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에 나타난 동성애 주체성 재현방식

        김명혜(Myoung-Hye Kim),박현아(Hyun-Ah Park)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5 미디어, 젠더 & 문화 Vol.4 No.-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는 여고라는 공간에서 성장기에 있는 여성들이 성적 주체성을 형성해가는 이야기를 공포를 배경으로 영상화하고 있다. 이 영화는 효신, 시은, 민아라는 세 여주인공을 통해 각기 다른 양상을 띠는 동성애적 주체성을 재현하고 있다. 효신은 가장 적극적인 레즈비언 주체성을 보이는 인물로 알튀세의 이데올로기의 주체의 호명 개념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인물이다. 그 대신 들뢰즈와 가타리의 분열자적 주체성에 대한 이론이 그녀의 주체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시은은 다른 의미에서의 분열적 주체성을 보이는데, 자신의 동성애적 욕망과 이성애적 지배 이데올로기 사이에서 분열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민아는 새롭게 자신의 동성애적 주체성을 깨달아가는 인물로 등장하는데, 효신과 시은의 교환일기를 통해서 동성애 세계를 접하게 되고 잠재된 자신의 동성애적 욕망을 깨닫게 된다. 세 여주인공의 동성애적 관계에서 가장 중요하게 부각되는 것은 텔레파시로서, 이는 전(前)오이디푸스 단계에서 보이는 것으로 크리스테바가 기호계라고 부르고 코라라고 명했던 모성적인 공간에서 나타나는 것이다. 이들의 동성애 관계는 이성애 이데올로기가 억압하는 오이디푸스 욕망은 존재하지 않으며 오히려 여성간의 유대감을 강조하는 모성적 관계가 중요하게 나타난다. A new style of horror movie <Memento Mori> shows how coming-of-age girls form their lesbian sexuality. The three protagonists in the movie show different aspects of lesbian sexuality formation. Hyoshin, who commits suicide in the movie, shows the most solid lesbian sexuality despite the fact that the dominant ideology constantly interpellates her as heterosexual. She manifests Deleuzian schizophrenic subjectivity by letting her rhizomic desire flow in many directions. On the other hand, Sien, whom Hyoshin falls in love with, shows her fragmented lesbian sexuality. She is torn between her lesbian desire and dominant social heterosexual ideology. Minah who happens to peek at the world of lesbians by reading the secret diary of Hyoshin and Sieun realizes her repressed lesbian desire. All three girls can communicate through telepathy which belongs to the semiotic order which Kristeva might call 'chora'. The movie shows that not all subjects are interpellated by the dominant heterosexual ideology in the society. Rather their subject formation relies more on their self-generating desire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백화점 문화센터와 소비문화시대의 주부 정체성

        김명혜(Kim Myoung-Hye) 한국방송학회 2002 한국방송학보 Vol.16 No.2

        정체성이 화두가 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사회적 정체성이 확고하지 않은 주부들은 누구보다도 정체성 형성의 욕구가 강하다. 이들은 여가와 소비를 통해 정체성 욕구를 해소하려고 한다. 백화점 문화센터는 주부들의 정체성 형성 욕구와 일상생활을 정확히 파악하여 여러 강좌를 정체성 형성의 팩키지 상품으로 전시하고 있다. 주부들은 문화센터의 강좌 수강을 통하여 자기만의 시간과 자기 발전에 대해 일차적으로 만족감을 느끼며 주위의 인정을 받게 되어 긍정적으로 정체성을 형성해 나간다고 생각한다. 또한 문화센터를 여가활동의 장으로 선택함으로써 중산층의 계층적 정체성도 공고히 해나간다. 하지만 수강생 이탈과 이동이 많은 백화점 문화센터 안에서 주부들은 공동체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정체성은 개인적인 수준에 머무르는 의사정체성을 형성한다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Identity has become a keyword in the contemporary society. Evervbody feels insecure about his/her identity since it is malleable and fluid. Housewives are those who feel most insecure about their own identity because their social identity is not evaluated highly in the patriarchal society. To alleviate their insecurity, housewives try to form more positive identity by participating various social activities and through self-development Seme of them take lessons at the culture center in department stores as a way of reforming their identity. Most housewives at the culture center feel satisfied with having leisure time of their own and self-development. At the same time, they get recognized by other people for their newly developed abilities. They also confirm their middle class identity at the department store. Culture centers within department stores present various classes for housewives. They know the identity desire of housewives, their life styles, and daily activities. Classes at the culture center are sales items which are packaged by the department stores that are capable of precise reading of housewives′ desires. Consumption in the contemporary society is always fashionable and ephemeral. Housewives at the culture center are notable to form a community of their own because they just consume one class after another like short-lived fashion. They lack continuity and durability. For that reason, the identity that housewives have formed is a pseduo-identity which lacks communication among themselve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이동전화를 통한 어머니 노릇(mothering)의 재생산

        김명혜(Myoung-Hye Kim) 한국언론학회 2005 한국언론학보 Vol.49 No.4

        The contemporary family life goes through rapid changes these days. Among those changes, family members do not find enough time to stay at home to enjoy their domesticity. Teenager children spend more time outside home than inside due to heavy emphasis on their education. The invention of mobile phone enables remote mothering, providing the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mothers and their staying-out childre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mothers, the researcher found out that mobile phones were used to perform the instrumental mothering, i.e. tending daily necessities of children such as providing food and giving rides as well as expressive mothering which took care of emotional aspects of children. Although the mothers felt that mobile phones were helpful to carry out their motherly tasks, they also felt that they were isolated from their growing-up children when they used mobile phones exclusively with their peers. They confessed that they tended to attach too much to their children since they could reach their children at any time. The mothers' slower adaptation to the new mobile technology indicated that there might be some power subversion between the mothers and their children. To sum, the use of mobile phone reinforces and reproduces the existing mothering practice rather than alleviates the oppressive nature of mothering.

      • KCI우수등재

        주류 언론의 황우석 사태 보도에서 주변화된 여성주의 생명윤리

        김명혜(Myoung-Hye Kim) 한국언론학회 2006 한국언론학보 Vol.50 No.6

        This study aims to expose the negligence of feminist bioethics perspective in the mainstream media. The comparison of discursive practices of the mainstream media and the alternative feminist media shows that the feminist media claim the human-rights based feminist bioethics and criticize the nationalism which exploits woman's body while the mainstream media do not reflect feminist bioethics at all. The mainstream media tend to justify the ill-practiced bioethics by resorting to the legal measures rather than bioethics and to the culture-specific conditions than global ethics. The mainstream media acquiesce the Hwang Woosuk's apologia for not having followed the proper ethical procedure to lagging bioethics. Most of all, the mainstream media marginalize the voices of women who take a vulnerable stance in bioscience. Thus, it is necessary for feminist activists and media to intervene aggressively in the mainstream media to make women's voices heard.

      • KCI등재후보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에 대한 여성 수용자의 해독과 일상적 실천에 관한 연구

        김명혜 ( Myoung Hye Kim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6 언론과학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2005년의 화제의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이 20-30대의 여성 수용자들에게 어떻게 해독되는지 그리고 일상적인 경험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 수용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는데 이는 드라마 텍스트에 대한 해독뿐만 아니라 심층면접자의 일상적 경험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본 연구는 미디어 텍스트와 수용자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는 기존의 수용자연구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이를 둘러싸고 있는 일상적 문화로 연구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였다. 심층면접결과 여성 수용자들은 자신의 경험과 결부하여 드라마의 주인공에 대해 동일시, 비판적, 여성주의적, 분석적 위치에서 선별적인 해독을 하고 있었다. 한편 드라마 속에서 나타났던 계약연애, 성의식, 연하남/연상녀 커플, 그리고 결혼과 직업과 같은 이슈에 대한 여성수용자들의 해독과 일상적인 경험에서 우리 사회의 변화하는 젠더의식과 성의식을 엿볼 수 있었다. 우선 일회적이고 영원한 낭만적인 사랑에 대한 환상이 사라져가고 있으며 이는 계약연애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에서 알 수 있다. 한편 성의식도 매우 자유롭게 변화하고 있으면 이와 같은 변화는 혼전 성관계와 하룻밤 사랑 같은 이슈에 대해 미혼 여성들이 큰 거부감이 없다는 것에서 나타났다. 연하남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이 대다수였는데 이는 남녀관계의 젠더 역학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젠더 역학의 변화는 미혼 여성의 결혼과 직업관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에서도 알 수가 있는데 이들은 결혼보다도 직업적 성취를 우선적 과제로 놓고 있었다. 미혼 여성들은 경제적 자립을 평등한 남녀관계의 전제로 생각하고 있었다.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에 대한 수용자의 해독과 일상적 경험을 통해 우리 문화 속의 젠더의식과 성의식이 변화하고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newly emerging structure of feeling of our society by looking for audience readings of the television drama <My lovely Samsoon>and their everyday practice. Twenty-three single females were chosen for deep-focus interviews. The researcher intended not only to secure the audiences` readings of drama text but also to get some pictures of how they related textual reading to their everyday experience. The interviewees took various interpretive positions to the protagonist of the drama according to their lived experience. Those interpretive positions were classified as identifying, critical, feminist, and analytic. The interviewees` interpretations and experiences of the issues shown in the drama, such as contracted romance, premarital sex, relationship with younger male partner, and marriage and career reflected that there were some changes in gender dynamics and sexual mores in our society.

      • KCI등재

        장률 감독의 〈풍경〉과 이주노동자의 재현

        김명혜(Kim, Myoung Hy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0 다문화사회연구 Vol.13 No.1

        한국의 이주노동자들은 90만 명이 넘지만 한국 미디어에서 과소 재현되며 종종 인권의 피해자나 범죄자로 부당하게 재현되고 있다. 장률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풍경〉은 기존 미디어의 이주노동자 재현과 다른 방식으로 이주노동자들을 기록하고 있다. 장률감독은 14명의 이주노동자들에게 자신들이 꾼 꿈 이야기를 하게 하여 그들이 겪어 온 삶의 단면들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장률 감독은 그들을 생존회로를 돌고 있는 비참한 이주민이 아니라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목소리를 가진 인간으로 존립시킨다. 또한 이주노동자들을 노동의 주체로 존중하며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그들의 노동을 가시화한다. 장률 감독이 이주노동자들을 존중하려는 의도에도 불구하고 그의 카메라는 종종 이주노동자들이 경험하는 식민화된 디아스포라 공간을 포착하고 있다. 또한 한국이 이주노동자들에게는 실질적으로 경험할 수 없는 상상적 지리 공간임을 보여준다. 장률 감독은 감정 과잉을 배제하고 이주노동자들을 타자화하지 않는 윤리적인 거리를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장률 감독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움직이는 여러 사물들과 함께 이주노동자들이 한국의 새로운 “풍경”을 구성해가는 존재들임을 보여준다. Migrant workers are often underrepresented in spite of their population of over 900,000 in Korea. They are also misrepresented by the media. They are often stereotyped as victims of human rights violations or criminals. Unlike the mainstream media, Zhang Lu’s documentary film Scenery records the lives of migrant workers quite differently. In Scenery, Zhang respects 14 migrant workers’ integrity by allowing them to express their own dreams. Scenery highlights the migrant workers’ skilled labor which should be rightfully recognized. However, despite Zhang’s intention to honor the migrant workers’ dignity, his camera inevitably captures the colonized diasporic space that the migrant workers encounter in Korea. Scenery also reports that many parts of Korea exist as imaginary spaces for many migrant workers who do not have the means to go to or enter these spaces. The director finds an ethically sound distance to depict the migrant workers in Scenery which neither objectifies nor overemphasizes them. Zhang implies that the incessant movements of things and people make new sceneries, and therefore also expresses that the migrant workers are emerging elements who change the sceneries of Korea.

      • KCI등재

        한국 텔레비전의 글로벌 로컬리티 재현: <러브 인 아시아>와 <지구촌 네트워크 한국인>을 중심으로

        김명혜 ( Myoung Hye Kim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12 언론과학연구 Vol.12 No.2

        이 논문은 한국 텔레비전이 재현하는 글로벌 로컬리티의 문화정치학적 의미를 KBS 1 텔레비전에서 방영되었던 <러브 인 아시아>와 <지구촌 네트워크 한국인>을 통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러브 인 아시아>는 한국으로 유입된 이주인들의 출신지를, 그리고 <지구촌 네트워크 한국인>은 한국인이 활약하는 글로벌한 장소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각기 다른 이주의 궤적 속에 드러나는 글로벌 로컬리티를 보여준다. <러브 인 아시아>에서 글로벌 로컬리티를 재현하는 방식은 자민족주의적으로 한국을 준거틀로 삼고 다양한 로컬의 모습들을 낙후되거나 신기한 타자로 재현하는 것이었다. <지구촌 네트워크 한국인>에서는 한민족 성공신화 구축에 글로벌 로컬리티를 동원하고 있었다. <러브 인 아시아>는 결혼 이주자들이 수평적 또는 하향적으로 이주를 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대칭적 글로벌 로컬리티의 모습을 재현하는 반면 <지구촌 네트워크 한국인>에서는 글로벌 로컬리티를 위계적을 재현하고 있었다. 한편 <러브 인 아시아>에서는 쉼터와 놀이터를 중심으로 그리고 <지구촌 네트워크 한국인>에서는 일터를 중심으로 글로벌 로컬리티가 재현됨으로써 각각 이주여성가족의 일상성과 한국인의 근면함과 도전정신을 강조하고 있었다. 종합적으로 이 두 분석대상 프로그램에서 글로벌 로컬리티는 민족주의적 시선으로 재현되고 있었으며 글로벌 로컬리티에 대한 이해와 협력보다는 타자성재생산과 한민족신화 강화의 도구로 이용되고 있었다. This research aims to discover the cultural politics hidden in the representations of global locality in <Love in Asia> and <Korean Global Network>. These two programs show different trajectories of migration, one from foreign countries to Korea, the other from Korea to foreign countries. Despite their different vectors of migration, the two programs have a commonality of representing global locality. <Love in Asia> takes a rather nationalistic perspective, showing various global sites as deprived and/or exotic other. On the other hand, <Korean Global network> takes global locality as a means to build a myth of Korean success. <Love in Asia> shows the migration along the survival circuit while < Korean Global Network> represents hierarchically ordered global locality, placing the western locality on top and the third world locality on the bottom. Locals in <Love in Asia> are represented in their homes and typical tourist areas while Korean emigrants in <Koreans global network> are shown in their work places in order to emphasize their diligence and success derived from Korean genes. In the juxtaposition of the two programs, it becomes clear that global locality on Korean television is represented from a nationalistic perspective. These programs do not help the viewers to understand global locality but interpellate them as proud Kore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