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무지개 당근의 carotenoid와 당 함량 분석

        김사랑(Sa-Rang Kim),김연미(Yeun-Mi Kim),전상진(Sang-Jin Jeon),박종태(Jong-Tae Park),김재한(Jae-Han Kim)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4 농업과학연구 Vol.41 No.2

        Coloring agents in food materials plays important roles in the development of attractive products as well as in the functionality of food such as antioxidant or vitamin supplementation. Carrot has been used as an orange coloring agent in the decoration of food but also a major source of vitamin A complex. Though orange has been considered a typical color of carrot, the Rainbow carrot has been developed recently, which exhibit the various colors such as red, pale yellow, purple, orange or their mixtures. After categorization onto 8 groups by their colors, vitamin A complex (β-carotene, lycopene and lutein) and soluble sugars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have been analyzed in carrots. The β-carotene was abundant in the groups of orange (Group-O) or groups with the orange color (group-OP, and group-YOP). The content of lycopene content was exclusively high in the red color carrot (group-R). The highest lutein contents were observed from the yellow-purple (group-YP) group. Meanwhile, little amounts of lycopene and β-carotene were observed in yellow-purple (group-YP) nor yellow (group-Y) on yellow (group-Y). Among the reducing sugars in ‘rainbow carrots’, the amount of sucrose was two times higher than those of fructose and glucose. However, the content of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as well as the total reducing sugars did not differ between color groups suggesting little variations on their tastes.

      • KCI등재

        1920~30년대 음악 전문 여성선교사 - 미북장로교 선교부 파송 주요 선교사를 중심으로-

        김사랑 ( Sarang Kim ) 한국음악학학회 2016 음악학 Vol.24 No.2

        폭발적인 수적 증가세를 보였던 기독교계 학교들이 1910년을 전후로 체계화되기 시작하며 교사 선교사들에 대한 수요가 커졌다. 서양음악에 대한 한국인들의 관심 또한 매우 컸던 만큼 전문적인 음악 교원의 필요도 늘어가던 시점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1921년에 내한한 3인의 여성선교사이자 음악전문가인 루츠(Ernice Lenore H. Lutz, 1886-1979), 부츠(Florence E. S. Boots, 1896-?), 솔토(Grace Blanch Z. Soltau, 1886-?)의 영향력은 매우 클 수밖에 없었다. 이들은 모두 대학에서 음악을 전공하고 일정 경력을 바탕으로 전문성을 획득한 인물들로, 미북장로교 선교부로부터 파송되어 내한 초기부터 평양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활동하며 음악적 영향력을 확장해 갔다. 이들에 대한 1차 자료를 확인한 결과, 학교 및 교회 교육, 개인 지도 이외에 자신들의 전공영역에 따라 유치원 교원 양성, 합창 운동과 성가대 육성, 다양한 무대 활동, 관현악단 창단에 이르기까지 그 활약의 스펙트럼이 매우 넓게 드러난다. 게다가 음반 취입에 관여하고 한국인의 유학에 중요한 매개로 역할 하였던 정황이 포착되기도 한다. 이들의 활약은 초기 한국 양악계의 전반을 그려볼 수 있는 편린(片鱗)들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여성선교사의 영향력을 재평가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음악 전문가로서의 정체성을 가진 이들의 행위는 일반 선교사들과는 또 다른 문화적 상징성을 가지고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인의 일상 속에서 교육의 주체로, 시청각적 문명의 상징으로 역할 했던 여성선교사들의 활동은 음악문화 지형 변화에 토대를 형성했다고 해도 무방하다. 그런 의미에서, 역사서술의 편협성이란 그늘에 가려져 있던 그녀들의 활약상이 근대 양악사(洋樂史)의 밑그림을 재편하도록 요구할 것이다. As a case study on musical activities of foreign missionaries, this paper traces life of three women missionaries as musicians. Ernice Lenore H. Lutz (1886-1979), Florence E. S. Boots (1896-?), Grace Blanch Z. Soltau (1886-?) that entered Korea in 1921 were American women missionaries. All of them studied in music at University and had earned their profession of music based on their career experience. At 1920-30`s, Korean students` interest in Western music was so great that the need for professional music teachers also increased. Therefore, the influence of the three missionaries increased. Their musical activities is various included in kindergarten teacher training, promotion of various choir and chorus, various stage performances, and orchestra foundation, education in school and church as well. In addition, they involved in recording and helped Koreans study abroad to Japan and America. These activities provided us important pieces of the early western music history in Korea. The activities of female missionaries, who acted as a symbol of educational and audiovisual civilization in the daily life of Koreans, formed the basis for the change of music culture landscape.

      • KCI우수등재

        복합정책의 시너지효과 분석 연구 - 노인복지정책을 중심으로 -

        김사랑 ( Sarang Kim ),고길곤 ( Kilkon Ko ) 한국정책학회 2021 韓國政策學會報 Vol.30 No.3

        기존 복합정책의 분석방식은 정책군 공통 거시지표의 비계량적 모니터링과 개별사업 수준 효과성 분석결과의 단순 통합으로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이런 방식은 목적이 다른 개별사업 간 성과 통합이 어렵고, 정책조합으로 인한 상호작용을 측정하지 못하여, 복합정책의 총효과 산출 및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 수혜자 입장에서 복합정책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고안하고, 5가지 노인복지정책의 삶의 만족도 제고 효과를 사례로 실증하였다. 분석방법은 선행연구를 근거로 상호작용의 종류, 방향, 정도에 대한 분석틀을 구축하고, 패널이원고정효과모형을 활용하여 효과를 추정하였다. 시너지 효과의 도출은 복합정책유형별 더미코딩을 사용하여 총효과 추정 후, 동일모형에서 개별정책수혜 시 효과 합과의 차이를 이용하였고, 시너지 효과 정도 가늠을 위해 복수지표(SG, SI, AP)를 구성하였다. 정책 간의 상호작용은 개별정책의 지원논리를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분석결과, 수혜정책수가 많다고 반드시 시너지 효과가 큰 것은 아니었으며, 어떤 정책 간의 복합인가가 더 중요하였다. 수혜정책수가 적은 경우, 노인들의 우선적 수요를 해소하는 경제적 지원논리 정책 간의 복합유형만 시너지 효과가 나타났으며, 정책 효과의 적층을 통해 기본수요가 충족된 이후에 사회참여 지원논리 정책의 시너지 효과가 가시화되었다. 연구 결과는 추후 정책 포트폴리오 설계 및 관리, 효과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build the evaluation framework for synergy effect analysis of the multiple programs and show its empirical application to elderly welfare programs. Under the current institutional settings, the effects of mixed policies designed to pursue the common goals in the overall perspective cannot be readily drawn within the governmental evaluation system using performance indexes. Furthermore, in public policy academia, existing policy evaluation researches usually focus on only one or a few treatments rather than multiple interventions. To organiz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analyzing interactions between programs, we explored several inter-disciplinary fields, including epidemiology, industrial engineering, biochemistry, and other applied policy areas. The basic concept to estimate the synergy effect of the policy set is to calculate a gap between a sum of individual policy effects and the merged effect of them. A technical methodology used for estimation was a two-way binary logit fixed-effect model that applied a 5-digits dummy variable, which digit represents each status of policy benefit. We interpreted results according to the expected policy working logic, called ‘the logical relation’ of a policy goal and tools. The first step was to test a hypothesis by comparing the results of each method using different variable settings. Using individual policy dummies, count of provided benefits, and multi-digit mixed policy dummy, have resulted in different estimations, arising a necessity for multi-program analysis. Second, “the more, the better” did not always work in the case of the elderly welfare system. Though the number of services received is more numerous, total effects could be lesser based on the combination type of policies that determines synergy.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basic demands of the elderly should be first met, among other service purposes. Especially unless financial support meets their needs, the synergy effect with social participation logic can not work out to be visible. However, once satisfying basic policy needs, synergy with social participation programs becomes more noticeable than one with a similar logical relation.

      • KCI등재

        새로운 음악문화 수용을 위한 제의적 공간으로써의 평양 -1920∼30년대 선교사들과 한국인들의 음악적 만남-

        김사랑 ( Sa-rang Kim ) 한국음악학학회 2016 음악학 Vol.24 No.1

        1900년대 전반기의 평양은 기독교 선교의 주요 거점이자 선교사들의 활동무대였기에 교회적 영향력이 상당했으며, 특히 1907년 대부흥 운동 이후 교세의 확장은 도시문화 전반의 변화를 촉발했다. “1000명 이상 모이는 교회가 여럿 생겨나”는 등 “도시 전체가 급속하게 기독교화” 되고 있다는 여러 증언은 종교적 영향력에 힘입어 서양 음악교육 또한 활발하게 일어났음을 암시한다. 평양의 기독교 확산과 함께 근대화에 대한 열망은 많은 수의 기독교 사립학교가 세워지는 결과를 낳았다. 평양의 대표적인 기독교 미션스쿨 숭실과 숭의, 숭전은 미북장로교회 파성 선교사들이 세운 학교로, 다수의 초기 한국 음악가들을 배출해낸 산실이다. 20-30년대에 이르면 가창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밴드, 오케스트라, 합창 등의 다양한 형태의 교육이 이루어지기도 하고, 음악교재들이 출판되기도한다. 특히, 대학에서 음악을 전공한 전문 음악 선교사들이 장, 단기로 한국에 머물며 음악교육을 실시하게 되는데, 말스베리 부부(Malsbary), 러츠(Luts, D. N.), 부츠(Boots, F. S.), 솔토(Mrs. D. L. Soltau) 등이 그들이다. 이는 보다 전문적인 커리큘럼으로 국내 음악교육의 중요한 모델이 될 수 있었음을 시사한다. 바로 이러한 선교사들의 활동이 선교기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데, 평양의 선교기지가 다른 도시에 비해 월등히 크고 집약적이었다는 점이 이목을 끈다. 120에이커에 이르는 방대한 공간에 선교사 사택, 학교, 병원, 운동장, 홀 등이 모여 있어 선교사뿐 아니라 수 천 명의 한국인들이 드나들었던 곳이다. 두터운 자본가층의 한계, 지역차별의 역사,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의 경험, 피식민의 현실은 선교기지를 드나드는 평양민들을 문명에 대한 강한 열망으로 이끌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문명을 표상한 다양한 형태의 화성적 사운드가 울려 퍼진 선교기지는 평양민들의 지역적, 상황적 특수성과 만나 근대인으로서의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해 가도록 추동하는 제의적 공간으로 기능했다고 볼 수 있다. As a study on musical activities of foreign missionaries in Korea, this paper traces music educational contents, context and influences focusing on Pyongyang in 1920-30s. After the Great Revival Movement(1907), Pyongyang became an important stronghold and the main arena of the foreign missionaries. As a result, rapid expansion of congregations triggered a change in local culture, which implies western music activities also occurred actively in this city. Among the stations that Foreign Missionary Union set up at 7 major cities in Korea, Pyongyang station was known as the largest and most convenient that is why the structure and size of space. In the station up to 120 acres, there were many kinds of schools, hospitals, churches, houses of missionaries as well. As a result, great and small meetings, retreats, assembly and bible conferences were held in the station as well as a lot of concerts and performances on western musical sound. Pyongyang mission station as new sound space was driven craving Korean to modernization. Especially, music education was crucial power for leading change of sound culture. Since the churches in Pyongyang grew rapidly, demand for school also increased steeply compared to other city. Various schools erected consequentially with higher demand for missionaries. In Pyongyang, there were not only foreign school for missionary kids but also a lot of Christian mission schools such as Soongsil, Soongeui, Soongsil college(presbyterian)where missionaries taught music to children and students under various programs. Among the missionaries in Pyongyang, there were professional music teachers, like Mr. and Mrs. Malsbary, D. N. Luts, F. S. Boots, Mrs. D. L. Soltau in the 1920∼30s. These missionaries contributed to be rooted western music with more systematic method. Consequently, this indicates their curriculum might have been a critical model for music education in Korea. Thus, this paper intends to depict situation of music education at the time and how to transit from Feudal Koreans to Modern People through new sound space by foreign missionaries. I draw this argument based on the primary sources included ministry reports, private diaries of missionaries, news papers as well as school documents.

      • KCI등재
      • KCI등재

        유아 누리과정을 기반한 공공디자인 교육

        김사랑(Sa Rang Kim),최정아(Chung Ah Choi) 한국미술교육학회 2024 美術敎育論叢 Vol.38 No.1

        실생활에서 접하는 공공디자인은 사회문화의 맥락을 이해하고 경험하는 시각문화미술교육측면으로 교육적 접근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공공디자인 교육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유아 누리과정에서 공공디자인과 근접한 생활주제 ‘우리동네’의 내용을 분석하여 공공디자인 범주-공공공간, 공공시설물, 공공시각매체에 적용한다. 이를 바탕으로 5주간의 공공디자인 프로젝트수업을 제안하였다. 유아수준의 공공디자인교육은 주변을 탐색하고 감상하며 일상생활에서 디자인을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는 수용적 자세를 갖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이해하며 현상에 대한 비판적 사고 및 문제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예술경험영역에서 미술활동에만 제한 할 것이 아니고 언어, 수학, 과학, 놀이 등 영역간의 통합, 융합으로 간학문, 다학문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Public design encountered in real life can be approached educationally in terms of visual culture and art education that understands and experiences the context of social culture. This study presents a direction for public desig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the infant Nuri process, the contents of the life theme 'Our Neighborhood' close to public design are analyzed and applied to public design categories-public spaces, public facilities, and public visual media. Based on this, a five-week public design project class was proposed. Public design education at the early childhood level aims to have a receptive attitude to explore and appreciate the surroundings, experience and understand design in everyday life. We can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n which we live and develop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about phenomena. In the field of art experience, it is not limited to art activities, but through integration and convergence between areas such as language, mathematics, science, and play, interdisciplinary and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are possible.

      • KCI등재

        미생물 균총이 위장관암과 항암제에 미치는 영향

        김사랑(Sa-Rang Kim),이정민(Jung Min Lee) 한국생명과학회 2022 생명과학회지 Vol.32 No.5

        인간 미생물 균총은 장, 구강, 피부와 같이 체내외 다양한 부위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균류, 바이러스 등을 포함하는 미생물 집단이다. 16s ribosomal RNA에 대한 대사체 분석 및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술의 개발과 함께, 살아있는 유기체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 균총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미생물 균총이 숙주의 대사 및 면역과정과 복잡하게 연관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공생균(commensal microbiota)이라 불리는 미생물 균총의 특정 박테리아가 필수 영양소를 생성하거나 다른 병원성 미생물로부터 숙주를 보호하여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비정상적인 미생물 균총의 조성을 의미하는 미생물 균총의 불균형(dysbiosis)에 의해 체내 항상성 유지를 방해하여 다양한 종류의 질병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최근, 미생물 균총 중에서도 구강과 장내 존재하는 박테리아가 위장관암의 발암과정과 항암제의 치료효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여러 논문을 통해 보고되고 있다. 미생물 균총-암-면역계 사이의 복잡한 연관성과 미생물 균총 기반 발암 메커니즘에 대한 규명은 암에 대한 이해와 새로운 항암제 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리뷰는 미생물 균총의 박테리아가 위장관암과 항암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는 논문들을 요약하고 있으며, 나아가 기존 항암제의 치료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복합제로써 미생물 균총의 잠재력과 도전과제에 대해 논의한다. Human microbiota is a community of microorganisms, including bacteria, fungi, and viruses, that inhabit various locations of the body, such as the gut, oral, and skin.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etabolomic analysis and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iques for 16S ribosomal RNA, it has become possible to analyze the population for subtypes of microbiota, and with these technique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bacterial microbiota are involved in the metabolic and immunological processes of the hosts. While specific bacteria of microbiota, called commensal bacteria, positively affect hosts by producing essential nutrients and protecting hosts against other pathogenic microorganisms, dysbiosis, an abnormal microbiota composition, disrupts homeostasis and thereby has a detrimental effect o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various types of diseases. Recently,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at oral and gut bacteria of microbiota are involved in the carcinogenesis of gastrointestinal tumors and the therapeutic effects of anticancer therapy, such as radiation, chemotherapy, targeted therapy, and immunotherapy. Studying the complex relationships (bacterial microbiota-cancer-immunity) and microbiota-related carcinogenic mechanisms can provide important clues for understanding cancer and developing new cancer treatments. This review provides a summary of current studies focused on how bacterial microbiota affect gastrointestinal cancer and anticancer therapy and discusses compelling possibilities for using microbiota as a combinatorial therapy to improve the therapeutic effects of existing anticancer treat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