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LD - 전로의 노저부 형상에 따른 응력분포의 해석

        김성순,한봉석,허완욱,하창수,이형직,이홍림,Kim, Sung-Soon,Han, Bong-Suk,Hue, Wan-Uk,Ha, Chang-Su,Lee, Hyung-Jik,Lee, Hong-Lim 한국세라믹학회 2001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8 No.9

        전로 내화물의 화학적인 부식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전로 내화물의 자체 무게와 구조적인 형상으로 발생되는 응력집중에 의한 내화물의 부식에 대해서는 그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이 진 노저부 형상을 가지는 전로(모델 1)와 완만한 곡선 형상을 가지는 전로(모델 2)에 대하여 FEM을 이용하여 자중응력분포 시뮬레이션을 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 하였다. 시뮬레이션결과 슬래그 라인 근방에서 모델 2가 모델 1보다 높은 응력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열적${\cdot}$화학적인 요인을 모두 고려한다면 조업 중기에 모델 2의 슬래그 라인 근방에서의 부식이 모델 1에 비해 심각할 것이라 결론 내릴 수 있다.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about the chemical corrosion of converter's refractories.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reported for the stress corrosion induced by the weight of the refractories and by the two bottom shape models designed for the converter. In this study, the stress distributions of the two converter models were analyzed by FEM. Model 1 has the step edge shape and model 2 has the round edge shap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model 2 of round bottom edge has higher gravitational stress just below the slag line than the model 1. Model 2 is considered to suffers more serious corrosion than model 1 during the middle working stage by the thermal and chemical factors.

      • KCI등재

        압입법에 의한 실리콘의 상전이

        김성순,이홍림,Kim, Sung-Soon,Lee, Hong-Lim 한국세라믹학회 2002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9 No.12

        실리콘의 고압상을 연구하는 수단으로 압입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에는 (100)과 (111)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하였으며 하중유지 시간과 하중인가 속도에 따른 잔류상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압입 후의 상분석에는 Raman spectroscopy를 사용하였다. 하중 유지 시간의 실험결과 (111) 시편에서는 하중 유지 시간이 길어질수록 소성변형이 진행되어 고압상인 Si-III 와 Si-XII는 결정구조를 유지하지 못하고 사라지고 대신 a-Si가 관찰되었다. 하중 인가 속도 실험 결과 하중 인가 속도가 0.1 mm/min일 경우 모든 시편의 force/displacement 곡선에서 pop-in을 관찰할 수 있었다. Raman peak 분석 결과 이들 시편에서는 상전이가 관찰되었다. 5 mm/min의 하중인가 속도의 경우 (111) 시편에서는 급격한 변형의 증가 부분이 관찰되었으나 (100) 시편의 경우 관찰되지 않았다. 하중인가 속도가 느릴 경우 상전이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반대의 경우 상전이는 소량 관찰되거나 관찰되지 않았다. 이것은 하중인가속도가 상전이 영역의 부피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Indentation was used to analyze high pressure phases of silicon. Phase transformations on both loading time and loading rate were studied. Micro-raman spectroscopy was used to observe the indentation-induced transformations. As the loading time increased, Si-III and Si-XII disappeared and only a-Si was observed in (111) samples. As the loading time increased, the residual stress was removed by creation of cracks or dislocations. At 0.1 mm/min loading rate, pop-in . At 5 mm/min loading rate pop-in was observed in force/displacement curve of (111) sample, but pop-in was not observed in force/displacement curve of (100) sampl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loading rate affects the volume of phase transformation in silic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에 온 호승(胡僧)들

        김성순(Kim, Sung-So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4

        본 논문은 한국불교사 내지 문화사에 나타난 자료들을 통시적으로 배열 ․ 분석하여 한국에 온 서역 내지 원나라 출신 승려인 호승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이 어떻게 변해왔으며, 그 배경은 무엇인지에 관해 고찰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호승 개념은 기본족으로 인도와 중앙아시아를 포괄하는 서역(西域)출신의 승려이며, 원의 라마승과 요동 출신 승려도 포함한다. 한국불교사에 나타난 호승은 불교를 전해 온 공식 사절, 문화전달자, 포교자, 원 제국의 협력자, 그리고 전란을 피해 온 이민자 등의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불교 초전 시기에 개인적으로 한국에 와서 포교행을 했던 호승의 경우에는 상당한 위험을 감수해야 했지만, 신라 하대에 이르면 한국불교의 일원으로 수용되는 모습도 나타난다. 또한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중국의 침략과 간섭으로 인한 반원의식 내지 반호(反胡)의식이 호승에 대한 인식에 투영되기도 한다. 하지만 침략자로 인식되지 않는 호승들에 대해서는 한국불교의 일원으로서 수용했던 모습도 일부 나타난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유교 엘리트들이 불교 승려에 대해 갖고 있는 수행승에 대한 인식에 부합하는 경우에는 굳이 배격하지 않고 한국불교의 일원으로서 바라보는 모습들이 나타나기도 한다. 전체적으로 한국불교사 내지 문화사 안에서의 호승에 대한 인식을 보면 불교 미공인 시기에는 외래의 이방인으로 경계했지만, 공인 이후에는 문화전달자 내지 포교승으로 받아들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원 제국에 적극 협력했던 라마승들의 경우에는 침략자의 일원으로 인식되기도 했다. 하지만 조선시대에는 정부의 반불교 정책의 기조 위에서도 유교 엘리트들의 시각에 운수납자로 인식되는 호승에 대해서는 거부감 없이 수용하는 모습도 드러난다. 결국 호승은 한국사회에 위협적인 존재로 비춰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한국인의 시각에서 수행승으로 인정되면 한국불교 안으로 수용이 허락되는 존재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igure of the “Barbarian monk” (hoseung 胡僧) appears to exist simultaneously inside and outside of Korean Buddhist history. The “Barbarian monks” who traveled to Korea embodied different social positions (and political powers) - some belonged to official diplomatic envoys that supplied Korean elites with rare Buddhist treasures while others (arrived empty-handed and) simply sought refuge from war and strife. The roles that “Barbarian monks” played in Korean history also varied considerably. Some foreign monks focused primarily on spreading Buddhism. Others acted more broadly as cultural transmitters and mediators while some primarily served the outside powers that occupied Korea. As would be expected, the reception of “Barbarian monks” in Korea often reflected larger geopolitical developments as well as domestic political concerns. Buddhist monks, who traveled to Korea independently to spread Buddhism early on, faced considerable danger. However, by the Later Silla period (780 C.E. - 935 C.E.), “Barbarian monks” were accepted as a part of the Buddhist community in Korea. At times, Sinocentric sympathies in Korea encouraged anti-barbarian attitudes. In particular, fears of invasion, foreign occupation, and increased exploitation spawned anti-Yuan sentiments during the Yuan intervention period. Nonetheless, “Barbarian monks” who focused on Buddhist spiritual cultivation practices during the Joseon Dynasty became part of the Korean Buddhist landscape. As long as “Barbarian monks” did not represent a threat to Korean society, they were, for the most part, allowed to participate in Korean Buddhist activities and affairs.

      • KCI등재

        일제강점기 울산읍의 도시변화 과정에 관한 연구

        김성순(Kim Sung-Soon),한삼건(Han Sam-Geon) 대한건축학회 200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4 No.6

        This study was used to find how urban space planning in local cities has been being dealt with and changed without a city planning relation law during Japanese Occup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city planning and its execution process in Ulsan should be turned out from urban planning during Japanese Occupation to let us understand how urban areas in Ulsan were going on. Through this, we can use this as basic resource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the urban change in Ulsan after being Liberated.

      • KCI등재후보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환자에 있어서 각종 항부정맥제에 대한 전기생리학적 검사

        김성순(Sung Soon Kim),박승정(Seung Jung Park),장양수(Yang Soo Jnag),탁승제(Seung Jea Tahk),심원흠(Won Heum Shim),조승연(Seung Yun Cho),김현승(Hyun Seung Kim) 대한내과학회 1991 대한내과학회지 Vol.40 No.3

        N/A Electrophysiologyc studies (EPS) and serial drug testing were performed in 100 consecutive patients with 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PSVT) but without ventricular preexcitation. All patients had a history of electrocardiographically-documented PSVT. Two patients with concealed bypass tract (CBT) had Ebstein's amomally, and 1 patient with atrial reentrant SVT had mitral stenosis. The remaining patients had structurally normal hearts. Ninety-eight patients had inducible sustained PSVT during the control study. Two had only nonsustained PSVT. EPS revealed AV reentrance utilizing concealed bypass tract (CBT) in 63 patients (Group I), A V nodal reentrance in 36 (Group II), and atrial reentrance in 1. The location of the accessory pathway in Group I was left free wall in 45 (72%.), posteroseptal in 12 (19%), right free wall in 4 (6%), and anteroseptal in 2(3%) patients. Eight patients had associated anterograde dual AV nodal pathways. Five of them utilized slow AV nodal pathway for anterograde conduction during AV reentrant SVT. Single and double atrial extrastimulation demonstrated discontinuous AV nodal conduction curve in 28 patients (77%) in Group II, and the remaining 8 had a continuous AV nodal conduction curve. Serial daily SVT induction was attempted after intravenous ad- ministration of procainamide 20 mg/kg, verapamil 0.15 mg/kg, digoxin 0.75 mg, and proplanolol 0.15 mg/kg. In Group I, procainamide showed drug response in 40/49 (82%), flecainide in 24/32 (75%), verapamil in 36/41 (89%), digoxin in 5/20 (25%), and digoxin + propranolol in 9/18 (50%). In Group II, procainamide showed drug response in 21/24 (88%), flecainide in 10/11 (91%), verapamil in 20/28 (95%), digoxin in 12/20 (60%), and digoxin + propranol l in 11/15 (73%) patients. In conclusion, AV reentrant SVT utilizing CBT is the most common mechanism (63%) of PSVT in symptomatic Korean patients. Serial EPS with multiple drugs is very useful to define effective dugs in patients with symptomatic PSVT. Our data on serial drug testing might help us select the drug for those who want to be treated without invasive EPS.

      • KCI등재

        일제강점기 마산지역 일본불교의 활동과 마산포교당의 대응에 관한 고찰

        김성순 ( Kim Sung-soo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1 No.-

        본 논문에서는 1910년-1920년대 개항기를 중심으로 일본불교가 마산지역에 들어오는 상황과, 이에 대응하여 통도사에서 마산포교당을 설립하고, 마산지역민들을 대상으로 교육과 포교, 문화사업을 진행했던 모습을 역사학적 자료를 통해 고찰했다. 이 글에서 마산포교당의 사람들로 설정된 주체는 포교사를 비롯하여 포교당의 신도들, 포교당을 주축으로 하여 결성된 마산불교위원회, 배달학원과 배달유치원의 운영진, 교사, 후원자들을 모두 포괄한다. 1876년 개항과 함께 본격적으로 일본불교의 한국진출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변화와 맞물려 한국불교에서도 개별 사찰에서 포교당을 설립하여 교육과 포교활동을 진행하는 근대화 현상을 견인하게 된다. 마산포에서도 정토종을 필두로 하여 정토진종, 일련종, 일련정종, 진언종, 조동종 그리고 금광교나 천리교 등의 신종교들까지 종파 별로 신마산 지역에 포교소를 설치했다. 통도사에서 세운 마산포교당에는 김경봉(金鏡峰)이 초대 주지로 부임하게 되는데, 그곳에서 경봉과 장지연의 만남이 이루어지면서 주변의 불교인사들도 함께 시대적인 문제의식을 교감했던 것으로 보인다. 장지연이 설립 초기부터 함께 했던 마산불교진흥회 회원 상당수가 항일단체인 마산 신간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었으며, 팽석재를 비롯하여 여러 명의 회원이 한국의 공식적인 독립유공자 기록에 남아있다. 그 외 독립운동관련 기록에서 누락된 이들도 상당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마산포교당에서는 마산불교진흥회와의 협력을 통해 배달학원과 배달유치원을 설립하여 교육과 포교는 물론 지역의 문화사업까지 진행하는 문화센터로서의 역할까지 해내고 있었다. 작은 규모의 포교당이지만, 그 구성원인 포교사와 신도들이 그 시대 마산에서 해냈던 교육과 사회사업은 물론 독립운동의 궤적 역시 만만치 않았음이 확인된다. This essay focuses on the period of between 1910 and 1920, when Korea opened its ports, and uses historical documents to analyze the entrance of Japanese Buddhist into the Masan area, the establishment of the Masan Buddhist Missionary Center at Tongdosa Temple in response, and the education, cultural enrichment, and missionary activities targeting Masan area residents. This paper includes a comprehensive discuss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Masan Buddhist Missionary Center, including Buddhist missionaries, devotees of the center, the operators of the Baedal School and Baedal Kindergarten as well as instructors and supporters, and the Masan Buddhist Committee, which forms the core of the Masan Buddhist Missionary Center. Following the opening of Korea’s ports in 1876, Japanese Buddhist practitioners began entering into Korea in significant numbers, in response to this change, mission centers were also established at Korean Buddhist temples, and they pushed forward modernizing practices such as education and missionary outreach. With the Pure Land Sect at the head at Masan Harbor, the True Pure Land Buddhism Sect, the School of Nichiren, the Orthodox School of Nichiren, the School of Shingon Buddhism, the Soto School, as well as new religions such as the Konkokyo Sect and Tenrikyo Religion all established missionary centers in the New Masan Region. Kim Gyeong-bong was invited and appointed as the main monk at the Masan Buddhist Missionary Center at Tongdosa Temple. This is where it appears Kim Gyeong-bong and Jang Ji-yeon met and shared their feelings and opinions on contemporary issues with Buddhist figures in the surrounding area. Many members of the Association for Promoting Masan Buddhism, which had collaborated with Jang Ji-yeon from early on, were active in the Shingan Association that anti-Japanese groups. Moreover,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Association for Promoting Masan Buddhism, the Baedal School and Baedal Kindergarten were established at the Masan Buddhist Missionary Center, and it served as a cultural center that oversaw education and missionary activities as well as cultural projects in the area. Although the scale of the missionary center was limited, the educational and social initiatives accomplished by the missionaries and believers as well as the deeds of independence activists were not inconsequential.

      • KCI등재

        고령사회에 대비한 노인복지법의 문제점과 개정방향

        김성순(Sung-Soon Kim) 한국노인복지학회 2002 노인복지연구 Vol.15 No.-

        The elderly are disengaged of their job in good health, even if they have yet knowledge and skill which society needs. Moreover, they have strong will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y. For this reason, the elderly are not only beneficiary`, but they can also be giver to society. They are healthy, have good will, and have free times. The policy and program for the elderly of state and local government must be expanded to these area. In these area the patterns of activity are of variety, for example, that is leisure, participation in social organization, religion and spirituality, and senior power. Of course, in present, recreation and volunteer activities are lively. But the rest has not studied actively. The social service policy and program must take consideration of the elements that had found in these five area. If it does, the elderly will get the meaning of life, self-esteem, and the sense of wellbeing. To progress, society and organization get more benefit of their activity.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conclusively proposed that Korean elderly need to expand their participations toward political activities promoting elderly welfare, activating elderly group town, and monitoring human rights of the elderly.

      • KCI등재

        임제선승(臨濟禪僧)들이 일본불교에 전한 차문화 연구 - 남포소명(南浦紹明)을 중심으로 -

        김성순 ( Kim Sung-soon ),엄영욱 ( Um Young-u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6

        이 글에서는 남포소명이 남송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면서 가져온 차문화가 일본 사회에 수용되고, 특별히 무가사회에서 호응을 얻으면서 점차 일본의 다도로 성장·변용되어가는 과정을 고찰했다. 일본의 차문화는 가마쿠라시대(鎌倉時代, 1192-1333)에 중국 출신 승려와 중국에 유학했던 승려들에 의해 수입되었으며, 선을 매개로 하여 일본에 정착했다. 남송시대는 중국 선종이 전성기를 맞이한 시기였기 때문에 가마쿠라시대에 많은 일본 승려들이 선을 배우기 위해 중국의 강남지역에 유학했다. 남포소명을 비롯한 남송의 선승과 유학승들이 가져온 임제선이 일본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선승들을 비호하고, 사찰을 지어 이들이 활동할 수 있는 배경을 제공한 것은 막부의 무사정권이었다. 유학승 등을 통해 일본으로 전달된 남송의 선 문화는 임제선(臨濟禪) 내지 조동선(曹洞禪)이라는 종파별 수행법 외에도 선림의 생활문화와 그에 수반되는 물질까지도 함께 포함하고 있었다. 일본에 온 중국의 선승과 유학승들이 가져온 임제선과 차문화는 무사계급에 의해 적극적으로 수용되었으며, 선원의 다례는 점차 일본의 문화적 요소와 융합하면서 ‘다도(茶道)’로 전개된다. 일본 유학승인 남포소명은 차 씨앗과 제다법, 음다법, 그리고 차 관련 문헌과 물질들을 가져온 임제선승 중의 한 명이었다. 결국 임제선승들은 기존의 천황권력을 뒤엎고 새롭게 막부정권 시대를 열었던 무사계급에게 문화적 소양과 새로운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제공했으며, 중세 일본의 문화적 확장까지 일굴수 있도록 기여했던 사람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article, the study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the tea culture, brought by Nanpo Shomyo (南浦紹明) on his return from studying in Nan Song (南宋), was accepted by Japanese society and gradually developed and transformed into a Japanese tea ceremony, especially with the response of samurai society. Japanese tea culture was imported by Chinese monks and monks who studied in China during the Kamakura period and settled in Japan using Zen as a medium. During the Nan Song (南宋) period, Chinese Zen Buddhism was in its heyday, so many Japanese monks went to the Jiangnan (江南) area of China to study Zen during the Kamakura period. In the process of settling in Japan, Rinzai Zen brought by Shomei Nampo and other Nan Song (南宋) Zen and Confucian monks provided a background for them to work by building temples and protecting Zen monks. The Zen culture of the Nan Song (南宋) was introduced to Japan through Confucian monks, included Zen culture and its associated substances as well as religious practices such as Rinzai or Soto Zen (曹洞禪). The Rinzai Zen and tea culture brought by Chinese Zen and Confucian monks who came to Japan are actively accepted by the samurai class, and the tea ceremony of Zen source gradually blends with Japanese cultural elements and develops into a tea ceremony (茶道; 茶の湯). Nanpo Shomyo, who was approved to study in Japan, was one of Rinzai Zen monks who brought tea seeds, knew how to make tea, how to drink tea, and tea-related literature and materials. In the end, Rinzai Zen monk contributed to the cultural expansion of medieval Japan by providing cultural background and new political ideology to the samurai class, which opened the era of the shogunat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