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쾌지수가 외야수의 경기 기록 데이터에 미치는 영향

        김세민,신좌철,Kim, Semin,Shin, Chwa-Cheol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8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sports records and weather data was analyzed using the big data analysis method. To this end, data was collected by API and crawling, data was processed, statistics were performed, and data visualization was performe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player who entered the regular at-bat among outfielders in the 2019 KBO League. In addition, meteorological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unpleasant index and above 70 and below 70.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various hitting indicators, which are the records that pitchers intervene, the higher the unpleasant index, the better the outfielder's record, but pitchers, walks, pitches, pitching success rates, pitches per turn, pitches per game From the records of the back, it was found that the outfielder made the pitcher difficul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he development of the sports data industry and the performance of baseball players, baseball teams, and coaching staff. 본 연구에서는 빅 데이터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스포츠 기록과 기상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API와 크롤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공한 다음 이것을 토대로 통계를 낸 후에 데이터 시각화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2019년 KBO 리그에 출전한 외야수 중에서 규정타석에 진입한 선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기상 데이터는 불쾌지수를 활용하였으며 70이상과 70미만을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투수가 개입하는 기록인 각종 타격지표에서는 불쾌지수가 높을수록 외야수의 기록이 향상하였으나, 투수가 개입하지 않는 도루, 볼넷, 투구 수, 도루 성공률, 타석 당 투구 수, 경기 당 투구 수 등의 기록에서는 외야수가 투수를 힘들게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스포츠 데이터 산업의 발전과 야구 선수, 구단, 코칭스태프의 경기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내·외향적 성격유형이 자바 프로그래밍 학습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김세민,유강수,Kim, Semin,You, Kangsoo 한국정보교육학회 201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2 No.4

        소프트웨어 분야가 발전하고 주목을 받게 됨에 따라 최근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소프트웨어 분야의 능력 향상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자바 프로그래밍을 학습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내 외향적인 학습자들의 성격유형이 회복탄력성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내향적인 성격유형을 가진 학습자들은 프로그래밍 학습에 필요한 회복탄력성의 향상에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지만 외향적인 성격유형을 가진 학습자들은 외향적인 성격을 통하여 프로그래밍 학습에 필요한 회복탄력성에 유의미한 향상 결과를 얻었다. 이를 통해 내향적 성격유형을 가진 학습자들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방안과 외향적 성격유형을 가진 학습자들의 장점을 살려 상호 도움이 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realm of software and its getting the limelight, technical-specialized high schools are trying hard to improve their students' ability in terms of the realm of software in the lates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argeting for students who are learning Java program how much the type of personality of learners influences on the improvement of the resilience. As a result, the learners having introverted personality didn't have a meaningful result on the improvement of the resilience which is necessary for the programming learning. Vice versa, the learners having extroverted personality had a meaningful result on the improvement of the resilience through that personality.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seek after the way for the improvement of learners' resilience which mutually benefits learners having extroverted personality or introverted personality.

      • KCI등재

        기초교양필수 과목인 스크래치와 파이썬 프로그래밍 과목 수강생의 회복탄력성 분석

        김세민,유강수,홍기천,조영복,Kim, Semin,You, Kangsoo,Hong, Kicheon,Cho, Youngbok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3 No.7

        최근 각 대학에서 소프트웨어교육을 강조하여 교양과목에 많이 편성하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은 프로그래밍 학습을 어려워하거나 프로그래밍 학습 동기가 부족하거나 배우려고 하는 의욕이 없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 회복탄력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이유는 프로그래밍 학습의 실패를 극복하여 포기하지 않고 다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회복하는 힘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크래치를 학습하는 학생 집단과 파이썬을 학습하는 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사전-사후 검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스크래치는 학생들이 다소 쉽게 받아들이고 열심히 하려는 모습을 보였지만, 파이썬은 상대적으로 스크래치보다 어려움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프로그래밍 학습을 지속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Recently, each university has been lecturing a lot on the liberal arts subject by emphasizing software education. However, students are often motivated by the difficulty of learning programming, the inability to recognize why they should learn programming, or even the fact that they do not try. The reason for the resilience is to guide programming learning to have the power to recover from the point of abandonment to proceed with the learning again. In this study, recovery elasticity pre-post-examination was conducted on the parts that learned scratches and those that learned Python. Studies have shown that while Scratch appears to be trying to accept and work harder, Python has been relatively more difficult than Scratch.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identify the factors that can sustain programming learning.

      • KCI등재

        내·외향적 성격이 프로그래밍 학습 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김세민,유강수,Kim, Semin,You, Kangsoo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2 No.8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소프트웨어 분야의 기술이 많은 부가가치를 낳으면서 국가의 성패를 좌우하기도 한다. 이에 세계 각 나라들은 소프트웨어 교육에 많은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들을 활용하여 성격유형검사의 설문 항목을 재구성하고 학습자들에게 적용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래밍 수업을 하면서 학습자들의 태도를 관찰하였고, 성격유형에 따라 학습 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학습 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의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각 성격유형의 장점을 적용하면 학습 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의 효과 증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latest, the development of the technique in the software field decides the success or failure of a country. With the trend of it, each country makes a countless effort on the education of software. This study reconstructed a questionnaire of the type of personality and conducted a research applied to learners with the help of professionals. I observed the attitude of learners during the programming class and the influence of it on the learning ability of self-oriented learning and learning motivation. As a result of it, there came up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side of self-oriented studying and the motivation of studying) depending on the type of personality of learners. Therefore, we can look forward to increasing the effects of self-oriented learning and self motivation by applying to the merits of each type of personality.

      • 운동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데이터 분석 시스템 설계

        김세민(Semin Kim),이충호(Choong Ho Lee),홍기천(Ki-Cheon Hong),송정범(JeongBeom Song),유강수(Kangsoo You)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3 No.2

        최근 체육 분야에서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운동선수들의 진로와 연봉 등에 참고자료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스포츠 경기 중계에 보조자료로 널리 활용하고 있다. 또한 많은 운동선수들도 자신의 미래를 위하여 경기력 향상을 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데이터 활용이 많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운동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하여 데이터 분석 시스템 개발하고자 개발 모형을 설계하였다. 개발된 모형에서는 각종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각종 시각화 자료와 분석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선수들이 경기력 향상을 위하여 동기부여가 되고 경기에 임하는 자세를 새롭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Recently,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the data are often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careers and salaries of athletes, and they are widely used as supplementary materials for sports games. In addition, many athletes are trying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for their future, and there is a great demand for data utilization. Therefore, this study designed a development model to develop a data analysis system for improving athlete"s performance. The developed model is designed to generate various visualization data and analysis report after preprocessing by collecting various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expected that athletes will be motivated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and renew their attitude to play.

      • KCI등재

        운동부를 위한 스포츠 데이터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세민 ( Semin Kim ),우성희 ( Sunghee Woo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1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학교 운동부 학생 선수들에게 스포츠 데이터 활용에 대한 전반적인 소양을 교육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에 스포츠 데이터에 대하여 기존 연구와 요구사항에 대하여 분석하고 학습 계획을 설계하였으며, 단계별 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학교 운동부 및 성인 스포츠 관계자들을 위한 데이터 과학 교육에 대한 연구가 전무하므로, 기존의 학교 현장에서 연구되었던 데이터 과학 교육에 대한 연구를 참고하여 문제 정의, 데이터 수집,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 분석, 데이터 시각화, 모의 분석의 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스포츠 데이터에 대한 스포츠 산업의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a program was developed to educate the students and athletes of the school sports team on the overall knowledge of using sports data. Accordingly, existing research and requirements for using sports data were analyzed, a learning plan was designed, and an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in a step-by-step manner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In addition, as there is no research yet on data science education for school athletics and adult sports officials in existing studies, this study includes the problem definition, data collection, data pre-processing, and data analysis, as well as the additional stages of data visualization and simulation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the sports industry’s interest in sports data will increase through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