ofstatement change could not be a cause of the examination of witness or preservationof evidence. In this article, I explained the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examination ofthe witness and reservation of evidence, and the concern of statement change an ethe cause of preservation of evidence, although it can not be the cause ofexamination of the witness, and the restriction of the presence right of suspect isreasonable. Furthermore, this article handled some issues such as coercive summonof witness. I think, we should cast away a prejudice that the witness examination reinforcethe power of the public prosecutor only and the power is used as a tool toinfringement of the suspect’s human rights. Also, we must know that through thecollection of accurate investigative informations from the serious crime's witness, we certainly punish criminals. and these practices make a safer and more righteoussociety. At the same time we have to find a way to minimize the side effects ofexamination of the witness as the positive viewers warn against. 우리 형사소 송법 제221조의2는 제1회 공판기 일 전 증인신문 제도를 규정하 고 있다. 이 는1973년에 처 음으로 형사소 송법에 도입되 었으나 1996년 헌법 재판소는 진술 번복 우려를 사 유로 하는 증인신문 청구 와 참여권 제한 규정에 대하여 위헌 결정하였 고 2007년 그와 같은취지로 위 규 정이 개정 되어 오늘 에 이르고 있다. 위 위헌 결정과 법 개정 에도 불구 하고 진술번복 우려 는 증인신문 청구의 사유 가 될 수 없는 가, 혹 증거보전의 사유 는 될 수 없는 가,증인신 문 절차에 피의자 등의 참 여권이 절 대적으로 보장되어야 하는가 등의 문제 는 여전히남아있 다. 이 글을 통해 필자는 본질이 수사절차인 증인신문제도는 본질이 재판절차인 증거보전제도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제도이고, 이러한 본질론에 비추어 볼 때 진술번복 우려는 증인신문청구의 사유는 될 수 없지만 증거보전 청구의 사유는 될 수 있으며, 증인신문절차에 피의자의 참여권이 반드시 절대적으로 보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검토한 다음, 더 나아가 증인신문 청구는 현행 형사소송법 규정과 같이 제1회 공판기일 전까지 허용할 것이 아니라 기소 전까지만 허용하는 것이 적절하고, 증인신문제도 대신 최근 자주 논의되는 참고인구인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아직까지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에 대하여도 함께 다루었다. 증인신문제 도가 검사 의 수사권 만 강화하 여 피의자 등의 인권을 침 해하는 도 구로 악용 된다는 편향된 시 각에서 벗어나, 중 대범죄의 중요참고 인으로부터 정확 한 수사정보와 증거 자료를 확보하여 실체적 진실을 밝히 고 범죄 인을 처벌함으로써 우리 사회를 좀더 안전하 고 정의롭게 만들 수 있다는 점를 인식함과 동시에, 앞에서 말 한 여러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 색하는 긍정적인 시 각으로 접근할 필요 가 있다는 것이 필자의 소 견이다.

      • KCI등재

        불가벌적 사후행위의 본질과 처벌에 관한 실무적 고찰

        김정한 대한변호사협회 2012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29

        Until now, the precedents and common views of our country were reported to Absorption relationship of the Competition of the provision that essence of Unpunishable act after crime theory. and It has recognized that one crime has only one illegal throughout the before and after crime and concentrated on the problem that which activity goes for theory of Unpunishable act after crime or not. But asking the guilt of complicity to the criminal those who engaged in only post-crime is not fair. because, their crime were nested but they have individual illegal obviously. so there are many problems about the point of view that essence of Unpunishable act after crime. there are many opinion that considered as illegality about essence of Unpunishable act after crime theory. but The punishment should punished as a main act, not comprehensive. these theories are compete each other but the best way is combination. then the criminal penalties can be handled more flexibly. also its sub problem will be able to control by using the theory of abusing the right of arraignment. Furthermore, those who be punished by only advanced crime,they will in trouble about penalty. So, most important thing is distinguish illegal, what is main or servant. not illegal and penalty’s gravity. If penalties are unreasonable, it can be supplemented by consideration of specific penalty in court. separate the crime “before and after” is very important,criminals are too. and the decision of Jail time will be must considering very carefully, focused by crime of before. and Accomplice, who involved only followed crime must not accepted whose jail time better than previously committed criminals.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통설과 판례는 불가벌적 사후행위의 본질을 법조경합 중 흡수관계로 보고 선행범죄와 후행범죄를 통틀어 하나의 범죄, 하나의 불법만 존재한다고 의제하면서 어떤 행위가 불가벌적 사후행위에 해당하고 어떤 행위는 해당하지 않는가의 문제에만 집중하여 왔다. 그러나 후행범죄에만 가담하는 자에게 공범의 죄책을 묻는 점에 비추어 상태범에서의 위법상태와 달리 후행범죄는선행범죄와 상당부분 중첩되기는 하나 분명히 독립된 불법을 가지고 있는 별개의 범죄임이 명백하므로불가벌적 사후행위의 본질을 단순일죄설에 입각한 법조경합으로 보는 것은 문제가 있다. 불가벌적 사후행위의 본질을 수개의 불법으로 보는 견해로는 포괄일죄설, 인적처벌조각사유설, 범죄복합형태설 등이 있으나 주된 범죄인 선행범죄로 처벌되는 것이지 선행범죄와 후행범죄가 포괄하여 하나의 범죄로처벌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포괄일죄설은 부당하고, 선행범죄를 저지른 자라는 지위를 신분이라하기 어렵고 또 명시적인 법규의 근거도 없다는 점에서 인적처벌조각사유설도 곤란하며, 선행범죄의형으로 처벌하는 것일 뿐 더 중한 죄의 형으로 처벌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과형상 일죄와 유사하게 보는 범죄복합형태설도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위 학설 중 어느 하나만을 따르기 보다는 여러 사유들이 복합적으로 작용되는 처벌제한사유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불가벌적 사후행위의 본질을수죄로 보는 경우 후행범죄의 독자적 처벌가능성은 열리게 되므로 선행범죄가 처벌되지 않거나 처벌되기 전에도 후행범죄를 처벌할 수 있다고 본다. 다만 후행범죄로 처벌한 경우 선행범죄 역시 이중위험금지의 법리에 따라 처벌할 수 없게 되며, 선행범죄로 처벌할 수 있음에도 의도적으로 공소시효 완성등을 기다려 후행범죄만을 기소하는 문제는 공소권 남용론으로 통제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더 나아가 선행범죄로만 처벌하는 경우 후행범죄의 법정형을 선행범죄의 처단형 산정에 반영할 것인가 하는것도 문제되는데 법조경합설에 따른다면 ‘배척되는 법조는 애초에 성립하지 아니한 범죄이므로 처음부터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논리가 성립하게 되지만 불가벌적 사후행위를 수죄로 보는 필자의 입장에서는 위 논리가 그대로 적용되기 어렵다. 다만 선행범죄보다 후행범죄의 법정형이 더 높은 경우에도 불가벌적 사후행위의 성부는 불법의 주/종으로 판단하는 것이지 단순한 불법의 경/중, 더 나아가 법정형의 경/중으로 판단할 일은 아니기 때문에 선행범죄의 법정형만으로 처벌하되 불합리한 법정형의 문제는 구체적인 양형에서 고려하는 것으로 보완할 수 있을 뿐이라고 본다. 또한 법정형 상한은 선행범죄가 중하나 하한은 후행범죄가 중한 경우에도 선행범죄가 주된 법익침해이고 후행범죄의 불법은 선행범죄에 의하여 처벌되는 불법평가에 포함되는 것이기 때문에 선행범죄의 법정형만 고려하면 족하고 후행범죄의 하한은 처단형 산정에서 따로 고려할 필요가 없다고 보여진다. 다만 후행범죄의 법정형이 선행범죄의 처벌에 직접 적용되지는 못한다고 하더라도 그 형량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후행범죄의 하한 이하의 형 선고는 자제되어야 할 것이며, 더 나아가 후행범죄에만 가담한공범에게도 선행범죄의 법정형 상한을 초과하는 형벌 부과 ...

      • KCI등재

        자가면역간염의 진단

        김정한 대한소화기학회 202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81 No.2

        Autoimmune hepatitis (AIH) is an immune-mediated inflammatory liver disease with an uncertain cause. The diagnosis of AIH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elevated liver enzyme and hypergammaglobulinemia), the presence of characteristic autoantibodies, and compatible histological abnormalities. AIH lacks a signature diagnostic marker, and the diagnosis requires the exclusion of other diseases (viral hepatitis, alcoholic liver disease,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drug-induced liver injury, Wilson’s disease, and hereditary hemochromatosis). Therefore, collaboration between the clinical physician, laboratory medicine experts, and pathologists is important for a diagnosis. In December 2022,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KAS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were established. This review article summarizes the diagnosis part of these guidel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