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녀청소년의 다양한 스트레스(부모, 학업, 친구, 외모, 경제), 학교생활적응과 행복감의 관계성 연구: 매개관계를 중심으로

        김선아(Sunah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9

        본 연구는 남녀 청소년의 다양한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청소년들의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한국 어린이 · 청소년 행복지수 2018년도 조사’ 중고등학교 자료 5,144명을 활용했고, 2017년 교육기본통계자료를 기반으로 학급을 표집단위로 크기비례확률 추출법을 활용하여 표집했다. 구조방정식과 다중집단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로, 첫째, 청소년들의 행복감에는 학업스트레스, 친구스트레스, 외모스트레스가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도 행복감과 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였고 각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는 부모스트레스, 경제스트레스와 학업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각 스트레스와 행복감에서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는 부모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와 경제적 스트레스만 학교생활적응을 통해 유의미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스트레스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남녀차이에 대한 다중집단 구조분석 결과, 두 집단구조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집단의 매개효과 결과에서는 차이가 있었는데, 남학생은 학업스트레스와 경제스트레스만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여학생은 학업, 경제와 부모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을 통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청소년들의 행복감에 대한 개입과 실천적 함의에 대한 제안과 과제가 제시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and relationships of various stress, school life adjustment and happiness factors among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dolescents. The structural model group effects between boy and girl groups were also investigated. Data was employed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Well-Being Index Survey, 2018" while subjects of the analysis included 5,144 students. Based on the education statistics data, the sample was collected by probability proportional to size. Results utili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first, school stress, friend stress, and look str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adolescent happiness. School life adjustment had positive significant effects on adolescents" happiness. Parent stress, money stress and school str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school life adjustme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life adjustment between stress and happiness was significant with parent, school stress, and financial stress. Third, results of the multi-group analysis by level and gender showed that the structure was similar between boys and girls, with the only differences among mediating effects. Boys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y school stress, and financial stress, while girls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y school stress, financial stress, and parent stres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support the promotion of adolescents" happiness.

      • KCI등재

        지역연계 미술교육의 개념화를 위한 소고

        김선아(Sunah KIM)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3

        교육에서 지역연계에 관한 논의는 새로운 것이 아니며, 네트워크 혹은 파트너십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이어져 왔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학교의 담은 여전히 높고, 지역연계에 대한 인식 또한 학교에서의 부족한 인적, 물적 자원 활용 이상을 넘어서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는 도구적, 방법론적 접근에서 벗어나 미술교육에서 지향하여야 할 지역연계가 의미가 무엇이며, 앞으로 어떤 방향성을 가져야 할지에 관한 질문을 던지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다양한 정책연구에서 비교적 확실한 목표와 방향이 제시되었음에도 지역 안에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코디네이터 등 인력을 양성 하는 일이 쉽게 이행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간학문적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학교에서 연계하려는 ‘지역’의 의미는 무엇인가?”, “학교가 지역과 연계하였을 때 어떤 일을 할 수 있는가?”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먼저 지역을 역사성과 문화성을 지니는 장소로서 개념화하고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참여적 미술교육의 담론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지역과 미술의 교차점에서 지역연계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적 요소로서 네트워크와 협력관 계의 개념을 명료화하였다.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한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자생적인 학습조직으로서의 네트워크와 사람 의 연결구조로서 협력관계의 특성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을 고정된 자원의 집합으로 보지 않고 상호적 관계 속에서 변화하는 유기체로 인식하여 지역연계에 관한 확장된 시각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즉 지역연계가 일방향의 선 긋기식 연결이 아닌 복잡한 의미망의 형성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학교-지역 간의 연계에 관한 확장된 담론을 시작하였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찾아볼 수 있다. The discussion of region-based network in education is not new, and researches on network or partnership has continued. Nevertheless, the walls of the school are still high, and the perception of region-school relations often comes short of going beyond utilizing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questions of what region-based network should mean in art education and what direction it should take in the future. Considering this problem, this study conducted the interdisciplinary literature review on “what is the meaning of region to be connected to the school?”, “what can the school expect by build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 the region?” First, I conceptualized the region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place and examined the discourse of participatory art education. In addition, I discussed the concept of network and collaboration as a key element at the intersection of region and art. Based on the analysis of precedent case studies, this study conceptualized network as a autonomous learning structure and partnership as mutual relation between peopl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uld be found that it expanded our understanding of regional-based network as the formation of a complex semantic web rather than a unilateral link generating a extended discourse of region-based art education.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SCOPUS
      • CMF중심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김선아(Kim, Sunah),나건(Nah, Ke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0 No.-

        조형적 스타일을 넘어 감각적 경험을 구체화하여 감성 품질의 향상을 추구하는 CMF중심 디자인은 제품 개발의 전 과정에 걸쳐 기술과 디자인의 접점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디자인 혁신의 중요한 시기마다 그 시대를 대표하는 상징적 제품은 그 당시의 소재와 기술, 공정 혁신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밝혔다. 소재 개발의 폭발적 증가로 인한 소재와 기술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필요와 소재 개발에 있어 선행적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해야 하는 필요가 동시에 일어났으며, 이는 기술과 디자인의 상호 필요에 의한 패러다임 쉬프트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CMF디자인은 제품 개발 내에서 요소, 혁신, 융합기술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배경과 상황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참여한 연구 사례를 통해 CMF 중심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모델은 Inspiration단계와 Innovation단계의 투-트랙(Two-track)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단계별로 독립적으로 운영되면서도 일정한 부분에서 연계활동이 가능한 유기적 프로세스이다. 이는 기존의 디자인 프로세스와 달리 기술과 디자인의 융합 환경에서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거나 소재의 특성을 활용한 응용제품을 개발하는 확장된 범위로서의 디자인 혁신 활동이 가능함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CMF-centered design that pursuits of the improvement of the emotional quality by embodying sensory experience beyond the style plays a variety of roles in the contact of technology and design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product development. This study prov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that every critical period of design innovation the symbolic representative of the time is closely related to the materials and technologies, process innovation. Due to the explosion of material development the needs of use of information of materials and technology effectively and applying to the design process happened at the same time, this is appeared as paradigm shift by mutual need of technology and design. The CMF design performing these requirements specifically played roles as element, innovation and convergence technology in product development. Based on this background and circumstances involved in this case study researchers through the CMF-centered design process model is proposed. This model was composed of two-track; inspiration and innovation step, while it was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step and an organic process the association activities is possible in a certain part. Unlike the existing design process, this study have a meaning to present that this model developing new materials or applications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is possible to design innovation activity as the extended range.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운영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5, 6학년의 심리사회적 요인과 초기 중학교의 음주 흡연과의 관계

        김선아(Sunah Kim)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사회과학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hood psychosocial predictors on middle school adolescents' drinking and smoking. The sample was based on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a longitudinal study following students since 4th grade (2004) to the present year. This study used wave 2, 3 and 4 while 2,844 students were used as subjects for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first, the 5th grade predictor for middle school drinking was self-esteem while stress was a significant positive predictor for smoking in middle school. Second, 6th grade predictors for adolescent drinking and smoking were both stress. Third, specific stress predictors for 5th grade drinking were parent stress and academic stress, while economic stress was significant for smoking. 6th grade predictors for drinking and smoking were consistently parent stres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intervention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중ㆍ고등학교시기의 심리사회요인과 고 3학년 음주흡연행동의 관계

        김선아(Sunah Kim)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사회과학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and highschool psychosocial predictors on highschool adolescents' drinking and smoking behavior. The sample was based on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a longitudinal study following students since 7th grade to 11th grade. This study used wave 2, 4 and 5 data for the analysis and 2,967 students were used as subjects for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first, the 8th grade significant predictors for high school(11th grade) drinking were friend relationship, and economic stress. Second, 8th grade significant predictors for 11th grade smoking were friend relationship, parent stress, and academic stress. Third, high school (10th grade) predictors significant for 11th grade drinking was only economic stress. Finally, high school(10th grade) predictors significant for 11th grade smoking were friend relationship, parent stress, academic stress and economic stress.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intervention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