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로벌 문화컨텐츠와 글로벌 브랜드 태도

        김병조(ByoungJo Kim) 한국무역연구원 2015 무역연구 Vol.11 No.5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cultural content which is enjoying much attention recently to find out the effects of consumers’ degree of experiences and preferences to global cultural content relative to susceptibility to global consumer culture, global brand image and buying atten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increasing trend of Korean youth interest in overseas drama content in order to investigate Korean youth experiences and preferences relative to overseas drama content and how these influence their global consumer culture formation. Additionally, this study tried to look into the direct effects of these young consumers’ degree of experiences and preferences for overseas drama content on their susceptibility to global consumer culture. As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preferences and experiences of Korean youth relative to overseas drama content ha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s on susceptibility to global consumer culture.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global cultural marketing and cultural content policy-making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글로벌콘텐츠 만족도 및 호감도가 글로벌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민족중심주의의 조절효과

        김병조,Kim, ByoungJo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6

        After pandemic crisis, the volume and amount of watching global contents through OTT platforms have been increased explosive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ttitude measured by satisfaction and favorability on global contents and purchase intention to global products with the moderating effect of ethnocentrism of consumers. Survey metho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As a result, the more satisfied and favored on global contents, the stronger purchase intention to global products. And the relationship is negatively moderated by consumers' ethnocentrism.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issues are summarized.

      • KCI등재

        공공외교 최전선, KBS World의 자원 혁신

        조성원(Sungwon Cho),김병조(Byoungjo Kim)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22 신아세아 Vol.29 No.2

        본 연구는 경영 환경 변화 속에 위기를 겪고 있는 국제방송 KBS World의 경쟁력을 제고해 공공외교에 기여할 방안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업 경쟁력의 원천인 전략적 자원이 급격한 환경 변화와 함께 오히려 기업의 경쟁력을 저해하는 부정적 성격을 갖게 된 상황을 어떻게 극복할지에 대한 연구를 질적 연구방법으로 수행했다. 공공외교의 최전선에 있는 국제방송 KBS World가 카카오와의 제휴를 통해 <We K-POP>이라는 혁신적 프로그램을 만들어 채널 경쟁력을 높인 사례를 프로그램 핵심 관계자들에 대한 인터뷰와 관련 통계 등을 통해 분석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자원의 부정적 측면을 긍정적으로 전환 또는 최소화하는 전략으로서 아렌드(R. J. Arend)의 전략적 부담(strategic liabilities) 이론을 재구성해 연구 모형을 제시했다. 그 결과 KBS World가 제휴라는 협력적 접근을 통해 상황(context)을 변화시켜 채널의 경쟁력 제고와 재무적 성과 등 혁신 성과를 거뒀다는 사실을 검증했다. 더불어 이같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제휴가 한 차례에 그친 한계도 논의해 보다 깊이 있는 실무적 함의를 제공했다. 아울러 이번 연구를 통해 국제 방송을 통한 한류가 공공외교적 측면에서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This study seeks to find ways to contribute to public diplomacy by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KBS World, the leading international broadcasting organization in South Korea. This study uses qualitative research on how to overcome a situation in which strategic resources, the source of corporate competitiveness, hinders corporate competitiveness along with rapid environmental changes. This study analyzes cases in which KBS World, which is at the forefront of public diplomacy, created an innovative program called “We K-POP” through a strategic alliance with Kakao to increase channel competitiveness. This study includes interviews with key program managers and analyzed related statistics. The research model is reconstructed using R. J. Arend's strategic liabilities theory as a strategy to positively convert or minimize negative aspects of resources.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KBS World has achieved innovative results such as improving channel competitiveness and financial performance by changing the context through a cooperative approach to partnership. Furthermore, the study also discusses why the strategic alliance was limited to one time, providing more in-depth practical implications. This study also helps us understand how much the Korean Wave through international broadcasting is contributing to public diplomacy.

      • KCI등재

        제휴 파트너 보유자원이 제휴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준연(Junyon Im),김병조(ByoungJo Kim) 한국전략경영학회 2011 전략경영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CSR을 실행하기 위한 기업과 NGO 간의 제휴, 즉 부문간 제휴 과정에서 파트너 NGO의 자원 중 지식과 명성이 CSR 프로그램 성과 및 기업의 CSR 관련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원기반관점을 근거로 가설을 설정하였고 20개 기업의 CSR 프로그램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대면설문조사 자료 및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104개의 연구 표본을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파트너 NGO의 지식이 많을수록 CSR 프로그램 성과 및 기업의 CSR 관련 학습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파트너 NGO의 명성 역시 CSR 프로그램 성과 및 기업의 CSR 관련 학습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파트너 NGO 지식과 명성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CSR 프로그램 성과에 대해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한계 및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Researchers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have largely focused on the definition of CSR and its impact on firms’ performance. However, this research trend does not fully explain CSR because it ignores that cross-sector alliances between firms and NGOs for CSR have increased.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cross-sector alliances for CSR and develop a research model that explains the role of NGO partner’s resources, based on a resource-based view. In particular, we study the effects of NGO partner’s knowledge and reputation on CSR program performance and on corporate learning. This study also attempts to explore the interactive effect of NGO partner’s knowledge and NGO partner’s reputation on CSR program performance and on corporate learn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proposed the following hypotheses: (H1) NGO partner’s knowledge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rporate learning on CSR. (H2) NGO partner’s reputation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firm’s learning on CSR program. (H3-1) CSR program performance will be increased as NGO partner’s knowledge and NGO partner’s reputation increase simultaneously. (H3-2) Corporate learning on CSR will be enhanced as NGO partner’s knowledge and NGO partner’s reputation increase simultaneously. We conducted face-to-face surveys with CSR staff from 20corporations and had additional interviews with 17 CSR staff. Finally, we obtained a sample of 104 CSR programs and tested the hypotheses with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partner NGO’s knowledge and reputation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SR program performance and with corporate learning on CSR respectively, supporting H1 & H2. This study also supports H3-1 that simultaneous increases in both NGO partner’s knowledge and reputation a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 of CSR program performance while H3-2 was not supported.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academic research and theory development by verifying that the resource-based view can explain cross-sector alliances for CSR. Practically,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firms choose alliance partners for CSR with a more strategic rationality, following their resource needs.

      • KCI등재

        첨단기술 산업에서 제휴 능력이 제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동현(Dong-Hyun Lee),김병조(ByoungJo Kim) 한국산업경영학회 2011 경영연구 Vol.26 No.4

        제휴 능력이란 제휴 관리에 대한 조직의 지식을 축적하고 통합하고 전파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고안된 메커니즘이나 루틴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제휴 능력에 관한 개념을 제한적으로 정의해서, 조직 프로세스(organizational process)에 관한 개념과 조직 자산(organizational asset)에 관한 개념을 구분해서 조직 자산에 관한 개념을 제휴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 제휴능력이 제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특히 조직 프로세스에 관한 개념 중에서도 제휴 관리와 관련되어 가장 중요한 개념인 지식 공유(knowledge sharing)를 별도로 측정해서 지식 공유가 제휴 능력과 제휴 성과 사이에서 매개변수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실증하였다. 첨단기술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 결과에 의하면 지식 공유가 되지 않는 상황에서 제휴 능력은 제휴성과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In spite of the important need to understand how an alliance capability develops within a firm, and how it impacts the alliance success, few research investigates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alliance capability and alliance performance. Previous researches also do not clarify the concept of alliance capability. The basic idea of this paper is that mechanisms and routines of alliance management can be divided into separate, but closely related construct such as knowledge sharing and alliance capability. We argue that knowledge sharing is a mediator between alliance capability and alliance performance. Therefore alliance capability without knowledge sharing can only have a partial and/or minor impact on alliance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