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PA를 이용한 윤리적 소비 행동에 관한 연구

        김설인,구혜경,유상화,최아라,이현진,종남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9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5 No.4

        At a time when consumers' ethical consumption awareness is growing,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evel of importance awareness and practice in various areas of ethical consumption and seek necessary measures to improve ethical consumption practice by consumers in the future.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questionnaires filled out by 320 adult consumer respondents. Statistical analysis was achiev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reliability analysis, importance-practice analysis. The important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verifying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and practice of ethical consumption by consumers, all items except ‘employee respect’ (both high in importance and practi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all items except ‘low consumption of imported food’ showed higher importance than practice. Second, as a result of the IPA (Importance Practice Analysis) of ethical consumption area, the first quadrant(both high in importance and practice) consisted mainly of the question of implementing eco-friendly consumption and ‘employee respect’. The second quadrant(low in importance but high in practice) consisted of the question of “low consumption of imported food”. The third quadrant(both low in importance and practice) was mainly about the practice of local consumption and use of a consumer cooperative. The fourth quadrant (high in importance but low in practice) consisted mainly of the question of ethical production of human rights, animal welfare and the environment. A particular point is that the third quadrants, although they have been considered important in the past, showed low importance, indicating that current consumers do not associate ethical consumption with the region or recognize it as a concept of a community movement. 소비자들의 윤리적 소비 실천 의식이 성숙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소비 윤리 실천 영역에 대한 중요도와 실천도를 파악하여 분석함으로써 향후 소비자들의 윤리적 소비 실천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성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IPA 기법을 적용하여 320부의 유효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의 윤리적 소비에 대한 중요도와 실천도 차이 검증에서 중요도와 실천도가 모두 높은 ‘판매 직원 존중’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입식품 적게 섭취’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가 실천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윤리적 소비의 영역 및 세부 항목별 중요도-실천도 분석(IPA) 결과 중요도와 실천도가 모두 높은 제1사분면에는 주로 친환경 소비 실천 문항과 판매 직원 존중에 대한 문항, 중요도는 낮지만 실천도는 높은 제2사분면에는 수입식품 적게 섭취에 대한 문항, 중요도와 실천도가 모두 낮은 제3사분면에는 주로 로컬소비 실천 문항과 생협 이용에 대한 문항, 중요도는 높지만 실천도가 낮은 제4사분면에는 주로 인권, 동물복지, 환경에 대한 윤리적 생산과정을 고려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특이사항은 제3사분면의 경우, 오랫동안 윤리적 소비영역으로 강조해온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중요도가 낮게 나타나 소비자들이 윤리적 소비를 지역과 연계하거나 공동체 운동의 개념으로 인식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것이다. 본 결과를 토대로 학문적, 정책적 제언을 하였으며 우리나라의 윤리적 소비실천 수준이 높아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활용한 개인용 체외진단의료기기 분류기준에 대한 우선순위 연구

        김설인,편도윤,정용익,조자현,노가야,배그린,권혜영 한국보건행정학회 2023 보건행정학회지 Vol.33 No.2

        Background: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has been challenging the healthcare service, i.e., the vitalization of the pointof care accompanying self-testing in vitro diagnostic medical devices (IVDs). This study aims to suggest priority criteria to classifyself-testing IVDs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Methods: Two dimensions of the characteristics embedded in the IVDs and the diseases to be diagnosed with self-testing IVDs wereparallelly considered and independently investigated. In addition, three expert panels consisting of laboratory medical doctors(n=11), clinicians (n=10), and citizens (n=11) who have an interest in the selection of self-testing IVDs were asked to answer toquestionnaires. Priorities were derived and compared among each expert panel. Results: First of all, ease of specimen collection (0.241), urgency of the situation (0.224), and simplicity of device operation (0.214)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criteria in light of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elf-testing IVDs. Medical doctors valued theease of specimen collection, but the citizen’s panel valued self-management of the disease more. Second, considering thecharacteristics of the diseases, the priority criteria were shown in the order of prevalence of diseases (0.421), fatality of disease(0.378), and disease with stigma (0.201). Third, medical doctors responded that self-testing IVDs were more than twice as suitablefor non-communicable diseases as compared to communicable diseases (0.688 vs. 0.312), but the citizen’s group responded thatself-testing IVDs were slightly more suitable for infectious diseases (0.511 vs. 0.489).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ed that self-testing IVDs could be primarily classified as the items for diagnosis ofnon-communicable diseases for the purpose of self-management with easy specimen collection and simple operation of devices,taking into account the urgency of the situation as well as prevalence and fatality of the disease.

      • KCI등재

        배달 앱 리뷰에 대한 소비자의 정보활동 유형 연구: 배달의 민족 앱을 중심으로

        김설인 ( Kim Seol Ihn ),구혜경 ( Koo Hye Gyoung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2

        배달 앱 시장의 성장세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배달 앱 플랫폼은 이제 단순히 음식을 주문하기 위한 수단을 넘어 배달음식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정보탐색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배달 앱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정보활동 수준이 유형화되는지 확인하고, 그에 따른 소비자의 정보활동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배달의 민족’ 앱을 이용하는 전국의 20-5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00부의 유효 데이터를 확보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한 주요 논의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달 앱 리뷰에 대한 탐색행동 및 작성행동 등 정보활동 수준에 따라 소비자는 탐색유일형, 소극적활동형, 적극적탐색형, 적극적활동형 등 4가지로 유형화 되었다. 작성 경험이 없고 오로지 정보 탐색행동만하는 탐색유일형은 전체소비자의 23.3%, 탐색과 작성행동 모두 가끔 하는 소극적활동형은 21.3%, 매번 리뷰를 탐색하지만 작성은 가끔가다 하는 적극적탐색형은 31.3%, 리뷰를 탐색하고 주문 시마다 매번 리뷰를 작성하는 적극적활동형은 24.0%를 차지하였다. 기존 연구는 탐색만 하는 행동보다 탐색과 작성을 함께 하는 행동을 적극적이고 높은 차원의 정보활동으로 보았으나, 소극적활동형의 일부 정보 활용수준이 탐색유일형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배달 앱 안에서 소비자가 탐색활동만 한다고 하여 그것이 반드시 정보활동의 수준이 낮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시사한다. 따라서 배달 앱 플랫폼에서의 정보활동에 대한 논의가 재정립될 필요가 있다. 둘째, 소비자들의 배달 앱 리뷰에 대한 인식은 리뷰 이벤트로 인해 작성된 리뷰는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호의적으로 작성되었을 것이라는 리뷰 진실성에 대한 의심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벤트에 참여하였더라도 리뷰어가 관련 내용을 리뷰에 작성하지 않을 경우, 소비자들이 탐색과정에서 해당 리뷰의 이벤트 참여 여부를 알기 어렵다는 점에서 기인한 것으로 본다. 이는 리뷰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크게 저해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벤트 참여에 대한 공개옵션 혹은 참여인증 표시 등이 제공될 수 있는 방안이 구체화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소비자들은 전반적으로 배달 앱 리뷰에 대해 신뢰할 수 있고, 유용한 정보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실제 탐색수준에서 배달 앱 리뷰의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정보탐색 채널이 배달 앱 내 리뷰에만 한정되는 것은 해당 가게의 리뷰가 혹시라도 조작될 경우, 소비자 구매의사결정과정에 중대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조금 더 폭넓고 진실된 정보를 탐색하기 위해서는 다른 채널의 소비자 정보를 함께 확인할 수 있는 경로를 배달 앱 내에 포함시키는 방안에 대하여 고민할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정보활동 수준에 따라 실제로 리뷰 구성요소에 대한 확인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배달 앱상에서 소비자가 정보를 효율적으로 받아들이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제공방식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배달 앱 리뷰에 대한 정보활동 주체로서 소비자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실제 소비자의 행동에 근거한 유형화를 통해 집단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있는지 규명하였다. 다양한 지자체들에서 공공배달 앱을 추진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소비자들이 배달 앱을 통해 진정으로 얻고자 하는 정보가 무엇인지 명확히 파악하고 준비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The growth of food delivery service app market is accelerating. The food delivery service app now functions as a space to acquire information about delivery food, beyond simply the means to order food. Other consumer reviews in delivery service apps serve as an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 for many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wanted to check whether the level of information activities of consumers using delivery apps is becoming tangible,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information activities. For this study,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 male and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and 50s nationwide who use the ‘Baedal Minjok’ app. A total of 300 samples were obtained as valid analysis data and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main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consumer typ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depending on the level of information activity. The first type, ‘only-exploration’, was a group that has no writing experience and only performs information-searching activities, accounting for 23.3% of the total consumers. The second type was ‘passive-activity’, who occasionally explore and write, accounting for 21.3% of all consumers. The third type, ‘active-exploration’, was a group that searches for reviews every time, but writes occasionally, accounting for 31.3% of all consumers. Finally, ‘active-activity’ was a group that explore reviews and even write reviews on order, accounting for 24.0% of all consumers. In prior research, exploration-only behavior has been considered to be the lowest level of information activity, while exploration and writing together has been considered a more active level of information activity. However, some factors in this study showed lower scores of passive activity types than only exploration types. This suggests that just because consumers are only browsing in a delivery service app,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level of information activity is low. Therefore, discussions on information activity on food delivery service app platforms need to be re-established. Second, consumers' perception of delivery service app reviews has the highest level of doubt about the veracity of reviews written due to review events. These results ar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consumers cannot know whether the review participates in the event during the exploration process if the reviewer does not write the relevant content in the review, even if they participated in the event. This can be a factor that can significantly undermine consumer confidence in reviews. Therefore, specific measures (optional, certification mark, etc.) are needed to provide event participation information. Third, consumers generally recognize food delivery service app reviews as reliable and useful information, and have been found to be highly dependent on in delivery service app reviews. However, the fact that the information retrieval channel is limited to in delivery service app reviews can cause significant confusion in the consumer 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 if the restaurant's reviews are manipulated. Therefore, to allow consumers to explore a broad and truthful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cluding a path to check consumer information from other channels together within a delivery service app. Fourth, depending on the level of information activity, it is shown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onfirmation for the review components.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consider how consumers can efficiently accept and understand information on delivery service app.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consumers as information actors in delivery service app reviews, and identifies whether there are factors affecting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rough typification based on actual consumer behavior. Many local governments in Korea are currently pursuing public delivery service apps. At this time, it will be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 clearly identify and prepare what information consumers really want to get from the delivery service app.

      • KCI등재

        청년은 정보 활용격차에서 자유로운가? - 한국 2030 청년세대의 모바일 정보 활용에 관한 연구 -

        김설인(Seolihn Kim),구혜경(Hye-Gyoung Ko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

        본 연구는 2030 청년세대의 모바일 정보 활용수준에 따라 집단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소비자역량과 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실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세대 내 정보격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총 1779부의 유효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30 청년세대의 정보 활용요인은 ‘개인의 정보활동’, ‘공유활동’, ‘생활서비스’, ‘사회참여’, ‘정보 및 네트워킹’, ‘경제활동’으로 도출되었다. 정보 활용수준에 따라 소비자는 준거집단(46.5%), 고활용집단(27.2), 저활용집단(26.3%) 3가지로 유형화되었으며, 유형별 인구통계학적 특성, 소비자역량, 생활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준거집단과 비교하여, 고활용집단과 저활용집단의 정보격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2030 청년세대 내 정보 활용수준이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러한 차이가 정보격차로 이어질 가능성을 피력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청년세대 역시 정보격차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향후 정책이나 교육에서도 청년세대 정보격차에 대한 발전된 차원의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 to demonstrate and categorize the status of level of mobile information utilization of the 2030 youth generation,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may affect the digital divide within the generation. For this purpose, 1779 data were analyzed using materials for the 2018 digital divide survey in Korea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ccording to the level of information utilization, the consumer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 reference group (46.5%), high utilization group (27.2%), and low utilization group (26.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s variable, consumer capabilities, living satisfaction by type of consumer. In additi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igital divide of the high utilization group and low utilization group were identified compared to the reference group.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confirmed the actual gap of information utilization and raised the possibility of the digital divide within the 2030 youth generation.

      • KCI등재

        채식 동기와 수준에 따른 채식 소비자 유형별 식생활에 대한 탐색적 연구

        예은,유상화,김설인,구혜경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4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채식 소비자를 채식 동기와 채식 수준에 따라 유형화였다. 채식 소비자 유형별 인구통계적 특성과 외식 소비 행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식생활 역량, 식생활 관련 관심도 및 만족도와 같은 식생활 특성을 전반적으로 탐색하였으며, 채식 소비자 유형의 결정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 자료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22 식품소비행태조사’에 참여한 성인 가구원 중, 채식 소비자 952명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채식 소비자 유형은 건강 및 다이어트와 같은 개인적인 채식 동기에서 적극적으로 채식을 실천하는 ‘개인적 적극형’, 개인적 동기에서 간헐적 수준으로 실천하는 ‘개인적 간헐형’, 채식 수준은 다양하지만 지구환경 및 동물보호의 이타적인 동기로 채식을 실천하는 ‘이타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채식 소비자 유형별 인구통계적 특성은 학력을 제외한 성별, 연령, 월평균 소득, 직업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채식 소비자 유형별 외식 소비 행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식생활 역량, 식재료 관심도, 건강 관심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별,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식생활 기술 역량은 채식 소비자 유형을 결정하는 공통적인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채식 수준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는 식생활 지식과 시민성에 대한 태도가 중요하나, 채식 동기를 결정하는 중요 요인은 소비자가 농식품의 정보와 표시에 대해 갖는 태도와 건강에 대한 관심도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채식주의가 점차 하나의 라이프스타일로 자리 잡아가는 현시점에서 채식 소비자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그들의 식생활에 주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ategorized Korean vegetarian consumers according to their motivation and level of vegetarianism. We explore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vegetarian consumer and their dietary characteristics, such as eating out consumption patterns, dietary lifestyle, dietary competence, dietary habits, interest and satisfaction related to dietary, and looked at the determinants of the type of vegetarian consumer. As analysis data, data from 952 vegetarian consumers among adult household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s ‘2022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was extracted and used for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vegetarian consumers are ‘personal active type', who actively practices vegetarianism for personal reasons such as health and diet; ‘personal intermittent type', who practices vegetarianism intermittently for personal reasons; and although the level of vegetarianism varies, the global environment and animals They appeared to be the ‘altruistic type', practicing vegetarianism with altruistic motivation for protection. Seco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vegetarian consum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ge, average monthly income, and occupation, excluding educational background.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eating out consumption behavior, dietary lifestyle, dietary competence, interest in food ingredients, and interest in health by type of vegetarian consumer. Lastly, gender, dietary lifestyle, and dietary skill competence were found to be common influencing factors in determining the type of vegetarian consumer. However, although dietary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citizenship are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level of vegetarianism,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motivation for vegetarianism were consumers' attitudes toward information and labeling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ir interest in health. Through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nhances understanding of vegetarian consumers and focuses on their eating habits at a time when vegetarianism is gradually becoming a lifestyle.

      • KCI등재

        알뜰폰으로의 전환 의도에 관한 연구: PPM모형을 중심으로

        김설인 ( Kim Seolihn ),인혁 ( Kim In-hyeok ),구혜경 ( Koo Hye-gyoung ) 한국소비자학회 2024 소비자학연구 Vol.35 No.3

        우리나라는 이동통신 시장의 경쟁 촉진을 통한 과점 방지 및 소비자들의 통신비 부담 완화를 목적으로 알뜰폰을 도입하였으며, 알뜰폰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 속에 최근에는 MZ세대를 주축으로 알뜰폰 요금제와 단말기 자급제를 결합하는 새로운 소비행태가 생겨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알뜰폰이 이동통신 시장과 소비생활에 미치는 영향력에 비하여 알뜰폰 관련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알뜰폰 전환의도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고, 연령대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인 명의로 기존 이동통신사(SKT, KT, LGU+)에 가입하여 이용 중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500명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전체 소비자의 전환의도 및 PPM 요인에 대한 인식을 확인한 결과, 경제성(Pull 요인)이 가장 높고, 비슷한 품질(Pull 요인), 사회적 영향(Mooring 요인), 낮은 혜택 인식(Mooring 요인), 전환비용(Mooring 요인), 전환의도, 기존 통신사 불만족(Push 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통계 특성(성별, 연령대)과 이용특성(현재 통신사, 가입기간, 가입 요금제, 월평균 통신비요금)에 따라 전환의도 및 PPM 요인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PPM 모형에 기반하여 전체 소비자 및 연령대별 소비자의 전환의도 및 영향요인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소비자 집단에서 기존 이동통신사에 대한 불만족(Push 요인)과 사회적 영향(Mooring 요인)이 알뜰폰 전환의도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사회적 영향이 모든 연령대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낮은 혜택 인식(Mooring 요인)은 모든 소비자 집단에서 전환의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경제성(Pull 요인)은 전체 소비자와 40대, 60대 이상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비슷한 품질(Pull 요인)은 6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전환 비용(Mooring 요인)은 20대를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전환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알뜰폰 업계가 연령별 특성과 요인별 영향력을 고려한 소비자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을 제언하였으며, 나아가 알뜰폰과 관련하여 논의 및 추진되고 있는 제도적 변화들이 향후 소비자 선택권과 후생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정부의 개입과 중재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통신사에서 알뜰폰으로 통신사를 전환하고자 하는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소비자학 관점에서 알뜰폰 시장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알뜰폰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to prevent oligopoly and reduce consumer communication costs by promoting competi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market. Recently, a new consumption pattern has emerged, combining MVNO plans with unlocked mobile phones, primarily among the MZ generation. However, studies on MVNOs are relatively sparse compared to their impact on the mobile communication market and consumer behavior.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switching intent to MVNOs based on the PPM model, surveying for 1500 consumers using MNOs for smartphone us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confirmed the overall perception of intention to switch and Pull-Push-Mooring (PPM) factors among consumers. “economic feasibility of MVNO(Pull factor)” was perceived as the highest, followed by “Similar quality compared to MNO(Pull factor)”, “social influence(Mooring factor)”, “perception of low benefits”, ‘switching costs(Mooring factor)’, “Switching Intention”, and “Dissatisfaction with MNO(Push factor)”. Furthermor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intention to switch and PPM factors were found based on demographic and usag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PPM model, a comprehensive analysis of intention to switch and influencing factors among consumers of all age group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Dissatisfaction with MNO(Push factor)’and ‘social influence (Mooring factor)’ significantly affected the switching intention of MNO users to MVNO across all consumer groups. Second, ‘low benefits of MVNO(Mooring factor)’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witching intention in any consumer group. Third, ‘economic feasibility of MVNO(Pull facto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ntire consumer group as well as those in their 40s and over 60s. ‘Similar quality compared to MNO(Pull factor)’ significantly influenced switching intention in all age groups except those over 60. Fourth, ‘switching costs(Mooring factor)’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witching intention in any group except those in their 20s.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s that the MVNO industry needs to develop consumer marketing strategie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factors of each age group. Furthermore, it proposes that government intervention and mediation efforts are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ongoing and proposed regulatory changes regarding MVNOs protect consumer choice and welfare in the future. This study serves the purpose of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switch from MNOs to MVNOs and provides insights into the MVNO market from a consumer perspectiv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hoped that various follow-up studies targeting MVNO users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 KCI등재

        대전시 유성구 어은동 안녕마을 사례를 통한도시재생 마을의 지속가능성 방안 탐색 연구

        최아라,김설인,수연,구혜경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Urban Regeneration VillagesThrough the Case of Hello Villagein Eoeun-dong, Yuseong-gu, DaejeonAra Choi, Seolihn Kim, Suyeon Kim, & Hyegyoung Ko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to revitalize a sustainable village from the perspective of ethical consumption for Hello Village in Eoeun-dong, Yuseong-gu, Daejeon, where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has ended. First, this study evaluated the case of Hello Village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and second, after considering the Hello Village and Hello Festival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s on ethical consumption, and finally suggested a plan to revitalize the sustainable village. It was suggested that strengthening the branding of ethical consumption is required for continuous activation in the future, and empirical studies for this need to be conducted in subsequent studies. Key Words: Urban Regeneration, Revitalizing Village, Local Community, Sustainability, Ethical Consumption 대전시 유성구 어은동 안녕마을 사례를 통한도시재생 마을의 지속가능성 방안 탐색 연구최 아 라*ㆍ김 설 인**ㆍ김 수 연***ㆍ구 혜 경**** 요약: 본 연구는 도시재생뉴딜사업이 종료된 대전시 유성구 어은동 안녕마을을 대상으로 윤리적 소비의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마을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도시재생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어은동 안녕마을 사례를 평가하고, 둘째, 윤리적 소비의 이론적 논의를 통해 어은동 안녕마을과 안녕축제를 고찰한 후 그 함의를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어은동 안녕마을의 지속가능한 마을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윤리적 소비의 관점에서 제언하였다. 분석 결과, 어은동 안녕마을 사례는 도시재생의 관점에서 성공적인 사례임과 동시에 윤리적 소비의 측면에서도 지역공동체 활성화 차원의 의미를 가지는 지속가능한 발전이 기대되는 사례로 평가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윤리적 소비의 브랜딩 강화 방안에 대해 안녕마을의 주민, 상인 및 주요 소비자를 대상으로 인식 및 요구도 등을 정량화하여 향후 과학적 타당성의 검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핵심어: 도시재생, 마을활성화, 지역공동체, 지속가능성, 윤리적 소비 □ 접수일: 2022년 1월 6일, 수정일: 2022년 1월 30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주저자, 충남대학교 소비자학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Chungnam National Univ., Email: orzr1@cnu.ac.kr)** 공동저자, 충남대학교 소비자학과 석사(Co-author, Master, Chungnam National Univ., Email: cture513@naver.com)*** 공동저자, 충남대학교 소비자학과 석사과정(Co-author, Master’s Course, Chungnam National Univ., Email: su_yeon@cnu.ac.kr)**** 교신저자, 충남대학교 소비자학과 부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Chungnam National Univ., Email: sophiak@cnu.ac.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