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관절염 환자의 타이치 자조관리 프로그램 효과

        최미경,원동희,김연주,최미옥,임난영,송정희,Choi, Mi-Kyung,Won, Dong-Hee,Kim, Yeoun-Ju,Choi, Mi-Ok,Lim, Nan-Young,Song, Jung-Hee 대한근관절건강학회 2007 근관절건강학회지 Vol.14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ai-Chi self-help program for osteoarthritis patients. Method: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1th August. to 30th Dec. 2006. 27 osteoarthritis pati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Tai-Chi self-help program. Outcome measures were pain, flexibility and balance, self-efficacy. Data were analysed by SPSS WIN 12.0.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alance and knee flexibilit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ain and self-efficacy. Conclusion: In conclusion, Tai-Chi self-help program was proved to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increase the balance and flexibility. Also 12 forms of Tai-Chi self-help program has been found safely applicable to the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for 8 weeks. A rigorous research design should be further considered to identify the long-term benefit for this population.

      • SCOPUSKCI등재

        축육 소시지에 첨가한 키토산의 항산화 효과

        윤선경(Sun-Kyoung Youn),김연주(Yeoun-Ju Kim),안동현(Dong-Hyun Ah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3

        키토산은 오징어 내장유를 이용한 oil emulsion 중에서 분자량이 높을수록 항산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키토산을 다량의 지방이 포함된 축육 소시지에 첨가하여 10℃ 저장하면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키토산을 분자량별로 0.20% 첨가하고 아질산염을 150 ppm 첨가하였을 경우와 아질산염을 15 ppm 첨가하였을 경우 모두 키토산의 분자량이 높을수록 항산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어떤 분자량의 키토산에 있어서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 효과는 크게 나타났다. 키토산의 전자공여능은 분자량이 크고 농도가 높아질수록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 키토산의 항산화 효과는 분자량이 클수록 첨가량이 많을수록 우수하며, 특히 가열 처리시에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키토산의 항산화 효과는 단독으로 항산화제로 사용하기에는 미흡하여 소시지와 같은 지방이 포함된 식품에 있어 다른 항산화제와 더불어 키토산을 첨가하면 어느 정도 보존성 및 산화방지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large quantity of fat is added in processing of emulsion sausage. It is bring about deterioration and toxic substance by oxidation. Antioxidants are generally used as a protection material of oxidation for a storage and preservation of foods. In terms of stability of foods and health of human, development of a high effective antioxidants in a natural is required. Chitosan which is made from chitin by processing of deacetylase, has various function of antibiosis, antimutation and antioxidation and so on. We studied about the antioxidation of chitosan using to emulsion sausage. As a results, antioxidaive effects of chitosan were increased with the larger molecular weight and the higher concentration. M.W. 30,000 and M.W. 120,000 of chitosan have more 20% of antioxidation effect in emulsion sausage. Because chitosan have not 100% of antioxidation effect, we concluded that it has synergy effect by using with other natural material which has an effect of antioxidation.

      • KCI등재

        키토산 첨가에 의한 양념 우육의 보존성 개선에 관한 연구

        윤선경(Sun-Kyoung Youn),허종현(Jong-Hyun Her),김연주(Yeoun-Ju Kim),최정수(Jung-Su Choi),박선미(Sun-Mee Park),안동현(Dong-Hyun Ah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키토산 분자량 약 120 kDa을 농도별로 제조한 후 양념 우육에 첨가하여, 양념 우육의 보존성 및 품질향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생균수, 지질 산화도, pH, 색도와 보수력을 측정하였다.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생균수는 증가하였으며, 키토산을 첨가한 것은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생균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장 10일째 키토산을 전혀 첨가하지 않은 양념 우육은 생균수가 10^7 cfu/g까지 증가한 것에 비해, 키토산을 0.1%이상 첨가한 양념 우육은 10^5 cfu/g정도로 나타났다. 따라서 키토산의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저장성은 향상되었으며, 키토산을 0.1%이상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저장성이 상당히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BARS의 경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키토산을 첨가한 경우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TBARS의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키토산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TBARS의 함량은 낮게 측정되었으며, 키토산을 0.5% 첨가하였을 때 산화억제효과가 있었으나, 1.0% 첨가 시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산화억제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양념 우육의 색도 변화를 살펴보면, 키토산을 첨가한 양념 우육은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적색도가 높게 유지되었다. 양념 우육의 보수력은 키토산을 첨가한 양념 우육은 저장 초기 낮게 나타났으나 저장 중 안정되게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분자량 약 120 kDa의 키토산을 0.1%이상 양념 우육에 첨가하면 저장성 및 품질유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has been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fferent concentrations (0%, 0.05%, 0.1%, 0.5% and 1.0%) of M.W. 120 kDa of chitosan on improvement of shelf-life and quality in the spicy beef meat. The spicy beef meat without chitosan has not shown the extended effect of storage. However, concentration of more than 0.1% of chitosan have a very strong effect on shelf-life improvement of spicy beef meat. In antioxidation, spicy beef meat with 1.0% of chitosan has shown remarkable effect. The pH value and water holding capacity of these spicy beef meat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various concentration of chitosan treatments during storage periods. The value of red color was stable in samples treated with chitosan during period of storag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축육소세지의 저장성 및 품질에 미치는 첨가 키토산의 영향

        윤선경(Sun Kyung Youn),박선미(Sun Mee Park),김연주(Yeoun Ju Kim),안동현(Dong Hyun Ahn) 한국키틴키토산학회 1999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Vol.4 No.4

        N/A This study was done an effect of storage prperty and quality in meat sausage by added different molecular weight of chitosan respectively. The storage property was shown a firm at M.w 30,000 and M.w 120,000 of chitosans. When sausage was added over 0.2%(v/v)of chitosan, a storage property was highly enhenced. Eventhough sodium nitrite was added 50%(v/v) of stadard volume, a sausage added chitosan kept up a storage property. PH of these sausage was 5.95-6.10 lower than that of stadard sausage. The value of red color increased by added chitosan. That color was good a sausage with just 50%(v/v) of standard volume of sodium nitrite. emulsion stability became stabilized below M.w 30,000 of chitosan, but decreased M.w 120,000 of chitosan. Hardness of sausages increased large molecular weight; but it was a sausage of low quality by added M.w 120,000 of chitosan. As a result, M.w 30,000 of chitosan has extremely good an effect of improve in quality and storage Property of sausage. It has a partially substitute effect of sodium nitr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