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북한의 광물자원개발과 남북간 자원협력방안

        김유동,박홍수,김성용,이재호,Kim You-Dong,Park Hong-Soo,Kim Seong-Yong,Lee Jae-H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5 자원환경지질 Vol.38 No.2

        북한은 마그네사이트, 금, 아연, 철, 희유금속을 비롯하여 금속광물자원과 석탄 등 에너지 자원이 비교적 풍부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북한은 광물자원 개발 및 처리와 밀접한 6곳의 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고, 아직까지는 잘 보전된 자원관련 인프라를 유지하고 있으며 러시아의 영향을 받아 자원관련 기초기술이 발달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년 간 약 8조원의 광물 및 석탄자원을 수입하는 자원-에너지 다소비국가이다. 남북한 자원개발협력은 북한의 풍부한 자원, 자원개발 및 처리 관련 인프라, 기초 기술력 둥 장점을 활용하고 한국의 자본 및 러시아의 선진 자원처리기술과 접목시키는 방향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North Korea is plentiful in the mineral resources as magnesite, gold, zinc, iron, rare metal, and coal resources compared to South Korea and has 6 industrial zones which are located nearby to the mineralized areas. The industrial zones are provided with a sound infrastructures and accumulation of advanced technology. As a huge mineral and energy consuming country, South Korea imports mineral and coal resources equivalent to almost 8 trillion won annually. Inter-Korean cooperation for development of mineral resources in North Korea will be improved by the practical use of the North Korea's plentiful mineral resources, infiastructures related to development and refinement, and basic geo-technology, which would be considered toward combining with South Korean capital and Russian geo-technologies.

      • KCI등재

        중국 자원백서를 통한 광물.에너지자원 정책 분석

        김유동,박홍수,김성용,허철호,Kim, You-Dong,Park, Hong-Soo,Kim, Seong-Yong,Heo, Chul-H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8 자원환경지질 Vol.41 No.1

        개방이래로 중국의 빠른 경제성장은 다양한 광물자원의 수요를 초래했다. 동시에 중국의 광물자원 생산은 가파르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중국의 증가된 광물자원 생산 및 수요는 광물 및 금속자원의 전 세계 수급에 큰 영향을 미쳤다. 중국 국토자원부는 알루미늄, 구리, 망간, 우라늄 및 기타 국가 긴급수요에 필요한 광물 등을 10대 전략 광종으로 지정했다. 중국은 국가 경제발전을 위한 자원정책으로서 광물자원의 보호와 합리적 이용, 중국내 광물자원 공급규모의 확대, 자원탐사개발의 대외개방과 협력개발 확대, 광물자원 개발과 환경보호의 균형발전 도모, 광물자원 관리강화를 자원백서에서 제시하고 있다. Since the country's opening to the world, China's rapid economic growth has resulted in strong demand for a wide variety of mineral commodities. During the same period, China's mineral production increased sharply. China's increased mineral production and demand affected the worldwide availability of minerals and metals, the market prices, and trade. Ministry of Land and Resources of China (MLR) planned to build as many as 10 strategic mineral reserve, including reserves of aluminium, copper, manganese, uranium, and other mineral that the country urgently needed. In white paper of China's mineral resources, China is planning the mineral resources conservation and its reasonable utilization, domestic supply increase of resources, activation of cooperative development with foreign partners, balance in resources development and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resources management as the mineral resources policies for the China's economic develop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현진건의 『백발』 번역과 젠더/식민성에 대한 고민 -현진건의 초·중기작을 중심으로-

        김유동 ( Kim You-dong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1 국제어문 Vol.- No.88

        이 논문은 현진건의 『백발』 번역이 그의 초·중기작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번역소설이자 통속소설이라는 이유로 『백발』은 그동안 문학사에서 중요하게 취급되지 않았다. 여기에는 현진건이 남긴 통속에 대한 부정적 평가도 한몫했을 것이다. 그러나 번역은 결국 작가의 의식적 선택의 결과이며 수행 과정에서 작가가 텍스트로부터 무의식적인 영향을 받는 작업이다. 이 사실을 전제하고 텍스트 간 비교를 수행했을 때 『백발』이 그의 창작에 남긴 흔적은 선명하게 드러났다. 분석 결과, 현진건의 「까막잡기」, 「발(簾)」, 「타락자」, 「그립은 흘긴 눈」은 여성에 매혹된 남성이 파국을 맞이한다는 『백발』의 주요 모티프를 차용했으며 『백발』과 유사한 삼각관계, 형식, 화법 등을 활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요소들은 자칫 그의 작품을 『백발』과 같은 통속소설이 되도록 만들 가능성을 내장했다. 그러나 그는 현실을 입체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을 포기하지 않음으로써 식민성과 젠더 문제와 같이 『백발』보다 진전된 문제의식을 작품 속에 담아낼 수 있었다. 이 같은 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리얼리즘에 편향된 연구사에서 홀대를 받아온 현진건의 작품들을 재조명하고 새롭게 해석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Hyun Jin-gun’s Bekbal translation on his early and mid-term works. Bekbal has not been considered an essential text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because it was a translation of a popular novel. Hyun’s negative evaluation of popularity would have also contributed to it. However, translation is eventually a result of a writer’s conscious choice and a task in which s/he is unconsciously influenced by the text. Given this fact, the translation somehow left marks on his creations. Notably, the narratives of Kamakjapgi(Blindman’s buff), Bal(A beaded hanging screen), Tharakja(The fallen), Gripeun Heulgin Nun(Longing for the sidelong glance) borrowed the main motif of Bekbal in that the narratives revolve around a catastrophe faced by a man fascinated by a woman, and they presented a love triangle, form, narration similar to those of Bekbal. These elements contained the possibility of his works being seen as a melodrama like Bekbal. However, by not giving up threedimensional point of view, he could capture more advanced ‘critical minds’ like colonial power and gender issues in his works. Through these analysis, this paper aim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shed new light on and reinterpret his works that had been neglected by literature history biased toward realism.

      • KCI등재

        아르헨티나 헤네랄 구에메스 지역 철광상 평가

        김유동 ( You Dong Kim ),허철호 ( Chul Ho2 Heo ) 한국사진지리학회 2009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19 No.3

        아르헨티나 헤네랄 구에메스지역은 약 5억 톤의 철광석이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부존되어 있는 철광석의 부존특성, 광물학적 특성 그리고 품위향상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조사를 실시한 결과, 광상의 철 매장량은 최고 연장 3km와 폭 20m로 추정했을 경우 2개 철광층에 대한 최대 매장량은 약 2억 4천만 톤정도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개발을 위한 광업권의 확보를 위해서는 보다 세밀한 조사와 품위를 높일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It is reported that there are rich deposits of iron ore estimated as about 500 million ton within General Guemes district in Argentina.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o confirm the occurrence characteristics, mineralogical features and possibility of grade enhancement of iron ore, the reserves of iron is estimated as about 240 million tons on two iron formations which assumes the maximum extension of 3km and width of 20m. However, in order to secure the mining right, technological development for grade enhancement with detailed investigation is needed.

      • KCI등재

        북한의 광물자원개발과 남북간 자원협력방안

        김유동(You-Dong Kim):박홍수(Hong-Soo Park):김성용(Seong-Yong Kim),이재호(Jae-Ho Lee)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5 자원환경지질 Vol.38 No.2

        북한은 마그네사이트 , 금 , 아연 , 철 , 희유금속을 비롯하여 금속광물자원과 석탄 등 에너지 자원이 비교적 풍부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 북한은 광물자원 개발 및 처리와 밀접한 6 곳의 공업지대가 형성되어 있고 , 아직까지는 잘 보전된 자원관련 인프라를 유지하고 있으며 러시아의 영향을 받아 자원관련 기초기술이 발달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 우리나라는 년 간 약 8 조원의 광물 및 석탄자원을 수입하는 자원 - 에너지 다소비국가이다 . 남북한 자원개발협력은 북한의 풍부한 자원 , 자원개발 및 처리 관련 인프라 , 기초 기술력 등 장점을 활용하고 한국의 자본 및 러시아의 선진 자원처리기술과 접목시키는 방향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North Korea is plentiful in the mineral resources as magnesite, gold, zinc, iron, rare metal, and coal resources compared to South Korea and has 6 industrial zones which are located nearby to the mineralized areas. The industrial zones are provided with a sound infrastructures and accumulation of advanced technology. As a huge mineral and energy consuming country, South Korea imports mineral and coal resources equivalent to almost 8 trillion won annually. Inter-Korean cooperation for development of mineral resources in North Korea will be improved by the practical use of the North Korea s plentiful mineral resources, infrastructures related to development and refinement, and basic geo-technology, which would be considered toward combining with South Korean capital and Russian geo-technologies.

      • KCI등재

        1910년대 초, 재러한인매체를 통해 본 민족주의의 계승과 굴절 ― 『대한인졍교보』와 『권업신문』을 중심으로

        金裕東 ( Kim You-do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4 No.-

        이 논문은 1910년대 초, 재러한인사회를 대표하는 『권업신문』과 『대한인졍교보』의 기사를 분석함으로써 1900년대의 민족주의가 계승되고 굴절된 면모를 확인하고자 했다. 개인을 민족/국가를 위해 복무하는 원자로 호명한다는 점에서 재러한인사회의 민족주의는 분명 1900년대식 열혈주의를 계승하고 있었다. 그러나 국망을 기점으로 효력을 급속히 상실한 실력양성론과는 다른 자리에서 민족주의의 ‘진화’가 요청되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재러한인매체는 완전한 ‘준비’ 없이도 독립을 꿈꿀 수 있다는 ‘정신주의’의 길을 제시했다. ‘실력’ 대신 ‘정신’의 잠재력에 방점을 두는 사유와 감성은 크게 세 가지 담론-영웅 담론, 인성진화론, 동정 담론-을 통해 드러났다. 이것들은 문명의 위계와 약육강식의 논리를 회의하고 새로운 대안적 세계관을 모색하는 반진화론적인 사유를 내포하고 있었다. 그간 『권업』과 『정교보』는 강한 민족의식을 표출한 항일언론으로 설명되었으나 매체에 내포된 다기한 성격은 별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 논문은 국망에도 불구하고 열렬한 구국운동이 진행될 수 있었던 이유와 그 양상을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더불어 단순히 민족주의의 심화로 환언할 수 없는 민족의식의 균열의 지점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재러한인의 ‘실존’을 다루는 고려인 연구의 초석을 놓는 작업과도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Gwoneop Shinmun and Dehanin Jeonggyobo inherited and transformed the nationalism in the 1900s. The nationalism of the Korean community was apparently influenced by 1900s' nationalism in the sense of individuals being interpellated as atoms that served the interests of the nation-state. However, in opposition to theory for Fostering Capacity, which rapidly lost its purchase on peopele's thinking after the loss of Korean sovereignty, there was a new demand for a nationalistic framework, and in response, the press prompted 'mentalistic' path through which people could dream of achieving independence without sufficient 'preparation'. The thought and sensibility that focused on the potential of 'mind' instead of 'capability' were largely revealed through three discourses: hero discourse, personality evolution theory, and sympathy discourse. These discourses connoted anti-(or quasi-)evolutionary thinking which doubted the hierarchies of civilization and the law of the jungle, and sought to formulate a new and alternative worldview. Until now, Gwoneop and Jeonggyobo have been described as anti-Japanese outlets which expressed a strong national consciousness, but the various aspects of their articles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others in that it analyzed the the reason why the committed independence movement was able to sustain itself despite the fall of the Korean Empire. In addition, it helps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Kareisky culture and literature studies which deal with the 'existence' of the Koreans, given that it explored fissures in national consciousness that cannot be assimilated into a concept of nationalism.

      • KCI등재

        이효석의 번역소설 「밀항자」와 「기원후 비너스」의 번역 양상과 의미

        김유동(Kim, You-dong) 한국현대소설학회 2021 현대소설연구 Vol.- No.84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translated aspects of two short stories “The Stowaway” and “Venus Annodomini” and the impacts of the translations of Lee Hyo-Seok on his creation. These translated stories draw attention because they are set at a time when he was engaged in full-fledged creative activities and had also never been translated in colonized Chosun. Previous studies have not revealed the draft versions of the translations because the original author or the original work are not famous. This paper clarifies that “Milhangja” was the result of direct translation of “The Stowaway” contained in Selected English Short Stories(2nd Series), and the draft of “Giwonhu Venus” was Kipling’s Short Stories (Baba Tsunego Trans.), which includes the original text “Venus Annodomin” and the translated version “Wuinas” in Japanese. Lee Hyo-Seok performed a faithful translation of the original text, though he referred to the Japanese translation of the text. He subtly changed the subject of the original text through (un)conscious appropriation. This translation experience not only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a concise and implicit style that he recognized as a model but also transformed the world of his literary works in a certain part. It served as an opportunity to create a subject that escaped the pressure of fate in the expanded space-time and form a narrative that advocates for youth and passion in the form of generational confli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