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느타리버섯 병재배 면실박 대체배지 선발

        김정한,하태문,주영철,Kim, Jeong-Han,Ha, Tae-Moon,Ju, Young-Cheol 한국버섯학회 2005 한국버섯학회지 Vol.3 No.3

        톱밥:비트펄프:면실박(50:30:20) 배지의 면실박 대체배지로서 아주까리박, 유채박을 사용한 경우 C/N율은 대조와 유사하였고, 야자박, 코코넛박을 이용한 배지에서는 대조보다 높은 C/N율을 나타났다. 아주까리박, 유채박 사용시 배양일수는 2~5일, 초발이소요일수는 2일 지연 되었고 수량 또한 대조보다 20g이상 낮게 나타났으며 야자박, 코코넛박 사용시 배양일수는 3일 지연되었으나 수량은 관행재배 128g/병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경제성 분석결과, 미송톱밥:비트펄프:면실박(50:30:20)의 관행재배에서 면실박 대체배지로 야자박, 코코넛박을 이용시 1000병규모로 연간 8.2회 재배 경우 소득이 각각 2,864천원, 2,733천원으로 관행재배의 2,849천원 대비 101%, 96%의 소득지수를 보였다. Main materials used as media for oyster mushroom cultivation are pine sawdust, beet pulp, cotton seed pomace. Increases in the price and the unbalance of demand and supply of cotton seed pomace was often damage to oyster mushroom cultivation farm, so we investigated agricultural by-product to replace the cotton seed pomace for bottle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 Treatment of coconut oil meal or coconut pomace delayed incubation period about 3 days compared with cotton seed waste treatment(control), but yield and income index showed similar to each other in three treatment. Consequently coconut oil meal and coconut pomace could select for cotton seed pomace substitute.

      • KCI등재

        표고 톱밥재배용 신품종 '다담' 육성

        김정한,신복음,백일선,최종인,하태문,정구현,Kim, Jeong-han,Shin, Bok-Eum,Baek, Il-Sun,Choi, Jong-In,Ha, Tai-Moon,Jung, Gu-Hyun 한국버섯학회 2021 한국버섯학회지 Vol.19 No.2

        표고 톱밥재배용 다수성 품종 육성을 위해 수집균주 중 우량계통의 단포자 교배로 육성한 '다담'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다담'의 균사생장 적온은 19~22℃, 발이 및 생육온도는 13~20℃, 발생형은 산발형으로 대조품종 '화담'과 유사하였고, 형태는 평편형으로 평반구형인 '화담'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자실체 갓색은 '화담' 보다 진하고, 갓두께는 얇고, 대길이는 긴 특성을 가졌다. '다담'의 총 재배기간은 135~139일로 '화담'의 138~142과 크게 차이 나지 않았다. '다담'의 3주기까지 수량은 621 g으로 '화담' 371 g 보다 67% 많았다. 주기별 수량 양상을 보면, '다담'과 '화담' 모두 3주기 수량의 80~83%를 2주기 동안 수확할 수 있었다. 특히, '다담'은 1주기 수량비중이 60%로 '화담' 52%보다 1주기에 수량이 집중되는 특성을 보였다. 농가실증시험 결과, '다담'은 농가재배 품종인 'L808' 보다 다소 갓크기는 작고 대길이가 길었고 재배기간과 수량은 큰 차이 없었다. '다담'의 발생한 자실체 개체는 1개 배지에 평균 15개로 'L808'의 47개에 비해 약 3배정도 적어 솎기에 투입되는 노동력을 절감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A new cultivar of oak mushroom 'Dadam' was bred from monokaryotic strains of 'GMLE36062-4' and 'GMLE36288-34'.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of the new cultivar 'Dadam' on potato dextrose agar was 19-22℃. Total cultivation period of the new cultivar, from innoculation to its first harvest, was 135-139 day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cultivar 'Hwadam'. The pileus color and stipe thickness of the new cultivar were darker and thinner than those of 'Hwadam'. Total yield of 'Dadam' was 621 g per 3 kg substrate, and is higher than that of 'Hwadam' (371 g). In farmhouse field test, it showed that the period of mycelial growth, browning, and fruiting body formation were the same as those of the control cultivar L808. The number of available fruiting bodies of 'Dadam' was 15, and i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47),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save workforce in thinning. The total yield for 2 flush was 480 g for 'Dadam', similar to the 473 g of the control cultivar.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상자에 필터처리에 따른 표고 신품종 ‘화담’의 재배특성 및 자실체 생산성

        김정한 ( Jeong-han Kim ),강영주 ( Young-ju Kang ),백일선 ( Il-sun Baek ),신복음 ( Bok-eum Shin ),하태문 ( Tai-moon Ha ),정구현 ( Gu-hyun Jung ) 한국균학회 2020 韓國菌學會誌 Vol.48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new method of cultivation of ‘Hwadam’ a new variety of Lentinula edodes, to improve fruiting body productivity and reduce labor. To determine the optimum filter number for box cultivation, L. edodes were assessed for their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ushroom yield. During spawn running of L. edodes in the box, the temperature gradually increased to the highest value of 25.8℃, 23.7℃, and 23.0℃ on day 18 for the four filter, two filter, and no treatment groups, respectively. Oxygen concentration displayed an opposite trend to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reaching the lowest value on day 21. The oxygen concentration progressively increased as more filters were used (5.4%, 8.2%, and 8.9% treatment with no, two, and four filters, respectively. Growth of L, edodes in the box resulted in the highest yield (2,228 g/7kg substrate) and biological efficiency (70.7%) using four filters. The biological efficiency of the four filter treatment was 29.4% higher compared to bag cultivation (41.3%).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verify stable productivity of fruiting bodies through repeated cultivation.

      • KCI등재

        톱밥배지 침공처리에 따른 표고 ‘화담’ 의 균사배양 및 자실체 생산성

        김정한 ( Jeong-han Kim ),최준영 ( Jun-yeong Choi ),김연진 ( Yeon-jin Kim ),문지영 ( Ji-young Mun ),하태문 ( Tai-moon Ha ),정구현 ( Gu-hyun Jung ) 한국균학회 2021 韓國菌學會誌 Vol.49 No.3

        The effect of punching treatment on bags containing sawdust medium for the stable production of fruiting bodies of Lentinula edodes 'Hwadam' was investigated. After spawn inoculation, the sawdust medium temperature and CO<sub>2</sub> concentration reached 27.0-28.8℃ on the 23<sup>rd</sup> day of incubation, and 14.0-15.6% on the 16<sup>th</sup> day of incubation, respectively, decreasing thereafter. The O<sub>2</sub> concentration showed an opposite pattern to the CO<sub>2</sub> concentration. As the number of punching treatments on the medium increased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the lightness value decreased, and conversely, the color difference and weight loss rate increas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ultivation period according to the punching treatment. As the punching treatment increased on the sawdust medium, the fruiting body yield increased; a three-time punching treatment produced the best yield with 605.7 g. Thus, proper punching treatment on a sawdust medium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can increase the number of fruiting bodies and yield.

      • KCI등재

        자발성세균성복막염의 임상적 소견; 10년간 단일센터의 경험

        나하영 ( Ha Young Na ),김정한 ( Jeong Han Kim ),최원혁 ( Won Hyeok Choe ),권소영 ( So Young Kwon ),유병철 ( Byung-chul Yoo ) 대한소화기학회 201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9 No.2

        목적: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이하 SBP)은 복수가 있는 간경변증 환자에서 중요한 합병증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단일 센터에서 진단된 SBP 환자의 임상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8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진단된 SBP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 전산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혈청과 복수 검체 검사를 시행하고 복수에서 동정된 균주를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51명의 환자가 연구에 최종 포함되었고 남자가 많았고(64.7%) 평균 나이는 59.2세였다. 간경변증의 가장 흔한원인은 음주(41.2%)였으며 다음이 B형 간염(39.2%)이었다. 31명(60.78%) 환자의 복수에서 균이 배양되었고 나머지 20명(39.22%)에서는 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배양된 균주는 그람 음성균이 80.64% 그리고 그람 양성균이 19.36%였다. 균주의 종류는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그리고 Streptococcus species가 각각 29.41%, 19.61% 그리고 11.76%를 차지하였다. Escherichia coli 중에서 4예(7.84%)가 ESBL 양성 균주였다. 가장 흔하게 사용된 일차 항생제는 cefotaxime (80.40%)이었다. 예방적 항생제 치료는 8명(15.69%)의 환자에서 시행되었고 SBP가 재발한 환자는 7명(13.72%)이었다. SBP 재발군과 비재발군을 비교하였을 때 양 군 간에 혈액검사나 복수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SBP는 복수가 있는 간경변증 환자에서 여전히 중요한 합병증이며 1990년대와 비교하여 큰 변화는 없었다. SBP를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간경변증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는데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SBP 일차치료 실패의 원인으로서 ESBL 양성 균주의 역할에 대한 규명과 이에 대한 적절한 대비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SBP) is one of critical complications in liver cirrhosis patients with ascites. We aimed to review clinical course of SBP patients in a 10-year period from single center. Methods: This study enrolled SBP patients between 2005 and 2015. Their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The laboratory findings of serum and ascites were examined, and characteristics of isolated microorganisms in ascites were analyzed. Results: Total 51 patients were enrolled. Male patients were predominant (64.7%), and mean age was 59.20 years. The most common etiology of cirrhosis was alcohol (41.2%), followed by hepatitis B (39.2%). Microorganism was isolated from the ascites in 31 patients (60.78%). The proportions of Gram negative and Gram positive were 80.64% and 19.36%. The proportions of Escherichia coli, Klebsiella, and Streptococcus species were 29.41%, 19.61% and 11.76%. Among Escherichia colis, 4 cases were ESBL positive (7.84%). The most commonly used first-line antibiotic was cefotaxime (80.40%). Prophylactic antibiotics treatment was performed only in 8 patients, and SBP was recurred in 7 patients (13.72%). When comparing the SBP recurrence group and the non-recurrence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aboratory findings of serum and ascitic fluid. Conclusions: SBP is still a critical complication in cirrhosis patients with ascites, and the clinical features of SBP have not been altered much compared with those in 1990`s. The effective treatment of SBP is still very important for a better prognosis of cirrhosis patients. (Korean J Gastroenterol 2017;69:129-134)

      • KCI등재

        느타리 톱밥종균 배지조성에 따른 생산성 비교

        최종인,최준영,김정한,구옥,김연진,하태문,정구현,Choi, Jong-In,Choi, Jun-Yeong,Kim, Jeong-Han,Gu, Ok,Kim, Yeon-Jin,Ha, Tai-Moon,Jung, Gu-Hyun 한국버섯학회 2021 한국버섯학회지 Vol.19 No.1

        느타리 종균배지재료인 미송톱밥과 미강을 대체할 수 있는 재료를 선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톱밥의 pH는 4.9~6.1, 총질소함량은 0.21~0.26%, 총탄소함량은 49.0~50.2%를 나타내며 조지방은 0.3~0.7%를 함유하고 있다. 종균 혼합배지의 pH는 5.3~5.9, 총질소함량은 0.65~1.11%, 총탄소함량은 47.0~49.1%를 나타내었다. C/N율은 총질소 함량이 낮은 미루나무톱밥 혼합배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단백질 함량은 미송톱밥이 함유되어 있는 배지에서 높게 나타났다. 느타리 균사생장은 미강보다 밀기울이 포함되어 있는 배지에서 균사생장 속도가 빨랐다. 수량은 '곤지7호', '춘추2호', '흑타리', '수한1호' 순으로 높았으며, T4(미루나무톱밥:참나무톱밥:미강) 배지에서 가장 높은 생산성을 나타내었으나 처리 간 유의성이 없었다. 느타리 농가에서는 자가종균 제조 시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미루나무톱밥, 참나무톱밥을 단용 및 혼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보관중에 품질유지가 어려운 미강 대신에 밀기울을 사용하여 종균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a medium material that can replace Douglas fir sawdust and rice bran in spawn media for growing spawn directly in the oyster mushroom farm. The pH range, total nitrogen source, and total carbon source of the mixed spawn medium were 5.3~5.9, 0.65~1.11%, and 47.0~49.1%, respectively. The C/N ratio was high in the mixed medium of poplar sawdust, with a low total nitrogen content. The protein content was high in the medium containing fermented Douglas fir sawdust. The mycelium growth rate was higher in the medium containing wheat bran than that in the medium containing rice bran. The highest yield per bottle was observed with poplar sawdust, oak sawdust, and rice bran mixed at a ratio of 40:40:20 (v/v/v);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in terms of productivity with the other treatments. Thus, when growing sawdust spawns in farms, it is efficient to use poplar sawdust, oak sawdust, and wheat bran, which are also easily available, instead of Douglas fir sawdust and rice bran.

      • KCI등재

        잎새버섯차의 전처리방법에 따른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

        신복음,이자영,김정한,최종인,하태문,정구현,Shin, Bok-Eum,Lee, Ja-Young,Kim, Jeong-Han,Choi, Jong-In,Ha, Tai-Moon,Jeong, Gu-Hyun 한국버섯학회 2020 한국버섯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에서는 전처리방법별로 잎새버섯차를 제조하여 차의 pH, 색도 등의 품질과 아미노산 및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건조, 증숙, 보온처리 버섯차를 제조하여 추출액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건조와 증숙처리 차의 당도, 고형분, 질소함량 차이는 없었고 보온처리 차의 값이 다른 처리에 비해 높았다. 버섯차의 색도는 보온처리에서 가장 진하고 어두웠으며 보온처리 차가 462.9 mg/L로 총 아미노산 함량이 1.8배 이상 높아 보온처리에 의한 차의 추출성분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온처리 버섯차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4.6 m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2 mg/g으로 증가하였고 페놀성 화합물의 증가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도 증가하였다. 또한 맛의 기호도도 7.0으로 소폭 증가하여 보온처리는 잎새버섯의 영양성분과 항산화활성의 추출을 용이하도록하고 관능적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Grifola frondosa is a promising new kind of cultivated mushroom owing to its excellent taste and functionality. However, more research is required to determine its value.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pretreating Grifola frondosa tea by drying, steaming, and warming,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analyz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sugar, soluble solid, and nitrogen content between dried and steamed tea. The color of the warm pretreated tea was the darkest, and the amino acid content was 462.9 mg/L, which was 1.8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pretreatments. Moreover, the warm pretreated tea ha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14.6 mg/g and 2.2 mg/g, respectivel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phenolic compounds. Warming pre-treatment slightly increased the taste preference to 7.0. In conclusion, warming Grifola frondosa before drying was confirmed to improve the extraction of nutrients, antioxidants, and taste preference.

      • SCOPUSKCI등재

        Microwave처리에 의한 쌀 가공 부산물의 항산화능의 변화

        배성문(Sung-Moon Bae),김정한(Jeong-Han Kim),조철우(Cheol-Woo Cho),정태준(Tae-Joon Jeong),하정욱(Jung-Uk Ha),이승철(Seung-Cheol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6

        Microwave 처리가 쌀가공 부산물로 발생하는 왕겨와 미강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00 W, 200 W, 440 W의 출력으로 microwave를 처리하였을 때, 출력과 처리시간에 비례하여 갈변을 나타내는 색도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왕겨와 미강의 전자공여능은 조사된 범위 내에서 microwave 처리에 대해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활성산소종(H₂O₂, O₂^-,ㆍOH)을 발생시켜 어유의 과산화에 대한 왕겨와 미강의 과산화 억제력을 조사한 결과, 전반적으로 왕겨가 미강보다 microwave 처리에 안정함을 보였다. 특히, H₂O₂에 대한 왕겨의 과산화 억제력은 미강에 비하여 매우 높게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왕겨가 미강보다 항산화 물질을 많이 함유함으로써 미강보다 높고 안정한 항산화능을 나타내고, 또한 microwave 처리로 인하여 항산화 물질이 일부 파괴되지만 항산화력을 가지는 갈변 반응 생성물이 생성되어 왕겨의 경우에는 microwave 처리에 대해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microwave 처리 공정은 왕겨나 미강의 항산화능을 이용한 가공 방법에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Microwave treatment was studi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bility of rice hull and rice bran. The color changes were related to the intensity of microwave and to the treated time on rice bran. However,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rice hull and rice bran extract were not much affected by microwave intensity. Rice hull extract treated with a 100 W microwave showed 80%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when fish oil was treated with H₂O₂. Also inhibition activity against lipid peroxidation in rice hull is more stable than that of rice bran when treated with microwave. Overall, rice hull extract showed better antioxidant activity than rice bran. It seems that rice hull contains higher antioxidant components as well as the browning reaction products having anti-oxidant activity during microwave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