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셀프 조향 AI 디퓨저

        김영서 ( Yeong-seo Kim ),규현 ( Gyu-hyun Kim ),정예림 ( Ye-rim Cheong ),고나영 ( Na-yeong Go ),이경용 ( Kyung-yong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2

        코로나 19사태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이 지속되면서 사람들의 생활 형태가 변화된 양상을 띈다. 특히 모임 활동 및 단체 활동의 제한으로 개인 시간이 이전에 비해 증대되었다. 홀로 자택에 머무르는 시간의 증가로 인해 사회적 단절감과 고립감이 심화되며 “코로나 블루”로 일컫어지는 신종 정신질환이 많은 사람들에게 생겨나 사회적 문제로 이슈화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 고안된 새로운 디퓨저 개발과정 및 기존 디퓨저에서 볼 수 없었던 IoT기술과 조향기술과의 접목을 통한 차별성에 대해 서술하였다.

      • KCI등재후보

        인종 차별과 비판적 사고를 위한 영어 미디어 교수 자료

        김영서(Kim Young Suh) 영상영어교육학회 2005 영상영어교육 (STEM journal) Vol.6 No.2

        English teaching should help learners master higher levels of knowledge so that they can better understand race and ethnic relations and develop the language skills and abilities needed to make reflective persona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irstly, to investigate the teaching material through movies which can improve the critical thinking. Secondly, to describe multimedia teaching tool production processes which are linear and systematic to those that are iterative and transformational.

      •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 인정 기준 : 노동생명표를 이용한 은퇴기대연령의 활용 -대법원 2019. 2. 21. 선고 2018다248909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김영서(Young Seo Kim),서예린(Ye Rin Seo) 서울대학교 법학평론 편집위원회 2020 법학평론 Vol.10 No.-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은 손해배상 시 일실이익 산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된다. 대법원은 1989. 12. 26. 선고 88다카16867 전원합의체 판결 이후로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만 60세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대법원은 2019. 2. 21. 선고 2018다248909 전원합의체 판결(이하 ‘대상판결’)에서 경험칙의 기준이 되었던 제반 사정들이 현저히 변화하였으므로 만 60세를 넘어 만 65세까지도 가동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경험칙에 합당하다고 판시하였다. 대상판결의 다수의견과 별개의견 1, 별개의견 2는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만 60세를 넘어서까지 인정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이견이 없었다. 그러나 대법원이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일률적으로 특정 연령으로 선언해도 되는지 여부, 선언해도 된다면 어떤 연령으로 선언할 것인지에 대하여 견해를 달리했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가동기간의 의의 및 기능을 개관하고, 가동기간 전반에 관한 기존 대법원 판례의 흐름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가동연한 인정 기준에 대한 판례의 태도를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적용되는 가동연한의 인정 기준에 있어서 ‘경험칙상’ 가동연한이 가지는 체계적 위치를 규명하였다. 먼저 본고는 경험칙상 가동연한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요인과 노동시장 요인, 제도적 요인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 기존에 대법원이 인정하던 만 60세를 넘어 경험칙상 가동연한이 상향조정되어야 할 만큼 사회 현실이 변화했다는 점에 대해서 대상판결과 견해를 같이하였다. 다음으로 대법원이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특정 연령으로 단정하여 선언해서는 안 되고, 별개의견 2의 견해와 같이 포괄적인 법리를 제시하는 데에 그쳐야 한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더 나아가 손해의 공평한 분담이라는 관점에서 구체적 타당성을 추구하는 방법으로 바람직한 가동연한 산정방식의 탐색이 필요하고, 구체적으로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인정함에 있어서는 통계적인 수치를 활용하여 법 규범과 현실의 간극을 좁힐 것이 요구된다는 점을 보였다. 이 점에서는 고령자고용법상 법정 정년을 경험칙상 가동연한의 기준으로 하자는 별개의견 2의 견해와 의견을 달리하였다. 본고에서는 노동생명표를 이용한 연령별․성별 은퇴기대연령의 산출방식을 소개하고, 이를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인정하는 기준으로서 활용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언하였다. 이 방식을 통해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특정 연령으로 단정하여 선언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통계적인 수치를 활용하여 법 규범이 현실을 시의 적절하게 반영하도록 함으로써 구체적 타당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점을 보이고자 했다. 나아가 직종별 가동연한을 달리 보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는 별개의견 2의 첨언에 대하여, 직종별로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달리 보는 현재 대법원 판례의 태도가 타당하다는 입장을 개진하였다. The legal maximum working age based on empirical standards (hereinafter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of manual laborers is a very important criterion for calculating damages for lost earnings. Since the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88Daka16867 decided December 26, 1989, the Supreme Court had maintained the view that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of manual laborers should be 60 years old. However, in the en banc decision 2018Da248909 (hereinafter ‘the Case’), the Supreme Court declared that manual laborers are highly likely to work beyond the age of 60 to the age of 65, considering significant changes in the underlying soci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that substantiated the previous standards. The majority opinion, the first concurring opinion and the second concurring opinion in the Case all agreed that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of manual laborers should be beyond the age of 60. However, they disagreed with each other on whether the court can uniformly set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at a certain age and what the age should be, if the court could. By analyzing the existing Supreme Court cases concerning the legal working period including the Case, this paper identifies the status of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in the current legal regime for determining the legal maximum working age ultimately applied to an individual. This paper agrees with the Supreme Court that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should be raised from the age of 60, considering biological, economic, and institutional factors. However, this paper stands with and explores the second concurring opinion’s idea that the Supreme Court should refrain from declaring a uniform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for manual laborers and should only present comprehensive legal principles about it. Furthermore, this paper purports to show that the gap between legal norms and reality should be narrowed by adopting statistical measures in calculating damages, as it would enhance the specific justice. Regarding this point, this paper differs from the second concurring opinion, which contends that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should be primarily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legal retirement age set by the Act on Aged Employment. This paper introduces a method of estimating the expected retirement age by age and gender groups using the Work-Life Table, and subsequently suggests using it as the new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The new method is expected to enhance the specific justice as it would resolve the problems that may arise when the Supreme Court uniformly declares a certain age as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and ensure that legal norms reflect reality in a timely manner. Finally, whereas the second concurring opinion added that courts should not discriminate based on profession when determining the legal maximum working age,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Supreme Court’s current approach, which applies different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by profession, is more valid.

      • KCI등재

        이중층 자가조립 공정을 활용한 롤형태의 생체의료용 마이크로섬유 구조체 제작

        김영서(Yeong-Seo Kim),박석희(Suk-Hee Park) 한국기계가공학회 2022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21 No.2

        Numerous fabrication techniques have been used to mimic cylindrical natural tissues, such as blood vessels, tendons, ligaments, and skeletal muscles. However, most processes have limitations in achieving the biomimetic properties of multilayered and porous architectures. In this study, to embrace both features, a novel self-assembly method was proposed using electrospun microfibrous sheets. A bilayer microfibrous structure, comprising two sheets with different internal stresses, was fabricated by electrospinning a polycaprolactone (PCL) sheet on a uniaxially stretched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sheet. Then, by removing the stretching tension, the sheet was rolled into a hollow cylindrical structure with a specific internal diameter. The internal diameter could be quantitatively controlled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PCL sheet against that of the TPU sheet. Through this self-assembly method, biomimetic cylindrical structures with multilayer and porous features can be manufactured in a stable and controllable manner. Therefore, the resulting structures may be applied to various tissue engineering scaffolds, especially vascular and connective tissues.

      • KCI등재

        고등학생의 청소년활동 참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과 공동체의식 및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

        김영서 ( Youngseo Kim ),홍세희 ( Sehee Hon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21 조사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청소년활동 참여양상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잠재프로파일별 주관적 행복감 및 공동체의식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에는 한국방정환재단과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가 공동 조사한 ‘한국 어린이ㆍ청소년 행복지수연구’ 2019년도 데이터가 활용되었으며 연구대상은 총 2,798명의 고등학생이었다.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청소년활동 참여의 잠재프로파일 수는 4개로 나타났으며, 네 집단을 동아리 중심형, 종교 중심형, 활동 균형형, 참여 소극형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잠재프로파일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성별, 학년, 학교생활 성실도, 친구관계, 아버지 직업 유무, 가정경제형편, 지역규모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성별이 남성일 때 동아리 중심형보다 종교 중심형, 활동 균형형, 참여 소극형에, 종교 중심형보다는 참여 소극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고학년일수록 활동 균형형과 참여 소극형보다는 동아리 중심형에 소속될 승산이 높아졌다. 또한, 학교생활을 불성실하게 할수록 동아리 중심형보다는 활동 균형형이나 참여 소극형에, 그리고 종교 중심형이나 활동 균형형보다는 참여 소극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친구관계가 양호하지 않은 학생은 동아리 중심형보다는 종교 중심형, 활동 균형형, 또는 참여 소극형에 속할 승산이 높았다. 아버지의 직업이 있을 때 종교 중심형보다는 활동 균형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지만, 어머니 직업 유무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의 경제형편 수준이 낮을수록 동아리 중심형과 활동 균형형보다는 종교 중심형이나 참여 소극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지역규모는 클수록 동아리 중심형에 비해 활동 균형형에 소속될 가능성이 높았다. 셋째, 청소년활동 참여양상에 따른 잠재프로파일별 주관적 행복감과 공동체의식을 살펴본 결과, 종교 중심형, 동아리 중심형, 활동 균형형, 참여 소극형 순으로 높은 수준의 주관적 행복감과 공동체의식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이 양적, 질적으로 가장 열악한 집단인 고등학생에 주목하여 청소년활동 참여도와 이에 대한 영향요인 및 정서적 · 사회적 특성과의 관련성을 동시에 분석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청소년의 평균적인 참여도 분석에서 나아가 개인차를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방법론적으로도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latent profiles depending on the patterns of youth activity participation of adolescents and tested the effects of factors determining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profiles. The differences in the sense of community and happiness were also analyze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2018 Index of Happines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 sample of 2,798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were four latent profiles amongst adolescents, distinguished by their youth activity patterns; a club-centered group, a religion-centered group, an average group, and a paucity group.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d these profiles were gender, grade, conscientiousness in school, peer relationship, father’s employment status, family economic situation, and size of the region. Mother’s employment status have been shown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Lastly, high levels of subjective happiness and sense of community were reported in order of the religion-centered group, club-centered group, average group, and paucity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promote the happiness of adolescents in Korea.

      • KCI등재

        병원환경에서 ISM 대역의 텔레메트리 의료기기의 전파간섭 발생에 관한 연구

        김영서(Yung-Ser Kim),박승환(Seung-Hwan Park) 한국정보기술학회 2016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12

        Recently, the rapidly increased use of the wireless devices in the same ISM bands causes a malfunction of the medical instruments as the patient monitoring system.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at the radio interference influences on the medical telemetry equipments. Firstly, the current usage situation of the radio frequency with ISM band is analyzed for the telemetry medical system, and then the experimental method is proposed that installs the telemetry system between the Wi-Fi AP and the integrated Wi-Fi AP to effectively detect the influence of interference. In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 malfunction phenomenon due to the signal loss by dropouts occurs in the telemetry monitoring system.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can be reflected on the basis material for establishing the nations policy about the requirement of the exclusive frequency band of hospital medical instruments.

      • 채무자회생법상 해지 가능한 쌍방미이행 쌍무계약의 의미 고찰 - 대법원 2021. 5. 6. 선고 2017다273441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김영서(Yeongseo Kim),조연수(Yeonsu Cho) 서울대학교 법학평론 편집위원회 2022 법학평론 Vol.12 No.-

        대법원 2021. 5. 6. 선고 2017다273441 판결(이하 ‘대상판결’)은 민간투자법상 이른바 BTO 계약의 관리 · 운영 단계에서 사업시행자가 파산한 경우에 파산관재인이 채무자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이하 ‘채무자회생법’) 제335조 제1항에 의한 해지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 문제된 사안에서, 공법적 법률관계에도 채무자회생법 제335조 제1항이 적용 또는 유추적용할 수 있다고 하면서도, 이 사건에서 문제가 된 실시협약은 쌍방미이행 쌍무계약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해지권을 부정하였다. 우선 본고는 공법상 계약으로서의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은 채무자회생법상 해지규정을 적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후, 채무자회생법상 해지가능한 쌍방미이행 쌍무계약의 요건을 검토하여, 이 사건 실시협약에서 사업시행자의 유지 · 관리의무와 대전광역시의 사용 · 수익권 부여 의무는 상호 대등한 대가관계에 있으며, 전체 기간을 고려할 때에도 상호 견련성 있는 계속적 계약임을 밝혔다. 나아가, 사업시행자의 수익이 관리 · 운영 단계에 이르러 비로소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시설이 완공된 이후 미이행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쌍방미이행 쌍무계약으로 보는 것이 BTO 계약을 체결하는 양 당사자의 의사에 부합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본고는 해지권을 인정할 경우 민간투자법상 계약 전반에 대한 도덕적 해이를 우려한 다수의견의 논거에도 의문을 제기하였다. 채무자회생법상 보장되는 파산관재인의 해지권을 부정하는 경우, 주무관청이 계약을 해소하려 하지 않으면 파산으로 사업수행능력이 없는 사업시행자 측은 계약의 구속력에서 벗어날 방법이 없어 계약이 교착상태에 빠질 수 있다. 나아가, 해지권 행사로 인한 도덕적 해이의 문제는 해지권 자체를 부정할 것이 아니라 개별적 · 구체적 판단을 통해 신의칙에 따른 예외를 인정하거나, 해지 시 지급금 액수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해결하는 것이 타당하다. 대상판결의 다수의견은 BTO 방식의 민간투자사업에서 채무자회생법 해지규정을 통한 투자금 회수의 가능성을 차단하였다. 이에 따라 향후에는 파산 시 민간투자 사업자의 권리를 실시협약 체결 단계에서 상세히 규정하는 것이 중요해질 것이다. 또한, 일견 쌍방미이행 쌍무계약으로 보이는 상황에서도 계약이 양측 모두에 의해 해지되지 않고 교착상태로 남아 있을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그 공백을 입법적으로 어떻게 해결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17Da273441 May 6, 2021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ase”) inferred that Article 335 paragraph (1) of the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 applies either directly or analogously to the case where the project implementer goes bankrupt during the management and operational stage of a BTO contract, while at the same time denying the right to terminate the implementation agreement of the Case on the grounds that it did not constitute a bilateral contract unfulfilled by both parties.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 can be directly applied to agreements under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s. Furthermore, after reviewing the requirements of bilateral contracts unfulfilled by both parties,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implementation agreement of the Case fulfills to be (i) in an equal obligation relation, (ii) and in an unfulfilled state by both parties. Afterward, this paper questions the majority opinion of the Case concerning the moral harm that the recognition of the right to terminate might bring. If the bankruptcy trustee"s right to terminate is denied, the possibility of the contract reaching a deadlock increases. In order to resolve the moral hazard that might be caused by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terminate, it is better to acknowledge the exception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good faith, or to adjust the amount of payment upon termination through specific individual judgments. Since the Case denied the bankruptcy trustee’s right to terminate the implementation agreement, it is expected in the future that project implementors of public-private partnerships cannot seek a return of investment capital by claiming this right. Accordingly, it will become important to specify the rights of the project implementer in the event of bankruptcy when signing the contract. In addition, with the Case rises the possibility of the contract reaching a deadlock, further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seeking out ways to solve this legislative void.

      • KCI등재
      • KCI등재

        비판적 사고 하위성분과 영어 교육

        김영서(Kim Young Suh) 영상영어교육학회 2008 영상영어교육 (STEM journal) Vol.9 No.1

        English teaching should help learners master higher levels of knowledge so that they can develop the abilities needed to make reflective persona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irstly, to clarify the construct of sub-component of critical thinking. Three components to investigate are motivation to implement complex thinking, pursuit of validation and accuracy and intellectual curiosity. Secondly, to measure critical thinking ability among Korean English learners through questionnaires. The result shows there is no difference in English critical thinking regardless of subject's residence experience in English speaking country.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eaching material through internet and movies which can improve the critical thinking on ethnicity.

      • KCI등재후보

        웨이브렛 변환과 파워스펙트럼 분석을 통한 EEG 안정상태의 정량적 인식

        김영서,박승환,남도현,종기,길세기,민홍기,Kim, Young-Sear,Park, Seung-Hwan,Nam, Do-Hyun,Kim, Jong-Ki,Kil, Se-Kee,Min, Hong-Ki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7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8 No.3

        일반적으로 EEG 신호는 Alpha파, Beta파, Theta파, Delta파로 구분할 수 있다. Alpha파는 사람에게 있어서 가장 우세한 파형으로써 정신적으로 안정 시 잘 나타나는 뇌파이며, Beta파는 흥분 시 우세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EEG의 안정 상태를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웨이브렛 변환과 파워 스펙트럼 분석을 이용하였다. EEG신호를 웨이브렛 변환을 통해 Alpha파와 Beta파만 검출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을 이용 Alpha파와 Beta파의 파워 스펙트럼을 구하였다. 이후 Beta파의 파워 스펙트럼에 대한 Alpha파의 파워 스펙트럼 비율로 정의되는 상대적 안정상태비(Stable State Ratio)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피험자가 정상적인 활동 상태에서 정신적으로 편안한 안정 상태에 이르기까지 5분 이내가 16%, $5{\sim}10$분 사이가 9%, 그리고 최소 10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피험자집단이 총 69%로 우세하게 나타났다. The EEG signal in general can be categorized as the Alpha wave, the Beta wave, the Theta wave, and the Delta wave. The alpha wave, showed in stable state, is the dominant wave for a human EEG and the beta wave displays the excited state. The subject of this paper was to recognize the stable state of EEG quantitatively using wavelet transform and power spectrum analysis. We decomposed EEG signal into the alpha wave and the beta wave in the process of wavelet transform, and calculated each power spectrum of EEG signal, using Fast Fourier Transform. And then we calculated the stable state quantitatively by stable state ratio, defined as the power spectrum of the alpha wave over that of the beta wave. The study showed that it took more than 10 minutes to reach the stable state from the normal activity in 69 % of the subjects, 5 -10 minutes in 9%, and less than 5 minutes in 16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