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들의 대학 내 활동적 요소들이 대학교 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문태,Kim, Moontae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7 서비스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대학만족에 대한 원인변수의 규명에 있어 대학교에서 학생들의 참여 및 활동 등의 변수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 검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는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학생들의 학과적성부합도는 대학활동적 요소들 및 대학교 만족 등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태도 또한 이러한 요소들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학교행사에 대한 참여도는 친교관계, 진로준비행동, 그리고 대학교 만족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들의 친교관계는 대학교 만족 및 대학교 충성도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준비행동 또한 대학교 만족, 대학교 충성도 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마케팅 연구들은 소비자 간의 상호작용성이 소비자들이 서비스에 몰입하는데 중요한 원인이 됨을 검증하였는데 대학에서도 마찬가지로 학생들 간의 적극적 상호작용이 활발하고 및 친교관계가 좋은 것이 학교 만족에 중요한 영향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학교 만족은 대학교 충성도에 매우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학교를 만족할수록 학교를 추천하려는 의도가 높기에 학생 자원이 부족해지는 현재의 위기에서 재학생들의 학업지속의도 및 재학생 추천에 의한 입학을 확보하기 위해서 학생들의 만족시키기 위한 대학당국의 선행변수들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variables such as student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on university students' university satisfaction and loyalty.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aptitude coincid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activities in university. And also, the attitude of class is positively related to school activities, Second, the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in school ev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friendship, job related behavior, and university satisfaction. The friendship of college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oyalty of university satisfaction university. and job related behavior also has positive effects on university satisfaction and university loyalty. Past marketing studies have proved that interactivity among consumers is an important factor for consumers to engage in service. In college, as well, it is found that positive interaction and friendship among students are important influences on school satisfaction. The higher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the higher the intention to recommend the school.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recommendation of graduates or students, it is important to satisfy the students, and this can be accomplished by management of antecedent variables that this study suggested.

      • KCI등재

        브랜드 체험변수들의 구성 및 영향관계에 있어 상황별 차이에 대한 연구

        김문태,Kim, Moon-Tae 대한경영정보학회 2017 경영과 정보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체험변수들의 구성에 있어 연구마다 다른 점 그리고 체험변수의 결과변수에 대한 관계에서 차이점 등을 검증하기 위해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체험차원 및 항목들이 어떻게 나누어질 수 있는지 과거연구를 바탕으로 항목을 구성하여 검증해보고 과거연구의 항목구성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체험변수들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요인분석과 몇 가지 모형에 대한 검증을 통해 최적의 모형이 무엇인지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체험변수들 간에 명확한 구분이 힘들 수 있다는 점으로 응답자들에게 감각, 감성, 인지 등 세 가지 차원이 크게 다르게 느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응답하는 사람에 따라서는 언어적 차이를 많이 지각하지 못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상당부분 존재할 수 있다. 행동과 관계 또한 여러 다른 변수가 포함되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할 경우 가까운 뜻을 가진 변수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점에서 과거연구에서 제시되었던 체험차원들은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준이 아니기에 연구상황에 따라 체험차원들을 몇 가지 조합으로 결합하여 단순화시킨 체험 차원으로 논문을 진행하는 것도 무방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체험변수들 간에서는 상호 관련성이 존재하며 결과변수에 대한 영향은 변수들마다 다를 수 있었다. 그리고 결과변수가 2개 존재할 때 체험변수 중 선행변수는 첫 번째 결과변수에만 영향을 미치는 모형을 가정하는 것이 체험의 성과변수에 대한 관계에서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5개의 체험 차원들과 만족 및 충성도와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는데 5개의 체험차원이 완벽히 분리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는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시하였을 때 가장 높은 적합도를 보여서 이 모형이 체험과 결과변수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장 적합한 모형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tial variables and outcome variables of experiential variables.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tries to construct the items based on past researches and to suggest the problems of the items of past researches. The analysis of various aspects of experiential variables and the validation tests of some models are presented to suggest what the optimal model is and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irst, respondents may not feel that the three dimensions of sensation, emotion, and cogni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spondent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y may not be able to perceive much of the linguistic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suggest that it would be suitable to proceed with the thesis with the experience of simplifying the combination of the five experiences in some combination. Secon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experiential variables, and the effect on outcome variables may vary from one variable to another. And, when there are two outcome variables, assuming a model that affects only the first outcome variable among the experience variables, it is the most suitable model in relation to the performance variable of experience.

      • KCI등재

        브랜드원산지의 브랜드성과에 대한 영향에 있어 제품특성에 따른 차이

        김문태,Kim, Moon-Tae 대한경영정보학회 2020 경영과 정보연구 Vol.39 No.2

        본 연구는 브랜드원산지의 개념을 국가이미지, 제조능력이미지로 구분하여 이들 변수들의 브랜드신뢰 및 브랜드충성도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검증하였으며 이에서 검증된 결과인 브랜드 원산지의 브랜드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가지고 제품별 차이점을 검증하는 것으로 논문을 마무리 하였다. 본 논문에서 나타난 구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브랜드원산지는 브랜드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브랜드충성도의 선행변수들에는 충분히 직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소비자의 제품구매나 선택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제품 속성에 대한 평가나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통해 선택에는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둘째, 제품특성별 브랜드 원산지 영향력의 차이는 매우 뚜렷하게 나타났다. 과거 연구들은 몇 가지 제품에 국한되어 범 제품적 테스트가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그 실증력의 한계가 있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제품별을 포함시키고 실제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제품별 차이를 발견하려고 했다. 관여도와 자아일치성은 브랜드원산지가 브랜드성과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조절변수로 판단할 수 있는 결과가 제시되었다. 또한, 품질, 역사, 진정성 등에 관련된 인식 고저나 유무로 제품을 구분하여 제품특성을 구분하여 각 제품특성별 브랜드원산지의 역할을 본 결과 품질이 높다고 인식된 제품이 그리고 진실성이 높다고 인식된 제품이 브랜드원산지의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역사는 브랜드원산지의 효과를 보여주지 못한 제품특성이었다.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by dividing the concept of brand origin into national image and manufacturing capacity image, verifying the direct impact of these variables on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and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products with the effect on brand trust of brand origin, which is the result of verification. The specific implica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brand origin does not directly affect brand loyalty, but it can have a direct impact on the preceding variable, brand loyalty. This study may conclude that it is desirable to def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urchase selection indirectly through the assessment of product properties or positive effects on brand image rather than having a direct impact on product purchase or selection. Second, the difference in brand origin influence by product characteristics was very evident. Past studies were limited to a few products, so pan-product testing was not conducted, and the empirical power was judged to be limited, so this study included a variety of products and tried to detect differences between products through actual empirical research. Involvement and self-congruity have been presented with results that can be judged as important variables for brand origin to affect brand performance and variables. Looking at the role of the brand origin for each product characteristic by distinguishing between product characteristics and whether or not products related to quality, history, authenticity, etc., the product recognized as high quality and the product recognized as having high integrity showed higher effect of the brand origin, but history was a product characteristic that did not show the effect of the brand origin.

      • KCI등재

        온라인 커뮤니티 특성과 충성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자아일치성, 소비자 체험, 상호작용성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김문태,옥정원,Kim, Moon-Tae,Ock, Jung-Won 한국마케팅과학회 2008 마케팅과학연구 Vol.18 No.4

        The popularity of communities on the internet has captured the attention of marketing scholars and practitioners. By adapting to the culture of the internet, however, and providing consumer with the ability to interact with one another in addition to the company, businesses can build new and deeper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The economic potential of online communities has been discussed with much hope in the many popular papers. In contrast to this enthusiastic prognostications, empirical and practical evidence regarding the economic potential of the online community has shown a little different conclusion. To date, even communities with high levels of membership and vibrant social arenas have failed to build financial viability.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various kinds of influencing factors to online community loyalty and basically suggests the framework that explains the process of building purchase loyalty.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building loyalty in an online environment has been emphasized from the marketing theorists and practitioners, there is no sufficient research conclusion about what is the process of building purchase loyalty and the most powerful factors that influence to it.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building purchase loyalty is divided into three levels;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ite such as content superiority, site vividness, navigation easiness, and customerization, the mediating variables such as self congruency, consumer experience, and consumer to consumer interactivity, and finally various factors about online community loyalty such as visit loyalty, affect, trust, and purchase loyalty are those things. And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to-consumer interactivity is an important factor to online community purchase loyalty and other loyalty factors. This means, in order to interact with other people more actively, many participants in online community have the willingness to buy some kinds of products such as music, content, avatar, and etc. From this perspective, marketers of online community have to create some online environments in order that consumers can easily interact with other consumers and make some site environments in order that consumer can feel experience in this site is interesting and self congruency is higher than at other community sites. It has been argued that giving consumers a good experience is vital in cyber space, and websites create an active (rather than passive) customer by their nature. Some researchers have tried to pin down the positive experience, with limited success and less empirical support. Web sites can provide a cognitively stimulating experience for the user. We define the online community experience as playfulness based on the past studies. Playfulness is created by the excitement generated through a website's content and measured using three descriptors Marketers can promote using and visiting online communities, which deliver a superior web experience, to influence their customers' attitudes and actions, encouraging high involvement with those communities. Specially, we suggest that transcendent customer experiences(TCEs) which have aspects of flow and/or peak experience, can generate lasting shifts in beliefs and attitudes including subjective self-transformation and facilitate strong consumer's ties to a online community. And we find that website success is closely related to positive website experiences: consumers will spend more time on the site, interacting with other users. As we can see figure 2, visit loyalty and consumer affect toward the online community site didn't directly influence to purchase loyalty. This implies that there may be a little different situations here in online community site compared to online shopping mall studies that shows close relations between revisit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re are so many alternative sites on web, consumers do not want

      • KCI등재

        상업·공공용 건물에너지의 지역별 소비 특성을 반영한 GCAM-Korea 모형 개선

        김문태(Muntae Kim),김선숙(Sunsook Kim),김수덕(Suduk Kim) 한국생활환경학회 2020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27 No.6

        Information on provincial level energy consumption pattern of commercial and public buildings, which account for about 49% of domestic building energy as of 2016, is not available yet.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provincial level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overall commercial and public buildings is conducted, including small and medium-sized commercial and public buildings. Provincial level building energy consumption pattern is derived, utilizing 2017 Energy Consumption Survey for Commercial and public buildings conducted by KEEI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presented in aggregated form by sector, fuel, and energy use type, without regional information, and 2017 population census on building establishments conducted by National Statistics Office, Korea. This disaggregated information resulting from this analysis is applied to GCAM-Korea (Global Change Assessment Model-Korea) for the better representation of the details of commercial and public buildings energy characteristics. As the result, the data show different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t provincial level. It is found that existing GCAM-Korea underestimates cooling and heating electricity energy while it overestimates other use types of electricity for commercial and public buildings at all reg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ed light on regional energy plan for commercial and public buildings.

      • 코스닥기업에서 매도가능금융자산의 선택적 처분을 통한 이익관리 탐지

        김문태(Moon-Tae Kim),이선화(Sun-Hwa Lee) 대한경영학회 2016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코스닥기업을 대상으로 매도가능금융자산을 선택적으로 처분하는 이익거래가 이익관리와 관련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2004년부터 2014년까지 12월말 결산 상장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연도별-산업별 재량적발생액을 추정하고, 이에 대하여 1)매도가능금융자산처분이익과 처분손실의 차이(GAIN1), 2)매도 가능금융자산처분이익과 평가이익의 차이(GAIN2), 3)당기 매도가능금융자산처분 이익과 전기 매도가능금융자산처분이익의 차이(GAIN3)가 재량적발생액에 반영되는 정도와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GAIN1, GAIN2, GAIN3 모두 재량적발생액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회귀분석 결과 재량적발생액에 유의하게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영업현금흐름이 음(-)으로 산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순이익이 양(+)으로 보고된 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코스닥기업의 경영자가 미실현된 보유손익 중에서 이익이 실현될 것으로 예상되는 매도가능금융자산을 선택적으로 처분함으로써 이익의 상향조정을 행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realized gains of available for sales(AFS) relate to earnings management. Earnings management is the discretionary accruals(DA) estimated by modified Jones(Dechow et al. 1995) model with firm year-industrial data. This study defines GAIN1 as the differences of realized gains(3,547 fitted samples) and realized losses, GAIN2 as the differences of realized gains and unrealized gains(3,916 fitted samples) and GAIN3 as the differences of realized gains in the t year and realized gains in the t-1 year(3,636 fitted sampl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GAIN1, GAIN2 and GAIN3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DA. The results suggest that managers in KOSDAQ firms are willing to increase their reported managed through disposing of available for sales with the realized gains trading.

      • KCI등재

        『사후믁샹』 소재 비유와 예화의 기반 고찰

        김문태(Kim, Moon-Tae) 한국교회사연구소 2020 敎會史硏究 Vol.0 No.57

        『사후믁샹』의 비유와 예화는 죽음 부분에 10개, 「론디옥이라」 부분에 6개, 「론텬당이라」 부분에 2개가 수록되어 있다. 총 18개의 비유와 예화들은 독창적인 저술이 아니라 14종의 한문서학서와 한글번역서들에서 인용되었다. 『사후믁샹』의 저자는 저본의 비유와 예화를 그의 취향과 이 땅의 풍토에 맞게 변용하여 수록하였다. 특히 『기인십편』, 『천주성교사말론』, 『사종략의』 또는 『사말론』, 『성경』, 『천주성교십계직전』 또는 『십계진전』, 『천주성교성인행실』 또는 『성년광익』 등에 수록된 비유와 예화들을 주로 인용하였으며, 이를 사심판과 공심판을 제외한 죽음과 지옥과 천당 부분에 집중적으로 배치하였다. 저자는 실감나는 예화로써 현세 삶의 끝인 죽음에 대하여 직접적인 교훈을 주어 경계로 삼게 하였고, 이해하기 쉬운 비유로써 죽음 이후에 이어지는 미지의 지옥과 천당을 사실적으로 그려 생동감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저자는 죽음 이후에 천당의 행복보다 지옥의 고통에 초점을 맞추어 독자들이 현세에서 천주의 자녀이자 예수의 제자로서 선하게 살기를 촉구하였다. This thesis was designed to reveal the base of the metaphors and parables of a meditation book Sahumuksang(사후믁샹) on eschatological dogma that played a great role as an educational medium for believers and a missionary medium for non-believers in the early day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As a result, a few new facts were revealed. The metaphors and parables in this book include 12 cases in the death section, 6 in the hell section, and 2 in the heaven section. A total of 18 metaphors and parables were not original writings, but were quoted from 14 kinds of Catholic book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mported from China and distributed in Korea at that time. The author of this book did not translate literally the metaphors and parables contained in the original, but adapted them to suit his taste and Korean climate. In particular, metaphors and parables in the books Giinsippyon(기인십편), Chunjusunggyosamalron(천주성교사말론), Sajongryaki(사종략의) or Samalron(사말론), Holy Bible, Chunjusunggyosipgyejikjeon(천주성교십계직전) or Sipgyejinjeon(십계진전), Chunjusunggyosunginhaengsil(천주성교성인행실) or Sungnyunkwangik(성년광익) were mainly cited, and these were intensively placed in the parts of death and hell and heaven, excluding particular judgment and general judgement. He gave his readers a direct lesson on death, the end of this life with realistic metaphors. In addition, he evoked a sense of life by realistically drawing the unknown hell and heaven leading to death through easy-to-understand parables. He focused on the suffering of hell rather than the happiness of heaven in the afterlife, and urged people to live good in this world as children of God and disciples of Jesus.

      • KCI등재
      • KCI등재

        소비자-브랜드 관계, 소비자-소비자 관계, 브랜드 충성도 등의 관계에서 SNS 브랜드 페이지의 매개적 역할에 대한 연구-브랜드의 관여도와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성의 수준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김문태(Kim, Moon-Tae) 한국산업경영학회 2017 경영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소비자 브랜드 관계와 소비자와 소비자 관계 등의 브랜드 충성도와의 관계에 있어 SNS의 매개적 역할에 대해 검증해 보았다. SNS는 브랜드충성도 구축에도 효과적인 도구로 평가되고 있기에 마케팅관리자들의 관심이 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과거 연구들을 바탕으로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소비자-소비자 관계의 역할을 동시에 검증해 보며 거의 수행된 적이 없는 제품유형별 SNS의 역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초석이 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먼저, 소비자-브랜드 관계는 소비자-소비자 관계와 SNS 브랜드 페이지 충성도 그리고 브랜드 충성도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할 수 있었다. 특히, 소비자-소비자 관계는 SNS 브랜드 페이지 충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이 검증되었는데 이는 소비자들 간의 친밀도를 높이는 방법이 해당 브랜드 페이지에 대한 충성도 더 나아가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매우 중요한 마케팅 기술이라는 점을 지지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SNS 브랜드 페이지 충성도는 브랜드 충성 도와 구전의도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SNS의 제품유형별 효과에 대한 검증에서는 고관여 제품이 저관여 제품보다 소비자 -소비자 관계가 유의적으로 높았는데 고관여 제품일수록 소비자 간의 관계 구축이 더욱 중요한 제품군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또한, 소비자가 해당 브랜드와 얼마나 상호작용성이 높은 것은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었는데 상호작용성이 높은 제품은 소비자-소비자 관계 뿐만 아니라 SNS 브랜드 페이지 충성도 또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과는 별로도 본 연구에서 상품, 서비스, 스타, 스포츠 구단 등의 4가지 제품군으로도 한번 비교를 해보았는데 스포츠 구단, 스타 등이 소비자-소비자 관계가 더 높은 제품군임을 알 수 있었 다. 이는 스포츠 경기나 스타의 콘서트 등에서 집단적인 일치성과 분위기가 중요한 제품군이라는 것이 그 이유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testified the roles of SNS brand pages in relationship among consumerbrand relationship, consumer-consumer relationship, SNS brand page loyalty. Marketing managers have interested in using SNS in these days because it is considered as one of effective marketing tools. This study tested roles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consumer-consumer relationship in one research model and tried to be a cornerstone of research area that testified different roles of SNS among product types. And research implications are as follow like these. First, consumer brand relationship was a variable that influence positive effect to consumer -consumer relationship, SNS brand page loyalty, and brand loyalty. Specially, consumer-consumer relationship was a key variable that influence SNS brand page loyalty, this means building a strong connection among consumers is one of effective marketing methods to mange popular SNS brand page and finally enhance brand loyalty. And SNS brand page loyalty make a positive influence to brand loyalty and word of mouth intention. Second, this research suggest that consumer-consumer relationship is higher in high involvement and interactivity situations than low of those, this mean high involvement product need more relations with other consumers because it need more information about using products. Apart from, hypotheses, this study compares the consumer-consumer relationship and SNS brand page loyalty and suggests consumer-consumer relationship of celebrity and sport team higher than other. One of reasons of this is that collective behavior of these products is much more needed to support celebrities and sports team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