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로벌 호텔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위한 오브제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 럭셔리 호텔 등급을 중심으로 -

        김면 ( Kim¸ M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글로벌 호텔 체인 기업들은 고객의 니즈와 가격대별로 브랜드를 세분화하고 충성 고객들을 만들기 위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강화하며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노력한다. 소비자들은 럭셔리 호텔로 갈수록 자신의 구매와 브랜드를 동일시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를 위해 호텔은 소비자들의 심상을 끌어낼 수 있는 디자인요소로 브랜드의 고급이미지를 차별화 하고 있다. 이에 호텔의 공간에서 감성적 요소를 끌어내려는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오브제 적 특성을 적용한 디자인이 자주 활용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적 호텔 기업들의 상위 등급인 럭셔리 호텔의 브랜드 포지션을 이해하고 타 호텔과 차별화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갖기 위하여 호텔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 표현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호텔디자인 계획에 실증적인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럭셔리 호텔의 포지션과 브랜디 아이덴티티에 대해 이해한 후 오브제 본연의 기능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어서 공간에 나타난 오브제 적 특성과 호텔산업의 특징을 반영하여 럭셔리 호텔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강조하기 위한 오브제 표현 특성을 정리하고 도출하였다. 연구사례는 MKG 컨설팅의 데이터베이스를 근거로 2020년 EBITDA 랭킹 상위 5개 호텔 기업 중에서 시장의 타깃 포지션이 다른 4곳의 럭셔리 호텔 브랜드를 선정하고 호텔 공간과 오브제 적 특성이 잘 결합한 사례를 중심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따른 오브제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오브제는 하나의 대상이 보는 이로 하여금 하나의 심상을 만들어 낸다. 본 연구에서는 벽, 천장, 바닥, 계단 등의 공간구성요소로서의 오브제를 다루기보다는, 브랜드의 이미지와 아이덴티티를 오브제를 통하여 잘 전달하는가에 대해 중점을 두었다. 호텔 공간의 오브제의 요소를 4가지로 나눈 후 그 세부 유형을 도출하였고, 호텔 공간에서 오브제 표현을 자주 활용하고 있음을 사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론) 호텔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오브제의 요소와 결합하여 바이라인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소비자들은 하나의 심상과 브랜드로서 더욱 깊이 인식한다. 오브제의 공간 표현은 보는 이로 하여금 새로운 해석을 하게 하고 인식으로 수용하여 하나의 이미지를 만든다. 호텔의 오브제 활용은 이런 점에서 효과적 디자인 방법이다. 향후에는 호텔의 세부 공간별 오브제의 표현이 호텔의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하여 연구를 이어 가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global hotel chain companies are segmenting brands according to customer needs and price ranges, strengthening their brand identities to create loyal customers, and trying to gain an edge in the market. As consumers move toward luxury hotels, they equate their purchases with their brands. To this end, hotels differentiate the luxury image of their brand with design elements that can draw out the image of consumers. Therefore, as an effective way to draw out emotional elements from the hotel space, design with objet characteristics is often u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brand position of luxury hotels―the top grades of international hotel companies―and to provide empirical help in hotel design planning by studying the objet expression characteristics in hotel design to have a brand identity differentiated from other hotels. (Method) After understanding the position of the luxury hotel and the brandy identity,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objet is considered. Then,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t in the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tel indust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 of the objet, to emphasize the identity of the luxury hotel brand, are organized and derived. Based on the database of MKG Consulting, the research case selected four luxury hotel brands with different market target positions among the top five hotel companies in the 2020 EBITDA ranking, focusing on the case where hotel space and objet characteristics were well combined, according to the analyzed objet characteristics. (Results) An objet makes a single image for the viewer to see. They are also used to bring out emotional elements to the space. In this study, rather than dealing with objets as spatial components, such as walls, ceilings, floors, and stairs, the focus was on whether the brand's image and identity are well conveyed through the objets. After dividing the elements of the objet in the hotel space into four, the detailed types were derived and the frequent use of objet expressions in the hotel space was analyzed through examples. (Conclusions) The brand identity of the hotel is combined with the elements of the objet to deliver the message of the byline, and consumers perceive it more deeply as a single image and brand. The spatial expression of the objet allows the viewer to make a new interpretation and accept it as a perception to create an image. The use of hotel objets is an effective design method in this respect. In the future, I intent to continue the study on the effect of the expression of objets for each detailed space of the hotel on the service satisfaction of the hotel.

      • KCI등재

        소매업 상업공간의 매개공간에 나타난 랜드스케이프적 특성 연구

        김면 ( Kim¸ M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코로나 19로 인하여 빠르게 증가한 언택트 소비는 최근 유통업계의 매출 동향에 변화를 가져왔다. 그에 따라 오프라인을 기반으로 한 상업공간은 소비자의 방문을 유도하여 매출을 증가시키기 위해 매장 내에 휴식과 체험 등의 요소를 강화하고 있다. 이런 움직임으로 인해 상업공간 내의 매개공간은 그 역할과 비중이 더 커지고 있다. 또한, 상업공간에서 긴 체류의 시간을 유도하기 위하여 매개공간의 랜드스케이프의 중요성도 함께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상업공간의 매개공간에서 나타나는 랜드스케이프적 특성을 파악하고, 매개공간과 도시 건축적 요소로서 랜드스케이프의 공통된 표현요소를 도출하여 종합소매업 상업공간의 매개공간의 방향과 계획을 하는 데에 실증적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연구의 대상은 도시에 있는 종합소매업 상업공간이며 매개공간에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표현특성이 잘 나타난 곳을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종합소매업 상업공간 내에 매개공간과 랜드스케이프 요소의 연관성을 도출하였다. 매개공간에 대한 고찰과 도식화를 통하여 종합소매업 상업시설 내의 매개공간의 영역을 구분하고, 구분된 영역별 매개공간의 특성과 어바니즘 랜드스케이프 이론을 고찰하여 연관 관계를 검토한 후 공통요소를 분류하여 사례를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 종합소매업 상업공간 내의 매개공간이라는 특성을 반영하여 상업시설의 기능과 함께 매개영역을 나누어 랜드스케이프의 사이의 공통요소로 분석한 결과 시인성, 접근성, 연속성, 연결성, 개방성, 전이성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이 공유속성을 매개공간의 진입영역, 연결영역, 코어 영역으로 구분한 세개의 영역과 랜드스케이프의 맥락에 의한 상호관계성, 공간의 연속성, 프로그램에 의한 불확정성, 자연 요소적 심미성으로 나눈 네 가지 요소 사이에 개념을 연결하고 공통요소를 적용하여 세부 분석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최근 지어진 종합소매업 상업공간의 공통된 경향은 주 기능인 판매공간의 면적을 줄이고 매개공간의 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코어 영역을 중심으로 개방성을 강조하는 공간구성을 기획한다는 것이다. (결론) 종합소매업 상업공간의 매개공간은 랜드스케이프적 구성 특성을 보이며 그 두 개념 사이에서 공통된 특성이 조화를 이룰 때 이용자 측면에서 흥미 요소가 강해지며 체류 시간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상업공간의 아이덴티티 정립과 브랜딩을 위하여 매개공간의 랜드스케이프적인 접근과 다양한 프로그램의 중요성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와 논의가 마케팅 및 브랜딩을 위한 상업공간구성 기획과 전략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Untact consumption, which has increased rapidly due to COVID-19, has recently changed the sales trend of a distribution industry. Offline-based commercial spaces are strengthening the elements of relaxation and experience in stores to increase sales by attracting customers to visit. Due to the trend, the importance of the landscape of the intermediate space is also emerging in order to induce a longer length of stay in the commercial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help in setting the direction and plan of the intermediate space of the commercial space in the general merchandise retail by understanding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the intermediate space of commercial space and deriving common expression elements between the intermediate space and the landscape as urban architectural elements. (Method) For th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mediate space and landscape elements in the commercial space in the general merchandise retail was derived. It was verified through cases by dividing the area of the intermediate space in commercial facilities in the general merchandise retail through consideration and schematization of the intermediate space, by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mediate space for each divided area and the landscape urbanism theory, and by sorting common elements after reviewing the link. (Result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mediate space within the commercial space of general merchandise retail with the functions of commercial facilities, visibility, accessibility, continuity, connectivity, openness, and transitionality were deriv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mediate space with common elements between it and landscape. The shared attributes were analyzed in detail by connecting concepts between the three areas (access, connection, and core areas) and four elements (interactive relations by context of landscape, spatial continuity, indeterminacy by program, and a natural element aesthetic) of the intermediate space and applying the common elements.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the common trend of the recently built commercial space of general merchandise retail is that it is planned with an emphasis on openness around the core area by reducing the area of sales space that has served as a main function to secure the quality of the intermediate space in spatial composition. (Conclusions) The intermediate space of the commercial space of general merchandise retail shows a characteristic of landscape composition, and when the commo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concepts are harmonized, it will be more entertaining from the user's perspective and the length of stay can be longer. For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and branding of commercial space, the importance of a landscape approach to and various programs for intermediate space is expected to grow.

      • KCI등재

        5.18, 민주주의 위기 그리고 유럽한인의 대응양상

        김면(Myun Kim)(金勉)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10

        본 논문은 신군부의 등장이후 헌정질서의 위기상황에서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펼친 교민들의 민주화운동과 단체의 활동상을 고찰하였다. 유럽지역 교민들은 미국과 일본과 비교하여 작은 규모이지만 민주화운동을 상대적으로 활발히 전개하였고 그 영향력을 크게 미쳤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5.18 민중항쟁의 좌절이후 한국의 민주주의 위기로 인하여 일반교민들은 사회의식에 눈을 떴으며 민주화운동에 참여하도록 하는 계기를 이루었다. 당시 교민들이 민주주의 위기에 대해 어떠한 활동방식을 전개했는지, 자발적인 민주화운동을 통해 국내의 억압된 정책에 어떻게 대응을 했는지 그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어진 장에서 교민단체가 국제사회에서 현지정당과 시민단체와 연계하여 한국의 민주화에 관한 여론형성을 현지에서 어떻게 이끌어내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끝으로 오늘날 교민사회운동이 약화된 상황에서 구심력의 역할을 맡아온 오월민중제의 의미성을 살피고자 했다.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democratic movement of Koreans in Europe after the 18th May Democratic Uprising. This work tries to describe the democracy movement of the Koreans abroad and the history of Korean groups in Europe. In particular, the ideas of the groups for the democracy of Korea are analyzed and the movements are explained in the framework of international circumstances. Following the announcement of the Gwangju massacre in 1980 many Koreans had taken part in the demonstration in Europe. In the crisis of democracy the Koreans abroad played a leading role against military dictatorship. The demonstration in Europe is evaluated by the three aspects for the evolving democracy in Korea. The first of the three is that the Uprising induced public participation; Second, the Koreans abroad had fought with different groups for democracy at the international level. Third, the Koreans abroad expanded the citizen movement to the unification movement. The 18th May Gwangju Uprising and succession of its sprit could be called as decisive operator to realize the democracy in Korea. Since May 1987, the memorial May Minjungje is continuously held once a year and is organized by the Preparatory Commission of various groups. The spirit of the Gwangju Uprising has resonated with Koreans in the global movement for democracy and human rights. In this paper Lee Jong-hyun, Kim Jin-hyang, Lee Jun-sik, Kim A-il, Kim Jung-suk, Jang Il-Jung, Yun Un-sub, Choi Young-Suk and Choi Hyun-duk are concretely examined and their activities are described. This study of the democracy movement of the Koreans in Europe has the meaning to lay the foundations in this area of research.

      • KCI등재

        국내 거주 조선족의 정체성변용과 생활민속의 타자성 연구

        김면(Kim, My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8 No.-

        본 연구는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내적 통합문제를 다루면서 국내 이주조선족의 사례를 통해 중국동포의 이질적인 생활실태를 조사하고 어떻게 새로운 통일문화로 극복해 나아가야할지 살펴보고자 했다. 저자는 국내 조선족을 고찰하면서 이들이 다른 환경에서 어떠한 새로운 문화양식을 형성하여 왔고 정체성의 변화를 겪어왔는지 구술을 통해 인식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국내 조선족이 현재 갖고 있는 민족정체성과 생활문화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고향’, ‘전통’, ‘혈연과 종족성’의 개념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국내 조선족은 민족구성원이면서 이중 언어구사자이듯이, 중국과 한국이라는 영역을 사이에 두고 이중적인 정체성을 발현하여왔다. 이들은 과거 한족과의 관계에서 국가정체성을 고민하였고, 한국에서는 변화된 사회로 인해 문화접변을 경험하고 종족정체성의 변용을 경험해야 했다. 분단과 전쟁 그리고 냉전의 격동기를 거치면서 분리되어 살아야 했던 조선족, 이들은 한반도를 떠나 만주에 적응하면서 고단한 디아스포라의 삶을 살아왔다. 다시 조국으로 돌아올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으나 방문한 조상의 고향은 낯선 땅이 되었고 낯선 이방인처럼 아픔을 느껴야 했다. 마지막 장에서 조선족 디아스포라에서 보인 상이한 생활문화의 격차에 대해 향후 연구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통일을 위한 시각에서 조선족과 한국인 관계에서 보인 문화적 이질성의 갈등과 정체성의 문제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복수적 장소에 귀속된 조선족의 문화적 차이와 그 실체를 인식하면서 이들의 문화창조력을 인정하고 상호이해의 폭을 넓혀가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통일의 과정으로서 과거 민속원형에 집중하기 보다는 현대환경에서 새로이 변용된 조선족의 복합문화적 성격과 그 실체를 인정하고 풍부한 민족문화의 자산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The paper examines the transformation of ethnic identity of Korean-Chinese in Korea and tries to discover the cultural otherness in the daily Life. The oral interviews with 15 Korean-Chinese were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daily lives of the Korean-Chinese(Chosonjok) were investigated as important socio-cultural contexts in which their ethnic identities are played out. Korea is the home country of their ancestors. They have tried to maintain their Korean identity as members of an ethnic minority group in China. They came to Korea to get opportunities for economic improvement. They expected to share cultural affiliation as a cognate nation. However, they are not integrated to Korean society. In Korean society, they had conflicts caused by differences in their culture. They were asked about their nationalities, and came to realize their status as foreign workers, though they regarded themselves as being the same as Koreans in their homeland. A majority of Korean Chinese don’t perceive themselves as treated equally. The discrimination, caused by cultural differences in language and customs, developed into an barrier between themselves and Koreans. Their identities were changed and transformed since they migrated into Korea. They verified their identity through loose solidarity with Koreans. The Korean-Chinese reproduce their ethnic identities in a variety of ways. They communicated with chinese communities as self-supporting communities to build social networks that enable them to adapt to the Korean way of life. ‘Chosonjok Little Town’ serves as a small Hometown in Seoul as a specific created by those from China. And their alternative identities can be expressed in translocal identities. They want to be treated rightly as Korean compatriot.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at the Korean-Chinese are immersed in their own culture. The current conflicts grows if specific Korean-Chinese experiences are not considered and the specific ways of understanding and life-achievements are not recognize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multicultural knowledge to understand the complexities of their life in Korea.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독일의 문화정책과 국가브랜드 전략

        김면(Kim, Myu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6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8

        독일은 분권화된 시스템을 토대로 16개 주(州)정부가 주(州)헌법에 따라 문화예술정책을 운용한다. 지방정부는 독자적으로 문화시설들을 운영하며 시민들에 문화활동을 직․간접적으로 진흥하는 역할을 맡는 반면 연방정부는 대외문화정책 및 입법업무를 관장하고 ‘보충성’의 원칙에 따라 조화로운 정책운용을 지향한다. 세계대전과 현대정치사의 격변기를 거치며 독일의 문화정책은 큰 변화를 겪게 된다. 특히 21세기 문화예술정책을 둘러싸고 새롭게 변화하는 환경속에서 점차 연방정부의 역할이 강조되고 새로운 발전전략이 모색되고 있다. 본문에서 20세기 문화정책의 변천과정을 시기별로 정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나치집권기’, ‘전후 재건기’, ‘70년대 변혁기’, ‘80년대 경제지향기’, ‘구동독의 정책’과 ‘통일이후 시기’로 나누어, 문화정책의 흐름과 통시적 성격을 핵심슬로건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21세기 독일사회를 둘러싼 환경여건에 따라 독일이 취한 문화정책의 방향이 무엇이며, 그에 따른 내용과 구성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패러다임으로 전환되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2000년대 이후 독일 문화예술정책의 변화는 문화산업의 진흥을 도모하고 있다는 점이다. 메르켈 집권 이후 본격적으로 독일은 문화예술을 경제적 관점에서 국가의 성장 동력으로 인식하고 문화창조산업을 이끌고 있다. 그 과정에서 독일은 21세기에 들어와 금기시되어왔던 국가브랜드를 쓰기 시작했다. 불편한 과거사의 상처를 넘어 글로벌 문화정책을 채택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시켜 나아가고 있으며 그 중심에 국가브랜드전략이 중시되고 있음을 고찰할 수 있다. 더불어 독일은 현재 미래의 발전전략으로 문화창조경제를 활용한 국가발전을 이끌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우리의 상황에 독일의 문화예술정책을 당장 적용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일을 앞서 이루고 유럽연합의 협력관계를 실천하고 있는 독일의 경험사례와 문화전략을 고찰하는 것은 우리에게 보다 더 효율적인 문화예술정책을 구상하고 발전전략을 준비해야 하는 데 있어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고 하겠다. Germany was made up of many independent feudal states and city republics that each pursued their own cultural policies and established a host of cultural institutions. Cultural policy in Germany is based on a federal model. It is governed by the principles of decentralisation, subsidiary and plurality. After World War Ⅱ, the Germany has gone through stages, which can be identified by distinct changes in the political environment and golbal impact. Cultural policy evolved diversely and developed along different lines. A hisorical analysis of Germany is used to examine how the nation has dealt with its identity in the past. This is contrasted with the manner in which nation branding has sided the redevelopment of German identity since its 1990 reunification both internally among its citizens, as well as externally from foreign perspectives. The unification of Germany in 1990 produced new cultural tasks, both with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and in its relations with European neighbours, giving greater competence for cultural affairs to the Federal Government. The paper wants to show that nation Branding management has always mattered in German foreign policy, and it wants to find out how this foreign image policy functions and how it has evolved over time. Germany has a long tradition of managing its international image, mostly through its foreign cultural policy. Traditionally, German foreign image politics used to be rather low-key and fairly unspectacular. It was a quiet and patient approach to managing the country’s international image. Rather than seeing foreign cultural policy as an instrument to be used like any other, it was perceived as a long-term contribution to peaceful international relations. However, in the mid 1990s, a louder and less patient approach began to take hold. Germany was openly promoted as an attractive Standort for foreign investment and results were expected to show quickly. To achieve this goal, national Branding campaign came to be applied. As Germany is a nation that has struggled with its identity in the past, this paper seeks to study the methods of nation branding that Germany has implemented in the recent past, and how these practices have helped the nation develop the strong identity it has today.

      • KCI등재

        오르세이 미술관 인상파 갤러리의 관람객 중심의 전시환경 개선을 위한 리노베이션

        김면 ( Myun Kim ),이주형 ( Joohyung Y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오르세이 미술관은 1900년 파리 만국 박람회를 위해 지어진 기차역과 호텔이었다. 높이 32미터, 폭 40미터, 길이 138미터의 작은 플랫폼은 새로운 열차 규격에 부합하지 못하고, 1939년 기차역으로서의 기능을 중단한다. 이후 프랑스 정부는 1973년 미술관으로 용도변경 계획을 수립한다. 이후 13년에 걸친 두 차례의 리노베이션을 통해 프랑수와 미테랑 (Francois Mitterrand) 대통령 재임기간인 1986년에 미술관으로 개관한다. 이후 매년 3백만 명이 넘는 관람객이 찾는 세계 주요 미술관 중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으나, 환경 개선의 필요성을 느낀 미술관 측은 2009-2011년 인상파 갤러리를 중심으로 3차 리노베이션 계획을 수립한다. 이번 설계의 주요 목적은 첫째 인상파 회화 및 조각 작품의 전시효과 증대, 둘째 전시 면적의 확장, 셋째 관람 공간 확보 및 자연스러운 동선 유도 등 기능적 측면의 개선이다. (연구방법) 관람객이 관람공간을 처음 경험할 때, 직관적으로 공간을 인지하고 수용하게 되는데 이것을 행동과학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시관 개선을 위한 분석의 가이드를 설정 시, 행동과학에 기초한 시지각적 측면을 중심으로 진행하였으며, 그 세 가지 요소로는 볼륨, 조도 그리고 색채와 마감재이다. 디자인 진행방법은 첫째, 현황분석 단계로서 전시환경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둘째, 도출된 문제들을 통해 디자인의 방향성을 설정한다. 셋째, 디자인의 구체화 단계로서 공간의 볼륨과 조도, 색채 및 재료에 대한 세부적인 개선내용과 재구축과정을 제시하였다. (결과) 오르세이 미술관 인상파 갤러리의 관람환경 개선을 위한 리노베이션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였다. 첫째, 볼륨과 공간 구성의 개선이다. 주 동선으로 활용되는 갤러리 중앙부는 자연광이 유입될 수 있도록 높은 층고를 유지하되 좌, 우측 볼륨은 두 개의 층으로 구성하여 상층은 조명 및 각종 설비시설을 매입하여 유지, 보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하층은 작품 감상에 집중할 수 있는 간결한 구조로 변경하였다. 둘째, 조도 연구를 통한 조명효과의 개선이다. 하절기와 동절기 또는 일출과 일몰에 따라 변화하는 조도를 균일하게 유지하고 인상파 회화를 감상하기 위한 최적의 조도 환경으로 개선하기 위해 차양 막 및 인공조명과 연계된 광량 조절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셋째, 색채와 재료의 개선이다. 기능에 따른 공간의 분할을 보다 명료하게 시지각화하기 위하여 볼륨과 함께 색을 통해 형태를 분할하였다. 시각적 경계감을 더욱 강화하여 중앙은 밝은 자연광을 따라 이동하는 동선과 어두운 측면은 작품관람의 동선으로 구분하였다. 흡음 효과가 우수한 마감재 선정을 통해 소음을 최소화하였으며, 인상파 작품의 미묘한 색채 변화를 감상할 수 있도록 최적의 마감 색채를 선정하였다. (결론) 오르세이 미술관 인상파 갤러리 리노베이션의 방향성은 과거와 현재의 공존이다. 1900년 빅토르 랄루(Victor Laloux)의 근대 건축이 지닌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고 1980년 자연광을 통해 인상파 갤러리를 조성하고자 했던 이태리 건축가 가에 올렌티(Gae Aulenti)의 디자인 개념을 존중하며, 동시에 과학기술과 현대적 디자인의 접목을 통해 오르세이 미술관만의 가치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디자인 사례와 같이 역사적 건축물의 용도를 변경하거나 옛 건축의 기능적 한계에 따른 환경개선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대두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Orsay Museum was a train station built for the Universal Exposition in Paris in 1900. French government had developed a plan to re-purpose as a art gallery in 1973. Orsay museum opened in 1986. More than 3 million people visit each year and it established itself as one of the world``s major art museums. But in 2009-2011, the need for tertiary renovation was rais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around the Impressionist gallery. The main purpose is as follows. First, increase the exhibition effect for Impressionist paintings and sculpture. Second, expand the exhibition area and third, ensure natural circulation, including an improvement of the functional aspects. (Method) When visitors experience a certain space at first time, they recognize and accept space rule intuitively. This is called behavioral science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analysis of guides to improve the visual aspect based on these three elements : the volume,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and the color and finishing. Design process is as follow. First, it analyze the problem of the exhibition environment. Second, it sets the spatial orientation of the design through the derived issue. Third, as embodied in the design it present a detailed improvements and rebuilding process for the volume and intensity of illuminance, color and material in space. (Results) First, the improvement of internal volume and the configuration space. Central part of gallery which is used as a main circulation, maintain the original height to be penetrated natural light in the inner space, on the other hand left and right volume is composed of two layers. The upper layer is to be embedded the lighting, and various facilities to manage efficiently the maintenance, and the lower layer was changed to the simple structure to make visitor to concentrate on paintings. Second, The illuminance control system associated with canopy and the artificial lighting was built in order to maintain equally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varying according to sunrise and sunset or summer and winter and to improve the illumination environment for enjoying the impressionist painting. Third, an improvement of materials and colors. To divide the space according to the function, not only the volume but also the color make the space visualize more clearly. To further enhance the visual effect, the center was used by natural light for the circulation and the dark side space was used as an exhibition zone. (Conclusions) Co-Existence between past and present. Historical value of modern architecture, which is designed by Victor Laloux in 1900, must be preserved and design concept of Gae Aulenti who wanted to create an Impressionist gallery with natural light in 1980 also must be respected. At the same time, through a combination of current technology and design, the value of the Orsay museum was intended to increase. The need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to re-purpose of historical buildings or to overcome the functional limitations of the old architecture will continue to rise as in the present case.

      • KCI등재

        독일민족의 문화전승 -슈바벤알레만지역의 가면민속연구-

        김면 ( Kim Myun )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02 EU연구 Vol.- No.11

        Diese Abhandlung untersucht deutsche traditionelle Masken und Maskenrituale. Die volkskundliche Arbeit versucht den Glauben und das Bewußtsein der Deutschen zu erklären. indem sie die vielfältigen synkretischen Elemente der Tradition in den Vordergrund stellt. Die schwäbisch-alemannischen Maskenspiel sind ein Volksritual. in dem die Lebenskultur der Natur. die den Winter besiegt und die Fruchtbarkeit der Erde nachgeahmt werden. Unter den charakteristischen Masken findet man das symbolische Spiel zwischen dem Surhebel und dem Wüescht: der eine verkörpert den Sommer und der andere stellt den Dämon des Winters dar. Feste und Maskenspiele des Neujahrs stehen in Zusammenhang mit Wünschen um Glück und Segen ftir die kommende Zeit. Indern das Maskenspiel Volkskünste wie Volkstanz und Volksmusik in der regionalen Vielfalt präsentiert. nimmt es durch seinen belebenden Charakter eine wichtige Rolle im Zusammenleben der Gemeinschaft ein und unterbricht den gewohnten Alltagsrhythmus. Es lässt sich feststellen. dass man mit dem Maskenspiel das Gemeinschaftsbewusstsein und das Zugehörigkeitsgeftihl in dem Gebiet vergrößern und die Liebe zur Heimat fördern kann. Das Festspiel zeigt große Ähnlichkeit mit dem koreanischen Maskenspiel auf. Wenn die jeweilige Volkskultur von der Identität und dem Charakter her betrachtet und verglichen wird. kann man die regionalspezifische Eigenschaft in Verbindung mit der allumfassenden Lebensart der Menschheit erfassen.

      • KCI등재

        조형적 관점으로서의 연세대 경영관 기부자 벽 디자인 개발

        김면 ( Myun Kim ),이주형 ( Joohyung Y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기업이나 개인의 기부활동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비영리조직의 발전을 위한 기부 행위가 새로운 사회문화로 자리를 잡아 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영리가 아닌 공익 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조직은 원활한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안정적인 재정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므로 재정지원자, 즉 기부자를 대 상으로 후원금에 대한 만족감과 보람을 제공하여 더 많은 후원자가 후원을 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전략적 마케팅 개념이 필요할것이다. 이에 반해, 비영리조직들의 효과적인 마케팅 활동은 매우 저조하며, 기부자의 기부 동기를 자극할 수 있는 기부자 벽 (Donor Wall)에 대한 디자인 개발이 매우 미비하다. 국내에서는 대부분 건물한곳에 이름을 부조로 제작 후 부착하는 단순한 형태가 대부분이다. 이는 공간의 미적 기능을 효과적으로 살리지 못할 뿐 아니라 주목성이 떨어짐으로써 전시효과가 반감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의 정체성에 부합하는 조형작품으로서 구성원의 주목을 끌고 기부의 의미를 되새기며 늘 함께할 수 있는 기부자 벽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연세대 경영대학 창립 100주년을 맞아 건립한 신축경영관은 지하 3층, 지상 6층, 연면적 약 6,090평의 규모로 2015년 9월 21일 준공되었다. 이곳에 기부자벽이 설치될 중앙 아트리움은 경영관 건축의 특징을 가장 잘 반영한 공간으로서 경영관의 1층 중심부에 위치하여 천정고가 약 9m를 이루는 웅장한 공간이다. 행사나 이벤트를 개최할 수 있으며 경영대학내 다양한 커뮤니티의 소통과 학생들의 창의성을 자극할 수 있는 곳이다. 기부자 벽 디자인 개발을 위한 과정은 다음 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이론적 고찰 및 사례분석을 통해 기부자 벽에 관한 이해를 폭넓게 하였다. 둘째, 건축 및 실내 환경 분석과 현재 기부인원과 추가로 예상되는 기부인원의 수를 파악하여 디자인 전 사전조사를 시행하였다. 셋째, 학교 측이 바라는 기부자 벽의 의의 및 사회적 균형을 이루는 기부의 순기능을 추상하여 디자인 콘셉트를 도출하였다. 넷째, 디자인 프로세스 단계로서 기부금액별 위치선정 및 크기 분할을 시작으로 구조 및 재료의 선택 과 세부 디테일 디자인을 발전시켰다. (결과) 기부자 벽을 통해 경영대 신관을 건립하는데 도움을 준 492명의 기부자와 더불어 추가 기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인원수를 고려하여 총 1,090명의 기부자를 위한 공간을 배치하고자 하였다. 사회적 연대의 상징이며, 미래의 비전을 제시하고자 하는 기부자 벽의 목적에 부합하고자 정신적 가치를 형상화하였으며, 그 가치를 알리고자 신축경영관 주요 공간인 아트리움에 상징적 조형물로써 설치하였다. 기부의 가치는 나눔과 공유를 통한 사회 구성원 간의 삶의 균형에 있다. 이는 마치 비례와 균형을 중시했던 신조형주 의 미술운동 데 스틸(De Stijl)의 정신과도 일맥상통한다. 무채색 철제 프레임을 수평과 수직으로 분할하여 데 스틸의 미학적 가치가 담긴 조형물로 구현하였으며, 나눔과 공유를 통해 사회의 조화와 균형을 이루고자 하는 기부의 가치를 형상화하였다. (결론) 기부자 벽을 통해 단순히 기부자 명단을 외부에 노출하는 기능을 넘어 기부의 정신을 형상화 하고, 그 가치를 알리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세기 근대 미술사조인 데 스틸 운동의 정신을 고찰하고 조형물에 투영하고자 하였다. 형태적 아름다움을 넘어 그 속에 담긴 정신적 가치 표현하는 것이 디자인 조형물의 진정한 가치로 보고, 사회적 조형물을 제안 시, 본 사례가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 culture of don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are gradually going to hold the position. Generally, a non-profit organization that exists for the primary purpose of performing a public non-profit activities has been highlighted as an important challenge than what is done to secure stable financing for the smooth activity. Therefore, fiscal applicants, that is aimed at providing a satisfying and rewarding donors for contributions by sponsors will require more strategic marketing concepts to manage to be sponsored. In contrast, effective marketing activities of non-profit organizations are very low, and it is this very lack of development on the donor wall design that can stimulate the motivation of the donor contributions. They make a simple form attached to make a name badge on the wall of the building. This exhibition method doesn``t effectively make donor wall revive as the aesthetic features of space. In this study, we propose a donor wall as a plastic work to meet the identity of the space and to attract the attention of visitors to celebrate the meaning of donation. (Method) Yonsei School of Business completed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in commemoration of the 100th anniversary on September 21, 2015, the third floor to the basement, 6 ground floor, a total floor area of about 20,097 m2 in size. Donor wall will be installed at a central atrium where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buildings is well reflected and tha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floor. This atrium is a large space that make up the height of about 9m. Various events can be held and various group communities can be stimulated for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of Business School students. Process for the donor wall design development i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a wide range of donor wall, it was conducted theoretical research and case analysis. After architecture and interior architectural environment analysis, a feasibility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urrent number of donor and expected donors in the future. Third, the design concept was derived. from the intent of the school and the essential definition of donation. Fourth, as embodied in the design, start with the selection of the location and size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contribution, then the structure and material choice for developing detail design. (Results) The school provided space for over 1,090 people in view of 492 people who helped to build the School of Business and also the additional future donator who will contribute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The donor wall is a symbol of solidarity and to present a vision for the future. To accord with these purpose, spiritual value of donation was reflected to their shape and the donor wall is disposed at an main space of atrium in Business school. The value of the donation is balance in life between members of society through sharing. The definition of donation correspond with the spirit of De Stijl which is the art movement to emphasize the proportion and balance. This sculpture are filled with aesthetic values embodied in the colorless metal frame with horizontality and verticality and was shaped through the sharing and valuable contribution to achieve harmony and balance in society. (Conclusions) Donor wall is not to simply expose a list of donors on the outside but to symbolize the spirit of contribution and to be sought to inform its worth. Through study of the spirit of De Stijl, the sculpture project onto his moral value. Beyond the morphological beauty of sculpture, the true value of design sculptures is to represent its spiritual values contained therein. I look forward that this case is used as a reference when sculpture suggest into the society.

      • KCI등재

        글로벌 허브공항의 스테이테인먼트 공간콘텐츠 특성 연구

        김면 ( Kim M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글로벌 허브공항들은 항공기의 편리한 이착륙과 안전하고 빠른 수속 등의 기능을 넘어선 공항 이상의 고유한 브랜드 이미지를 찾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공항은 여행의 일부로서 거쳐 가는 장소가 아닌 시간을 즐기는 놀이와 휴식의 장소로 바뀌어 가고 있으며, 테마파크와 리조트 기능을 반영한 복합 엔터테인먼트 문화공간으로 진화해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항 이용객의 만족도와 재 방문 의사에 영향을 주는 가치 경험 차원의 스테이테인먼트 공간콘텐츠의 개념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특성 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진행하였으며, 글로벌 허브공항 및 지방공항의 경쟁력 강화에 실증적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엔터테인먼트먼트의 범위와 개념의 이해를 통해 스테이테인먼트의 개념 정립을 하였다. 다음으로 공간으로의 확대를 위해 공간콘텐츠의 정의 및 이론적 쳬계의 조사를 진행하여 그 유형과 역할을 정리하였다. 둘째, 고찰을 통하여 공항의 스테이테인먼트의 개념으로 확장하고 시설중심형(Hardware)과 콘텐츠 중심형(Software)으로 분류하여 스테이테인먼트 공간콘텐츠의 요소와 특성을 도출하였다. 셋째, 스테이테인먼트 공간콘텐츠를 시설중심형 스테이테인먼트 와 콘텐츠 중심형 스테이테인먼트로 나누고 각각의 유형에 디자인 전략적 공간콘텐츠와 프로그램 전략적 공간콘텐츠로 구분하였다. 상징성, 정체성, 복합성, 체험성, 연계성의 5요소에 15가지의 세부 평가요소를 적용하여 분석툴을 제시하였다. 넷째, 조사대상지 글로벌 허브공항을 선정하여 사례분석을 하였다. (결과) 상위 5개 공항을 종합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즐거운 경험의 요소가 반영된 스테이테인먼트의 요소가 공간콘텐츠와 함께 고루 적용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국제공항은 예술성과 심미성이 있는 랜드마크요소와 정체성 있는 디자인을 통한 복합적 서비스 공간의 조화로 이루어지는 시설중심의 스테이테인먼트와 고객 참여를 유도하는 체험과 오락성 기반의 프로그램을 반영한 콘텐츠 중심형 스테이테인먼트의 요소가 요구된다 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공항의 하드웨어적 성격과 소프트웨어적 유형에 따라 시설중심형 스테이테인먼트요소와 결합된 디자인전략 공간콘텐츠, 콘텐츠 중심형 스테이테인먼트와 결합된 프로그램 전략적 공간콘텐츠의 큰 두 범주로 구분한 후 그 특성을 도출하고 세부 항목 및 평가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공항의 브랜딩을 위한 스테이테인먼트 공간콘텐츠 구성요소로서 지속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 공항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형성을 위한 연구의 기본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global hub airports are striving to find a unique brand image that goes beyond the functions of convenient take-off and landing of aircraft and safe and fast procedures. The airport is not a place to go through as part of a trip, but is becoming a place of play and relaxation to enjoy time, and it is evolving into a complex entertainment and cultural space that reflects the functions of theme parks and resor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the value-experienced staytainment spatial contents that affects the satisfaction of airport users and the intention to visit again was focused on researching the concept and deriving characteristics. We want to give empirical help in strengthening. (Method) First, the concept of staytainment was established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scope and concept of entertainment. Next, to expand into space, the definition of spatial contents and the investigation of the theoretical system were conducted, and the types and roles were summarized. Second, through consideration, it was expanded to the concept of airport status and classified into facility-oriented (Hardware) and content-oriented (Software) to deriv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aying spatial contents. Third, the staytainment spatial contents were divided into facility-oriented staytainment and content-oriented staytainment, and classified into design strategic spatial contents and program strategic spatial contents for each type. An analysis tool was presented by applying 15 detailed evaluation elements to the five elements of symbolism, identity, complexity, experience, and connection. Fourth,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a global hub airport for the survey. (Results) As a result of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top five airports, it was evaluated that the elements of staytainment, which reflected elements of a pleasant experience, were applied evenly along with spatial contents. Based on these results, a global international airport is a content-centered message that reflects a facility-oriented statement that is a harmony of a complex service space through an artistic and aesthetic landmark element and an identity design, and a program based on experience and entertainment that induces customer particip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element of type staytainment is required. (Conclusions)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major categories: design strategy spatial content combined with facility-oriented staytainment elements and program strategic spatial content combined with content-oriented staytainment, depending on the hardware characteristics and software type of the airport. After deriving, detailed items and evaluation elements were derive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guideline as a study to establish a brand identity of an airport and present a continuous direction as a component of the message spatial content for the branding of the airport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