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Effective Treatment of Swine Manure with Chinese Cabbage Silage through Two Serial Anaerobic Digestion

        김상헌,Kim, Sang-Hun,Kafle, Gopi Krishna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2010 바이오시스템공학 Vol.35 No.1

        The performance of two serial completely stirred tank reactors (CSTRs) for treatment of swine manure (SM) with Chinese cabbage silage (CCS) was studied. The two CSTRs of 41 liters each were connected in series and first reactor was fed swine manure with Chinese cabbage silage in 3:1 proportion by VS basis. The FOS/TAC, methane content (%) and pH were utilized as the parameters for the digester stability control. The FOS/TAC value was found to be effective indicator for instant digester condition. The stability of reactors can be obtained with the FOS/TAC value up to 1.0 with accumulation of FOS value below 10,000 mg/L. Material exchange method was effective in transferring the excess volatile fatty acids (VFA) from the first reactor to the second one and maintaining stability in both the reactors. The biogas yield and the methane yield was 0.55-0.61 and 0.41-0.42 L/g VS fed, respectively, at organic loading rate (OLR) of 2.2-2.6 g VS/L with total HRT of 32 days.

      • KCI등재

        탈곡성능(??性能) 향상(向上)을 위(爲)한 요동(搖動)체 선별방법(選別方法) 개발(開發)에 관(關한) 연구(硏究)

        김상헌,정창주,유수남,Kim, Sang Hun,Chung, Chang Joo,Yoo, Soo Nam 한국농업기계학회 1982 바이오시스템공학 Vol.6 No.2

        To modernize the conventional rice post production technology and reduce grain losses, a transition toward the wet-paddy threshing system has been strongly demanded. The head-feeding type thresher with pneumatic separation has been used dominantly for threshing dried-paddy, but some adverse effects in separation performance for threshing wet-paddy is encounterr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e development of thresher with an additional oscillating sieve to the conventional pneumatic separation has been recommanded. This study was intended to evaluate the separating performance of thresher with oscillating sieve which was attached additionally to the conventional auto-thresher equipped with separation system of blower and suction fan. For different feed rates and rice varieties, wet-and dry-material were tested with threshers attached with and without oscillating siev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When the feed rates were 480 and 640 kg/h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ower reqirements between the threshers with and without an additional sieve device for both dry-and wet-threshing. However, when the feed rate was 960 kg/hr, power requirements of thresher without sieve were greater for wet-paddy threshing than the thresher with the additional sieve separator by about 20% points. 2. With additional oscillating sieve device, the ratios of total weights of whole grains including grains with branch let and damaged grains to the total output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the feed rates. However, with pneumatic separation the ratio was decreased as the level of feed rate increased. 3. The total amount of grains with branchlet (including broken panicle) increased with the moisture content. For both the wet-and dry-material threshing with the additional oscillating sieve, the percent of grains with branchlet to the total output decreased greatly as the feed rate increased. 4. The output of the damaged grains increased as moisture content decreased. Especially, for the dry-paddy threshing, the additional sieve separating device produced more damaged grains than the pneumatic separation at all feed rates. 5. Generally, for dry paddy threshing, the separating performance of the thresher with the additional sieve device was better at all feed rates, showing greater difference with increasing feed rates. 6. Separating losses were greater with the pneumatic than sieve separation for both the wet-and dry-threshing. 7. The overall comparison of separating performance of threshers tested with and without an additional sieve device showed that the former was more effective than the latter for the dry-material threshing. However, for the wet-paddy threshing, the separation performance with a sieve device was better than the pneumatic only when the feed rate was high.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제1차 세계대전과 이보 안드리치의 소설 - ‘아가씨(Gospođica)’과 ‘드리나 강의 다리(Na Drini ćuprija)’ -

        김상헌(Kim Sang Hu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6 동유럽발칸연구 Vol.40 No.6

        이 논문은 제1차 세계대전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Mlada Bosna (젊은 보스니아)’와 노벨문학상 수상작가인 이보 안드리치의 관련성, 그리고 그의 두 편의 작품 속에 나타나 있는 ‘Mlada Bosna’라는 소재에 대해 고찰한다. 이는 이보 안드 리치의 문학세계를 관통하고 있는 정치적이며 문학적인 신념을 본격적으로 살피기 위한 준비작업의 성격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1914년 6월 28일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수도 사라예보에서 일어난 오스트 리아의 프란츠 페르디난드 황태자 암살사건은 현대 인류역사의 주요한 사건이었 으며 제1차 세계대전 발발의 방아쇠 역할을 했다. 암살을 주도한 인물은 청년 혁명조직 ‘Mlada Bosna’의 일원이었던 세르비아인 가브릴로 쁘린찌프(Gavrilo Princip) 였다. 사건이 차지하는 주요한 ‘역사적 맥락’ 외에도, 이 암살사건은 구(舊) 유고 슬라비아 문학에서 큰 의미를 차지하며 짙은 반향을 남겼다. 예를 들면, 이 사건은 구 유고슬라비아 민족의 현대문학에서 가장 주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세 명의 작가인 크로아티아의 밀로슬라브 끄를레쟈(Miroslav Krleža), 세르비아의 밀로슈 쯔르냔스키(Miloš Crnjanski), 유고연방의 유일한 노벨문학상 수상작가인 이보 안드 리치(Ivo Andrić)의 작품세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세 명의 작가들은 민족이나 종교와 무관하게 이 사건을 긍정적으로 묘사하며, 가브릴로 쁘린찌프를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의 지배하에 있던 구 유고슬라비아 민족들의 해방을 위한 혁명적 행동가로 묘사하고 있다. 젊은 시절, 이보 안드리치는 사라예보의 반란운동의 일원이었으며, 자신의 작품들 속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묘사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비록 안드리치가 사라예보에서 벌어진 사건에 직접적으로 가담하지는 않았다고 하더라 도, 가브릴로 쁘린찌프가 속해 있던 ‘Mlada Bosna’의 일원이었다는 점 때문에 암살사건 이후 벌어진 조사과정에서 체포되어 제1차 세계대전의 상당한 기간을 감옥에서 보내야 했다는 점을 상기한다면 그의 작품에 미친 역사적 사건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즉, 그러한 경험이 안드리치 인생의 여정과 정치적-문학적 신념을 결정짓는 주요한 요인이 되었다는 것이다. 안드리치는 ‘Mlada Bosna’의 일원으로서, 자신의 젊은 시절의 정치적 신념을 문화적 해방과 동일시했다. 이 논문은 안드리치의 주요한 문학작품인 ‘아가씨(원제는 ‘Gospođica’이며, 영어번역판에서는 ‘The Woman from Sarajevo’)’와 ‘드리나 강의 다리(Na Drini ćuprija)’를 통해 묘사되고 있는 ‘Mlada Bosna’의 면면을 살핀다. to the First World War and the Nobel Prize winner Ivo Andrić, and the theme Mlada Bosna which appeared in his two novels. This can be said to have the nature of the preparatory work to study in earnest about the Political and literary belief in his literary world. The assassination in Sarajevo of Archduke Franz Ferdinand of Austria on June 28, 1914 was a key event of modern history and triggered the outbreak of World War I. The assassination was carried out by a Serb, Gavrilo Princip, a member of the youth revolutionary organization, Mlada Bosna (Young Bosnia). Apart from the historical context, this event also reflects significantly on South Slavic literature. The assassination was the subject matter and theme of works by the three most prominent authors of South Slavic modern literature: Croatian writer Miroslav Krleža, Serbian writer, Miloš Crnjanski, and Yugoslav Nobel Prize winner, Ivo Andrić. All three wrote on the subject positively, describing it as a revolutionary act the aim of which was the liberation of South Slavic people occupied by the Austro- Hungarian Empire. In his youth, Andrić was a member of the insurgent movement from Sarajevo and wrote about it. Although not involved directly in the Sarajevo plot, in the aftermath of the assassination, as a member of Mlada Bosna, Andrić was arrested and he spent the greater part of the war in prison and interment. This experience determined the fate of Andrić in both his life path and political and literary persuasion. Andrić formed his youthful political convictions as a member of Mlada Bosna, which also aimed at cultural emancipation. This paper analyzes the presence of Mlada Bosna in the works of Andrić, especially the novels The Woman from Sarajevo (Gospođica) and The Bridge on the Drina (Na Drini ćuprija).

      • KCI등재

        Silibinin Inhibits Cell Growth and Induces Apoptosis through Cell-cycle Arrest in PC-3 Prostate Cancer Cells

        김상헌(Sang-Hun Kim),김광연(Kwang-Youn Kim),유선녕(Sun-Nyoung Yu),진영랑(Young Rang Jin),전현주(Hyun-Joo Jeon),이창민(Chang-Min Lee),안순철(Soon-cheol Ahn)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11

        Silibinin은 milk thistle에서 분리된 주된 생리활성 성분으로 강력한 항산화제, 항암활성에 대해서 보고되어 있다. 하지만 항암활성에 대한 정확한 기전에 대해서는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전립선 암세포주인 PC-3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사멸의 기전을 조사하였다. MTT assay를 통해 세포독성을 확인하였고, PI 염색을 통해 세포주기를 확인하고, Annexin-V/PI 염색을 통한 세포사멸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세포주기 및 세포사멸에 관련된 단백질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silibinin은 인간 전립선 암세포주인 PC-3 세포에서 세포주기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여 세포주기 진행을 억제함으로써 세포사멸을 유도 함을 알 수 있었다. Milk thistle (silybum marianum) is a famous dietary supplement widely used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Silbinin is a major biologically active compound of milk thistle and has strong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er activities. Anticancer activities, as well as chemopreventive effects on various cancer cell lines, including prostate, lung, colon, skin, and bladder, have also been reported in silbinin.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cancer effects of silibinin and apoptosis through cell cycle arrest on prostate cancer cell PC-3. We performed cell viability by MTT assay and western blotting to confirm cell cycle check point proteins such as cyclin A/D1/E and cyclin-dependent kinase (CDK) 2/4/6. To quantify silibinin-induced apoptotic cell death of PC-3, Annexin V and PI double staining was performed by flow cytometry, by which its cell distribution was determined. As a result, silibinin inhibited the cell growth of PC-3 cells in a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and its treatment resulted in cell cycle arrest at the G1 phase. Also the level of cell cycle check point proteins (cyclin, CDK) was decreased by silibinin in a dose-dependent manner. Taken together, we suggest that apoptosis of prostate cancer cell line PC-3 induced by silibinin is associated with cell cycle arrest through decrease of cell cycle check point proteins, caspase-3 activation and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cleavage.

      • KCI등재

        구비영웅서사시의 형성과 전승

        김상헌 ( Sang Hun Kim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3 世界文學比較硏究 Vol.44 No.-

        19세기 전반 구 유고슬라비아 지역에서 본격적으로 구비문학작품 채록이 이루어진 이후, 현재까지도 현지의 구비문학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현지조사 활동을 통해 다양한 구비문학 작품들에 대한 채록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20세기 말 구유고슬라비아 지역에서 벌어진 내전 성격의 전쟁들과 함께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구비영웅서사시 갈래는 전통적으로 구전되어 오고 있는 구비문학작품들과 함께 세르비아의 야스미나 밀로예비치(Jasmina Milojevic), 크로아티아의 이보 쟈니치(Ivo Zanic)와 같은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구비영웅서사시를 포함한 구비문학 전체는 ‘전승’이라는 방식을 통해서, 그것이 지니고 있는 가장 본디의 문학적 모습으로써의 존재의미를 갖는다. 비록 구비문학의 본질적 성격이 그렇다 하더라도, 오랜 세월을 관통하며 작품의 원형으로부터 개별적인 문학적 가치를 지니는 많은 각편들이 만들어지고 구비전승의 과정 속에서 내용적으로나 형식적으로 더욱 정제된 문학작품으로 독자들에게 다가설 수 있음을 부인할 수는 없다. 본 논문에서 살피고자 했었던, 20세기 말 이후 새롭게 형성된 구비문학작품들의 문학적 가치가 완전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전승의 과정에서 마주하게 되는 구 유고슬라비아구비문학연구 자료로써의 가치는 충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고찰하고 있는 1990년대 이후 구 유고슬라비아 지역에서 창작된 현대적 구비영웅서사시의 ‘형식적 미완성’ 혹은 ‘문학적 불완전성’이, 창작된 지 불과 20여년 만에 이루어진 본 연구자의 성급한 채록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창작된 원형작품이 오랜시간과 많은 세대를 거치며 충분한 정제와 완성된 형태로 거듭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19세기 전반기에 채록된 전통적인 구비영웅서사시 작품들이 지니고 있는 형식적 틀이 점차 변화하고 있는 조짐들이 본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예들을 통해 드러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그러한 저간의 형식적 변화의 현상들이 ‘정형시’의 형식으로부터 ‘자유시’의 형식으로 변화해온 기록문학적 특징이 구비영웅서사시를 포함한 구비문학 전반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남슬라브 민중영웅의 역사적 실재성과 신화적 허구성

        김상헌(Sang Hu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5 동유럽발칸연구 Vol.39 No.4

        세르비아를 포함한 구 유고지역, 그리고 발칸반도 지역에 속해 있는 또 다른 여러 민족들의 구비문학과 민속을 통해 일반적으로 마르코 끄랄례비치(Marko Kraljević)로 불리는 인물은 구비서사시를 중심으로 한 구비시가의 상당부분을 포함한 서사적 전통과 구비전설 등에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영웅이다. 나아가 세르비아를 중심으로 한 남슬라브 민족들의 민속적 틀 속에서 마르코 끄랄례비치는 가장 널리 알려진 인물인 동시에 가장 복잡한 성격을 지닌 인물로 평가받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지난 150여 년 동안, 신화적 인물 마르코 끄랄례비치는 다양한 구비문학적, 민속학적, 신화학적, 민족학적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신화적 인물 마르코 끄랄례비치가 우리에게 드러내는 다양하고 복잡한 특징들에 관심을 보여 왔던 기존의 많은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신화적 ‘마르코 끄랄례비치’ 혹은 역사적 ‘마르코 므르냐브쳬비치’가 어떠한 접점을 보여주는가 하는 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의 기본적인 가설은 ‘마르코 끄랄례비치’가 보여주는 서사적 성격이 역사적 실체라고 할 수 있는 ‘마르코 므르냐브쳬비치’에만 기반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해, 허구성이 내포되어 있는 신화적 인물 ‘마르코 끄랄례비치’에는 고대의 신화와 실제 역사 속의 인물들이 프로토타입(prototype)의 형태로 개별적이거나 복합적인 방식을 통해 구현되고 있다는 것이다. Marko Kraljević is the central figure of South Slavic oral epic poetry, the protagonist of hundreds of poems and legends, and epic traditions in general. In the frameworks of Serbian and South Slavic folklore (beside the legend of the “Battle of Kosovo”) the epic legend of Kraljević Marko is certainly best known and, nevertheless, most complex. For this reason, in the course of last 150 years, it has been the research subject of numerous folkloristic, literary, ethnological, ethno-mythological and other studies. In this paper we shall address the historical and mythical roots of the epic character of Marko Kraljević, drawing from the works of other researchers of this subject. Our preliminary assumption is that the epic character of Marko Kraljević was not based exclusively on the historical figure of King Marko Mrnjavčević: this included other prototypes of historical and mythic personalities as well. Some of them are associated with distant periods in ancient history.

      • KCI등재

        밀로슈 쯔르냔스키(Milos Crnjanski) 문학작품 속의 동양

        김상헌(Sang Hu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9 동유럽발칸연구 Vol.43 No.3

        밀로슈 쯔르냔스키(Milos Crnjanski)는 20세기 전반 세르비아 모더니즘 문학기를 장식했던 가장 중요하고 뛰어난 시인이자 소설가 가운데 한 사람으로 주목받아왔으며, 그러한 만큼 그와 그의 작품에 대한 많은 분석과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앞으로도 그러한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편적인 관심과 연구를 제외하고 20세기 전반 구 유고슬라비아 지역 전반의 사상과 문학에 영향을 미친 ‘동양의 사상과 문화’에 대한 개괄적이며 종합적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실존(實存)이라는 문제와 관련하여 극심한 정신적 혼란을 겪었던 20세기 전반의 유럽의 상황 속에서, 구 유고슬라비아의 지식인들이 마주했던 문제는 서유럽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개별적인 상황 속에서 이 지역 지식인들이 추구했던 방법은 문학사 전반과 사회사상사 전반에 걸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20세기 구 유고슬라비아 지역의 대표적인 작가들에게서 나타나는 동양의 사상과 문화에 대한 관심과 수용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특히, 중국과 일본의 철학, 문화 및 종교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기울였던 세르비아의 대표적인 표현주의 작가인 밀로슈 쯔르냔스키의 문학세계에 대해 고찰한다. 필자는 본고를 통해 ‘서양’과 대비되어 사용되는 ‘동양’을 구 유고슬라비아 지역 출신 작가들과 견주어 세 개의 범주로 구분했는데, ‘이슬람적인 동양’, ‘인도적인 동양’, ‘중국과 일본적인 동양’이 그것이며, 세르비아의 표현주의 문학가인 쯔르냔스키와 관련해서는 ‘중국과 일본적인 동양’과 연관 지어 살핀다. Milos Crnjanski is generally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outstanding serbian poets and a novelist of Serbian literary modernism, and his works were the subject of a considerable number of analyses and research papers. It is nevertheless possible to distinguish one segment of his oeuvre where he differently addressed subjects related to the East and Asia in particular - primarily Chinese and Japanese philosophy, culture and religion. His essays and poems which explicitly addressed matters of the Chinese and Japanese East, it is possible to identify in his poems certain motifs, poetic stances and images inspired by Eastern teachings. In this paper we shall attempt to outline the way in which Crnjanski approached Chinese and Japanese subjects, point to the origins of his interest, and suggest to what extent and how Chinese philosophies, primarily Lao-tse, influenced his poetic oeuvre. Nevertheless, a number of essays testify on Crnjanski’s deeper interests in the Far East, but also on the influences that the cultures of the Far East, notably of China, had on his work. They were also reflected in his attitudes towards the art and poetry as such. This paper explores Crnjanski’s views on the cultures and traditions of China and Japan and, especially, the ways in which the Chinese teachings of Confucianism and Taoism affected Crnjanski’s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