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새로운‘설교학 운동’(the New Homiletics)에 대한 미래지향적 고찰

        김양일(Yang-Il Kim) 영남신학대학교 2020 신학과 목회 Vol.54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consideration of The New Homiletics, which began around North America in the 1970s, which emerged as a substitute for traditional preaching that has sustained the 300 years history of the West, and its future prospects. To this end, we will first look at the rationale behind the emergence of the new preaching movement through the philosophical, theological, and theological backgrounds of The New Homiletics. Consideration of this background is the most necessary work fo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modern homiletics. And by looking at the development process before and after that around the 1970s, when the New Homiletics emerged in earnest, we try to get a clear picture of The New Homiletics. Looking at this process of change will be an important foundation for predicting how the sermon will change in the future. Finally, by giving the outlook for the future of The New Homiletics, Its specific direction is first: sermons seeking aesthetic perspectives, sermons in harmony with tradition and new things, sermons confirming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gospel, sermons considering the online situation, and sermons in accep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hurch. it will suggest the right direction for modern homiletic.

      • KCI등재

        걸음마기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양은(Kim, Yang-Eun),하지영(Ha, Ji-Yo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5

        본 연구의 목적은 걸음마기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그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18~36개월 영아를 둔 어머니 141명 이었으며,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t 검증, ANOVA, Pearson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자녀와 어머니의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영아의 월령, 출생순위와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출생순위, 어머니의 연령, 영아와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성과 부모역할 부담감 및 디스트레스 수준이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셋째,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에 가장 강력한 예언변인은 어머니의 연령과 영아의 부정적 정서성으로 나타났다. 또,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성도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을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영아 및 어머니의 특성에 따라 어머니가 자녀의 부정적 정서를 다루는 방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부정적 정서가 증가하는 걸음마기 영아들을 훈육함에 있어 어머니가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 적합한 반응을 할 수 있도록 그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variables and the influence affecting mothers’ reaction to toddlers’ negative emotions. Subjects were 141 mothers with toddlers aged 18 to 36 months and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if mothers’ reaction to their toddlers’ negative emotions varie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of toddlers and mothers and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depending on toddler’s month, birth order and mother"s ag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ddler"s birth order, mother"s age, negative emotionality of toddlers and their mothers, parenting burden and distress level and mother’s unsupported reaction to her toddler’s negative emotion. Third, the most powerful predictors to mother’s unsupported reaction were found to be mother’s age and negative emotionality of toddlers. And it was also found that negative emotionality of mothers is a significant variable predicting unsupported reaction of mothers. This study found that the mother’s way to deal with her child’s negative emotions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oddlers and mothers.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providing the basic materials to ensure that mothers can do appropriate reaction for the healthy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in training toddlers with increasing negative emotions.

      • KCI등재

        어머니의 부모효능감과 역기능적 훈육방식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양은(Kim, Yang-Eun),하지영(Ha, Ji-Yo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4

        본 연구의 목적은 훈육기에 해당하는 2~3세 유아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부모효능감과 역기능적 훈육방식이 양육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3세 유아의 어머니 181명이었으며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효능감과 역기능적 훈육방식 중 과잉훈육,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서로 유의미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또 어머니의 부모효능감과 과잉훈육은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과잉훈육은 부모효능감과 양육행동을 매개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효능감이 높을수록 과잉훈육은 하지 않으며 과잉훈육을 적게 할수록 바람직한 양육행동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s self-efficacy for parenting task and dysfunctional parenting in discipline situations to their parenting behavior for children. The subjects were 181 mothers with children ranging from 2 to 3 years of ag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1) Self-efficacy for parenting task index(Coleman & Karraker, 2000), 2) Measure of dysfunctional parenting in discipline situations(Arnold et al., 1993; revised by Choi, 2001), and 3) Parenting behavior(Lawton et al., 1984; revised by Ahn, 2000).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other’s self-efficacy for parenting task and overreactivity, which is one of the dysfunctional parenting in discipline situations were related to the parenting behaviors. Also, mother’s overreactivity has mediation effect between mothers’ self-efficacy for parenting and parenting behaviors for their children’s development.

      • KCI등재

        미디어 교육 교육과정 모델 구성에 관한 연구

        김양은(Yang-Eu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7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7 No.1

        이 논문은 미디어 교육의 교육과정을 구성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미디어 교육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패러다임에 의해서 개념 및 목표가 변화해 왔다. 이같은 변화는 결과적으로 미디어 교육의 교육내용도 변화시켰다. 미디어 교육 교과과정 설계 모델은 국가별로 매우 다양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영국, 캐나다, 독일, 호주, 미국 등의 대표적인 미디어 교육 모델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국내 미디어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미디어 교육의 교육내용 설계를 위한 모델을 제시하고자 했다. 일반적으로 외국의 미디어 교육 교과과정 설계 모델은 개념 중심의 접근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에서도 개념 중심의 접근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미디어 교육의 교과과정을 설계하기 위한 모델에서 ‘개념’을 ‘내용’과 ‘목표’ 차원으로 분리해서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 교육의 목표를 미디어 지식, 미디어 감상, 미디어 분석, 미디어 생산으로 분류하였으며, 미디어 교육의 내용을 미디어, 텍스트, 이용자의 3가지로 재구성했다. 이는 교육현장에서 포함될 교육내용을 목표차원으로 분리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4가지 제시된 목표의 균형적 감각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study's purpose is to present model for constructing of media education's curriculum. The concept and goal of media education have changed by various media education's paradigm historically. Also this changed the content and the goal of the media education. Curriculum model of media education is various by the nation. AS so the study analyzed the media education's curriculum model to be applying in USA, United British, German, Australia, Canada. Through this, the model for constructing of media education' curriculum is presented. The curriculum model helps to be executed systematically media education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 The model is composed of the goal and content. The goal of media education is composed of media knowledge, media appreciation, media analyze, media production. The content of media education is composed of Media, Text, User.

      • KCI등재후보

        중년층의 노후준비 수준에 관한 연구

        김양이(Kim Yang Ie),이채우(Chae Woo Lee)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8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19 No.-

        In this rapidly changing aging society, the recognition toward one s preparation for old age of the middle-aged is increasing. Systematically preparing physical, emotional, and financial arrangements for the approach of senescence is a very important task of the middle-ag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level of preparation for old age among middle-aged people and to clarify factors that influence it in order to investigate desirable plans.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ing from structured questionnaires done among 480 middle-aged Iksan city citizens between 40~60 years ol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2.0. The following are analysis results. First, the most influencive factor of preparation for old age of the middle-aged was whether the person had established a plan for his/her senescence. Those who already had a senescence plan were doing well in preparing physically, emotionally, and financially. Second, other factors that affected preparation for old age were monthly income, academic background, benefits from pension system, and the intension to enter an institute. These were all related to economic power, and is interpreted that practically a certain financial leeway was required to prepare well. Third, whether a person had a religion influenced the emotional preparations for old age. This is considered to be from the emotional stability or faith toward afterlife supporting people to accept senescence more steadily. Fourth, gender, life partner, age were also influencing factors. Women tended to be more successful in financial and emotional preparations. Those with a life partner were generally better than those that were single. Preparations improved as age increased. This result indicates that women are more prudent and ready than men. Results of people with a life partner being better also is considered to be caused from the women s readiness. As for age, the recognition of being an old aged person gets higher as age draws closer to senescen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measures for preparing old age of the middle-aged were proposed. First, preparing for old age should be started in full-scale since the middle age. The family should make plans together and measures that can be practiced by the whole family are required. Second, development of programs in social welfare and a systematic replenishment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should be presented to middle-aged people. That is,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methods for creating income, financial management, health control, disease prevention, measures for using spare time created from loss of social, familial roles can be developed in gender, age, region, and preference by social welfare institutes or social groups. This would help carry on their own lives independently and actively manage them in the old age. Third, preparation for old life should be studied and developed at a level that predicts and reflects the principle of universality and assortment of service users thoroughly from a future-oriented viewpoint. The post-industrial society 2~30 years from now on is expected to be a super-aged society. An attitude and effort of active preparation by individuals, family, society, and the government are demanded so that the elderly people who would become the mainstream of that era are compensated for their young, middle age lives sufficiently, and that they can lead on their lives being able to accomplish self-coordination. 급변하고 있는 고령화시대에 중년층들이 자신의 노후생활 준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닥쳐올 노년기를 준비하기 위해서 신체적, 정서적, 경제적 준비를 체계적으로 해 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한 중년기의 과업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년기를 준비해야 하는 중년층을 대상으로 노후준비정도를 파악하고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함으로써 노후준비에 대한 바람직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도농 및 소도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40세에서 60세 사이의 중년층 48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에 의한 자가 보고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노후계획수립의 유무로서 노후계획수립이 된 사람은 신체적, 정서적, 경제적 노후준비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월수입, 학력, 연금혜택 유무, 시설입소의사 등도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는 모두 경제력과 관련된 변수로서 현실적으로 경제적 여유가 있어야만 노후준비를 잘 할 수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셋째, 종교의 유무가 정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정서적 안정감이나 사후세계에 대한 믿음이 노년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맞이하도록 지지할 것이라는 신념 때문으로 사료된다. 넷째, 성별과 배우자 유무, 연령 등도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는데 여성이 경제적, 정서적 노후준비를 잘 하고 배우자가 있는 자가 총체적으로 노후준비를 잘 하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노후 준비를 잘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 같은 결과는 여성이 남성보다 세심하고 준비성이 강하며 배우자가 있는 경우에도 여성의 준비성 때문으로 보며 연령은 노년기에 가까워져야 노인이라는 인식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대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노후준비는 중년기부터 본격적으로 준비해야 하며 가족이 함께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는 가족차원의 대책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중년기를 대상으로 노후준비를 위한 사회복지적 차원의 프로그램 개발과 필요한 각종 정보 및 지식의 체계적인 보급이 필요하다. 즉 노후준비를 위한 소득창출방법 및 재정관리, 건강관리 및 질병예방, 사회적·가족적 역할상실로 인한 여가활용방안 등과 같은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성별, 연령별, 지역별, 선호도별로 사회복지기관이나 사회단체에서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노년기에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영위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준비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노년기 생활에 대한 준비는 미래지향적인 관점에서 서비스 이용자들의 보편성과 선별성의 원칙을 충분히 예측하여 반영하는 수준에서 연구·개발되고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2~30년 후의 후기산업사회는 초고령사회가 예상된다. 그 시대에 사회의 주류를 이룰 노인들의 삶이 청·장·중년기의 삶을 충분히 보상받고 자아통합을 이룰 수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국가적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준비하는 태도와 노력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 KCI등재후보

        요양보호사 직무만족도의 변화에 관한 비교연구

        김양이(Yang-E, Kim)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2016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20 No.-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a method to improve care helper duty satisfaction by investigating change factors after comparatively analyzing papers on theirDuty satisfaction released in 2009 when the silver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was launched and in 2015. For this, a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236-245 care helper in elderly care facilities in Jeju,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30-40s was more than half of the total number in terms of care helper age. Recently, however, those in 40-50s account for 83.5%. In terms of educational background, high-school graduates exceed the half of total care helper. While the number of singles and social welfare workers has declined, the number of the care helper with diverse licenses (e.g., patient sitter, certified nursing assistant, cook, etc.) has considerably increased. The number of Christians has decreased in half while the number of Buddhists has doubled. In particular, care helper wages have increased by KRW 500,000 from the beginning. As a result, those earning KRW 1.5 million or more per month now account for 87.7%. In terms of the length of employment, those with 3 years or longer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009. Furthermore, turnover intention has recently doubled. In terms of the field of turnover, turnover intention to the fields other than social welfare has greatly increased. In terms of turnover causes, job unsuitability has considerably increased from the beginning. Second, regarding duty satisfaction,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depending on gender, education, marital status, relig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beginning. Recently, difference in duty satisfaction was observed in turnover intention only. In terms of duty satisfaction by turnover intention,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satisfaction with job value, satisfaction with work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with job stability in the beginning. Recently, satisfaction with practical skill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as well. Third, regarding job desire by education,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between pay and peer relationship in the beginning. Recently, however, the considerable difference was found in work desire only. Regarding job desire by turnover intention,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in all categories such as wage, work and peer relationships in the beginning. Recently, in contrast, the change was found in wage desire and work desire only. Fourth, in terms of the factors affecting duty satisfaction, wage desire and peer relationship desire were the highest. The said results suggest the ways to improve care helper duty satisfaction as follows: First, care helper should be given appropriate breaks to prevent accidents, and male care helper should be provided. Second, to overcome retreat i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it is needed to expand educational opportunity and establish a team-based organization. Third,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there should be a specialty & hoppy development support program which gives care helper the opportunity of education and self-development. Fourth, there should be an institutional ground which can give veteran care helper child (or grandchild) an incentiv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mileage system. Fifth, to increase care helper wage desire and peer relationship desire for the improvement of theirDuty satisfaction, there should be more support on statutory holiday pay, nighttime pay, birthday party, regular hoesik (staff dinners) and club activities. 본 연구는 노인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시행초기인 2009년(초기)과 2015년(최근)에 진행한 요양보호사들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논문을 비교ㆍ분석하여 변화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제주도 소재 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236~245명을 대상으로 조사ㆍ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연령대가 초기에는 3~40대가 과반수이상이었으나 최근에는 4~50대가 83.5%로 고령화가 심화되었고 학력은 초기보다 고졸출신자가 절반을 넘었으며 미혼자와 사회복지사가 감소하고 간병인, 간호조무사, 조리사 자격증 보유자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기독교인이 절반으로 감소하고 불교인이 배로 증가한 현상을 보였다. 특히 급여수준은 초기보다 50만원정도 증액되어 150만원이상이 87.7%이며 근무기간은 초기에 비해 3년이상 근속자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직의사는 초기에 비해 최근에 배로 증가하였으며 이직분야는 사회복지 이외의 분야로의 이직의사가 크게 높아졌고 이직사유는 직무의 부적합성이 초기에 비해 큰 폭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도는 초기에는 성별, 학력, 결혼상태, 종교, 이직의사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최근에는 이직의사 만이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으며 이직의사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초기에는 직업의 가치적 만족감, 직무환경의 만족감, 직업의 안정적 만족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최근에는 실무 기술적 만족감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직무욕구에서 학력에 따른 직무욕구가 초기에는 보수욕구와 동료관계욕구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최근에는 업무욕구만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이직의사에 따른 직무욕구는 초기에는 보수, 업무, 동료관계 욕구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최근에는 보수욕구와 업무욕구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넷째,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보수욕구와 동료관계욕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방안으로는 첫째, 요양보호사의 고령화로 인한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한 휴식시간의 적절한 안배와 남자 요양보호사의 확충이 필요하다. 둘째, 학력의 저하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교육기회의 확대와 팀장의 조직체계가 요구된다. 셋째, 이직의사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문성 확대를 위한 교육기회 확대와 자기계발을 위한 특기/취미개발 지원프로그램을 시행해야한다. 넷째, 장기근속자들을 위한 마일리지제도를 도입하여 자녀 또는 손자녀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적 근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수욕구와 동료관계욕구를 높이기 위하여 공휴일수당, 야간수당제 도입과 생일행사, 동아리활동 지원 등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김양은(Yang-Eu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8 No.-

        본 연구는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미디어 교육을 둘러싼 2가지 차원에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로,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 수용자의 이용자로의 변화, 교육환경의 변화의 3가지 차원에서의 미디어 교육을 둘러싼 환경변화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미디어 교육의 다양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역사적으로 미디어 교육이 미디어 이론과 연관성을 맺으면서 발전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미디어 교육의 환경과 이론적 토대의 변화는 미디어 교육의 개념이 변화해야 할 필요성을 말해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학자들이 제시하는 미디어 교육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미디어 교육은 초기의 텔레비전에 대한 교육에서 새로운 학문영역으로 정의되고 있다. 또한 미디어 교육은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에 따라서 커뮤니케이션 능력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으로 확장시켜야 한다. 이러한 변화는 미디어 교육이 언어적 차원, 미디어 내용의 비판적 해석, 사회와의 소통이라는 다양한 형태로 확장되어짐을 의미한다. This study's purpose is a search for the conceptual variety of media education. For this purpose, media education's surrounding is used to search by two of view. First view is about the condition of media education that includes an advent of new media, consumer's attitude change to user and variety of educational change. And then the variable paradigm of media education are viewed how it is connected with the theories of media with time. Change of surrounding and theoretical variety tell us why concept of media education should be revised. So, in this study, many scholar's definitions of the media education are regarded. From the early stage of education for the television, the media education's definition has formed as new field. After that, media education expanded to the media literacy as communication competence with an advent of new media. This means that media education would be variably extend to verbal media education, critical interpretation of the contents and communication with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