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0 파주, 안산지역 갈대, 억새 등 야초류의 이용실태와 사료가치 평가

        서성(Sung Seo),김원호(Won Ho Kim),정민웅(Min Woong Jung),박형수(Hyung Soo Park),심재진(Jae Jin Shim),박진길(Jin Gil Park),성하균(Ha Guyn Sung),김종덕(Jong Duk Kim),이종경(Joung Kyong Le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1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는 부존 조사료자원의 이용을 활성화하여 수입사료를 줄이고 가축 사료비를 절감하고자 2010년도에 경기 파주 (민통선 지역)와 경기 안산 (시화지구)에서 갈대와 억새 등 야초자생지를 탐색하고, 수확?이용실태 조사와 함께 사료가치를 분석하였다. 파주 민통선 내억새 (Miscanthus sinensis)와 갈대 (Phragmites communis) 혼합 자생지는 90~100 ㏊ 규모로, 1차 곤포작업으로 사일리지 520톤 (㏊당 6톤), 2차로 380톤 (㏊당 4톤)을 조제하여, 연 사일리지 900톤 (㏊당 10톤)을 생산하였다. 곤포의 유통가격은 롤당 52~55천 원으로 ㎏당 130~137.5원이었다. 곤포는 자가소비 50~70%, 판매유통 30~50%로, 수익성은 인건비 정도로 추정되었다. 초장 70 ㎝의 재생 억새는 조단백질 9.6%, 상대사료가치 82.4 (건초 4등급), 건물 소화율 67.7%, 초장 70 ㎝의 재생 갈대는 각각 13.8%, 84.3 (4등급), 67.9%로 사료가치는 높았으며, 수확이 늦어짐에 따라 사료가치는 크게 낮아졌다. 안산 시화지구 (3공구)의 갈대 등 야초류자생지는 100 ㏊ 정도로 2009년도에는 50 ㏊에서 사일리지 550톤 (㏊당 11톤)을 생산하여 롤당 50천 원에 유통하였으며, 2010년도는 잦은 강우와 장마로 부분 이용에 그쳤다. 고초기의 갈대는 건물률 89.8%, 조단백질 2.2%, NDF 80.6%, ADF 55.4%, 상대사료가치 52.9 (5등급), 건물 소화율 36.4%로 볏짚에 비해서도 사료가치는 크게 낮았다. 초장 80 ㎝의 재생 갈대는 조단백질 12.9%, 상대사료가치 99.8 (3등급), 건물 소화율 66.6%로 사료가치는 양호하였으며, 개화기의 초장 150 ㎝ 갈대는 조단백질 4.5%, 상대사료가치 59.9 (5등급), 건물 소화율 42.2%로 볏짚의 사료가치와 비슷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볼 때, 갈대, 억새 등 야초류는 현 상태에서 최대한 수거?이용하되, 사료가치를 유지하고 가축 기호성을 고려한 시기에 수확하는 것이 중요하며, 최소한 볏짚과 비슷하거나 그 이상의 사료가치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7월 중순 이전 (늦어도 7월까지)에 수확?이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대부분의 야초류는 상대사료가치가 75 이하인 건초 5등급으로 사료가치는 매우 낮았으며, 키가 작은 영양생장기에 수확한 경우에만 4등급으로 나타났다. 부존 조사료자원의 이용은 양질의 사료작물 생산과 병행하여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2010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and nutritive value of native grasses, such as Phragmites communis and Miscanthus sinensis which might reduce the cost of feeding domestic cattle. The regions within the Civilian Control Line in Paju and Sihwa region in Ansan were surveyed. In Paju, the yearly silage production was 900 MT harvested from 90 ha (10 MT/㏊). About 30~50% of these were sold out at the marketing price of 52,000~55,000 Won per roll (130~137.5 Won/㎏). Regrown Miscanthus sinensis of 70 ㎝ in length contained 9.6% of crude protein (CP), 82.4 of relative feed value (RFV), and 67.7% of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Regrown Phragmites communis of 70 ㎝ in length contained 13.8% of CP, 84.3 of RFV, and 67.9% of IVDMD. As harvesting was delayed, the quality was decreased dramatically. In Ansan region, Phragmites communis plantation covers 100 ha. The silage production was 550 MT from the area of 50 ha (11 MT/㏊) in 2009. And the marketing price was 50,000 Won per roll. But in 2010 only a small amount of grasses could have been baled due to frequent and much rainfall from spring to summer season. However, the good forage quality was observed from regrown Phragmites communis of 80 ㎝ in length, 12.9% CP, 99.8 RFV and 66.6% IVDMD, while that of late matured grasses was very low, 2.2% CP, 52.9 RFV and 36.4% IVDMD, greatly lower than forage quality of rice straw. The quality of grasses at bloom stage of 150 ㎝ in length was similar to that of rice straw, showing 4.5% CP, 59.9 RFV and 42.2% IVDMD. In conclusion, the overall quality of most native grasses in this survey were very poor. Therefore, we recommend that Phragmites communis and Miscanthus sinensis should be harvested during June or July to obtain better forage quality which is richer in forage values than rice straw. Production of high quality forage crops was also desirable for self sufficiency of forage.

      • KCI등재

        2010 해남, 평창, 원주지역 갈대 등 야초류의 이용실태와 사료가치 평가

        서성(Sung Seo),한대덕(Dae Duk Han),장선식(Sun Sik Jang),김원호(Won Ho Kim),정민웅(Min Woong Jung),최진혁(Jin Hyuck Choi),김진숙(Jin Sook Kim),김하영(Ha Young Kim),이종경(Joung Kyong Le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2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는 부존 조사료자원 이용으로 수입사료를 줄이고 사료비를 절감하고자 2010년도에 전남 해남(간척지), 강원 평창(강변), 원주(섬강변), 전남 영광(와탄강변) 등 4개 지역에서 갈대와 억새 등 야초 자생지를 탐색하고, 수확·이용실태 조사와 함께 사료가치를 분석하였다. 전남 해남 해남목장 내 갈대(Phragmites communis) 위주의 야초 자생지는 300 ha로 예년에는 2회 곤포작업하여 연간 사일리지로 2,300~2,500톤(ha당 8톤)을 생산하였으나 2010년도는 1회 곤포조제로 사일리지 2,000톤(ha당 7톤)을 생산하였다. 유통가격은 롤 당 53천원으로 ㎏당 110원이었다. 곤포는 전량 자가소비하며, 외부 작업단에 롤 당 26천원의 작업비를 지불하였다. 연간 조수입은 2억 2,260만원이며, 소득은 1억원 수준(345천원/ha)이었다. 초장 150 ㎝의 갈대는 조단백질 8.4%, 상대사료가치 71.9 (건초 5등급), 건물 소화율 60.1%로 사료가치는 볏짚에 비해 약간 나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갈대 사일리지의 사료가치와 유기산 함량은 동일 지역에서 동일한 재료로 사일리지를 조제하더라도 수확시기에 따라 차이가 컸으며(CP 4.7~6.4%, RFV 62.2~78.9, 건물 소화율 41.9~53.9%), 갈대 사일리지의 품질은 수단그라스에 비해 불량하였다. 강원 평창 강변 자생갈대의 사료가치는 초장이 79, 117, 121, 142㎝로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낮아져, 조단백질은 각각 13.9%에서 7.6%로, 상대사료가치는 90.7 (건초 3등급)에서 76.1 (건초 4등급)로, 건물 소화율은 72.9%에서 54.7%로 감소하였다. 원주 섬강 주변 야초류는 곤포수확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초장 130 cm의 갈대는 조단백질 8.5%, 상대사료가치 82.3 (건초 4등급), 건물 소화율 70.2%로 사료가치는 높았으며, 220㎝의 성숙한 갈대는 조단백질 10.2%, 상대사료가치 65.1 (건초 5등급), 건물 소화율 48.9%로 볏짚 대비 조금 나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남영광지역에서는 와탄천 주변에 자생하는 갈대를 수거 이용하고자 시도하였으나 경제성이 없어 중단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볼 때, 갈대, 억새 등 야초류는 현 상태에서 최대한 수거·이용하되, 사료가치를 유지하고 가축 기호성이 양호한 시기에 수확하는 것이 중요하며, 최소한 볏짚과 비슷하거나 그 이상의 사료가치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7월 중순 이전(늦어도 7월까지)에 수확·이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2010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and forage quality of native grasses, such as Phragmites communis which might reduce the cost of feeding domestic cattle. The regions surveyed were the Haenam ranch in Haenam, Pyeongchang, Wonju, and Yeonggwang. In Haenam, yearly silage production harvested from 300 ha was 2,000 MT (7 MT/ha). All of those round bale silages were self-consumed in that region, and marketing price was 50,000 55,000 won per roll (110 won/㎏). Phragmites communis of 150 ㎝ in length contained 8.4% crude protein (CP) with relative feed value (RFV) 71.9 and 60.1%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which was somewhat more favorable than forage quality of rice straw. The silage quality of Phragmites communis varied greatly by the time of harvest (CP 4.7 6.4%, RFV 62.2 78.9, and IVDMD 41.9 53.9%), even with the same district and of the same original forage materials. Generally, the quality of Phragmites communis silage of was poorer than that of sorghum * sudangrass hybrid. In Pyeongchang, forage quality of Phragmites communis was decreased from 13.9% to 7.6% in CP, 90.7 to 76.1 in RFV, and 72.9% to 54.7% in IVDMD, as plant was getting mature, from 79 ㎝ to 117 ㎝, 121 ㎝ or to 142 ㎝ in length. In Wonju, the quality values of Phragmites communis of 130 ㎝ in length were 8.5% CP, 82.3 RFV and 70.2% IVDMD, while those of matured grasses of 220 ㎝ in length were lower (10.2% CP, 65.1 RFV and 48.9% IVDMD), but this was a little more favorable than quality of rice straw. In Yeonggwang, feeding Phragmites communis was tried in a Hanwoo feed, but stopped due to low profitability. In conclusion, the overall quality of most native grasses including Phragmites communis in this survey was poor. Therefore, we recommend that Phragmites communis and native grasses should be harvested on June or July to obtain richer forage quality in forage values than rice straw.

      • KCI등재

        U-937 세포에 있어서 세라마이드에 의한 c-jun 유전자 발현의 조절

        김원호,김미영,최경희,Kim, Won-Ho,Kim, Mie-Young,Choi, Kyung-Hee 대한약학회 1997 약학회지 Vol.41 No.1

        Ceramide has been suggested as an important mediator of the effects of extracellular agonists on cell growth inhibition, differentiation, apoptosis. However the biochemical sign aling mechanism involved in transducing the effects of ceramide on leukemia cell differentiation is still unclear. In these respects, we examined the regulatory effects of ceramide on c-jun gene expression during differentiation. In U-937 cells. ceramide increased c-jun mRNA levels in a time-dependent manner. The half life, of c-jun mRNA was 30 min. In contrast, inhibition of protein synthesis with cycloheximide in the absence, of transcription with actinomycin D increased the half-life of c-jun mRNA in ceramide-treated U-937 cells to more than 90 min. In order to examine whether ceramide-inhibited c-jun gene expression is regulated through ceramide-activated protein phosphatase (CAPP), a direct target for the action of ceramide, okadaic acid were treated to the cells. Okadaic acid inhibited enhancement of c-jun mRNA induced by C2-ceramide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eramide increases c-jun mRNA level during differentiation in U-937 cells and regulates the gene expression on posttranscriptional level. In addition, we provide the evidence that CAPP is involved in ceramide-induced c-jun gene expression in U-937 cells.

      • KCI등재

        재난 감시를 위한 적외선 열화상 처리 시스템의 구현

        김원호,김동근,Kim, Won-Ho,Kim, Dong-Keun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10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11 No.1

        본 논문은 재난 감시를 위한 디지털 미디어 프로세서 기반의 적외선 열화상 처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하여 기술한다. 디지털 열화상 처리 보드는 DM642 디지털 미디어 프로세서와 비디오 인코더, 비디오 디코더 상용 칩을 기반으로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또한, 재난 감시 기능은 적외선 열화상의 온도분포를 분석하고 화재발생과 같은 재난상황을 감시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였으며, 적외선 열화상 입력은 $320\;{\times}\;240\;{\mu}$-bolometer 타입의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하였다. 구현된 시제품의 시험 평가 결과, 10 프레임/초의 처리 속도로 요구되는 적외선 열화상 분석과 화재 검출 기능이 잘 동작 하였으며 구현 시스템의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frared thermal image processing system based on the digital media processor for disaster monitoring. The digital thermal image processing board is designed and implemented by using commercial chips such as DM642 processor and video encoder, video decoder. The implemented functions for disaster monitoring are to analyz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 monitoring infrared thermal image and to detect disaster situation such as fire. For the input of infrared thermal image processing system, an infrared camera of type of the $320\;{\times}\;240\;{\mu}$-bolometer is used. The required functions are confirmed with 10 frame/second of processing performance by testing of the prototype and Practicality of the system was verified.

      • KCI등재

        FFT를 이용한 화재 열영상의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

        김원호,장복규,Kim, Won-Ho,Jang, Bok-Gyu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11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12 No.1

        This paper presents the frequency spectral analysis based on FFT of the infrared ray fire thermal image, it is an object to deduce the conditions for determining fire alarm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with the frequency domain. After the candidate regions are separated by using pre-defined brightness value, the fast fourier transform is performed for consecutive infrared thermal images, the frequency spectral analysis of the thermal image analyzed DC and AC frequency distribution. The fire criterion of the thermal image was presented based on the analyzed result and a practicality was confirmed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본 논문은 FFT를 이용한 적외선 화재 열영상의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에 관한 것으로 영상처리를 통하여 화재 발생 유무를 주파수 영역에서 판별하기 위한 조건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적외선 열영상의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은 고속 푸리에 변환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화재로 추정되는 고명도의 영역을 화재 후보영역으로 결정한 다음, 연속적인 열영상의 해당영역에 대하여 DC 및 AC 주파수 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정적인 오검출 요소와 동적특성을 가지는 화재영역을 구분하는 열영상의 화재 판정 기준을 제시하고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하여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위성통신안테나 추적제어를 위한 DSP 기반의 협대역신호 전력 검출기

        김원호,Kim, Won-Ho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6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7 No.4

        본 논문은 협대역의 위성통신 수신신호 전력을 측정하여 이동형 위성통신 안테나를 추적제어하기 위한 DSP 기반의 협대역 위성통신 신호전력 검출기를 제안한다. 기존의 아날로그 검출방식에 의한 협대역 위성통신 신호전력 검출기는 위성 전파경로 상에서 발생되는 반송파의 중심주파수 천이로 인해 고정된 아날로그 필터대역을 통과하여 검출되는 신호 전력의 오차가 심하고 전송 신호의 대역폭 가변에 따른 아날로그 필터의 대역폭을 변경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반송파 주파수 천이에 영향 받지 않고 가변 하는 신호 대역폭에 대응하는 필터를 실시간으로 프로그래머블하게 지원하기 위하여 DSP 기반의 협대역 디지털 위성통신 신호전력 검출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협대역 위성통신 신호전력 검출 알고리즘은 FFT를 이용하여 주파수 천이된 협대역 위성통신 신호의 주파수를 탐색하고 프로그래머블한 디지털 필터를 선택하여 필터링한 다음, 일정구간 주기로 신호전력을 계산하여 12비트 해상도로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TMS320C5402 DSP 칩을 기반으로 설계 제작된 신호전력 검출기의 실제 시험을 통하여 제시된 요구기능과 규격을 만족하면서 동작함을 검증하였고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DSP based narrow band satellite communication signal power detector for tracking control of mobile satellite antenna system. An analog filter based conventional power detector has poor performance due to frequency drift of carrier. Also, it is very difficult to change an analog filter bandwidth according to changed bandwidth of transmitted signal. To solve these difficulties, we proposed DSP based signal power detector, which is easy to change bandwidth of filter and to match shifted frequency of carrier. The proposed signal power detector consists of a FFT function to measure frequency drift of carrier, a programmable filter bank function to limit of received signal bandwidth and a power calculation function to measure power of filtered signal in 12-bit linear scale. Test results of implemented signal power detector, based on TMS320C5402 DSP, showed that it satisfied required functions and performances and properly operated.

      • KCI등재후보

        FPGA 기반의 고속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조합 프로세서 설계 및 구현

        김원호,Kim, Won-Ho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8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9 No.3

        본 논문은 양방향 위성 멀티미디어 통신시스템의 멀티미디어 STB (Multimedia Set-Top-Box)을 위한 하드웨어 기반의 고속 멀티미디어데이터 재조합 프로세서 설계 및 구현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위성 멀티미디어 STB에서는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조합 기능을 STB의 CPU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처리하였다.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증대됨에 따라 STB의 CPU 부하가 증대되어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조합 처리 성능이 제한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다양한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는 하드웨어 기반의 고속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조합 프로세서를 제안하였다. 구현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조합 프로세서는 상용 FPGA, PCI 인터페이스 칩, 램 메모리 등으로 구현되었으며 위성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STB에 실장하여 기능과 성능을 검증하였다. 제시된 요구기능을 모두 만족하였으며 최대 116 Mbps 처리 성능과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hardware-based high speed multimedia data reassembly processor for remote multimedia Set-Top-Box(MSTB) of interactive satellite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The conventional multimedia data reassembly scheme is based on software processing of MSTB. As increasing of transmission rate for multimedia data services, the CPU load of remote MSTB is increased and reassembly performance of MSTB is limited. To provide high speed multimedia data service to end user, we proposed hardware based high speed multimedia data reassembly processor. It is implemented by using an FPGA, a PCI interface chip, and RAMs. And it is integrated in MSTB and tested. It has been confirmed to meet required all functions and processing rate up to 116Mb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