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동산 처분금지가처분의 효력에 관한 연구

        김상찬(Kim Sang-Chan),정영진(Jung Young-Jin) 한국법학회 2010 법학연구 Vol.37 No.-

        처분금지가처분은, 가처분채권자가 가지는 피보전권리의 집행을 보전하기 위하여, 가처분채무자인 소유권자 또는 그 밖의 권리자로부터 목적물건의 처분권능을 박탈하고, 현재의 법률관계를 법정으로 고정시켜, 이로써 가처분채권자의 목적물건에 대한 피보전권리의 행사를 확실ㆍ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가처분이다. 이러한 처분금지가처분은 이론상으로는 동산이나 채권과 다른 재산권에 대하여 행해지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으나, 실무상으로는 거의 부동산에 대하여만 행해지며 등기와의 관계에서 문제되는 경우가 많다. 본고에서는 처분금지가처분 중 부동산처분금지가처분에 초점을 두고 그 효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부동산에 대하여 처분금지가처분이 행해지면 즉시 집행력을 갖게 되며, 그 집행으로 가처분이 등기부에 기입된다(민사소송법 제719조 제3항). 그렇게 되면 집행의 효력으로서 채무자는 목적부동산을 제3자에게 양도하거나 저당권을 설정하는 등의 처분 권능을 가처분명령의 내용에 따라 구속받게 된다. 이 때 이에 위반하는 처분행위를 한 경우 가처분채무자 및 제3취득자는 그 처분행위를 가지고 가처분채권자에게 어떠한 효력을 가지는가가 문제가 된다. 그러나 부동산처분금지가처분 명령이 집행된 경우 그 효력에 관해서 민사소송법은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않으며 학설과 판례에 일임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관하여 학설과 판례를 살펴보고 그 효력을 명백히 하고자 한다. Prohibitive measure provisional disposition is a Provisional disposition aimed at being definite and simple exerting of preserved right on provisional disposition creditor's object by fixing current law relationship to the law court. It deprives an owner or rightful person of the objective disposition to preserve the execution of preserved right. This prohibitive measure provisional disposition is theoretically performed of other right of property such as movables assets or receivables, but on practical affairs, it is almost performed on only real property and there are problems with registration. If prohibitive measure provisional disposition is done about real property, it immediately has executive power and by a execution, the provisional disposition is recorded on the register. If so, as the effect of execution, a debtor is bound disposition yielding real property to the third party or settling mortgage and the like, according to provisional disposition. At this time, if violating against this, with the action provisional disposition debtor and the third acquisitor, it is a problem to provisional disposition creditor whether which effects have or not. However, in the case of being exerted the real property prohibitive measure provisional disposition, the Civil Proceeding Act does not have any regulations about the effect and leaves them up to theories and preceden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precedents and theories of these problems and tries to make the effect clear.

      • KCI등재

        중재합의와 보전처분의 국제재판관할

        김상찬(Kim, Sang-Chan) 한국법학회 2013 법학연구 Vol.51 No.-

        중재합의는 분쟁의 본안을 중재인에 의하여 해결하기로 하는 것이므로 일방 당사자가 법원에 보전처분을 신청하거나 받았다고 하여 분쟁의 해결을 중재가 아닌 소송에 의뢰하는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그래서 각국의 입법례에서는 법원에 의한 보전처분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중재에서 중재지가 속하지 않은 다른 국가의 법원이 그 중재의 분쟁대상에 대하여 보전처분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는 아직 입법례가 없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판례도 없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중재절차상 보전명령사건의 국제재판관할의 문제에 대하여 외국의 판례와 학설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에서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영미의 판례를 검토해 보면, 중재지 이외의 외국의 법원에 보전처분을 명할 권한이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실제적으로 그 명령을 내림에 있어서는 절차법, 실질법, 해당 법원과 분쟁 간의 실질적 관련성, 증거의 소재지, 보전처분의 집행용이성, 중재지 국가에서의 보전처분가능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한편 일본의 판례는, 중재법과 민사보전법, 그리고 민사소송법상 국제재판관할의 입법취지, 중재계약 당사자의 합리적 의사, 이념에 따르는 특별한 사정 등을 고려요소로 삼고 있지만, 중재지 이외의 외국의 법원에 보전처분 관할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학설은 보전처분의 신속성 ·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재지 이외의 국가의 법원에도 관할을 인정해야 한다고 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재법상의 임시적 처분결정에 대하여 법원이 집행할 수 있도록 중재법을 개정해야 하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중재법이 2006 UNICITRAL개정모범법안 제17조를 받아들여 임시적 처분을 내릴 수 있는 법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단계에서는 중재법 및 강제집행법의 취지, 나아가 중재합의를 한 당사자의 의사에 합치하면서, 보전명령의 특성상 신속성과 확실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중재지 이외의 국가의 법원에도 보전처분의 관할권을 인정하는 보다 유연한 해석을 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하고 있다. In international arbitration, there is no substantive enactment on whether a court in other country, to which the place of arbitration does not belong, can make a preservative measure on the dispute object of the arbitration or not. Korea also does not have a judicial precedent o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getting an implication in resolving this issue in Korea by reviewing foreign judicial precedents and theories regarding the international judicial jurisdiction issue on preservative measure in arbitration procedure. The judicial precedents in Japan take fairness between the parties, special situation following the idea of pursuing propriety and speediness of trial, reasonable opinion of arbitration agreement parties and the legislation intent of international judicial jurisdiction in Arbitration Act, Code of Civil Preservation and Code of Civil Preservation as the elements of consideration; however, it does not acknowledge the jurisdiction on preservative measure by foreign court in a country other than the place of arbitration. However, the theories in Japan say that the jurisdiction of a court in a country other than place of arbitration should be also acknowledged in order to secure the speediness and validity of preservative measure. The trend in United States and U.K. also carefully acknowledges the jurisdiction on preservative measure of foreign court in a country other than the place of arbitration. In order to resolve this issu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eservative measure of arbitral tribunal should be vitalized by amending Arbitration Act so that the court can enforce the temporary disposal ruling of arbitral tribunal and the Arbitration Acts of worldwide countries including Korea should expand the courts which can make temporary disposal ruling by accommodating Article 17 of UNICITRAL Model Law o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in order to secure the speediness and certainty in the characteristic of preservative measure until such amendment would be made, more flexible interpretation acknowledging the jurisdiction on preservative measure to the court in a country other than the place of arbitration should be made while considering the legislation intent of Arbitration Act and Code of Compulsory Enforcement together with the reasonable opinion of parties who reached on arbitration agreement.

      • 제주특별자치도 공공 청사 건립사업의 적정 사업비 산출 시스템 구축 방안 - 읍·면·동 청사, 경로당, 마을회관 등의 소규모 공공 청사 중심으로 -

        한준(Kim, Hanjoon),상찬(Kang, Sang-Chan),장명훈(Jang, Myunghoun)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1 No.1

        Under the strengthening of local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government offices are changing from the existing focus of administrative work and civil service to a hub of local communities that provides various complex functions and spaces such as local economy, society, culture and welfare. However, since there are no legal or institutional regulations for small public facilities, the plan is based on the will of the responsible departments or local residents, causing problems such as ostentatious buildings and budget wast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standards and regulations for calculating appropriate areas and project budgets at domestic and abroad, and develops a Web-based appropriate project cost estimation system for establishing appropriate small-scale public office construction projects. It is expected that Web-based appropriate project cost calculation system for Jeju public government building will be utilized to prevent rational small-scale public facilities and budget abuse by providing basic guidelines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of public facilities during the planning phase of the small facility construction project, an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building.

      • KCI등재

        민법 제366조의 법정지상권

        김상찬(Kim, Sang-chan),강봉현(Kang, Bong-hyun)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

        우리 민법은 토지와 건물을 별개의 독립된 부동산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토지와 지상건물이 별개의 소유자에 속하는 경우 그 용익에 관한 법률관계가 문제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토지소유자와 건물소유자 간의 합의를 통하여 건물의 존립을 위한 토지의 이용권이 설정되게 된다. 예컨대 임차권, 지상권의 설정 등이 그것이다. 그런데 일정한 경우에는 그러한 합의를 할 여건이 안되는 상태에서 토지소유자와 건물소유자가 각각 다른 사람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양자간의 합의가 되지 않으면 건물은 철거될 수밖에 없게 되는데, 이것은 불합리하고 또 건물소유자에게도 귀책사유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건물의 존립을 위하여 건물소유자에게 일정한 토지이용권을 당연히 부여하는 제도가 법정지상권이다. 현행법상 이러한 법정지상권이 인정되는 경우로는 네가지가 있다. 즉, 민법 제305조와 제366조에 의하여, 가등기담보등에관한 법률 제10조에 의하여, 그리고 입목에 관한 법률 제6조에 의하여 각각 일정한 요건하에서 법정지상권이 성립한다. 그밖에 종래 판례를 통하여 확립된 관습법상의 법정지상권도 있다. 이 논문에서는 민법 제366조의 법정지상권을 중심으로 그 성립요건과 저당권 설정후 건물의 재건축과 법정지상권의 성립여부 등에 관하여 검토하고 있다. In the case of land and building having separate owners, the law concerning their useand benefit becomes an issue because our civil law, unlike the civil law of other countries, treats them as individually separated objects. In that case, the superficies is a real right which can be used to gain profit by allowing the land owner to possess (Ed- confirm my changes here; the original wording here was confused and I’m guessing at your intended meaning) the building, structure or tree which is on the land of the other owner. Such superficies can naturally take place in the fixed case by law except for the case of an establishment based on a promise, which is termed the legal superficies. Various cases have been admitted such a legal superficies in the current laws. According to Articles305 and 366 of the civil law, Article 10 of the law on the security of provisional registration and Article 6 of the law on trees, legal superficies is materialized under the fixed condition. In addition, there is the legal superficies by the conventional laws which is admitted and established through the former judicial precedent under the fixed condition. This study surveyed the legal superficies on Article 366 of the civil law. I investigated the basic condition in which the legal superficies was established and examined for the tendency of various theories and judicial precedents.

      • KCI등재후보

        국제중재절차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

        김상찬(Kim, Sang Chan),유정(Kim Yu Jung)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법학논총 Vol.27 No.1

        교통통신수단의 발달로 인하여 국제거래나 국제투자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분쟁도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국제거래나 국제투자를 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분쟁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상대국의 법원에서 해결하는 것보다는 국제중재를 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재판에 의하는 것보다 중애에 의하는 것이 공정성, 중립성이 보장될 뿐 아니라, 뉴욕협약 가입국 간에는 외국에서 내린 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이 쉽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분쟁을 중재로 해결하려는 기업은 국제거래나 국제투자 계약서상에 중재조항을 넣는 것부터 시작해서 실제로 분쟁이 발생되어 중재로 나아갈 때, 기업은 상대방과 합의를 통하여 국제중재 절차를 tailor made해 나가야 한다. 본고는 이렇게 상대방과 합의하면서 중재절차를 만들어나가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① 중재기관 선택, ② 중재지 선택, ③ 중재인 선정, ④ 중재대리인 선임, ⑤ 문서제출시 유의사항 등에 대하여 고찰하고 있다. 이 요소들이 어떻게 정하는가에 따라서 중재의 승패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기업의 입장에서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국제중재 이용자는 우리 기업뿐만 있는 것이 아니라 해외의 기업이나 중재인들도 있다. 그러므로 국가적 입장에서도 보다 나은 중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우리나라가 세계의 중재시장에서 중재지로서의 위상을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정부나 대한상사중재원의 입장에서도 위의 요소들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In step with advancement of today’s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international transactions or international investments become more activ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disputes arising therefrom continue to increase ever more. As for a company involved in international transactions or international investments, it is normal to seek a settlement through international arbitration rather than through courts in counterpart’s country. Though there may be a number of reasons for that, it is mainly because settlement by arbitration not only guarantees fairness and neutrality, also recognition and execution of arbitral awards made at a foreign country can be conducted easily between member countries of New York Convention. Any company which seeks to settle the dispute by arbitration should get international arbitration procedure tailor-made; From incorporation of arbitration clauses on contracts of an international transaction or international investment to agreement with the counterparts while any dispute develops to arbitration. This article examines presumably the most important factors over the course of the company’s agreement with the counterpart and proceeding arbitration as such. They include ① Selection of an arbitration institution ② Selection of a place of arbitration ③ Selection of an arbitrator ④ Appointment of an arbitration agent ⑤ Noteworthy matters to be considered at the time of document submission. These factors, which may determine success or failure of the arbitration, must be very crucial to the related company. On the other hand, apart from our country’s businesses, foreign businesses or arbitrators also can use international arbitration. Therefore, it must be a very significant task for our country to establish infra to offer better arbitration services from the national point of view and enhance our status as a place of arbitration in the global arbitration market. Thus, the above factors can also be very significant to the government or KCAB (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Board).

      • KCI등재

        HepG2 세포에서 tert-butyl hydroperoxide로 유도된 간독성에 대한 kurarinone의 세포 보호 효과

        김상찬,이종록,박숙자,Kim, Sang Chan,Lee, Jong Rok,Park, Sook Jahr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18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26 No.3

        Objective : Kurarinone is one of the flavonoids isolated from Sophorae Radix with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microbial effe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Kurarinone on tert-butyl hydroperoxide (tBHP)-induced oxidative stress finally leading to apoptosis in human hepatoma cell line HepG2. Methods : To determine the effects on cell viability, the cells were exposed to tBHP ($100{\mu}mol/l$) after pretreatment with kurarinone (0.5 and $1{\mu}g/ml$).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To reveal the possible mechanism of cytoprotectivity of kurarinone, levels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tracellular glutathion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and expression of caspase were examined. Results : tBHP-induced cell death was due to oxidative stress and the resulting apoptosis. Kurarinone dose-dependently protected cells from apoptosis when determined by MTT and TUNEL assay. Consistent with this observation, decreased expression of pro-caspase 3/9 protein by tBHP was restored by kurarinone. Kurarinone also showed anti-oxidative effects by inhibiting generation of ROS and depletion of GSH in tBHP-stimulated HepG2 cells. In addition, kurarinone significantly recovered disruption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MP) as a start sign of hepatic apoptosis induced by oxidative stress. Conclusion :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kurarinone protected tBHP-induced hepatotoxicity with anti-oxidative and anti-apoptotic activities. Our results suggest that kurarinone might be beneficial to hepatic disorders caused by oxidative stress.

      • KCI등재

        不勳産去來事故의 防止方案에 관한 硏究

        金相明(Kim Sang-Myeong),金祥燦(Kim Sang-Chan) 한국법학회 2005 법학연구 Vol.18 No.-

        It is true that incidents which happen within real estate transactions nowadays have become various and bigger in scale. These kinds of real estate transactional incidents have emerged as a social issue whereby the losses incurred as a result of a real estate transaction incident is not only an individual property loss but a psychological loss as well in its adroitness of scale or method. Furthermore, once a real estate transaction incident occu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recover the original state or that the damage is excessive. Therefore, the outcry for the necessity of seeking out a legislative and policy measure which will prevent this happening on a national level has been raised. However, in the present state of the national law, in the event of a real estate transactional incident, the problem lies in that there is no preventive measure for this kind of event, only a criminal punishment ex post facto. Therefore, the following legislative and policy measures which might prevent such incidents before its actual occurrence in the real estate transactions are suggested. First, a claiming ground insurance system which will preserve the true rightful person's loss as well as the changes in the social conditions should be introduced in Korea as well. The public servant working at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office should be endowed with a substantial power of inspection so that there is further support in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system. Further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vent any real estate transaction incidents beforehand by endowing the power of public confidence under the agreement of the people to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Second, the registration department and the account department should be unified so that it may be supervised and inspected uniformly. The real estate rights analysis system should be officialized so that real estate transaction incidents may be prevented beforehand by introducing a real estate transaction execution guarantee system regarding the bill of sales through an appropriate legislation that is realistic. Third, in introducing the real estate rights analyst system, it is advisable to carry it out as an individual legislative form and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it is the best possible alternative which will prevent real estate transaction incidents but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low in effectiveness. As mentioned earlier, many obstacles are foreseen in order to make the real estate rights analysis system into an official system. Most importantly, in order to introduce the notarization system to the real estate rights analyst, there is a need to first establish the relationship with the middlemen about the boundaries of business dealings as well as the rights and duties according to the real estate brokerage law, and with the judicial scrivener about the boundaries of business dealings as well as the rights and duties according to the laws of judicial law.

      • KCI등재

        교회의 분쟁과 교회재산의 귀속에 관한 판례의 동향

        김상찬(Sang-Chan, Kim),상명(Sang-Myeong, Kim)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24 No.1

        본 연구는 일부 교인의 집단적 탈퇴로 인한 교회의 분열, 소속교단의 변경결의로 인한 교회재산의 귀속 등에 대한 대법원 판례의 동향을 전반적으로 살피면서, 교회분열과 교회재산 귀속관계의 기준을 검토하고 있다. 교회분열과 교회재산 귀속에 관한 대법원 판례는 1950년대부터 지금까지 변천을 거듭하여 왔는데, 일반적으로 교회는 ‘법인 아닌 사단’이고, 그 기본적 재산관계는 ‘총유’라고 하고 있다. 처음에는 교회의 분열을 인정하고 있었으나, 2006년 대법원 판결에서는, 교인의 집단탈퇴로 교회의 분열로 이어진 경우에도 교회의 분열을 인정하지 않으며, 교단이 변경된 경우에도 종전 교회의 재산은 그 교회에 소속된 잔존 교인들의 총유에 속하고, 종전교회에서 이탈한 교인들은 더 이상 종전 교회의 재산에 대한 권리를 보유 할 수 없다고 판시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대법원 판례가 교회의 분열을 영구적으로 방치하고 있다는 학설의 비판을 받아들인 것으로서 타당하며, 교회분쟁을 종결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하지만, 교단변경은 종전교단에 소속하였던 교회의 교인들이 그 교회를 해체하고 새로운 교단에 소속된 교회를 새롭게 조직하는데 이르는 것으로 평가하여야 하므로 의결정족수를 2/3 이상의 동의를 요구할 것이 아니라 사단법인의 해산결의에 관한 민법 제78조를 유추적용하여 3/4 이상의 동의를 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한다. 지금까지의 교회분쟁에 다른 교회재산 귀속에 관한 대법원 판례는 주로 장로교회 등 사단적 구조를 취하고 있는 교단 내에서의 분쟁을 다룬 것이 대부분이어서, 일률적으로 교회는 ‘법인 아닌 사단’이고, 교회의 재산은 ‘총유’에 속한다는 것을 기본적 전제로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획일적으로 논할 것이 아니라, 교회가 채택하는 정체, 그리고 교회가 사단적 구조를 취하는지 재단적 구조를 취하는지, 그리고 교회재산의 형성과정과 그 출연자의 출연의사, 그리고 그와 같이 형성된 교회재산이 지니는 기능 등에 대하여 충분히 검토한 후 교회를 ‘법인 아닌 사단’으로 볼 것인지, 그리고 교회재산을 ‘총유’로 할 것인지를 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