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레히트의 새로운 해석 시론(試論) : 브레히트 언어관

        김두규 대한언어학회 1998 언어학 Vol.6 No.2

        Kim, Du-Gyu. 1998. B. Brecht's View of Language. Linguistics, 6-2, 371-385. The current interpretation of Brecht's drama 『Mr. Puntila and His Slave Matti』 was often based on the tradition of Marxism, which has led to a unilateral interpretation Brecht was a Marxist. Therefore his works,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drama, must be interpret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struggle of the classes. If we are to fully understand the true meaning of his works, we must place focus on Brecht's method of language use, which has been nearly ignored. This paper purposes to trace out the delicate phrase and method of language use employed in the drama 『Mr. Puntila and His Slave Mattia』 which is frequently noticed in the use of satire, parody, and comic expression. (Woosuk University)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공감력의 매개효과

        김두규,강문숙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7 교육혁신연구 Vol.2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ed effects of empathy in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f maternal parenting and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 Elementary school 307 students completed the maternal parenting scale, the empathy scale, and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scale. The collected-data were analyzed by in order to identify how maternal parenting, and empathy were related with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in the computation.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and empathy on adaptation to school lif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empathy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process that maternal parenting is influencing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lif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empathy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empathy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Second,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maternal parenting and empathy as a predictor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as an outcome variable it has been shown that the empathy were significant in adaptation to school life, however maternal parenting were not significant in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higher the emotional power, the better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Conclusion: For the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in the relationship the data demonstrate that of maternal parenting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showed that empathy full mediates the relationship of maternal parenting with adaptation to school life.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 공감능력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가 초등학생의 공감력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부산광역시 2개 초등학교 5,6학년 남(151명, 49.2%), 여(156명, 50.8%) 307명을 대상으로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공감력과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공감력을 예언변인으로 하고 학교생활적응을 준거변인으로 한 중다회귀분석에서 공감력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학교생활적응을 유의하게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공감력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 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감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공감력은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공감력이라는 개인적 요인과 가족환경 요인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의 통합적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u-PBL 교수활동 수행지원시스템 모형개발

        김두규,박수홍 대한사고개발학회 2014 사고개발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u-PBL support system(u-PSS) model based upon field experience learning. To accomplish this the study, analyzed the core values, design strategy, optimal instructional activity process, and it's supporting components. These components were integrated into the desired model, which was selected after needs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of theories and cases regarding the PBL, e-PBL, blended-PBL, Field experience learning based on ubiquitous environment, and learning model based on ubiquitous technology. Secondly, the study synthesized the relevant components from the previous research activities and generated the first version of the model prototype. This study identified the four core values as; systemic support for instructional activity, systematic support for instructional activity, just in time support for instructional activity and support for interaction facilitation. As core instructional activity process, seven sub-processes encompassing; preparing u-PSS, selecting problems and facilitating problem finding, facilitating planning of problem solving, facilitate problem solving based on field experience, facilitating solution finding, facilitating the presentation of results, reflection and evaluating in whole process. Also, as supporting components the study utilized three basic kinds; tools, just in time guideline and instructional resources. Additionally, to assure the validity of the model prototype, this study utilized focus group interview. The focus groups were comprised of three kinds of expert, which included two PBL experts, two experts who used PBL, and others had expertise in instructional design. The formative evaluation provided both the strong points and the problematic points of the model. As a strong point, most of the experts in the FGI agreed the model is valid in terms of core values, core seven instructional activity processes, supporting mechanisms would be useful in a practical sense because the current PBL approach doesn't have a specific instructional support system. There were few problematic points. However a few concerns were raised about the correct language terminology and the need for a more detailed guideline for each sub-activity process. Overall this study implies that the model in the research would have validity in terms of it's purpose, processing, structure, and practical usability. In order to validate the appropriateness and usefulness of this model, a quantatative expert evaluation based upon survey was used. The expert evaluation confirmed the face validity of the model by showing affirmative responses. As further research areas, it might be useful to develop u-PBL instructional support system based upon the model designed from this study. Also, research concerning the verification of the model based upon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case might be necessary. 본 연구는 u-PBL 교수활동 수행지원시스템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문헌연구, 사례연구 및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요구분석으로 핵심교수활동 프로세스와 핵심지원요소 등을 도출하여 초안을 구안하였다. 둘째, 모형의 초안을 전문가 형성평가를 실시하여 수정‧보완한 후 모형을 완성하였다. 셋째, 개발된 u-PBL 교수활동 수행지원시스템 최종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검사도구를 활용한 타당화 검사를 실시하였다. 타당화 검사결과 u-PBL 교수활동 수행지원시스템 모형이 설명력, 유용성, 타당성, 이해도, 보편성이 있는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 F. C. Weiskopfs <Heimkehr> : Intention des Textes(Autors) und Intention der Sprache 프란츠 바이스코프의 작품『귀향』

        김두규 又石大學校 語學硏究所 1997 語文學硏究 Vol.2 No.-

        언어는 세계를 반영하며, 시대 의식(Zeitbewuβtsein)을 반영한다. 따라서 언어라는 구슬로 엮어진 작품은 시대 의식을 반영한다. 작가는 동시대 의식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작가는 자신의 인생관, 세계관 혹은 정치관에서 입각하여 특정한 자신의 의도(Intention des Textes oder Autors)를 작품 속에 구현시키려 한다. 자신의 의도가 관철된 작품을 작가는 독자에게 내 놓으면서 독자들에게 자신의 의도가 이해되기를 바란다. 독자가 작품을 읽고 작가의 의도를 정확히 이해하였을 때 작가는 작가로서 성공한 셈이다. 그러나 작가의 의도와는 달리 언어(단어들)로 이루어진 작품은 전혀 다른 의도를 독자에게 전달해 줄 수도 있다. 비록 작가가 작품에서 자신의 의도를 드러내려 하지만, 작품에 사용된 언어는 작가의 의도와 다른 의도를 독자들에게 전달해 줄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독자가 작품을 잘못 읽어서가 아니라 작품 자체의 내적 논리에서 기인한다. 그것은 작가가 이해한 단어의 본래적 의미와 달리 동시대를 반영하면서 항상 변화되어 가는 과정 속에 있는 단어의 의미가 다를 수 있음에서 기인한다. 시대 의식에 빛이 바랜 언어(단어들)는 작품 전체를 통해 작가의 의도와는 전혀 다르게 시대가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지만을 제시하기도 한다. 이것을 언어의 의도(Intention der Sprache)라 부르자. 물론 대부분의 독자는 작가의 의도를 이해하려고 진지하게 노력한다. 또는 그러한 전제하에서 작품 읽기를 시도한다. 그러나 그것은 일반 독자들의 몫이지 문학을 학적으로 다루는 전공자의 할 일은 아니다. 이것이 일반 독자와 문학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이나 학자, 평론가의 차이 점 가운데 하나이다. 작가의 의도와 언어의 의도가 일치하였을 때 우리는 작품이 문학적으로 성공하였다고 말 할 수 있다. 작가의 의도와 언어의 의도가 전혀 다를 때 그 작품은 문학적으로 실패한 것으로 평가한다. 텍스트(작가)의 의도와 작가의 의도를 구분하는 방법은 보편화된 작품해석 방법은 아니다. 필자 역시 학적 태만으로 인해 수 년 전 『창작과 비평』지에 구(舊)동독의 여류 작가 크리스타 볼프의 『분단된 하늘(Der geteilte Himmel』을 중심으로 하여 작가의 의도와 언어의 의도를 구분하는 시도를 해본 이래 논문의 형태로서 발표하기는 이번이 두번째이다. 이 논문에서는 1939년에 바이스코프가 발표한 『귀향(Heimkehr)』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작가의 의도와 언어의 의도를 구분함으로써 작가의 의도는 무엇이며, 작품에 사용된 언어가 지향한 의도는 무엇이었는가를 밝혀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