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열된 질서와 영화의 성찰성

        김무규(Kim Moo Kyu) 한국영화학회 2008 영화연구 Vol.0 No.36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a theory that can explain specific film images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concept of reflexivity. It presents the problem by taking the images that appear in Im Kwon-Taek's Chihwaseon and Beyond the Years as the starting point of theoretical description. In other words, these refer to images that intervene in the narrative continuity, show the construction of the author subject, and thus capture the moment when the meaning of author subject becomes duplicative and paradoxical. In system-theoretical terminology, they can be expressed as a kind of disjunctive order. The images of this form are actually meaningless when seen from the viewpoint of narratology and information theory, but in this paper, they are viewed as points where new features of the subject appear. Such appearances can be explained focusing on the concept called reflexivity. Reflexivity is the result of skepticism on the subject of simple modernity, but on the other hand, it is a concept which can be used to criticize and supplement the problems in the model of enlightenment modernity. In image aesthetics, a model of modernity refers to a structure that can produce a situation in which the narrator has specific authorities but, at the same time, is also concealing himself or herself. A reflexive figure, however, presents such subject or author simultaneously with the object he or she is representing. Therefore, it is distinctive in that it shows author subject composition and work production.

      • KCI등재

        소통을 위한 성찰

        김무규(Moo-Kyu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8 No.2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연구에서 일반모델에 대한 섬세한 구상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는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대한 이해를 위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다양한 이론연구의 유형들 가운데 체계이론의 관점으로 이루어진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대해 고찰하고, 이 모델에서 특히 중요한 성찰성 개념을 부각시켜보고자 한다. 의미전달과 상호이해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 커뮤니케이션 모델에는 여러 가지 논리적인 문제점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주체, 전달, 대화의 패러독스로 정리하였다. 체계이론의 성찰성 개념은 이러한 패러독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그리고 하버마스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이 패러독스의 문제를 어떻게 풀어가는지 아울러 알아보았는데, 여기에서 언어화용론을 중심으로 한 문제해결 방식에도 역시 논리적인 난점이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커뮤니케이션학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루만의 모델은 하버마스의 이론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왜냐하면 메르텐으로부터 시작되어 루만, 슈미트 그리고 그랜트에 의해 제시되는 체계이론과 구성주의적 이론은 다른 방식으로 패러독스의 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방식을 성찰성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결국 커뮤니케이션의 합리성론에 대해 비판적인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체계이론과 구성주의적 커뮤니케이션 이론은 각각의 경우에 약간의 상이한 점도 나타나지만, 성찰성 개념에 치중하여 커뮤니케이션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해소하는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seeks to deal with the point that in order to perform meaningful communication, a conscious act of reflexion must be involved. In other words,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inevitably requires self-reflexion. It is known that rationality and dialogism function as necessary preconditions and as goals of communication. But these concepts are very ambiguous because the communicational paradox is not considered. The interaction model could be thought to solve the paradox problems, but such solution can ultimately be seen as a result of ignoring the point that personal reflexion is necessary or covering up the logical problem by depending on concepts such as ‘legitimation’ or ‘ideal discourse situation.’ Therefore this paper views that the theory of communication based on Luhmann’s system theory and constructivism has a more meticulous logics, and considers that the concept of reflexion specifically supplements the interaction model also by examining Schmidt’s concept of fiction and Grant’s concept of porous communic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영화영상에 관한 기호학적 이해의 문제점과 대안: "사이공간" 개념을 중심으로

        김무규 ( Moo Kyu Kim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6 언론과학연구 Vol.6 No.3

        영상이 특정한 의미를 지니고 있고 또 그렇게 해석될 수 있다는 믿음은 영상이 기호로 작용할 수 있다는 기호학적 관점에 근거한다. 하지만 기호학적 접근방식은 영상의 본질적인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기호는 본래 기표와 기의의 차이에 의해 기능한다. 그러나 영상은 그 특성상 기표와 기의로 엄격하게 분리하기 어려운데 왜냐하면 기표로 작용하는 영상 자체는 그것의 지시대상이 되는 것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영상기호학은 이러한 차이의 문제를 관습성으로 환원시킨다. 그리하여 예를 들어 영상의 유사물적 특성이나 이중적 체계의 혼재와 같은 특성을 감안하지 않는다. 특히 움직이는 영상과 같이 진보된 기술 미디어에 의해 생산되는 영상에서 이러한 특성이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이제 기호학적 영상이해의 방법은 비판되고 또한 보완되어야 할 시점에 왔다. 본 논문은 특히 기표와 기의의 ``사이공간`` 개념을 고찰해봄으로써 영상기호론의 대안적인 방안을 모색하려고 한다. 즉 영상을 특정 기의에 대한 기표로 작용한다고 전제하기보다 기의와 기표 사이에 존재하는 기호화 과정으로 간주하고자 하며 이러한 이해를 위해서 사이공간이라는 개념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그리고 본 논문은 초기영화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이러한 사이공간의 개념을 구체화하려고 한다. 또한 특히 최근 한국의 예술영화에 나타난 영상을 분석하며 본 논문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이론적 흐름을 재검토해보고자 한다.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the methodologies of cinema image analysis. In particular, this study purposes to criticize problems in the semiotic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images and to search their solutions and alternative possibilities. Semiotic understanding of images (including still images like photographs and moving images like movies) was found to have the simple func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hrough reducing images to characters or texts or to have the persuasive meaning of rhetoric. However, when an image is reduced to signs, the meaning of the image cannot be fully reflected. Thus, it is necessary to regard an image not as a singular textual system composed of the relation between a significant and a signifier but as multiple value systems that co exist dualistically and composite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 image as a kind of expression method that gives clear distinction between two or more systems (or differences). Accordingly, key concepts in understanding images in consideration of the composite system of cinema images are ``space in between`` and theories related to the concept. That is, we are going to understand an image as what goes beyond the boundary between a significant and the signifier or between an indicator and the indicated and shows the space in between. The later part of this study examined cases of cinema images to demonstrate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The technological medium cinema has already been dualistic since its birth, and only those who take the dualism into account fully can watch a movie properly. Benjamin identified two attitudes of reception - concentration and distraction - and explained the reception of cinema images as distractive reception, emphasizing the dualistic characteristic of cinema. Benjamin`s explanation was considered inappropriate during the period of narrative movies when cinema was symbolized, namely, the period of realism. However, when examining the trend of films produced after 2000 (after 1990 in the West), we can see that concepts for understanding cinema image such as dualism, space in between and distractive reception play decisive roles again. Particularly in this study, we recognized that Korean films since 2000 have been switching from realism to self reflectionism since 2000, and pointed out that such a trend may give a critical role to the concept of space in between in understanding cinema image. In addition, the concept implied that recent cinema images and other products of technological media may be greatly helpful in analyzing images. After all, the semiotic understanding of images is not adequate to explain fully the diversification and multiple functions of images resulting form the development of images.

      • KCI등재

        영화의 서사구조와 디지털 기술

        김무규 ( Kim¸ Moo Kyu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1 아시아영화연구 Vol.14 No.1

        본 논문의 목적은 디지털 기술의 도입으로 인해 영화의 서사가 변화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디지털 기술의 어떠한 특징이 그러한 변화를 유발시키는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그리고 경험적인 관찰보다는 이론적인 검토를 통해 디지털 기술의 특징과 영화서사 변화의 관련성을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테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루만의 체계이론에 따르면 미디어와 형식은 서로 상대적이며 우연적인 관계를 지니고 있다. 어떠한 물리적 환경에 놓여있는 요소들이 조밀하게 연결되면 그것은 형식이 되고 반대로 느슨하게 연결되면 미디어가 된다. 그 연결의 상태에 따라 미디어와 형식의 결정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디지털 기술은 점성보다는 입자성이 강한 특징을 지니고 있어서 그 연결의 상태가 불안정하고 유동적이다. 그 때문에 고착화되지 않고 쉽게 변화할 수 있다. 필름에 화학적으로 각인되어 있는 영화가 디지털 정보로 변모하면, 그것은 점성에서 입자성으로의 물리적 변화를 의미한다. 그리고 그 변화로 영화의 서사 형식은 해체되기 쉬운 상태로 변화한다. 이에 관객 스스로 그 유동성을 직접 실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보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the problem of what features of digital technology give rise to the modification of narrative structure in film. The relevance of this context will be explained not through the empirical observation, but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ccording to Luhmann's system theory, media and form are relative to each other and have a contingent relationship. Thus, when certain elements situated in a physical environment are densely connected, here a form comes into being, but when loosely connected, they become a medium. The determination of medium and form depends on this flexible state of connection. Digital code has a more granular characteristic than viscosity, making it unstable in its connection. Because of that, the determination of digital media and form is more variable and fluid than any other medial condition. When images chemically imprinted on surface of celluloid film are transformed into digital information, or cinematic apparatus are replaced by digital devices, it means a physical transition from viscosity to granularity. And this results in the destruction of narrative structure, as well as the interaction of the audience.

      • KCI등재후보

        디지털 기술과 텍스트 혹은 미디어로서 영화

        김무규(Kim Moo kyu),오창호(Oh Chang ho)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5 No.3

        본 논문은 언어와 소통으로서 영화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는 여러 연구들 가운데 하나이며, 특히 디지털 기술의 도입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 영화에 대해 이론적으로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19세기 말 영화의 탄생 이후, 많은 이론가들은 영화의 본질적인 의미를 고찰하였는데, 특히 20세기 중반부터 영화는 구조주의의 관점에서 텍스트의 일종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의 방향은 기술과 관련된 영화의 심층적 의미에 대해 간과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것으로 디지털 기술의 도입으로 인한 변화를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 반면에 미디어로 규정하면, 영화가 의미생산의 작용을 위해 활용되는 기술적 차원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규정에서 비로소 디지털 기술의 도입으로 변화되는 영화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특히 본 논문은 체계이론의 도움으로 영화 미디어에 대한 개념을 정립한 이후, 그것을 디지털 영화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뉴미디어 시대의 영화의 의미를 설명하였다. This paper belongs to the various studies which investigate the intrinsic meaning of film text. Especially it searches for the possibile answer to the question how digital technology changes the meaning of film text. Since the beginning of the film as a technique, many scholars discussed the nature of film in terms of the language and communication. The structuralist approach seemed to be successful to explain the film as a kind of structural text. But the problems arise when it overlooks the latent dimension of the film in which the specific technique operates to generate the text in the manifest level. To understand the digital technology and its impact on the film in general, the different concept of text is inevitable. This paper suggests in this context, the concept of media, which is constructed in terms of constructivism and system theory.

      • KCI등재

        임의 질서의 문화에 대한 고정 질서의 미학

        김무규(Kim Moo Kyu) 한국영화학회 2005 영화연구 Vol.0 No.26

        Die vorliegende Arbeit befasst sich mit der asthetischen Bedeutung des Films im Zeitalter der sogenannten interaktiven Medienkultur und argumentiert, dass die Bedeutung des Films, der nach wie vor im dunklen Kinoraum rezipiert wird, in der komplizierten Form liegt, die moglich macht, auf die medienkulturellen Bedingungen (des Films) selbst zu reflektieren. Um auf diese Weise den Film als eine Art der Reaktion oder Reflexion auf die Medienkultur zu verstehen, diskutiert diese Arbeit methodisch zunachst uber ein kulturelles Phanomen und asthetisches Phanomen, die aus den neuen besonders digitalen Medien resultieren. Das Koex-Mall erweist sich als einen postmodernen Kulturraum, der die Erlebnisse des Sparziergangs durch die unbestimmten(random) Ordnungen anbietet. Der interaktive Film versteht sich als Film, dessen Zuschauer im Endeffekt zum Filmmacher wird, was ohne Situation der offenen Ordnung wie interaktive Computerspiele nicht moglich ware. Der mainstream Film behalt immer noch eine fixierte Ordnung wie das traditionelle Dispositiv im Gegensatz zur Kultur der unbestimmten bzw. offenen Ordnung. Indem Filme als die asthetischen Produkte der Figur des Dritten betrachtet werden, in denen der Ordnungswechsel selbst in Erscheinung tritt, funktionieren sie als eine Art der dritten Form, aufgrund deren die Reflexion auf die Kultur der unbestimmten Ordnung ermoglicht wird. Der Film 〈Pairan〉 ist ein Beispiel fur eine Bildform, in der sich der Kulturspieler, der in der dritten Ordnung mit der medialen Operation d.h. mit der 'Ent(Unter)Scheidung'konfrontiert, beschreibt. Folglich erweist sich Film als 'Arbeiter', der durch seine formale Konstruktion aufzeigt, wie im neuen medienkulturellen Zusammenhang das kulturellen Spiel des Ordnungswechsels stattfindet.

      • KCI등재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통한 영화 교육

        김무규(Kim Moo Kyu) 한국영화학회 2011 영화연구 Vol.0 No.48

        This paper will focus on art instructor assistance project implemented by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mong the various spheres of film education. The fact that art instructors are dispatched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o provide film education holds great significance. It not only suggests that visual media education has entered into the social system in a national scale and is now part of public education, but also demonstrates that children’s schools began to teach film. Although no one could be completely satisfied with the current assistance system, I believe that despite the obstacles, independent subject teaching method must be applied in public education, starting from this policy. As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presentation, FGI method was chosen. Through FGI, numerous art instructors and the experts in the field of visual media education in Busan were asked to give their opinions and were lead to a debate. At the interview, problems in the treatment of art instructors, working environment, and educational program were brought up. It seems that these issues are a result of concurrence and confusion in the previous system. But a restrospective observation of the history of film shows that concurrence, confusion, dissolution of borders, and hybridization has been omnipresent in other areas of visual media. In other words, these problems are not new. Furthermore, the enhancement of educator training at universities, and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consultative body were suggested as fundamental solutions. The issues of college policy and administrative policy are not so simple, but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Busan area, it was noted that it was not impossible and worth a try.

      • KCI등재

        선택의 토대와 거부의 소통

        김영빈(Young-Bin Kim),한혜경(Hye-Kyoung Han),김무규(Moo-Kyu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1 No.3

        이 연구는 루만의 체계 이론을 통해, 2013년 12월에 발생한 ‘안녕들 하십니까?(이하 안녕들)’ 현상을 분석했다. 루만에 따르면 커뮤니케이션은 타아에 의해 선택된 정보와 선택된 전달을 자아가 선택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시작하고 성립된다. 이때 이해는 내용의 수용과는 별개로, 그것은 후속 커뮤니케이션의 쟁점이다. 이처럼 선택을 토대로 한 커뮤니케이션의 설명은 안녕들 현상에 잘 적용되며, 아울러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해석을 심화시킨다. 특히 안녕들 현상이 가져오는 후속 커뮤니케이션의 파생에 대한 해석을 위해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은 적절하다. 안녕들 현상은 ‘안녕하지 못한 정치’에 대해 특정한 의미를 발생시키며 후속 커뮤니케이션을 지속적으로 유발하는 자기 생산적 체계다. 아울러 반박 대자보나 심지어 대자보 훼손 행위도 안녕들 현상이 발생시킨 ‘안녕하지 못한 정치’에 대한 부정을 야기하는데, 이 또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요소다. 따라서 대자보는 안녕들 체계의 ‘안녕하지 않음’을 상징적으로 일반화한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대자보 훼손은 안녕들 체계와는 근본적으로 구별되는 커뮤니케이션으로 관찰될 수 있다. 안녕들 체계는 대자보를 통해 사회에 더 나아간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고 후속 커뮤니케이션을 기대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ccount for the so-called “Annyeongdeul Hasipnikka?” communication in terms of Niklas Luhmann’s communication theory. The communication theory of Niklas Luhmann which i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system theory is, despite its complexity, effective to shed light on many unique communicative phenomena. To understand the thematic diversity and ceaseless conjunction as the obtrusive characteristics of the “Annyeongdeul Hasipnikka?” communication the adoption of the system-theoretical communication theory is required. Unlike Habermas’s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highlighting the consensus as decisive goal of communication, Luhmann maintains that the proliferation through diversification and persistence of communication even through refusal are also the communicative elements for its operation. This paper tries to demonstrate the uniqueness of “Annyeongdeul Hasipnikka?” communication by virtue of the system-theoretical perspective.

      • KCI등재

        영상 콘텐츠 교육의 수행평가 연구

        정영호(Jung, Young Ho),김무규(Kim, Moo Kyu)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5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10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영화영상을 전공하고 현재 영상 특성화고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들에 의해 시행되고 있는 수행평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특히 공교육 차원에서 영상 콘텐츠의 실효성 있는 교육을 위해 수행평가의 도입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수행평가와 유사한 주제의 연구들은 교육과정이나 교육만족도 혹은 시설조건 등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영상미디어 교육과정 자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이를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교육에서 평가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특히 미디어 콘텐츠 교육의 경우처럼 제작과 같은 수행적 의미가 강한 교육에서 더욱 그러하다. 본 연구는 학교 내의 실상과 교사들의 심정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심층면접을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수행평가의 특성과 활용은 단순하게 파악될 수 없고, 그것은 지역성,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장비의 구비현황이나 특히 교사의 교육관에 따라 다르게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다양하고 지속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assessment, an evaluation method especially in Media Arts High Schools. The performance assessment is one of the key factors which guarantee the successful education in the field of the visual contents. In order to research the actual condition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this study makes the in-depth interview with the teachers who are specialized in the visual contents education in Media Arts High Schools. It was shown that the teachers have still difficulty in conduct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for various reasons. For example, they require more autonomy and flexibility in making their own decisions. And they feel keenly the necessity of the national textbook which can supports the objective evaluation. Nevertheless it turns out to be that they make the creative attempts and try the various concrete methods to carry out the successful performance assess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