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LB박막을 이용한 프탈로시아닌의 광증감 기구에 관한 연구

        김범구,김영순,Kim, Bum Goo,Kim, Young Soon 대한화학회 1999 대한화학회지 Vol.43 No.1

        The phthalocyanine(Pc) film can not be prepared by LB method because it is insoluble in organic solvents. In order to increase its solubility, two kinds of copper phthalocyanine derivatives (CuPc$(COOH)_2$ and CuPc$(COOH)_4$) were synthesized and their monolayers were prepared by LB method. It is found from the surface pressure-area curves that the LB monolayer film of CuPc$(COOH)_2$ have more ordered structure than that of CuPc$(COOH)_4$. In the photocurrent characteristic the value Of CuPc$(COOH)_2$ was superior to that of CuPc $(COOH)_4$. Therefore, it is found that the charge generation efficiency for phthalocyanines have influenced on its ordered structure as the functional groups. 프탈로시아닌의 광증감 기구를 연구하기 위하여 가용성 프탈로시아닌, copper(II) 4,5-dicarboxyphthalocyanine[CuPc$(COOH)_2$]와 copper(II) 4,5,4',5'-tetracarboxyphthalocyanine[CuPc$(COOH)_4$]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프탈로시아닌 유도체의 단분자층을 ITO유리기판 위에 LB방법으로 만들었다. CuPc$(COOH)_2$ 의 LB단분자층이 CuPc$(COOH)_4$의 막보다 더 규칙적인 배열구조를 가진 시료가 만들어짐을 표면압력-면적 곡선으로써 확인하였고 프탈로시아닌 유도체의 LB단분자층의 광전류를 측정하였더니 규칙적인 배열의 CuPc$(COOH)_2$[$i_{max}$=20.84nA]가 CuPc$(COOH)_4$[$i_{max}$=10.50nA]보다 전하발생효율이 거의 두배로 나타나는 결과를 얻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전자사진용 금속 산화물의 기구와 응용

        김범구(Bum Goo Kim),조현태(Hyun Tae Cho),이인자(In Ja Lee),유국현(Kook Hyun Yu),진의(Eui Jin),김영순(Young Soon Kim) 한국화상학회 2000 한국화상학회지 Vol.6 No.1

        Photoexcitation mechanism of tellurium dioxide thin film, which absorb shorter wavelength of UV(286~300nm) compare to zinc oxide (386nm), was investigated using a charge generation material (phthalocyanine) and charge transport material (hydrazone) in visible range. The excited state of TeO_2 thin film was observed by micro surface potential meter. The metal oxide thin films were prepared by spray pyrolysis methodology and were identified b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nd X-ray diffraction analysis. The transparent metal oxide thin films were prepared at 450 ~ 500℃and their photoconductivities were determined using photocurrent measurements. From the surface photovoltage and photo-induced discharge curve of the TeO_2 film, it was concluded that the TeO_2 system can be used as the substrate of the electrophotography same as ZnO or TiO_2.

      • KCI등재

        자살시도 청소년의 자살극복 과정에 관한 연구

        김범구(Kim Bum-Goo),노성덕(Rho Sung-Durk),이창호(Lee Chang-Ho) 교육종합연구원 2015 교육종합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자살시도 경험이 있는 청소년 중 현재는 자살 저위험군으로 판정된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살생각부터 자살극복까지의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자살예방과 자살시도 이후 극복방안을 위한 개입전략을 수립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사례관리 하고 있는 청소년 중 과거에 자살시도를 하였으나 현재는 자살위험 저위험군으로 판정하고 추천한 청소년 가운데 8명을 심층면접 후,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인과적 조건으로는 ‘탈출하고 싶은 가정’, ‘학교를 벗어나고 싶음’이였고 중심현상에 대한 맥락적 조건으로는‘역기능적인 가정환경’, ‘외로움과 자기 원망’, ‘나쁜 친구엄마’, ‘제기능을 하지 못하는 학교환경’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은‘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함’이였는데, 연구자들은 이를 ‘자살해서라도 힘든 상황을 탈출하고 싶었습니다’로 명명하였다. 중재적 조건은 ‘가족의 도움’, ‘친구들의 도움’,‘전문가의 도움’이었고, 현상을 위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상담 및 치료를 받음’,‘생각과 태도를 바꿈’, ‘대안활동으로 자살을 이겨냄’, ‘긍정일기를 써서 이겨냄’,‘화를 풀어냄’이었다. 결과로는 ‘사는 의미를 찾음’, ‘미래에 대한 꿈을 가지게 됨’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살생각부터 자살극복까지의 과정분석 결과 ‘절망단계’, ‘자살시도 단계’, ‘현실수용 및 변화시도 단계’,‘새로운 삶 지향 단계’의 과정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자살예방과 자살극복 과정에 필요한 방안과 연구를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As a means of developing a strategy for suicide prevention and post-suicide attempt interven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s a process of having suicidal thoughts to overcoming them among the youth currently at a low risk of suicide who has a history of attempting suicid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cases assessed to be at a low risk of suicide at local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Center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ight of them and the result was analyzed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family and school environments that lead youth to want to escape’ are causal conditions, and contextual conditions include ‘a dysfunctional home environment,’ ‘loneliness and self resentment,’ ‘a friend’s evil mother,’ and ‘a dysfunctional school environment.’ The central phenomenon is ‘taking one’s own life’ and it is stated by the researchers to be ‘escaping difficult circumstances by committing suicide.’ Intervention conditions are ‘support from family, friends, and professionals.’ The active/interactive strategies for the phenomenon include ‘receiving counseling or psychotherapy,’ ‘changing thoughts and attitudes,’ ‘engaging in alternative activities,’ ‘writing positive journals,’ and ‘relieving anger.’ The results of these strategies are ‘finding a meaning of life’ and ‘discovering a future dream.’ Additionally, this research finds out that the process of having suicide thoughts to overcoming those moves from a stage of despair, suicide attempt, accepting reality and attempting to change, and a stage of aiming for a new life. Based on the results above mentioned, this study proposes ideas for plans and researches needed for suicide attempt intervention.

      • KCI등재후보

        X선 촬영용 증감지에 관한 연구 (1)

        이인자(Lee In Ja),김범구(Kim Bum Goo),김영순(Kim Young Soon) 한국화상학회 1998 한국화상학회지 Vol.4 No.1

        X선 촬영시 환자의 피폭량을 감소하고 사진 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어 오던,정색성 증감지 (Gd_2O_2S : Tb)의 사진 특성을 조사하였다. 형광체 형태와 사진 감도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SEM, 형광량, X선 사진의 감도와 대조도를 실험하였더니, 형광체 층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형광체 일자의 크기가 클수록 형광량이 많아 졌으며 X선 감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사용한 회토류 형광 증감지 중 KM- Ⅱ의 경우가 KF- Ⅱ 증감지에 비하여 약 3.5배로 감도가 크게 나타났으며, KR-Ⅱ는 4.5배정도로 더욱 크게 나타났다. The photographic characteristics of orthochromatic screen (Gd_2O_2S : Tb), which has been used in X-ray exposure to decrease dose of patient and increase relative speed, was investigated. Morphology of layer phosphor layer was analyzed by SEM. Photographic sensitivity was investigated by determining the relative speed and photographic contrast using fluorescence techniques plus X-ray generator. It was found that the fluorescence and relative speed was increased with thicker phosphor layers and larger phosphor particles. The relative speed of KM-Ⅱ was 3.5 times larger than that of KF-Ⅱ screen, and that of KR-Ⅱ was times larger than that of KF-Ⅱ screen, indicating that KR-Ⅱ screen showed highest relative speed among the rare earth metal doped orthochromatic screen investigated in this study.

      • KCI등재

        취약 아동청소년 자립지원 정책 및 서비스에 대한 현장전문가 델파이 조사

        배주미(Bae Joo-Mi),김영화(Kim Young-Hwa),김범구(Kim Bum-Goo),정익중(Chung Ick-Joo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연구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취약 아동청소년에 대한 통합적, 체계적 자립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를 위하여 취약 아동청소년 자립지원에 필요한 정책 및 서비스에 대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된 델파이 조사에서는 총 72명의 현장전문가가 참여하였으며, 향후 취약 아동청소년의 자립을 지원하기 위하여 가장 필요한 정책 및 서비스를 제안하고, 이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14개 항목 75개의 문항의 자립지원 정책 및 서비스가 요약되었으며, 정책적 측면에 있어 자립지원 정책강화, 자립지원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후관리 강화, 자립지원 실무자 전문성 강화와 처우개선, 자립정착금 지원의 개선, 주거공간 지원 확대와 개선, 법률 및 의료 지원 강화, 친부모 관련 대응 강화 등이 제시되었다. 이와 함께 자립지원 서비스와 관련하여 자립준비 프로그램의 체계적 구축 및 운영, 심리정서적 지원 강화, 진로탐색 및 진로설계 서비스의 강화, 학업지원의 강화, 사회기술 역량 함양, 경제교육 강화 등의 내용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both the types of policies and social services needed to ensure the ability of disadvantaged youth to lead independent lives by means of Delphi research. Seventy two experts from residential care, grouphomes, foster care, shelters, local counseling centers and alternative schools provided detailed feedback on policies, services and measures they regard as necessary to enable and support successful independent living on the part of disadvantaged youth. These results produced a number of important suggestions; 1) there is a clear need to strengthen the policy on adolescents as it relates to independent living, 2)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atabase system which includes information on self-reliance, 3) enhancing the provision of follow-up services is reqired, 4)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 expertise of care givers, 5) improvements need to be made to the independent living financial support system, 6) more residential facilities need to be made available, 7) affordable legal and medical support is required, 8) help and support in dealing with the problems with biological parents is needed, 9) a systematic self-reliance preparation programs need to be established, 10) any initiatives in this area need also to provide intens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 services, 11) a comprehensive system for career development for professionals in this field needs to be put into place, 12) disadvantaged youth require the provision of systematic support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academic and overall educational outcomes, 13) support needs to be given to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their social skills, 14) training in their money management skills needs to be provid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위기청소년 자립을 위한 사회진출지원 프로그램 효과 분석

        조규필(Cho Gyu-Pil),권해수(Kweon Hae-Soo),김범구(Kim Bum-Goo),박가열(Park Ka-Yeul)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한국청소년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위기청소년의 자립을 위한 사회진출지원프로그램(두드림존프로그램 1단계 교육프로그램)을 위기청소년들에게 실시한 후 참여자의 유형별로 그 효과의 차이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두드림존 시범운영기관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위기청소년 520명(학교부적응집단 138명, 대안교육집단 92명, 가출집단 57명, 비행집단 190명, 직업훈련집단 43명)이다. 프로그램은 4일간 총 6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18시간 집중적으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진로성숙도검사와 자체 개발한 프로그램 성취도 검사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는 참여자의 유형간 프로그램 효과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두드림존프로그램은 진로성숙도를 제고시키며, 사회진출의 필수 요소인 비전설정, 경제마인드, 직업이해, 구직 및 생활적응 기술, 실천의지를 높이는 데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의 유형에 따른 효과 분석에서 학교부적응집단과 비행집단이 대안교육집단, 가출집단, 그리고 직업훈련집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성과를 보였다. 또한 프로그램 회기별 만족도에서 참여자들 대부분 흥미성과 유익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회기가 진행될수록 만족도가 조금씩 떨어지는 변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위기청소년 유형별 특성화 두드림존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evaluation which exist according to the various types of participants in the program for youth’s self-independence in transition process into society (DoDreamZone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20 at-risk youths (138 school maladjusted youths, 92 youths in alternative education programs, 57 runway youths, 190 delinquent youths, and 43 youths in vocational school)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stage of the DoDreamZone motivational education programs which were held in DoDreamZone model institutes. This program has been intensive in nature and is conducted through 6 sessions over 4 days, for 18 hours in total. To prove and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the internally-developed Program Achievement Inventory and the Program Satisfaction Inventory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 Mixed ANOVA was applied in order to evaluate the difference in program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diverse types of participants. As a result, the DoDreamZone program was observed to have increased the career maturity level of participants and it has been shown to have had a meaningful effect in enhancing essential elements in transition such as establishing vision, an economical world view, understanding one's career, general life skills and job seeking skills, and the creation of a will for action.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articipant type, the school-maladapted group and the delinquent group have shown relatively higher performance levels than the alternative education group, the runaway group and the group undertaking job-training. Additionally, although all of the participants (except for the alternative education group) have shown relatively high levels of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level itself had a tendency to drop as the session progres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offer important suggestions in developing more specialized DoDreamZone programs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f different types of at-risk youth.

      • KCI등재

        학업중단 청소년 대상의 기숙형 대안캠프 효과성에 관한 연구

        황순길 ( Hwang Soon Gill ),정현주 ( Chung Hyun Ju ),김범구 ( Kim Bum Goo ),양대희 ( Yang Dae Hee ),이은경 ( Lee Eun Kyu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적응적 학업복귀를 돕기 위해 이들이 가진 다양한 문제에 초점을 둔 9박 10일간의 구조화된 기숙형 대안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인상담, 집단상담, 프로젝트기반학습, 아웃도어활동, 기타 체험활동, 부모교육과 부모상담 등으로 구성된 기숙형 대안캠프 프로그램을 시범운영하고, 참여청소년들이 경험한 것의 문화적 의미들을 찾아내고자 청소년과 부모를 대상으로 심층면접과 참여관찰을 하고 문화기술지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들의 자아개념과 관련하여 ``자신감을 회복``하고, 동기가 강화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청소년들은 캠프활동을 통해 미래에 대한 목표의식을 가지게 되었으며, 대인관계 기술, 집단응집력과 관련하여서도 긍정적인 변화들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기숙형 대안캠프 프로그램은 학업중단 청소년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낸 것으로 나타났지만, 남자청소년 22명을 대상으로 1회 시범운영한 것만으로는 기숙형 대안캠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일반화하기에 한계가 있다. 추후, 지속적 운영 및 참여대상의 확대를 통해 적용가능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While most adolescents who drop out of school hope to return to school, they face a great deal of adversity, including poor school achievement, low self-concept, lack of self-control, unsystematic lifestyles, and difficulties in personal relationships. The lack of comprehensive services that aid dropouts for adaptive reentry calls for an adjustment training program that deals with the various problems facing these adolescents. As an attempt at such an intervention, we developed a structured, 10-day alternative boarding camp program. To evaluate the alternative boarding camp program for dropouts, a 10-day experimental operation was hel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an analysis of existing studies we provided theoretical grounds and a model for an alternative boarding camp program for school dropout adolescents. Second, the study also analyzed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the experiences of adolescents after the experimental operation via ethnography research,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at inquiry so as to supplement the program. Third, Mentorship was found to be critical in the alternative boarding camp in providing youths with role models. Finally, this study presents the first Korean program for alternative boarding camps for dropout adolescents in history.

      • KCI등재

        학업중단 청소년의 학교 재적응 과정 연구

        조규필 ( Gyu Pil Cho ),박현진 ( Hyun Jin Park ),김래선 ( Lae Sun Kim ),김범구 ( Bum Goo Kim ),양대희 ( Dae Hee Yang ),이현진 ( Hyun Jin Lee ),황수진 ( Soo Jin Hwa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1 중등교육연구 Vol.59 No.4

        본 연구는 학업중단 시기를 거쳐 학교에 복학한 청소년들의 학교 재적응 과정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복학한지 6개월 이상 경과한 전문계 고등학생 11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진행하였으며, Strauss와 Cobin(2008)이 제시한 근거이론에 따라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개방코딩에서 133개의 개념과 42개의 하위범주, 그 하위범주를 추상화시킨 1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핵심범주는 ``학업동기 발생``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학업동기화 전에 ``자신의 상황에 대한 인식``이 생기고, ``주변 사람들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 이후 ``학업동기가 발생``하고, ``학교에 재적응``하는 과정에서 ``각오를 다지고 습관을 변화``시키며, ``가족을 생각``하며, ``친구관계를 형성``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학교 재적응 과정 전반에 미치는 조건은 ``부모·친구·교사·전문가의 지원``이 있었고, 학교 재적응으로 나타난 결과는 ``학교생활 적응``, ``비행 중단``, ``꿈이 생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학교 복학 후 재적응 과정을 탐색함으로써 복학생들이 재탈락하지 않도록 조력하기 위한 개입방법의 틀을 마련하는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chool readaptation process of youth who had dropped out of school. For this, The researche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1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returned school at least over 6 months, and performed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the guidance of the Ground Theory of Strauss and Cobin(2008). Open coding results in 133 concepts, 42 sub-categories followed by 19 more abstracted categories. The core category was ``academic motivation``. Participations had perceived the situation and had affected by people around them before they had motivation to return to school. In the process of ``having motivation`` and ``re-adaptation in the school``, they experienced ``reestablishment determination``, ``changing habits``, ``thinking family`` and ``building up friendship``. A support of parent, friends, teachers, and expert was significant conditions to affect the process of school re-adaption. The results of school re-adaption were ``school adaptation``, ``discontinuance delinquent`` and ``having a dream``.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the framework for practical supporting method to prevent re-dropout of returned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