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폐기물처리시설의 열처리분야(소각, 소각열회수, 열분해) 검사기준 및 방법

        김수향(Suhyang Kim),권준화(Junhwa Kwon),최정우(jeongwoo Choi),김장영(Jangyoung Kim),박찬(Chan Park),한태욱(Taeuk Han),손준익(Junik Son),김영란(Younglan Kim),강준구(Jun-gu Kang),전태완(Tae-wan Jeon)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2023 한국열환경공학회 학술대회지 Vol.2023 No.1

        현재 국내에서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및 정기검사가 가능한 기관은 「폐기물관리법」 제 30 조의 2 에 따라 환경부령으로 정한 기관 또는 단체등 검사기관으로 규정이 되어 있으며, 시설별 검사가 시행되고 있다. 폐기물처리시설 검사대상 시설은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제 41 조에 따라 소각시설, 매립시설, 멸균분쇄, 음식물류 폐기물처리시설, 시멘트소성로, 소각열회수시설, 열분해시설 등 총 7 개 분야로 분류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처리시설의 검사방법에 관한 규정」 (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 2023 ― 14 호) [별표 1 폐기물소각시설의 세부검사방법], [별표 6 소각열회수시설의 세부검사방법], [별표7 열분해시설의 세부검사방법]의 검사기준 및 세부검사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 폐플라스틱 열분해시설의 공정 및 배출가스 성상분석 연구

        김수향(Suhyang Kim),박찬(Chan Park),최정우(jeongwoo Choi),김장영(Jangyoung Kim),권준화(Junhwa Kwon),한태욱(Taeuk Han),손준익(Junik Son),김영란(Younglan Kim),강준구(Jun-gu Kang),전태완(Tae-wan Jeon)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2023 한국열환경공학회 학술대회지 Vol.2023 No.2

        국내 플라스틱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쓰고 버려지는 폐플라스틱 문제가 국제사회의 환경 위협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폐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오염, 해양의 미세플라스틱 등의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폐풀라스틱을 처리하기 위한 순환경제 전략이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 폐플라스틱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폐플라스틱 열분해가 주목받고 있다. 열분해는 무산소 조건에 서 폐폴라스틱을 가열함으로써 고분자 화합물을 저분자 화합물로 분해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열분해오일을 생산하는 공정으로 환경부에서는 2030년까지 폐플라스틱의 열분해 처리비중을 10%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열분해 시설에서 배출되는 공정 및 배출가스를 채취하여 가스상 9개, 입자상 7개 물질의 실측값에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8 의 대기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 올 준용하여 환경성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환경성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PBL 수업에서 대학생의 학습동기와 창의적 문제해결력 효과 및 학습양식 간의 관계

        김수향 ( Soohyang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PBL 수업이 대학생의 학습동기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자의 학습양식과 학습동기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대학에서 ‘아동권리와 복지’ 교과목을 수강한 40명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한 학기 총 15주차 수업 중 12주차 수업을 PBL로 진행하였다. PBL 수업의 효과와 학습자의 학습양식, 학습동기,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PBL 수업은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BL 수업은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PBL 수업에서 학습자의 ‘참여형’ 학습양식 유형이 학습동기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높은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BL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개별학습자의 특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보다 다양한 팀 기반 활동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motivations,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e and learning styles in PBL calss. It recruited 40 students who took the course of ‘Children’s rights and welfare’ in a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as the subjects. Then, it progressed 12 sessions of the PBL class, among a total of 15 sessions during a semest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learners’ learning styles and motivations, and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e, each of pre- and post-test of them was conducted.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First, PBL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learning motivations; Second, PBL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e; Third, learners’ ‘participatory’ learning style had a higher correlation with their learning motivations and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e in the PBL class. To improve the effects of the PBL, it should be considered individual learner’s characteristic and develop various types of team based lesson metho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이 유아의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수향(Kim Soohy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만5세 유아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각 36명이었으며, 문제해결 능력의 측정은 Hennessey와 Amabile(1988)의 문제해결 능력 측정척도로 평가하였다. 실험집단의 경우 유아의 문제해결 과정을 본 연구자가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으로 재구성하여 12주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실험집단과 동일한 그림책만 들려주고 일반적인 유치원 활동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적 문제해결보다 문제해결 능력에서 유아들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은 유아들의 문제해결 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picture-books on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kindergarten children.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72 young children who were each five years old, and enrolled at "J" kindergarten in Ulsan. They were assigned 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test scores. Each group had 36 children, one group was designa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E) and the other as the comparative group (C). The tests used were the "Hennessy & Amabile(1998)'s problem solving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E) participated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12 weeks. Data management was performed by SPSSWIN 10.0, T-test was use for analysis. The findings were following: 1.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picture-books has enhanced problem-solving performance ability. 2.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picture-books has enhanced problem-solving applying the idea.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the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picture-books can help young children develop problem solving ability. I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is truly a tool for solving problems, then it should be encouraged at an early age so that it becomes a natural and accepted part of children's intellectual functioning.

      • KCI우수등재

        어린이집 입학상담의 지금-여기(here and now)

        김수향(Soo Hyang Kim),권은주(Eun Joo Kwon),정경화(Kyung Hwa Chung),이영림(Young Rim Lee) 한국아동학회 2011 아동학회지 Vol.32 No.3

        The purpose of study is to understand how a principal of a child-care center and parents accept different episodes and experiences in admission counselling and their use of metaphorical expressions about this, and to illuminate the current state of play by examining the requirements of parents in selecting a child-care center. The subjects were 10 principals of private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the Gyeongsangbuk province of Korea, and the research materials for episodes and metapho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means of in-depth and telephone interviews during an application period. In terms of the overall climate of the admission counselling, as shown in the various episodes, our results indicated that an increase of parents`` demands occurred through a primarily consumer-centered environment, and the sudden increase in a fathers`` participation, the inside circumstances of admission counselling in progress throughout the year, the non-existence of respect and credibility and the continuity of conflicts and were all observed to co-exist. In terms of the emotional meaning of counselling via metaphors, the following emotions could be inferred; hopelessness, anger, lethargy, stress, fear and eagerness. It is anticipate that this study will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better illuminating and improving the current climates of here and now admission counselling.

      • KCI등재

        표준보육과정 생활주제에 기초한 요리활동 과정이 만 2세 영아의 수학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수향 ( Soo Hyang Kim ),진선량 ( Seon Ryang Ji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표준보육과정 생활주제에 기초한 요리활동 과정이 만 2세 영아의 수학개념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은 경북 G시에 소재한 S어린이집 만 2세 영아 20명을 대상으로 "Piaget식 수학 개념 발달 검사"를 통해 집단을 임의로 10명씩 두 집단(실험·통제)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8주간 1주일에 2회씩 총16회 요리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자유놀이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수학개념 형성과정은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16회의 요리활동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질적 분석하였고, 두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비모수 검증인 Mann-Whitney U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요리활동은 만 2세 영아의 수학개념 및 수학개념의 하위요인에 분류, 서열, 수, 공간, 측정개념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요리활동 과정 속에서 만 2세 영아들은 수학적 기회를 가졌다. 따라서 표준보육과정의 생활주제에 기초한 요리활동은 만 2세 영아의 수학개념 발달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cooking activities on mathematical concep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 two year old toddlers at S Nursery located in G City, Gyeongbuk. The test tool, "Piaget style mathematical concept development test tool" that was based on the task used by Piaget to measure mathematical concept was used in this study. Using the matching, that is the method of grouping and assigning, the subjects were separated two groups(the experimental group, the control group) consisting of ten members each.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cooking activities twice per week for eight weeks for a total of 16 sessions.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free spontaneous play. Also, to assess the process of forming toddlers` mathematical concepts, video that recorded cooking activities for 16 sessions was analyzed, and to assess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results of two groups,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first, cooking activities had an effect on improving the mathematical concept of children, as well as on improving the sub-factors of categorization, rank, number, space and measurement. Second, in the process of cooking activities, toddlers` mathematical concepts were improved.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ng in cooking activities is an effective method to enhance the mathematical concept for toddlers.

      • KCI등재

        유보통합 교사양성체제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 간 인식비교

        김수향 ( Soo Hyang Kim ),임경심 ( Kyoung Sim Lim ),홍혜경 ( Hae Kyung Ho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 간 유보통합 교사양성체제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공·사립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70명이다. 연구도구로는 유보통합 교사양성체제에 관한 20문항의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두 교사 집단 간 차이를 보기위해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양성체제에 대한 교사자격기준, 교사양성기관, 교사양성기간, 현장실습 등 대부분의 영역에서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 간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유치원교사는 일원화된 유아교사자격증, 유아교사 관련 자격증에 관한 재검증, 사범대학과 같은 교사양성기관, 예비실습을 통한 현장실습의 강화에 높은 인식이 나타난 반면, 어린이집교사는 일원화된 유아교사자격증과 유아교사 관련 자격증에 관한 재검증에 대한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되었으며 유아교사 양성기관으로서 ‘일반대학’이나 ‘전문대학원’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고 현장실습의 경우 현 정규실습으로도 충분하다고 인식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erception ga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care teachers regarding Korea`s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system for integra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ECEC). One hundred seventy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or child-care centers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the subject. The developed assessment tool consists of five factors including twenty items: 1) teacher qualification, 2) type of education institute, 3) teacher training period and 4) field practice. Data were analyzed by a chi-square test to investigate perception differences.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ve relatively high-level perceptions about the one integrated early childhood teacher certificate, reverification of qualification, teacher training institute such as a teacher`s college and an additional field practice. On the other hand, child-care teachers have quite low perceptions as to the one integrated early childhood teacher certificate and reverification of qualification, but high perceptions about teacher training institutes such as a general university or a special graduate school. Child-care teachers also recognized that the current field practice is adequate for the teacher training. Therefore, it should reflect on the implications for perception ga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care teachers to develope more authentic teacher education system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