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김대건 신부의 중국 여행기

        김수태(Kim Soo Tae)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서강인문논총 Vol.0 No.52

        이 연구에서는 김대건 신부의 서한에 포함되어 있는 두 개의 중국 여행기, 즉 「남경여행기」와 「훈춘여행기」의 내용을 집중적으로 분석해보았다. 김대건 신부의 여행기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내용은 크게 지리, 문화, 역사를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다. 그의 여행기에서 먼저 등장하는 내용은 지리이다. 그가 방문하는 지역의 자연환경이나, 동・식물을 비롯해서 교통로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주고 있다. 이때 그의 지도에 대한 관심은 주목해야 할 사실이다. 그것은 자신을 비롯해서 프랑스 선교사들의 조선 입국로를 모색하는데 가장 중요한 부분이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여행을 통해서 육로가 아니라 해로를 통한 조선입국이 결정되었던 것이다. 김대건 신부의 여행기에서 지리 다음으로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은 문화였다. 그는 어떠한 사람들이 일정한 지리적 환경 속에서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인종이나 인구, 주거시설과 같은 풍속, 도시에 대한 인상, 원시신앙이나 불교와 같은 여러 종교들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이때 당시 중국이나 조선의 천주교에 대한 동향도 소개하고 있다. 이는 천주교와 이들 종교와의 비교를 시도하면서 천주교에 대한 관심을 촉구한 것이라 말할 수 있다. 무엇보다 김대건 신부의 여행기를 보면 역사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음을 쉽게 알 수 있다. 그의 서술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중국사에 대한 서술이다. 「남경여행기」에서는 중국현대사에 대한 서술이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훈춘여행기」 에서는 만주에서 건국한 이후 청나라의 역사를, 그리고 만주지역의 역사에 대한 그의 설명을 새롭게 찾아볼 수 있다. 이때 그가 만주와 조선의 역사적 관계에 대해서 주목하고 있는 점은 인상적이다. 더욱이 그는 만주를 둘러싸고 있는 전개되고 있는 러시아나 일본 등의 움직임에도 관심을 가지면서 동아시아로까지 그의 시야를 확대시키는 모습도 드러내주었다. 이러한 점에서 김대건 신부는 조선후기에 한국인 성직자로서 최초의 만주사를 서술한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다. This research concentrated on analyzing the contents of two travel reports, 「Nanjing Travels」 and 「Hunchun Travels」, which were included in priest Kim Taegon’s letters. The contents dealt in Kim Taegon’s travel reports can be broadly categorized as mainly dealing the geography, the culture and the history. Contents that appear first in his travel reports are about the geography. Kim Taegon expressed his interest in traffic routes including the natural environment, animals and plants of places where he visited. His interest about routes and map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was the most crucial part for finding the entrance to Choseon dynasty for the French missionaries including himself. Through these travels, Kim decided entering Choseon using sea routes instead of overland route. The next important contents in Kim Taegon’s travel reports were regarding the culture. Kim dealt about what kind of people and how they lived in certain geographical environments. In addition, he described in details about the ethnicity, population, his impression on a certain city, general customs such as residential facilities, and religions including Buddhism and primitive beliefs. Also, he introduced about the social trend toward the Catholic in both the China and the Choseon of that time. This can be said that Kim Taegon tried to demand interest in the Catholicism through comparing Catholic with other religions. Above all, it can be said that Kim Taegon’s interest about history was extremely high when looking at his travel reports. Description of Chinese history is the largest proportion of his travel reports. Description of Chinese modern history is the major part of 「Nanjing Travels」. History of the Ch"ing dynasty which was established in Manchuria, and history of the Manchu province can be found in 「Hunchun Travels」. His attention about the historical relationships between the Choseon dynasty and the Manchuria is impressive. Furthermore, he showed expansion of his interest to the East Asian situations through dealing Russian and Japanese movements regarding the Manchu province. In this way, Kim Taegon can be said to the first Korean priest to narrate about the history of the Manchuria.

      • KCI등재

        김대건 신부의 해로를 통한 조선 입국로

        김수태(Kim, Soo Tae) 한국교회사연구소 2016 敎會史硏究 Vol.0 No.49

        김대건 신부는 신학생 때인 1842년에 프랑스 함대를 타고 조선으로 들어오려다 실패하였다. 1845년 부제로서 육로로 조선에 입국하였던 그는 서해를 건너 중국에 들어간 최초의 천주교 신자가 되었다. 이후 신부가 된 그는 조선에서 타고 갔던 배로 페레올 주교와 다블뤼 신부와 함께 다시 돌아왔다. 그러나 귀국한지 얼마 안 되는 1846년에 그는 백령도 부근을 거점으로 해서 조선과 중국을 연결하는 새로운 입국로를 개척하려다가 체포되고 말았다. 따라서 그는 바다와 함께 살다가 순교한 사제였다고 일컬을 수 있다. 이러한 까닭에 김대건 신부의 서해를 통한 선교사들의 입국로 개척에 대해서는 최근에 들어와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페레올 주교가 구상하고, 김대건 신부가 개척하였기에 가능하게 되었다고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김대건 신부의 해로를 통한 입국로 개척에 대해서는 새롭게 다룰 측면이 있다. 우선 페레올 주교와 김대건 신부의 활동은 그 보다 앞선 선교사들이 시도한 해로 개척의 연장선상에서 살펴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김대건 신부의 활동이 주도적이거나, 능동적으로 제대로 그려지고 있지 않다는 점을 커다란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해로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던 김대건 신부에 의해서 프랑스 선교사들의 해로 입국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과정을 새롭게 살펴보고자 한다. 사실 프랑스 선교사들은 조선배로 조선에 입국하는 문제에 대해서 망설였다. 김대건 부제가 중국으로 타고 온 배가 너무나 작고 초라해서 서해를 건너서 갈 수 있는 배로 생각하지 않았다. 더욱이 김대건 신부의 항해 지식이나 해로 개척 가능성에 대해서도 그다지 신뢰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에 이들은 조선배가 아니라 중국배로 조선으로 돌아가고자 희망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대건 신부는 조선의 배로 두 명의 프랑스 선교사를 태워서 입국하였다. 더 나아가 그는 새로운 지도 작성을 바탕으로 프랑스 선교사들이 백령도 부근을 통해서 조선으로 들어올 수 있는 길을 개척하였다. In 1842, when Kim Daekeon was a seminary student, his attempt to enter Chosun dynasty on the French fleet was frustrated. In 1845, as a deacon whom already entered Chosun by land, he became a first Catholic who entered China by crossing the Western sea. Later, becoming an ordained priest, he came back to Chosun with Bishop Ferréol and Father Daveluy by a ship which he took from Chosun. However in 1846, just after returning from China, he was arrested near the Baengnyeong island attempting to pioneer a new entrance connecting China and Chosun dynasty. Therefore, he can be called as a martyr who dwelled on seas. Due to this, Father Kim Daekweon"s efforts to pioneer missionary entrance through the western sea are currently gaining more interest. This was identified as a feasible plan because Baptiste Ferréol has conceived and Father Kim Daekweon has carried out. However, there is an another perspective to consider regarding Father Kim"s pioneering entrance through seaway. Above all, Bishop Ferréol and Father Kim"s attempts should be considered as an extension of efforts of the previous missionaries. Also, another crucial problem is that Father Kim"s activities are not being portrayed as leading, nor active. In this regard, different examination on how French missionaries" seaway entrance took place by the efforts of Father Kim Daekweon and his expert knowledge about seaway is required. In fact, French missionaries were reluctant at entering Chosun through seaway. The boat that Deacon Kim Daekweon took during his voyage to China was considered too small and flimsy to cross the Western sea. Moreover, Father Kim Daekweon"s nautical knowledge and his vision of pioneering a seaway entrance were thought to be reckless. Hence, they hoped to return to Chosun by chinese ship instead of Chosun"s boat. Nevertheless, Father Kim Daekweon managed to enter Chosun riding Chosun"s boat along with two French missionaries. Furthermore, he pioneered new entrance to Chosun for the French missionaries through mapping areas around Baengnyeong island.

      • KCI등재

        김대건 가문의 신분에 대한 재검토

        김수태(Kim, Soo Tae) 한국교회사연구소 2011 敎會史硏究 Vol.0 No.37

        This paper aims to reexamine the social status of the family of Father Kim Tae-gon.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French missionaries who worked together with him, Father Kim was regarded as a commoner until his beautification. However, Korean scholars tend to see him as a member of the Yangban class on the basis of the family genealogy that was discover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Even though this new interpretation has become a conventional wisdom, it is difficult to prove that his family was a part of the Yangban class only with his genealogy and family clan. It is more compelling to believe that he was a commoner with the new data on the status of the people of the area where his family lived. It is pointed out that earlier studies on the status of his family may be regarded as “an attempt to make Father Kim a Yangban”, which could result in an adverse effect on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life and faith of Father Kim.

      • KCI등재
      • KCI등재

        「집안고구려비」에 보이는 율령제

        김수태(Kim Soo Tae) 한국고대사학회 2013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2

        최근 한국고대사연구에서 율령제 연구는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는 것 같다. 이러한 연구의 흐름에서 주목되는 사실은 교령이라는 명칭의 사용이다. 신라사에서 시작된 흐름이 이후 고구려 법제사 연구에까지 적용되었던 것이다. 그 결과 지금까지 이해되어 오던 율령의 수용과정이나 그 의미에 대해서 새로운 검토를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따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다름 아니라 최근 발견된 「집안고구려비」가 이러한 논란을 정리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집안고구려비」의 마지막 부분에는 율령과 관련된 내용이 구체적으로 기록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광개토왕비』의 기록과는 크게 다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집안고구려비」는 기존의 연구에서 논의되어 온 해석이 여전히 유효함을 알려주고 있다고 하겠다. 더 나아가 고구려에서 유교의 발전이 율령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고구려사회에서 율령이 국왕이 국가를 통치하는 가장 중요한 도구였음을 말하고 있다. 즉 고구려의 국왕은 소수림왕 이후 율령을 통해서 왕권강화를 지속적으로 추구하였던 것이다. Recently, law system research in ancient Korean history is entering a new phase. Noticeable fact in such a research trend is use of the term ordinances. Trend stemmed from history of the Silla was later on applied to research of Koguryo’s annals of legislation. As a result, new examination was required about previous understanding of acceptance process of law system and its meaning. However, such an understanding was found to have several problems. This is because, recently discovered the Koguryo Tablet of Jian settles such a controversy. There is specific description about the law system at the last part of the Koguryo Tablet of Jian. This historical records are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Gwang’gae’to Mausoleum Tablet. Through this fact, the Koguryo Tablet of Jian proves that disputed interpretation from previous studies is still valid. Furthermore, this demonstrates that growth of Confucianism was closely related to change of the law system in Koguryo. In Koguryo society, law system was the most important tool for king to govern the country. Thus, after the reign of King Sosurim, Koguryo’s kings consistently pursued (sought)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through the law system.

      • 백제 문주왕의 집권과 좌절

        김수태(Soo Tae Kim)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2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33 No.1

        이 글에서는 웅진시대의 첫 국왕인 문주왕과 관련된 여러 문제들을새롭게 다루어보고자 한다. 우선 문주왕의 즉위 과정을 알아보았다. 문주왕이 개로왕 초반에는동생인 곤지와 마찬가지로 정치적으로 소외되었다는 사실을 주목하였다. 때문에 문주왕은 개로왕이 후반에 들어와서 정치적으로나, 외교적으로 매우 어렵게 되자 재등장할 수 있었다. 이후 고구려의 한성(漢城)침공으로 개로왕이 죽자 왕위에 오를 수가 있었던 것이다. 문주왕이 웅진으로 천도 한 과정에는 역시 웅진지역의 정치세력과의밀접한 관련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공주의 수촌리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귀족세력의 성장이란 바로 한성시대의 백제가 금강유역(the GeumRiver)으로 진출하는 과정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었기 때문이다. 이 때수촌리의 목씨(木氏)세력은 세종의 나성리 유적이나 한솔동 고분을 만든 세력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쳤음을 함께 살펴볼 수 있었다. 한편 문주왕대 태자 책봉을 둘러싼 정치세력의 대립에 대해서 다시검토하였다. 문주왕이 그의 어린 아들을 태자로 책봉하자, 즉위 이래 추진된 여러 정치세력의 안배가 무너지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그는 곤지를 중심으로 하는 정치세력과 커다란 갈등을 벌이게 되었다. 그러나문주왕의 왕권강화를 위한 이러한 노력은 그 역시 곤지의 제거를 위해서 결합했던 해씨 귀족세력에 의해서 살해됨으로써 결국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This paper depicts new insights of several problems related to the firstking Munju of the Woongjin period. The first one was found in his enthronement background. The KingMunju like Konji, his brother, was politically alienated. He could be appeared at the expanse of political and diplomatic difficulties that KingGaero faced with. After that time, Goguryeo invaded Baekje and KingGaero was dead. Munju became a king via the death of King Gaerocaused by the Hanseong invasion of Goguryeo. I could find a fact that the King Munju’s transfer of the Capital to Woongjin related to the political groups of Woongjin areas. Because the growth of the noble group based on Suchonli of Gongju was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Hanseong period Baekje’s settle down in the vicinity of Geum River. Also, The Mok family in Suchonli had an great effects on the other power groups which made the Naseongri site of Sejong and Hansol-dong tombs,I scrutinized the conflicts among political power groups issued by the Crown Prince Installation in the King Munju era. After King Munju made his infant son crown prince, existing political arrangement among several political groups was collapsed. Especially he showed a great conflict with apolitical group following Gonji. However, the effort of King Munju’s strengthening of the king’s power as a consequence of being killed by the Hae Family who took the same stance of eliminating Gonji was failed.

      • KCI등재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발원문 분석

        김수태(Kim, Soo-tae) 호서사학회 2021 역사와 담론 Vol.- No.99

        이 글에서는 청양 장곡사의 금동약사여래좌상에서 나온 발원문을 통해서 고려후기의 약사신앙을 새롭게 검토해보고자 한다. 장곡사의 약사여래좌상 제작은 고려후기에서도 드문 양상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고려후기의 불상 대부분이 아미타여래상의 조성을 말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고려후기 약사여래상의 조성이 충청도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장곡사가 고려시대 충청도의 불교사를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사원임을 말해준다. 장곡사의 금동약사여래좌상이 보여주는 약사신앙은 현세이익적 성격과 내세지향적 성격을 함께 가지고 있다. 현세이익적 성격으로서 치병이나, 장수를 바라는 것도 포함되고 있지만, 고려의 정치적 혼란이 멈추어지고, 이를 바탕으로 민생의 안정이 우선적으로 추구되어야 한다는 지향을 가지고 있었다. 즉 약사여래좌상의 조성을 통해서 충목왕대 고려사회의 새로운 변화를 바랐던 것으로 보인다. 내세지향적 성격은 약사정토가 아미타정토와도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으면서, 서로 보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쉽게 살필 수가 있다. 약사신앙을 통해서 신자들이 약사정토와 함께, 아미타정토로까지 나아갈 수 있음을 강조하고자 했던 것이다. 한편 여성성불론에서도 새로운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여성이 ‘남자로 바뀌어서 성불하는 것’이 아니라, 이제는 ‘여성으로서 그대로 성불하는 것’이라는 새로운 여성성불론이 나타났던 것이다. 이러한 여성성불론은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조성에 여성들의 참여가 집단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당한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article reviews the Bhaisajyaguru belief of the late Goryeo period through newly examining the dedicatory prayer of the gilt-bronze seated Bhaisajyaguru statue in Janggoksa temple in Cheongyang. The construction of the gilt-bronze seated Bhaisajyaguru statue at Janggoksa temple is a rare case in the late Goryeo period. This is because most of the Buddha statues during that period were Amitabha Buddha. Also,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Bhaisajyaguru statue in the late Goryeo period took place mainly in Chungcheong-do. This indicates that Janggoksa is an important temple in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Buddhism in Chungcheong-do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gilt-bronze seated Bhaisajyaguru statue in Janggoksa temple demonstrates the Bhaiṣajyaguru belief which is characterized by both seeking profit in the present world and orientation towards afterlife. Although the nature of this profit-seeking orientation includes desire of health(curing diseases) and longevity, its primary pursuit was to cease the political turmoil of the Goryeo period so that the stability of the people’s livelihood can be achieved. In other words, it seems that the people hoped for a new change in Goryeo society during the reign of King Chungmok through creation of the seated Bhaisajyaguru statue. The afterlife-oriented nature can be easily observed in that the Bhaiṣajyaguru‘s pure l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Amitabha"s pure land and that they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It was intended to emphasize that believers can approach the Bhaiṣajyaguru‘s pure land as well as the Amitabha’s pure land through the Bhaiṣajyaguru Belief.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a change in the theory of women achieving the Buddha-hood. A new notion that women can achieve the Buddha-hood with a female body has emerged replacing the old concept that a woman need to become a man before accomplishing the Buddha-hood. Such concept is thought to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llective participation of women in the construction of the gilt-bronze seated Bhaisajyaguru statue of Janggoksa temple.

      • KCI등재

        안중근과 천주교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독립운동기를 중심으로

        김수태(Kim Soo-Tae)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1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8

        최근의 안중근 연구를 살펴보면 안중근과 천주교의 상호관계를 다룬 내용이 많아지고 있는 특징을 알 수 있다. 천주교 신자였던 안중근의 독립운동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일로 생각된다. 그러나 안중근을 천주교와 연결시켜 살피고자할 때 사료나 관점 등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는 것도 사실이다. 첫 번째는 안중근의 천명론과 관련된 것이다. 안중근의 독립운동을 이해하는 한 방편으로 천명론을 강조하는 것은 하나의 접근방법으로는 유효하나, 그것을 확대 해석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사실 그에게 천명이란 구체적으로 독립운동이나 그 내용 등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었다. 그가 천명을 인간이 본성을 따라서 선하게 살아서 하늘, 즉 하느님에게 죄를 짓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의미로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빌렘 신부의 안중근 의거에 대한 인식 부분이다. 빌렘 신부는 안중근과의 마지막 면담을 통해서 정교분리의 원칙에 따라 안중근 의거를 긍정하지 않았던 그의 마음을 바꾸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사실과 다르다. 빌렘 신부에게 있어서 안중근의 행동이 어떠한 동기에게 나온 것인가를 이해하는 것과, 안중근의 의거를 지지하는 것은 서로 다른 별개의 차원이었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드망즈 신부의 안중근 의거에 대한 후원 여부이다. 드망즈 신부를 중심으로 한 세력이 안중근 의거를 적극적으로 옹호하였다는 것이다. 그러나 안중근 의거를 최초로 소개한 작자 미상의 『근세역사』의 저자를 드망즈 신부와 곧바로 연결시켜 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 그리고 그가 뮈텔 주교와 함께 정교분리정책을 고수하면서 한국인의 독립운동을 막고자 노력한 인물이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그 역시 안중근의 의거를 지지하지는 않지만, 빌렘 신부와 마찬가지로 사제로서의 역할에 충실하고자 했던 인물로 이해된다. 네 번째는 한국 천주교의 토착화와 관련된 문제이다. 한국 천주교의 토착화가 안중근에게서 시작되었다고 본 것이다. 그러나 토착화란 한국에 천주교가 수용된 이래 끊임없이 시도된 일이었다. 안중근이 외세의 침략에 대해서 천주교 신자로서 관심을 갖기를 촉구한 것은 그러한 전통을 따른 것이었을 따름이다. 그리고 그를 토착화를 통한 민족화에만 관심을 가진 인물로 파악할 것이 아니라 천주교의 세계화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진 인물로서 올바르게 이해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many articles about Ahn, Joong-geun deal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him and the Roman Catholic Church. This seems to be desirable in the point that such works would be necessary to properly understand his independence movement because he was a Roman Catholic. But it is true that there are a variety of problems in historical materials and a viewpoint when the correlation between him and the Roman Catholic Church is examined. Firstly, regarding his theory of Cheonmyeong, it would be an effective measure to emphasize the theory of Cheonmyeong as a means to understand his independence movement, however, it would be needless to make a broad interpretation of Cheonmyeong. In fact, Cheonmyeong did not concretely mean independence movement or its contents for him because he used this word in a sense that a man should live benevolently based on his good nature and should not commit a crime. Secondly, regarding father Wilhelm's recognition of Ahn, Joong-geun's worthy undertaking, they say that he didn't accept his undertaking affirmatively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however, he changed his mind later. But it is different from the truth because, for father Wilhelm, to understand the motive of Ahn, Joong-geun's behavior is one thing and to support his worthy undertaking is another. Thirdly, regarding father Demange's supporting Ahn, Joong-geun's worthy undertaking, they say that a group including father Demange actively protected his undertaking. But it seems difficult to connect the author of an anonymous book "Modern history" directly with father Demange. An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he stuck to the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with bishop Mutel and tried to stop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erefore it seems that he did not support Ahn, Joong-geun's worthy undertaking and tried to focus on his role as a priest like father Wilhelm. Fourthly, regarding the naturalization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in Korea, they say that its naturalization resulted from Ahn, Joong-geun. But its naturalization was continuously tried since the acceptance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by Korea, and Ahn, Joong-geun's urging the people to pay attention to external invasion as a Roman Catholic was to follow such tradition. It is needed to rightly understand Ahn, Joong-geun, not a person who took an interest in the nationalism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through its naturalization of, but a person who took an interested in its glob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