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낯선 사람의 범죄유인 행동에 대한 유아의 인식

        김영심 ( Young Shim Kim ) 대한가정학회 2012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ponse pattern of children of early childhood (ages 4 to 5) to strangers` luring behaviors that suggest imminent crime. Data were collected from registrants offered by four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dividual interviews were performed (N = 100) by using a questionnair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of early childhood responded unfavorably to strange adults` kindness and request for aid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y did not make the right decision in relation to strange adults` luring behaviors that lead to crime when family related clues were manipulated. Second, children of early childhood responded favorably to strange adults` luring behaviors that are suggestive of criminal intent when candy, ice cream, and toys were offered. Especially, youngsters were more prone to be deceived by these indices than the older children. Third, older children responded unfavorably to strange adults` luring behaviors that suggest a criminal intent In addition, youngsters did not respond cleverly to strange adults` luring behaviors that suggest a criminal intent while showing a reluctant response.

      • KCI등재

        부여 화지산 유적의 문헌사적 검토-유적의 성격과 관련한 몇 가지 제안-

        김영심 ( Kim Young Shim ) 백제학회 2024 백제학보 Vol.- No.48

        본고에서는 화지산 유적에 대한 그동안의 발굴성과를 문헌 기록과 접목시켜 유적의 성격을 규명해보고자 했다. 14차에 걸친 발굴 조사를 통해 대대적인 대지조성 작업과 19기의 초석건물지, 굴립주건물지, 팔각 우물, 氷庫, 중국제 백자 벼루와 도자기 등 중요한 유구와 유물이 확인되었지만, 아직 조사할 부분이 많이 남아있다. 따라서 본고는 현 단계의 중간 정리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화지산 유적은 6세기 후엽부터 7세기 초, 7세기 전·중반의 두 단계에 걸쳐 사비도성 정비 및 개발 공사의 일환으로 조성되었다. 국가적 차원에서 조성된 공적 시설인 화지산 유적의 성격을 사비시기의 離宮과 외교사신 영접시설[客館]이라는 차원에서 그 가능성을 타진해보았다. 아울러 화지산 유적이 조성된 시기에 익산 지역이 개발되고 왕궁리 유적과도 유사한 면이 있어 익산 지역과의 관계도 고려되어야 함을 언급했다. 무왕대의 宮南池, 大王浦, 望海樓, 望海亭 기사를 종합하면, 궁남지는 궁에 딸린 苑池이고, 망해루와 망해정도 왕과 관련된 시설이다. 궁성 바깥의 園囿 시설에서 군신들과 연회를 즐기는 모습을 상상할 수 있으므로 화지산 유적은 이궁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대외 교류와 외교를 중시한 백제에서 화지산 유적이 외교사절 영접시설로서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위덕왕대 및 무왕대에는 대중국 외교관계가 더욱 빈번해지고, 離宮이나 別宮이 외교적 용도로 사용되는 사례가 자주 보이므로 이궁으로 조성하거나 계획했다가 客館으로 전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외교사절이 백제 국왕을 알현하기 전에 머물렀던 도성의 중앙 객관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궁설과 객관설 모두 난방 및 취사시설이나 차단 시설이 발견되지 않는 점은 취약점이다. 현재 두 단계로 구분되는 화지산유적의 개발 시기가 좀 더 구체화된다면, 유적의 성격 내지 기능의 변화 양상도 추출해낼 수 있으리라 본다. In this paper, I attemp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ins by combining the excavation results of the Mount Hwajisan ruins with literary records. Through 14 excavations we found the remained structures and relics such as a large scale development of site, 19 building sites with foundation stones, building with buried pillar sites, octagonal wells, icehouse, Chinese white porcelain inkstones and some potteries. However, there remains something which require the full-fledged investigation. Therefore, this paper can be said to be an intermediate summary work at the current stage. The Mount Hwajisan ruins were constructed as a part of the Sabi Capital maintenance and development project in two stages: from the late 6th century to the early 7th century, and in the early/mid 7th century. I examined the attributes of the Mount Hwajisan ruins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facilities for national level. There might be high possibilities of a detached palace during the Sabi period or a facility for receiving diplomatic envoys. In addition, I proposed that the Mount Hwaji ruins should be examined with reference to the Iksan area, because their construction time were largely same with the development of Iksan area, and the characteric similarities with the Wanggung-ri ruins. If we synthesize the historical articles on King Mu’s era such as Gungnamji- Pond, Daewang-Po, Manghae-Ru, Manghae-Jeong, we can conclude that Gungnamji is a pond attached to the palace, and Manghae-Ru and Manghae-Jeong are facilities related to the king. Since it is possible to suppose the scene enjoying a banquet with the high-rank officials in a garden facility outside the palace, the Mount Hwajisan ruins can be assumed to be a detached palace.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ount Hwaji ruins were used as a reception facility for diplomatic envoys, because Baekje valued exchange and diplomacy with foreign countries. During the reigns of King Wideok and King Mu, diplomatic contacts with China became more often, and there were frequent cases of private or detached palaces being used for diplomatic purposes, so it is possible to suppose that those palaces were constructed or planned as detached palaces and converted into residences for foreign diplomats later.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as the central guesthouse of the capital where diplomatic envoys stayed before meeting the King of Baekje. Both the hypothesis of detached palaces or guesthouse for the diplomatic have the vulnerability of the deficits of heating, cooking or blocking facilities. If the excavation of the Mount Hwajisan ruins, composed of two stages, is to be progressed more, it can be possible to ascertain the characteristics or the changes of the uses of ruins from the new evidences.

      • KCI우수등재

        광고와 구전상황에서 자아규제초점이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심(Young Shim Kim),정형식(Hyung Shik Jung) 한국경영학회 2008 經營學硏究 Vol.37 No.2

        While previous research was mainly conducted from the advertising aspect, this study expanded the consumer's self-regulatory focus to WOM(word of mouth) situations. In advertising, interaction between self-regulatory focus and image/attribute advertisement message influenced consumer attitude. However, interaction between self-regulatory focus motivation and time pressure displayed different results from the established hypotheses. In WOM situations, consumers' self-regulatory focus significantly interacted with WOM information cue and purchasing time distance respectively, and thus it is elucidated that consumers' self-regulatory focus leads to forming varying product attitudes in advertising and WOM situations.

      • 사비시기 목간을 통해 본 百濟人의 삶과 道敎

        김영심 ( Kim Young Shim ) 단국사학회 2024 史學志 Vol.64 No.0

        본고에서는 백제인의 정신세계를 파악하기 위한 일환으로 목간자료에 남아있는 도교의 흔적을 찾아보았다. 사비시기의 목간자료에서 백제인의 정신세계를 보여주는 사례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지만, 불교는 물론 유교, 도교 등 다양한 사상과 종교적 배경을 가진 경우가 능산리 사지나 구아리, 쌍북리 일대에서 출토된 목간 자료에서 확인되었다. 능산리 사지는 554년 성왕의 사후 567년 능사 건립 시까지 다양한 의례가 행해지던 의례공간이었다는 점에서 의례의 성격에 대해 불교적 성격, 경계 제사, 도교와의 관련성 등이 지적되고 있다. 부여 쌍북리나 구아리 일대도 관아나 관아 근처의 공방지, 귀족의 거주지로 추정되는데, 여러 유적에서 백제 귀족의 삶과 생각을 엿볼 수 있는 목간 자료들이 출토되었다. 단지 목간 내용만이 아니라 출토 유물과 유적의 입지, 사비도 성의 전체적인 구조 속에서 목간 출토 유적의 성격이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사상적 배경을 가진 목간 중에서 도교 관련 목간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도교 醫藥내지 수행법과 관련된 ‘五石’ 목간과 함께 의례 및 주술 관련 목간으로서 도성 출입 의례와 관련된 남근형 목간, 死者儀禮와 관련된 목간에 대해 검토하고, 呪符 용도로 사용된 목제 인형 및 목간의 존재 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오석’ 목간은 백제인의 本草學에 대한 이해가 仙藥의 제조로까지 이어졌음을 말해준다. 아울러 習書 및 落書 목간은 고대인의 의식이나 사고과정이 반영된 생생한 자료라는 점에서 습서 목간에 자주 등장하는 ‘道’자를 포함한 글자의 의미에 대해서도 천착해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처럼 사비시기에는 목간에도 도교와 관련된 흔적이 남아있을 정도로 백제인의 생활 속에 도교가 자리잡았다. 사원과 승려가 도교 의례가 행해지는 공간, 의례의 주재자로서 기능했을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도교는 웅진·사비시기를 거치면서 도교는 불교와 함께 또는 불교의 범주 내에 포함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도교문화가 구현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the evidence of Taoism found in wooden tablets as an effort to understand the mental world of people in Baekje. There were not many cases showing the mental world of people in Baekje, appeared on the wooden tablets from the Sabi period. However, wooden tablets showing various ideologies and religious backgrounds, including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were excavated in the Neungsan-ri Saji, Gua-ri, and Ssangbuk-ri areas. The Neungsan-ri temple site was a place where various rituals were performed from the death of King Seong in 554 until the construction of Neungsa temple in ffi7.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rituals were considered as Buddhist in nature, boundary rituals, and relation to Taoism. Wooden tablets that provide a glimpse into the lives and thoughts of Baekje nobility were unearthed at various ruins in the Ssangbuk-ri and Gua-ri areas of Buyeo. These places are presumed to be government offices, workshops attached to government offices, or residences of nobles. Therefore, the nature of the excavated wooden tablet must be understood, not only based on the content of the wooden tablet, but also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excavated relics and remains, and within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abi Castle. Among the wooden tablets with various ideological backgrounds, the Taoist-related wooden tablets were intensively reviewed. The 'Five Stones' wooden tablets related to Taoist medicine and practice of asceticism methods, as well as wooden tablets related to rituals and magic, such as phallic wooden tablets related to rites of entering the capital city and wooden tablets related to rituals for the dead, ar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wooden dolls and wooden tablets used for incantatory purposes is also examined. The 'Five Stones' wooden tablet shows that Baekje people's understanding of medicinal herb developed into the manufacture of medicine for mortality. In addition, given that the practicing scriptures or scrawling scriptures on the wooden tablets are vivid historical sources that reflect the mind and thought processes of ancient people, I think we should look into the meaning of letters, including the character '道', that frequently appear in the practicing scriptures. In this way, the traces of Taoism remained even on wooden tablets showed us Taoism became established in the lives of people of Baekje during the Sabi period.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temples functioned as spaces where Taoist rituals were performed and monks as hosts of the rituals.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aoism was able to establish itself one of the various forms of culture along with Buddhism or within the category of Buddhism during the Woongjin and Sabi periods.

      • KCI등재

        연구논문 : 墓誌銘(묘지명)과 문헌자료를 통해 본 백제멸망 전후 □氏(니씨)의 활동

        김영심 ( Young Shim Kim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3 역사학연구 Vol.52 No.-

        본 논문에서는 최근 발견된 백제유민 彌氏 가족 4명의 묘지명과 문헌자료를 통해 백제멸망을 전후한 시기의 彌軍과 彌寔進의 이중적 활동상을 살펴보았다. 彌氏 가족 묘지명의 사료적 가치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으나, 이를 무조건 부정하기보다는 기존의 문헌자료와 연계시켜 합리적으로 해석해보고자 했다. 彌氏는 5세기 초에 백제로 이주한 중국 출신 세력이었다. 웅진지역에 정착하여 세력을 키워갔으며, 무왕대에는 중앙정계에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백제 멸망시 熊津方領이었던 □寔進과 그의 형 彌軍은 의자왕이 당에 투항할 때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그 공을 인정받아 당의 관직을 제수받았고, 당의 백제 故地 지배정책에 적극 참여했다. 彌寔進은 웅진도독부 예하의 東明州의 刺史로 활약했으며, 彌軍은 664년과 665년 두 차례에 걸쳐 왜에 사신으로 파견되고 또 670년 熊津都督府 司馬로서 신라에 가는 등 적극적인 대외활동을 하였다. <彌軍墓誌銘>에 기재된 彌軍의 활동 내용과 그가 받은 관작을 근거로 묘지명에 나오는 ``日本``과 ``僭帝``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日本``과 ``僭帝``라는 표현이 나오는 부분은 660년 泗□都城의 함락과 의자왕의 항복부터 663년 백제 부흥운동의 종말까지의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고 본다. 따라서 僭帝는 의자왕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일본서기』에도 기록된 □軍의 일본 방문이 백강전투의 수습과 관련된 것이라는 점, 663년 백강 전투에 일본군이 2만 7천이나 참여했으나 대패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日本餘嚼``의 ``日本``이 국호로 쓰였을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다. 한국이나 중국측 기록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른 사례와 함께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고찰할 필요가 있다. □氏 가족 묘지명은 중국 출신 □氏 가문의 백제 정착의 기록이자 백제멸망 이후 당의 관리로서의 활약상에 대한 기록이다. 彌軍과 彌寔進이 백제멸망시 보여주었던 모습은 이들이 백제사회에 정착했으되, 여전히 중국적인 색깔을 가지고 있는, ``二重性``을 띤 존재였음을 말해준다. 彌氏 가족 묘지명은 주민의 이동과 교류가 활발했던 고대사회에서 이주민들이 어떤 소속 의식과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고찰하는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This paper explores the controversial activities of two Ye`s family members, Ye Gun(彌軍) and Ye Shikjin(彌寔進), around the time of Baekje`s collapse through the analysis of four epitaphs of Ye family and related historical documents. Though Ye family moved into Baekje from China around the early part of the 5th century and settled in the Ungjin, far away region from Capital city, they secured the important position in the central government at the reign of King Mu. Ye Gun and his younger brother Ye Shikjin, who was Ungjin Bangryeong(方領, Province governor), distinguished themselves at the surrender of King Euija to Tang. They received the governmental post of Tang as rewards for their contribution, and participated actively in the ruling over the former territory of Baekje. Ye Shikjin was the General of Dongmyeong-Ju(東明州) under the Ungjin Commandery. Governmental duty of Ye Gun was specialized in diplomatic affairs including two times of dispatch to Wa as an ambassador and one time of visit to Shilla as a chief of staff of Ungjin Commandery. This paper tries to identify the words ``日本`` and ``僭帝``, which appeared in the epitaph of Ye Gun. Main argument for my assertion on the definition of the words ``日本`` and ``僭帝`` is that key incidents on the epitaph showing off Ye Gun`s public services were happened between 660, when Baekje collapsed, and 663, when the restoration movement of Baekje ended.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identify ``僭帝`` as King Euija of Baekje. Considering the purpose of Ye Gun`s visit to Wa was the resolution of problem aroused during the Baek River(白江) battle and the number of Wa`s armed forces who were deployed to the Baek River battle was 27,000, "日本" on the epitaph of Ye Gun might be the name of country Japan. The epitaphs of Ye`s family are the recordings of establishment of Ye`s family, who were the Chinese immigrants to Baekje, in the society of Baekje, and also the recordings of public activities of Ye`s family members as public officers of Tang after the collapse of Baekje. The activities of Ye Gun and Ye Shikjin during the era of Baekje`s collapse showed their duality from the point that though Ye`s family became the nationals of Baekje, they also kept their identity as Chinese people. The epitaphs of Ye`s family is the important recordings which showed the sense of identity and affiliation of immigrants from foreign countries in ancient societies, when the migration and interchange of inhabitants were frequent.

      • KCI등재

        七支刀의 성격과 제작배경

        김영심(Kim Young Shim) 한국고대사학회 2013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9

        본고는 백제와 왜 사이의 외교적 기념물로 주고받은 물건이 왜 칠지도와 같은 특이한 형상의 칼이었을까 하는 의문에서 출발했다. 정치적·외교적 차원에 치우친 검토에서는 이러한 의문이 해결되지 않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문화사적인 검토를 시도했다. 칠지도의 형상과 명문의 내용에 주목해서 칠지도의 성격과 제작배경을 규명하고자 했다. ‘五月十六日丙午正陽’, ‘生?百兵’, ‘宜供供侯王’, ‘奇生聖音’, ‘七支’ 등 일련의 명문이 ?邪와 吉祥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도교와도 연결됨을 밝혔다. 특히 백제와 왜의 관계에서 논란이 되었던 후왕은 당시 백제와 왜가 상하관계에 있었음을 보여주는 용어가 아니라 길상구임을 강조하였다. 나뭇가지를 형상화했다고 하는 칼 모양도 呪具로서의 성격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칠지도가 제작될 수 있었던 것은 당시 백제의 왕실이나 지배층에서 도교에 대한 이해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백제는 철기제작기술, 한자문화, 도교문화와 같은 선진문물을 가지고 있음을 과시하여 왜의 군사적 지원을 최대한 끌어내고, 우호관계를 맺으려는 의도에서 칠지도를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왜가 철을 비롯한 선진문물을 공급받기를 원했기 때문에 백제에서는 철로 만든 칼, 정치적 권위의 상징이자 도교에서 法器로 여기던 칼에 길상구를 적어 전해주었던 것이다. 백제가 우위에 있었다고 해도 그것을 명문에서 직접 드러내지 않고, 외교적 상징물에 선진문물을 집약해서 보여줌으로써 자신들의 외교적 목적을 달성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이 백제의 고도의 외교술이었다. ?;?;This study starts with the question why the diplomatic gift between Baekje and Wa was so peculiar style sword. While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review can not solve this question satisfactorily, I try to study the cultural aspect of the seven-branched sword. Focusing on the form of seven-branched sword and its inscriptions, I try to show the character and the production background of the seven-branched sword.<br/> ?;?;For example, I think that the inscription of ‘五月十六日丙午正陽’, ‘生?百兵’, ‘宜供供侯王’, ‘奇生聖音’, ‘七支’ has the meaning of avoiding the bad things and the best wishes, and has the relationship with the Taoism too. Among the new interpretations, the understanding that ‘侯王’ is not the evidence of dominance between Baekje and Wa, but the statement of best wishes should be emphasized. The form of the seven-branched sword, which resembles the tree branches, shows that the sevenbranched sword is the tool of incantation. I think that the familiarity with the Taoism among royal family and governing group in Baekje might be the background for making the seven-branched sword.<br/> ?;?;The purpose of making the seven-branched sword by Baekje might be to induce the military support fromWa and strengthen the alliance with her by showing off the advanced civilization such as the technology of iron manufacturing, Chinese character culture and Taosim. Providing the advanced civilization including the ironware to Wa, Baekje delivered the iron sword which symbolize the political authority and Taoist emblem with the holy inscription. Though the cultural dominance of Baekje was clear those times, Baekje did not show them directly in the inscription on the sword. Instead Baekje accomplished the diplomatic purpose by showing off her advanced civilization through the diplomatic symbol which condense all the cultural development over Wa. This fact might be interpreted as the evidence of highly developed diplomatic tactics of Baekje.

      • KCI등재

        6~7세기 삼국의 관료제 운영과 신분제

        김영심(Kim Young-Shim)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4

        본고에서는 삼국의 관료제 운영의 특징을 의관제 및 관등제, 신분제의 연결고리 속에서 살펴보았다. 국가의 공식행사에 참여하는 관료들이 서열에 따라 착용하는 冠에 대한 문헌 기록과 고고학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삼국의 衣冠制에 대해 먼저 검토하고, 삼국이 관료제를 운영해가는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관등승진 상한제와 함께 신분제의 폐쇄성 완화 조치에 주목하였다. 등승진 상한제와 함께 신분제의 폐쇄성 완화 조치에 주목하였다. 고구려의 의관제에 관한 기록은 가장 소략한 편이나, 冠制를 중심으로 기록된 것이 특징적이며, 관등의 높낮이에 따라 관의 형태나 관모의 색깔이 결정되었다. 신라는 色服志의 의관제 규정이 어느 시기에 해당되는 것이냐를 두고 논란은 있지만, 관등에 따라 복색이 정해져 있었으며 冠制는 관등과 관직의 이원적 기준이 적용되었다. 백제는 관등을 기준으로 해서 세 부류로 복색을 정하고, 그 내부에서 차이를 나타내기 위해 복색 이외에도 帶色, 冠色, 冠飾 등을 통해 차이를 가시화하였다. 관료 개개인의 서열을 외부적으로 드러냄으로써 관료사회의 질서를 정립하는 것이 의관제가 고대사회에서 가지는 중요한 기능의 하나가 아닐까 한다. 관료제의 운영과 관련해서는 삼국이 관등제 및 신분제를 운영해나감에 있어서 보이는 유사한 양상에 초점을 두었다. 관직에 대한 관등 규정인 1관직 복수관등제는 복수의 관등 중 최상위의 관등이 신분별로 사여될 수 있는 관등의 상한과 일치하기 때문에 관등 승진 상한제와 맥락이 통한다. 각 신분별로 수여받을 수 있는 관등군 내에서 개인의 능력을 인정해주려는 의도에서 출발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같은 신분층이 수여받을 수 있는 관등의 범주에 한정된 것이었기 때문에 한편으로는 신분의 고착화에 기여한 측면도 있다. 관등의 수여에 신분이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쳤음은 분명하다. 삼국별로 관등제의 정비시기에 차이가 있고, 정비의 과정도 동일하지는 않았겠지만, 관료제 운영에서 신분제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동일한 신분 내에서 수여받는 관등에 차이가 있는 것은 분명히 신분 이외에도 가문의 역량이나 개인적 능력이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같은 신분층이 받을 수 있는 官等群 내에서 가문의 역량이나 개인의 능력이 발휘될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1관직 복수관등제나 관등 승진 상한제는 폐쇄적인 신분제 속에서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였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focused on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three kingdoms' bureaucratic system through the relationship among the formal attire system, the official rank system, and the status system. Firstly, I surveyed the three kingdoms' formal attire system through the examining the documents and archaeological evidences on the official hats used by bureaucrats who participated in the countries' official ceremony. Secondly, I changed my focus onto the promotion limit system and the flexible status system in order to see the progress of the three kingdoms' bureaucratic systems. The documents on Koguryo's formal attire system is the scarcest among the three kingdoms, and was written focusing on the official hat system. According to the position in the official rank system, the pattern and color of official hats was determined. In Shilla, it was not clear when they established the formal attire system. According to the official ranks, the dress color was determined. The official hat system adopted the dual standards of official ranks and official posts. In Baekje, they adopted the three dress color system according to the official ranks. They also sub-categorized the official ranks by using the different belt-color, hat-color and hat ornaments. By differentiating the ranks among the bureaucrats officially through the belt-color, hat-color, and hatornament, they might have intended to bring on the order to the bureaucratic system. In view of operation of bureaucratic system, I focused on the similarities among the three kingdoms in the practice of official rank system and status system. The plural ranks for one position system was connected with the promotion limit system in the official rank, because the highest rank among the plural ranks for one position was actually the bounds of the official ranks available to a certain status. This system might have the purpose of giving the flexibility to the link system between the official ranks and the status system in oder to absorb the individual variability in the capabilities. However, the variability was confined to the limit of official ranks of a status, it might have petrified the status system. Determining the official ranks for individuals, the statu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periods of establishment of the official rank system, and in the process of its amendments, the importance of the status system in the operation of bureaucratic system were not easily ignorable. There also existed a lot of variances in the individual's official rank within the status. From this fact, we can infer there must be some other factors, such as the capability of the family and individuals, in determining the official ranks. The plural ranks for one position system or the promotion limit system can be interpreted as a palliative for the closed status system by allowing the opportunity for exerting the capability of family and individuals within the limits of linkage system between status and official ranks.

      • KCI등재

        일본 속 백제 유물의 범위와 의미

        김영심 ( Young Shim Kim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5 백제문화 Vol.1 No.53

        4세기 후반 공식적인 외교관계를 맺은 이후 백제는 일본에 선진문물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300년간 지속된 우호관계 속에서 인적 교류와 문물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백제와 왜의 관계를 보여주는 유물들이 일본에서 다수 확인되었다. 비교연구 자료가 증가한 만큼 그동안 백제유물, 백제문화라고 막연히 규정해왔던 것에 대한 명확한 개념 규정과 범위 설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백제에서 전해졌다고 해서, 또 백제계 이주민과 그 후예가 만들었다고 해서, 또 백제적인 요소 내지 특징이 보인다고 해서 무조건 백제 유물로 규정할 수는 없다고 본다. 일단 ‘일본 속 백제 유물’을 일본에 남아있는 백제 제작의 유물과 함께 백제적 요소가 더 비중있게 나타나는 백계 계통 유물이라는 의미로 규정하고 몇 가지 사례를 검토하였다. 백제에서 왜에 보내준 칠지도는 백제의 문화적 수준을 알 수 있는 중요한 寶庫이자 당시 동아시아의 상황을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일본에 불교를 전해준 나라가 백제였고, 백제에서 건너간 승려와 사찰 건축 및 불상 건립 기술자들의 도움으로 飛鳥寺와 法隆寺 등이 건립되었다. 법륭사에 안치 된 불상 중 구세관음보살입상이나 백제관음에서는 寶冠의 관대와 관식 같은 백제 불상에서 보이는 양식적 특성이 분명히 드러난다. 일본 속 백제유물을 검토하는 이유는 일본 속의 백제문화, 백제 유물을 파악함으로써 일본의 문화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고, 백제의 역사와 문화의 공백을 채워 넣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자료의 축적을 통해 ‘백제(계) 유물’의 성격과 위상을 정확히 자리매김함으로써 ‘백제적인 것’이 무엇인지를 찾아내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After the establishment of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Wa(倭, Japan), Baekje undertook the role of providing the advanced culture and civilization to Japan. There are a lot of relics found in Japan, which show the deep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Wa, including the interchange of personnel, culture and civilization over 300 years of friendship. It is the time to contrive the clear definition and the scope of the relics and the culture from Baekje in Japan, the meaning of which was not conspicuous notwithstanding the cumulation of comparative studies. It is not reasonable to assume all the relics transmitted from Baekje, made by immigrants from Baekje and their descendants, or indicating the features and the elements of Baekje as the Baekje’s relics. I’d like to define the Baekje’s relics tentatively as the relics which were made in Baekje and found in Japan or the relics which indicate the features of Baekje conspicuously. On the ground of my definition, Chiljido is the representative of Baekje’s relic.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Chiljido was transmitted to Wa from Baekje, it showed the level of cultural development in Baekje and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s among the countries in East Asia at that time. Following the fact that Baekje conveyed the Buddhism to Wa, and the monks and architects from Baekje helped to construct the temple and statutes of Buddha in Askadera(飛鳥寺) and Horyuji(法隆寺), it is easy to conclude that the standing statute of the salvation Bodhisattva of Compassion and the Baekje Bodhisattva of Compassion in Horyuji(法隆寺) show the features of Baekje’s statute of Buddha, especially in the points of the stand and the decorations of jewelry crown. It is important to survey the Baekje’s relics in Japan for the clear understanding of the Japanese culture and the interpolation of the blank space in the history and the culture of Baekje. The more be accumulated the analysis of Baekje’s relics, the clearer be the features and the position of the Baekje’s relics.

      • KCI등재

        Children's Involvement in Dance Program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김영심(Young Shim Kim) 한국사회체육학회 2013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52

        초등학교에서 제공되는 방과후 댄스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참가자들의 관여도 특성을 파악하여 관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최근 관여도와 관련된 연구는 여가 및 스포츠 분야에게 다양하게 연구되어졌다. 관여도는 어린이들의 여가에 참가하는 행동양식과 의사결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의 5개 학교에서 제공되는 댄스프로그램 참가 어린이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에 의하여 311명의 표본을 추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는 Laurent and Kapferer (1985)가 최초 개발한 관여도를 수정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댄스프로그램 참가 어린이들의 관여도는 다차원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스포츠 참가자들은 매력성, 자기표현, 위험성 하위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남학생보다도 여학생이 댄스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관여도가 높으며, 특히 자기표현과 매력성 하위요인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어린이들의 방과후 프로그램의 관여도를 높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