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연 길이에 따른 유한기억구조 평활기와 필터와의 등가관계

        김민희(Min Hui Kim),김평수(Pyung Soo Kim),김준수(Junsu Kim)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2

        본 논문에서는 비록 제한적인 상황이기는 하지만 관측값과 추정값 사이에 일정한 지연이 존재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FMS 평활기를 고려한다. FMS 평활기는 지연 길이의 세 가지 설정에 따라 기존에 연구되었던 FMS 필터와 동등함을 증명한다. FMS 평활기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모의실험을 통해 직류 전동기 시스템에 적용하며 칼만필터와 표준 FMS 필터와 비교 분석한다.

      • KCI등재

        구급대원의 업무 범위 인식에 대한 질적 주제 분석 : 간호사 자격을 가진 구급대원을 중심으로

        김민희(Min Hui Kim),김남걸(Namgirl Kim),박송이(Song Yi Park)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5 No.6

        본 연구는 간호사 자격을 가진 구급대원들이 자신들의 업무 범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구급대원 9명을인터뷰하여 그 자료를 주제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세 개의 대주제와 10개의 부주제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자신들의 업무 범위에 대해 1급 응급구조사의 업무 범위와 같다, 간호사 자격을 가진 구급대원의 업무범위가 더 넓다, 문제가 되는 업무 범위를 알고 있다, 구급지도의사의 의료지도에 따라 업무 범위가 결정된다 등으로명확하게 알지 못하였다. 또한,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을지 불안하다, 지침의 법적 효력에 대해 신뢰하지 못한다,직업 정체성에 혼란이 있다 등의 불안과 불신이 있었다. 반면, 현장 응급처치는 응급구조사 자격의 구급대원이 더숙련되어 있다, 간호학 자체가 병원 전 단계 응급 환자에 대한 교육이 부족하다, 서로 잘하는 영역이 다르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향후, 구급대원의 업무 범위를 명확히 하는 제도적인 뒷받침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emergency medical service (EMS) providers with registered nurses perceive their practicescope in Korea. This qualitative study analyzed the interview data of nine EMS providers with registered nurses using Braunand Clarke’s thematic analysis. Three themes and 10 subthemes were revealed. Theme 1 was “not clearly knowing thescope.” They perceived their scope as similar to that of a first-grad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as wider thanthat of EMTs scope, as focused on the controversial scope, 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edical director. Theme 2was “anxiety and distrust.” They were concerned whether they can be protected legally by the practice guideline, showedno confidence in the legal protection of the practice guideline, and were confused about their professional identity. Theme3 was “different strengths in practices.” They reported that EMTs are more experienced and skillful in the prehospital field,as nurses lack education on prehospital emergency. However, they have different strengths from the beginning such aspatient’s care. For ensuring stability of and consistency in the provided service, the practice scope of EMS providers withregistered nurses needs to be clearly stipulated.

      • KCI등재

        LDA를 통한 한국어 습득 연구 동향 분석 - 중국어권 학습자 대상 연구를 바탕으로 -

        김민희 ( Kim Min-hui ) 반교어문학회 2020 泮橋語文硏究 Vol.0 No.55

        본 연구에서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 연구의 동향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 한국어 습득 연구를 주제로 하는 2003년부터 2020년 사이 출판된 국내 학위논문 298편과 학술지 논문 94편에서 초록 또는 서론의 연구 목적 및 연구의 필요성 부분텍스트를 분석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 잠재주제(Topic)란 긴밀한 상호 관련성을 지닌 키워드 집단으로 표현되는 산출물을 의미한다. 텍스트로부터 숨겨진 잠재주제를 추론해 내는 확률 모형인 잠재 디리클레 할당(LDA)을 통해 추출한 주요 키워드는 ‘사용’, ‘발음’, ‘의미’, ‘오류’, ‘결과’, ‘제시’, ‘문화’, ‘실험’, ‘집단’, ‘차이점’, ‘양상’이다. 2003년부터 2014년까지의 연구를 살펴보면, 한국어 습득연구는 큰 영향력을 지닌 하나의 키워드가 연결된 해당 잠재주제를 대표한다. 2003년부터 2014년 한국어 습득 연구의 잠재주제 가운데 한 키워드 집단을 예로 들면 ‘오류’, ‘어휘’, ‘문화’, ‘방안’이라는 키워드로써 잠재주제가 표현되지만 ‘오류’와 ‘어휘’가 다른 키워드에 비해 확률적 분포가 매우 높게 나타난다. 이와 같이 추출된 키워드의 확률적 분포가 고르게 나타나지 않는 경우 키워드 간 관계를 통해 해당 주제를 설명할 수 없다. 반면에 제2언어 습득 연구가 증가하기 시작한 2015년부터 2020년까지의 연구에서는 하위 키워드들의 확률적 분포가 어느 하나에 치우치지 않고 고르게 산출되어 키워드 간 관계로부터 구체적인 잠재주제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2015년부터 2020년의 잠재주제 가운데 한 키워드 집단을 예로 들어 살펴보면, ‘발음’, ‘오류’, ‘산출’, ‘음운’, ‘비음’이라는 키워드들이 모두 고른 확률적 분포로 나타난다. 여기에서 특정 음운의 산출을 연구한 것은 학습자의 모국어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결론적으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 연구의 동향은 학습자의 모국어로부터 전이되는 특성과도 긴밀한 관계를 맺고 연구 분야 및 주제가 더욱 구체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hift in research trends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Korean education. Due to its interdisciplinary nature, research on SLA studies include a wide breadth of topics. Therefore, leveraging the computing power of machines, especially through text mining, has become an essential technique for analyzing research topics relating to SLA in Korean education. This study collected 298 dissertations and 94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Korea from 2003 to 2020 and analyzed the abstracts and their research purposes using Latent Dirichlet Allocation. The input data(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was first split into two categories(pre-2015 and post-2015). The output of the LDA generated 5 latent topics with the top 7 most influential keywords for each topic for both categories. The keywords, which construct the latent topics that have been consistently trending over the entire period are usage, pronunciation, meaning, error, presentation, culture, experiment, group, differences, and aspect. The resulting keywords that describe the latent topics of the pre-2015 data tend to be more generic than those of the post-2015 data. The keywords extracted from the post-2015 data are more specific and are focused around phonetics such as pronunciation, phoneme and a nasal soun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further help to analyze the shifts in research trends of SLA in Korean education using data-driven methods and suggest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trends.

      • KCI등재

        유아주도 이야기나누기에 대한 실행연구

        김민희(Kim, Min Hui),심향분(Shim, Hyang Boon),정가윤(Chung, Ka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만 5세반 교사가 유아주도 이야기나누기를 구현하기 위해 반성적 사고과정을 통해 교사의 역할을 탐구하는 실행연구이다. 교사의 반성적 사고과정을 통해 발문 내용에 집중하고 불필요한 발문을 줄이는 2차 실행을 통하여 유아주도 이야기나누기가 구현되기 시작하면서, 교사의 역할 변화를 발견하였다. 교사 자신의 태도 변화가 첫 역할 변화였다. 교사가 주도하려는 욕구를 내려놓고 유아들을 따르고자 하였다. 두 번째로 교사는 유아들이 자신의 사전경험과 연계하여 자유롭게 이야기도록 하였다. 연계가 이루어지자 유아들의 자발적인 이야기가 많아졌고 교사는 유아의 이야기에 궁금증을 가졌다. 세 번째로 교사도 이야기 나누기에 적극적 참여자였지만 이야기 주제를 이끌어가기보다 유아의 이야기를 듣고 반응하며 기록하는 역할을 하였다. 네 번째는 교사 자신이 진행한 이야기나누기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기록하는 것이었다. 자신이 교사로서 무엇을 했는지의 기록이 아닌 유아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기록이었다. 이 과정을 통해 이야기나누기에 대한 관점이 변화할 수 있었고 유아 주도 이야기나누기의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ction research exploring teachers roles in embodying the child-led circle time through the reflective thinking process in 5-year-old class. It discovered changes in their roles, as the child-led circle time began to be embodied, through the second action in which they concentrated on the contents of epilogues and reduced unnecessary parts of them through their reflective thinking processes. The changes in their own attitudes were the first ones in their roles. Teachers suppressed their desire to lead circle time and intended to follow infants will. Second, teachers allowed infants to freely tell certain stories linked to their previous experiences. As such a link was achieved, infants spontaneous stories were increased and teachers came to have some questions about the stories. Third, although teachers also actively participated in circle time, their roles were to listen and respond to, and record infants stories, rather than to lead the themes of stories. Fourth, teachers continuously recorded circle time led by them. In other words, they did not record what they did as teachers, but what infants did. In doing so, their perspectives on circle time might be changed and could find the significance of child-led circle time.

      • 상태추정을 위한 유한기억구조 필터의 다양한 형태

        김민희(Min Hui Kim),김준수(Junsu Kim),김평수(Pyung Soo Kim)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2

        본 논문에서는 상태공간모델 기반 추정필터링 기법으로 잘 알려진 유한기억구조(Finite Memory Structure, FMS) 필터의 다양한 형태와 유도 기법을 소개한다. 첫 번째로, 칼만 필터의 한 형태인 Information 필터로부터 유도된 반복 형태로 표현한다. 두 번째로, 최상 선형 무편향 추정기법, 최대 가능도 추정기법, 베이시안 추정기법, 최소 자승 추정기법으로부터 유도된 네 가지 행렬 형태로 표현한다. 마지막으로, 관측값과 추정값 시점 사이에 고정된 지연이 존재하는 경우를 위해 평활기 형태로 표현한다.

      • KCI등재

        경남 서부지역 사육오리의 질병 감염 조사

        김민희 ( Min Hee Kim ),조명희 ( Myeong Hui Jo ),유성환 ( Seong Hwan Ryou ),방상영 ( Sang Young Bang ),허정호 ( Jeong Ho Heo ),김현준 ( Hyun Oon Kim ) 한국가축위생학회 2013 韓國家畜衛生學會誌 Vol.36 No.1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infectious duck diseases using 156 ducks reared in 18 farms of western Gyeong-nam province. As a result, duck viral hepatitis (12.8%), colibacillosis (7.1%), and fungal disease (9.0%) were detected. However, avian influenza and riemerellosis were not detected. During autopsies, we could grossly observed red swollen liver (12.8%), petechial or ecchymotic hemorrhage on liver (11.5%), and fibrinous perihepatitis (9.0%). Gray-white necrotic spot (23.1%), swollen spleen (22.8%), swollen kidney (20.5%), hyperemia or hemorrhage on tracheal mucous membrane (8.3%), and nodule in long or air sac (9.0%) were also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