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차광정도가 임간초지 혼파초지의 식생 및 목초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김원호,김현섭,박형수,정종성,최기춘,Kim, Won Ho,Kim, Hyun Seup,Park, Hyung-Su,Jung, Jeong Sung,Choi, Ki-Choo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7 No.4

        본 연구는 임간초지에서 차광정도에 따른 목초의 식생변화 및 생산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시험구는 충남 천안 소재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량부 천연 임간초지 시험포에서 2014년 4월부터 2016년 8월까지 3개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차광정도를 달리하여 관행구(10%이하), 25% 이하, 35% 이하 및 50% 이하로 하였으며 공시작물로써 톨페스큐(Furumi), 오차드그라스(Kodiwin), 페레니얼라이그라스(Linn), 켄터키블루그라스(Kenblue), 화이트클로버(Ladino)를 이용하였다. 본 시험의 임간초지 식생구성은 오차드그라스가 가장 높았고 페레니얼라이그라스, 켄터키블루그라스, 톨페스큐 순으로 높았다. 혼파초지에서 차광정도가 높을수록 목초의 건물수량은 감소되었으며 차광정도가 높은 상태에서 예취횟수가 많아지면 목초생산성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차광 정도가 높을수록 목초의 조단백질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ADF 및 NDF 함량, 가소화영양소 총량 그리고 소화율에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상대적 사료가치도 차광정도에 따라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오차드그라스는 임간초지에서 매우 중요한 목초이며 특히 차광정도가 심할수록 오차드그라스의 효과는 높을 것이라 생각한다.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plore the potential effect of shading degrees on yields and nutritive values of forage in forest-grasslan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his study under different natural shading at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Cheonan province in Korea, for 2 years (from 2015 to 2016). This experiment was consisted of four different shading degrees, such as full sunlight (control, 10% below), 25% of shading, 35% of shading, 50% of shading. Pasture species used in this study were orchardgrass 'Kodiwin', perenial ryegrass 'Linn', tall fescue 'Purumi', kentuky bluegrass 'Kenblue', and white clover 'Ladino'. Botanical composition of orchardgrass was higher than that of perenial ryegrass, tall fescue and kentuky bluegrass. Dry matter (DM) yields of forage decreased as increasing shading degrees. DM yields of forage significantly decreased as increasing shading degrees and lots of cutting times under increasing shading degrees decreased DM yields of forage.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increased as increasing shading degrees and the contents of acid detergent fiber (AD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the activity of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and in-vitro digestibility (IVD), and relative feed value (RFV) were similar in control and different shading. This study suggests that orchardgrass is major component for forest-grassland and establishment of orchardgrass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shading degrees.

      • KCI등재

        논에서 적응 우수 Crimson Clover 품종 선발

        김원호(Won Ho Kim),서성(Sung Seo),임영철(Young Cheol Lim),최기준(Ki Jun Choi),김기용(Ki Yong Kim),이종경(Jong Kyoung Lee),윤봉기(Bong Ki Yoon) 韓國草地學會 200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7 No.3

        본 시험은 우리나라에 도입된 crimson clover를 나주지역에서 재배시 월동성과 수량이 높은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2000까지 전라남도농업기술원 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된 4 품종중에서 개화기는 자운영이 가장 빨랐으며 Linkarus 품종이 5월 5일로 가장 늦었다. 평균 건물 함량은 24.3%로 높게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평균 14.9%를 나타내었으며 Oregon com.이 18.3%로 높았고 자운영의 경우는 19.3%로 가장 높았다. ADF, NDF 그리고 TDN 함량은 평균 38.1, 48.3 그리고 58.9%이었다. Crimson clover의 생산성은 월동성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Linkarus 품종의 건물 수량이 6,986㎏/㏊로 가장 높았으며 Tibbee 및 Oregon com. 품종은 각각 3,639 및 1,980 ㎏/㏊를 보여 생산성이 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가을파종용 Crimson clover 품종은 Linkarus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introduced crimson clover cultivars at paddy field of Naju(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from 2004 to 2006. The crimson clover cultivars used in this study were 4 varieties(‘Oregon com.’, ‘Tibbee’, ‘Contea’, ‘Linkarus’) The fastest flowering variety was chinese milk vetch, while ‘Linkarus’ was the latest one as of as 5th May. The average dry matter(DM) content was 24.3% and crude protein(CP) content was 14.9%. ‘Oregon com.’ showed the highest CP content of 18.3% among crimson clover and Chinese milk vetch showed the highest CP content by 19.3%. Average acid detergent fiber(ADF), neutral detergent fiber(NDF)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TDN) content were 38.1%, 48.3% and 58.9%, respectively. With by the winter hardness the productivity of crimson clover cultivars were severely various. Linkarus showed the highest DM yield with 6,986㎏/㏊ but the DM yield of ‘Tibbee’ and ‘Oregon com.’ was low by 3,639 ㎏/㏊ and 1,980㎏/㏊,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s indicated that the productivity of crimson clover cultivar varied from winter hardness, therefore we will consider the winter hardness as major factor when introducing crimson clover cultivars into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Linkarus’ would be recommendable for fall sown crimson clover for dry matter production.

      • KCI등재

        논에서 적응성이 우수한 Forage Pea 품종 선발

        김원호(Won Ho Kim),이종경(Joung Kyong Lee),임영철(Young Cheol Lim),신재순(Jae Soon Shine),정민웅(Min Woong Jung),지희정(Hee Chung Ji),서성(Sung Seo),이효원(Hyo Won Le),윤봉기(Bong Ki Yoo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9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9 No.1

        본 시험은 우리나라 논에서 적응성이 우수한 forage pea 품종을 선발코자 2004년부터 2006까지 전라남도농업기술원 답리작 포장에서 공시 초종은 자운영 1품종 (중국 자생품종)과 forage pea 2품종 (cv, ‘Austrian Pea’, ‘Livioletta’)이였고 파종량은 120 kg/ha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화기는 Livioletta 품종이 5월 16일로 빠르고 Austrian Pea 품종이 5월 18일로 2일정도 늦었고 월동율은 Austrian Pea 품종이 Livioletta 품종보다 떨어졌다. Austrian pea 품종의 건물률은 20.9% 보다 높았고 ha당생초수량은 Austrian Pea 품종이 26,870 ㎏으로 많았고 Livioletta 품종이 약 16,235 kg/ha로 적었다. 그리고 건물수량에 있어서는 Austrian Pea 품종이 5,986 ㎏/ha으로 Livioletta 품종의 3,652 ㎏/ha보다 훨씬 많은 수량을 얻었고 조단백질수량에 있어서도 Austrian Pea 품종이 861 ㎏/ha로 많이 생산되었다. Austrian Pea 품종의 조단백질 함량은 14.4%으로 Livioletta 품종의 15.5%보다 약간 낮았고 건물소화율은 Austrian Pea 품종의 74.3%이 Livioletta 품종의 61.3% 보다 높았다. 그리고 TDN 함량도 Austrian pea 품종의 70.4%이 Livioletta 품종의 62.6% 보다 높은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논에서 적응성, 조단백질 함량과 건물생산성 등을 고려한 결과 forage pea 초종이 조사료공급원 작물로 전망이 있고 품종도 Austrian Pea 품종이 우리나라 논에서 적응성이 우수한 품종으로 사료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in introduced forage pea cultivars at the experimental field.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forage pea used in this study were two cultivars (‘Livioletta’, ‘Austrian Pea’) and one Chinese milk vetch cultivar (Chinese domestic cultivar). Flowing of ‘Livioletta’ cultivar was May 16th and ‘Austrian Pea’ cultivar was 18th May, 20 days later than the former. The ‘Livioletta’ cultivar showed stronger than winter hardiness of ‘Austrian Pea’ cultivar. Dry matter (DM) content of ‘Livioletta’ and ‘Austrian Pea’ cultivars were 22.5% and 20.9% chinese milk vetch showed the lowest content with 17.7%. ‘Austrian pea’ cultivar showed the highest DM yield with 5,617 ㎏/ha but the DM yield of ‘Livioletta’ cultivar was low with 3,652 ㎏/ha. The yield of CP (crude protein) and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 set high at ‘Austrian Pea’ cultivar. And ‘Livioletta’ and ‘Austrian Pea’ cultivars showed CP content with 15.5% and 14.4% but Chinese milk vetch with 19.3%. The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 of ‘Austrian Pea’ cultivar were 23.2% and 40.3%. Therefore ‘Austrian pea’ cultivar seems to be suitable varieties in paddy field as winter forage crops.

      • KCI등재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두과 사료작물 혼파에 따른 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김원호(Won Ho Kim),김기용(Ki Young Kim),정민웅(Min Woong Jung),지희정(Hee Chung Ji),임영철(Young Chul Lim),서성(Sung Seo),김종덕(Jong Duk Kim),윤봉기(Bong Ki Yoon),이효원(Hyo Won Le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1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1 No.1

        본 연구는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두과 사료작물 혼파에 의한 생산성을 구명코자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수행하였다. 처리내용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코윈어리 품종) 단파에 자운영, forage pea, crimson clover 그리고 hairy vetch을 혼파하는 5처리 3반복으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두과 사료작물 혼파비율은 단파 기준으로 70:30 비율로 혼파하였다.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단파와 두과 사료작물 혼파에 의한 건물률은 23.6~26.8%였고 혼파에 따른 건물률은 비슷하였다. 그리고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forage pea와 혼파에 의한 생초 및 조단백질 수량은 각각 ha당 40,100 ㎏, 그리고 625 ㎏/ha으로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또한 건물수량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forage pea 그리고 hairy vetch 혼파시 ha당 각각 9,470 ㎏ 그리고 9,500 ㎏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forage pea 혼파 토양의 유효인산 함량이 78 ㎎ /㎏으로 많았으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단파 K 함량보다 혼파시 0.52~0.88c㏖?/㎏으로 훨씬 높았다. 따라서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forage pea을 혼파하여 건물수량, 조단백질 수량의 증가 및 재배의 안정성 제고에 효과적이었으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단파보다는 혼파재배가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ry matter yield and forage quality according to the seed mixture of annual legumes and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IRG) on paddy field at the experimental field of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from 2007 to 2008. The five treatment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IRG single (cv. Kowinearly), IRG+Chinese milk vetch mixture, IRG + Crimson clover (cv. Linkarus) mixture, IRG + Austrian winter pea (Pisum sativum subsp. arvense cv. forage Pea) mixture and IRG + Hairy vetch (Vicia villosa. cv. Oregon Common) mixture. And the mixing ratio of Italian ryegrass + annual legumes were 70 : 30 as based mono seed rate. The dry matter (DM) percentage at harvest was 23.6~26.8%. The DM percentage among IRG single and mixture treatments were similar. The yields of fresh and CP were high in IRG + Forage pea mixtures as a 40,100 ㎏ and 625 ㎏ per ha, respectively (p<0.05). The yields of dry matter were high in IRG + Forage pea and IRG + hairy vetch pea mixtures as a 9,470 ㎏ and 9,500 ㎏ per ha, respectively (p<0.05). But the forage quality did not show difference between Italian ryegrass mono-culture and annual legumes mixture. The Av. P₂O? in IRG+Forage pea mixture was 78 ㎎/㎏ and concentration of K were 0.52~0.88. In conclusion, the mixture of IRG and Forage pea, dry matter yield, protein yield increased, and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stability of cultivation.

      • KCI등재

        논에서 생육특성과 수량이 우수한 두과 사료작물 선발

        김원호(Won Ho Kim),이종경(Joung Kyong Lee),박형수(Hyung Soo Park),황보순(Soon Hwangbo),임영철(Young Cheol Lim),지희정(Hee Chung Ji),이효원(Hyo Won Lee),윤봉기(Bong Ki Yoon),서성(Sung Seo) 韓國草地學會 2009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논에서 생육특성과 생산성이 우수한 두과 사료작물을 선발하기 위해서 천안(국립축산과학원)과 나주(전남도농업기술원) 답리작 논에서 2004부터 2006년까지 수행되었다. 두과 사료작물은 자운영, 크림손 클로버, 사료용 완두 그리고 헤어리 베치 초종을 공시하였고 각 초종의 품종은 자운영에서 국내에서 자생하는 품종(야생종)과 크림손 클로버 (C.V. Linkarus), 사료용 완두(C.V. Austroan pea), 헤어리 베치(C.V. Oregon common)을 각각 공시하였다. 나주지역에서 수행되었던 두과 사료작물의 개화기는 자운영이 가장 빠르고 Forage pea 초종이 가장 늦었다. 크림손 클로버 초종의 생초, 건물 그리고 조단백질 수량은 각각 28,870, 6,986 그리고 943 ㎏/㏊으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자운영에서는 9,885, 1,749 그리고 338 ㎏/㏊으로 가장 적었다. 천안지역 논에서는 자운영이 가장 빠르고 헤어리 베치 초종에서 가장 늦었다. 헤어리 베치 초종의 생초, 건물 그리고 조단백질 수량은 각각 7,916, 1,141 그리고 113 ㎏/㏊으로 가장 많았고 자운영에서 270, 42 그리고 8 ㎏/㏊으로 가장 적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평균 14.3%로 높았고 자운영에서 19.3%로 가장 높았으나 헤어리 베치 초종에서 9.9%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논에서 생육특성과 수량을 고려한 결과 나주지여에서는 크림손 클로버 초종이 우수하고 천안지역에서는 헤어리 베치 초종이 우수하였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induced annual legumes at paddy field of Cheonan and Naju from 2004 to 2006. Chinese milk vetch (wild type), crimson clover (C.V. Linkarus), forage pea (C.V. Austrian pea), hairy vetch (C.V. Oregon commen) were used in this study. At the Naju region, the earliest flowering on 2nd may was found in Chinese milk vetch, while the latest on 18th May in forage pea. Fresh, dry matter (DM) and crude protein (CP) yields of crimson clover were highest as 28,870, 6,986 and 943 ㎏/㏊, respectively. but the yield of chinese milk vetch was low by 9,885, 1,749 and 338 ㎏/ha. At the Cheonan region, the most fast flowering date variety was Chinese milk vetch, hairy vetch was very late as 19th May. Fresh, DM and CP yields of hairy vetch were highest as 7,916, 1,141 and 113 ㎏/㏊, respectively. but the yield of chinese milk vetch showed the lowest by 270, 42 and 8 ㎏/㏊. The CP content of annual legumes was 14.3%. chinese milk vetch showed the highest CP content by 19.3% and hairy vetch showed the lowest content by 9.9%. The present data showed that the productivity was closely dependent on winter hardness, in conclusion, crimson clover at Naju and hairy vetch at Cheonan region was suggested to be the most proper species as winter crop after rice harvest on paddy field when considered the winter hardiness.

      • 동기형 릴럭턴스 전동기의 토크와 역률의 최대화를 위한 설계 및 해석

        김원호(Won-Ho Kim),김기찬(Ki-Chan Kim),원성홍(Sung-Hong Won),안준선(Jun-Sun Ahn),최승길(Seung-Gil Choi),이주(Ju Lee) 대한전기학회 200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7

        In case of the synchronous reluctance motor, the torque is proportional to silency difference and the power factor is in proportion to silency ratio. This paper presents the rotor design variable that has a effect on silency difference and silency ratio for getting a maximum torque and a power factor in the synchronous reluctance motor. To carry through the object, a number of the analysis model is reduced by DOE (Design of Experiments) and the main effects are found by the FEM (Finite Element Analysis).

      • KCI등재

        초지 및 조사료 : 사료작물 재배지에서 초지식생대를 이용한 NO3-N 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이기원 ( Ki Won Lee ),김원호 ( Won Ho Kim ),서성 ( Sung Seo ),정민웅 ( Min Woong Jung ),최기춘 ( Ki Choon Choi ),윤세형 ( Sei Hyung Yoon ),조남철 ( Nam Chul Jo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1 한국축산학회지 Vol.53 No.1

        본 연구는 사료작물 재배지에 가축분뇨를 투입하여 사료작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초지식생대를 설치함으로서 비점오염원의 저감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시험은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천안)에서 경사가 약 10˚ 인 자연 경사지를 이용하여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수행하였다. 가축분뇨를 시용한 사료작물 재배지의 2년 동안 옥수수의 평균 건물수량은 화학비료구에서 24,716 kg/ha(100%), 우분퇴비구 20,497 kg/ha(83%), 돈분퇴비구에서 18,862kg/ha(76%) 순으로 높았으며, 화학비료구에 비해 우분퇴비구와 돈분퇴비구에서 유의적인 수량감소가 나타났다(p<0.05). 호밀의 평균 건물수량은 화학비료구 11,870 kg/ha(100%), 우분퇴비구 10,650 kg/ha(90%) 돈분퇴비구 9,300 kg/ha(78%) 순으로 높았으며, 화학비료구에 비해 돈분퇴비구에서 유의적인 수량감소가 나타났으며(p<0.05), 우분퇴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2년 동안 2009년도 옥수수의 건물수량은 2008년의 건물수량보다 약 24%의 수량 증가가 나타났으며, 호밀의 건물수량은 2008년에 비해 2009년에 약 80%의 수량 증가가 나타났다. 초지식생대의 설치에 따른 유거수 중의 평균 NO3-N 농도는 초지식생대의 길이가 0 m, 5 m, 10 m, 15 m로 길어질수록 NO3-N 의 농도가 감소하였는데, 초지식생대를 설치하지 않은 0 m인 지점에 비해 10 m 및 15 m인 지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는 초지식생대를 사료작물 재배지에 10m 이상 설치할 경우 초지식생대를 설치하지 않았을 때 보다 NO3-N의 유실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었고, 초지식생대의 설치가 사료작물 재배지의 가축분뇨 시용에 따른 NO3-N의 수계유입 농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사지에서 초지식생대의 설치는 가축분뇨를 시용한 사료작물 재배지에서 발생되는 NO3-N의 유실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erformance of grass filter strips(GFS) in abating NO3-N concentrations from the forage cropland was tested in an experiment on the 10% slope in Grassland and Forage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from October 2007 to September 2009. Forage croplands with rye-corn double cropping system applied with chemical fertilizer and livestock manure(LM) were compared in a natural condition. The plots were hydrologically isolated in a randomized block layout of 3 treatments×2 factors×3 replicates. Main plots consisted of the length of GFS, such as 0m, 5m, 10m and 15m. Sub plots consisted of the type of LM, such as chemical fertilizer(CF), cattle manure(CM) and swine manure (SM). Dry matter yields of rye and corn increased significantly in order of CF>CM>SM(p<0.05). Concentrations of NO3-N in surface runoff water were reduced as the length of GFS increased. Especially, GFS with 10m and 15m reduced NO3-N concentrations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with 0m and 5m(p<0.05).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that GFS improved the removal and trapping of manure nutrients from forage croplands.

      • KCI등재

        티모시 성숙종자로부터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

        이기원(Ki-Won Lee),김기용(Ki-Yong Kim),최기준(Gi Jun Choi),임영철(Young Chul Lim),김원호(Won Ho Kim),정민웅(Min Wong Jung),서성(Sung Seo),이병현(Byung-Hyun Lee),이상훈(Sang-Hoon Le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8 No.3

        티모시의 colt 품종을 이용하여 최적 조직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성숙종자를 배양함에 있어 첨가되어지는 식물 생장조절 물질의 종류와 농도가 배발생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발생 캘러스 유도시 첨가되는 2,4-D는 3 ㎎/L 첨가구에서 78%로 캘러스 유도율이 가장 높았으며, 3 ㎎/L 2,4-D와 0.1 ㎎/L의 BA를 첨가하여 배양했을 때 형성된 캘러스는 조직적으로 치밀하며 유백색의 배발생 캘러스가 가장 많이 형성되었다. Type B 캘러스만을 이용하여 식물체 재분화에는 1 ㎎/L 2,4-D와 3 ㎎/L BA가 첨가된 배지에 캘러스를 배양했을 때 25.3%의 재분화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효율적인 재분화 시스템은 분자육종을 통한 신품종 티모시의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imothy (Phleum pratense L.) is an important grass species as forage. In order to optimize tissue culture conditions of timothy, the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was investigated with mature seeds of colt cultivar.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2,4-D for the induction of primary callus from mature seeds was 3 ㎎/L. The highest embryogenic callus frequency (25%) was observed when the mature seed were cultur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3 ㎎/L 2,4-D and 0.1 ㎎/L BA. The highest plant regeneration frequency was observed when type B callus was transferred to N6 medium supplemented with 1 ㎎/L 2,4-D and 3 ㎎/L BA. Regenerated plants were grown normally when shoots were transplanted to the soil. A short tissue culture period and regeneration system would be beneficial for molecular breeding of timothy by the production of transgenic plant.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