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양방향 시차 몰핑을 이용한 중간 시점 영상 보간

        김대현,윤용인,최종수,김제우,최병호,Kim, Dae-Hyeon,Yun, Yong-In,Choe, Jong-Su,Kim, Je-U,Choe, Byeong-Ho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39 No.2

        본 논문은 한 쌍의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BDM(Bidirectional Disparity Morphing)을 이용하여 중간시점 영상을 보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영상은 하나 이상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계층은 유사한 시차값을 갖기 때문에, 블록 단위의 시차 맵을 이용하는 것은 유용하다. 또한 블록 단위의 시차 맵은 시차계산을 위한 영상의 해상도를 줄여 계산량을 크게 감소시킨다. 그러나 서로 다른 계층이 겹쳐진 영역에서는 시차가 급격히 변화하여 정합 오차가 증가하고, 가려짐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정합 결과에 따라 블록의 크기를 변화시켜 보다 정밀하게 대응 블록을 검색하여 잘못된 시차 계산을 막고, 아울러 가려진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가려진 영역의 시차는 가려짐 패턴을 이용하여 올바른 시차를 지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보다 정확한 중간 시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describe a novel method to generate an intermediate scene using BDM (Bidirectional Disparity Morphing) from the parallel stereopair. Because an image is composed of several layers and each layer has a similar disparity, it is available to use the block based disparity estim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false correspondence, however, we closely investigate the corresponding block as we adaptively vary the block size according to the estimation error. Therefore, we can detect the occlusion because of larger estimation error of the occluded region. We define three occluding patterns, which ate derived from the peculiar property of the disparity map, in order to smooth the computed disparity map. The filtered disparity map using these patterns presents that the false disparities ate well corrected and the boundary between foreground and background becomes sharper. As a result, we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intermediate scenes.

      • 유사 특징점을 이용한 모자이킹 영상의 구성

        김대현,최종수,Kim, Dae-Hyeon,Choe, Jong-Su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38 No.4

        본 논문은 영상 시퀸스로부터 이미지 모자이킹의 구성을 위한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기술한다. 영상의 기하학적인 특징을 이용하거나 비선형 방정식을 풀었던 기존의 알고리즘과는 달리, 제안한 알고리즘은 4개의 유사특징점을 이용해 영상간 사영 변환식의 8개 파라미터를 직접 계산한다. 본 논문에서 정의된 유사특징점은 영상의 그레이레벨의 분산을 기반으로 하고, 두 영상의 중첩 영역에서만 결정된다. 또한 선택된 4개의 유사특징점에 대한 대응점 검출을 위해 카메라 이동 및 조명 변화에 의한 영상의 변화를 고려한 블록 정합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다양한 영상에 적용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모의 실험 결과는 제안된 알고리즘이 기존의 알고리즘에 비해 계산량을 감소시키면서, 정확한 사영 변환식을 유도하여 모자이킹 영상을 구성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approach to build an image mosaics from image sequences. Unlike general panoramic stitching methods, which usually require some geometrical feature points or solve the iterative nonlinear equations, our algorithm can directly recover the 8-parameter planar perspective transforms. We use four quasi-feature points in order to compute the projective transform between two images. This feature is based on the graylevel distribution and defined in the overlap area between two images. Therefore the proposed algorithm can reduce the total amount of the computation. We also present an algorithm lot efficiently matching the correspondence of the extracted feature. The proposed algorithm is applied to various images to estimate its performance and. the simulation results present that our algorithm can find the correct correspondence and build an image mosaics.

      • KCI등재

        쉴드 TBM 뒤채움용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공학적 특성 및 현장적용성 평가

        김대현,정두회,정경환,Kim, Dae-Hyeon,Jung, Du-Hwoe,Jeong, Gyeong-Hwan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0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2 No.1

        본 연구는 새로 개발된 쉴드 TBM 테일 보이드 동시주입용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체적변화성 및 투수계수를 측정하였으며, 환경영향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현장 시험 시공에 앞서, 쉴드 TBM 모형주입장치 및 후방주입 공동충전 시험체를 이용하여 실내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제 서울 전력구 쉴드 TBM 시공현장에 시험시공을 수행하였다. 기중에서 14일 양생시킨 공시체를 이용해서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체적 변화성을 평가한 결과,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체적변화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그리고 투수계수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우수한 차수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어독성 시험과 용탈시험을 통한 환경영향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경우 평균 pH가 8.0으로 측정되었으며, 96시간 경과 후 10%의 폐사율을 보였다. 용탈액에 대한 원자흡광분광 시험 결과 용탈에 의한 유해 중금속 성분은 수질관리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다. 가소성 그라우트의 현장 적용성 실험을 위하여 실내 모형실험을 수행한 결과 충전성은 확보되었으며, 실제 시공현장에 적용한 결과 우수한 주입성을 보였다.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newly developed inorganic thixotropic-grout in various ways. In order to do this, the volume stability and the permeability of the inorganic thixotropic-grout have been measured and compared to the existing silica type grouts. In addition, the filling capability of the grout into the tail void has been evaluated through both an experiment with a miniature tail-void filling equipment and a test filling at the shield TBM construction site. The volume loss of the inorganic thixotropic-grout after a 14 day-curing under the atmosphere condition was appeared to be minimal. The excellent waterproofing ability of the inorganic thixotropic-grout was confirmed through a permeability test. The toxicity of the inorganic thixotropic-grout has been evaluated through a toxicity test of aquatic fishes (KS M 0111) and the pH value of the liquid eluviated from inorganic thixotropic-grout was measured as an average of 8.0 and a fatality rate of goldfish after 96 hours was 10% or so. The existence of harmful heavy metals in the liquid eluviated from the inorganic thixotropic-grout has been also examined through an 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 (AAS) test. Any of harmful heavy metals were not detected and the detected level of $Cr^{6+}$ and Cd was far below the standard. Based on both an experiment with a miniature tail-void filling equipment and a test filling at the shield TBM construction site, the filling ability of inorganic thixotropic-grout into the tail void was proved to be excellent.

      • KCI등재

        근대 주체성의 근거로서의 피히테 지식론에 대한 연구

        김대현(Kim, Dae Hyeon)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7 철학탐구 Vol.45 No.-

        본고의 주제는 피히테 지식론 체계의 주요 개념인 ‘Tathandlung․Tätigkeit․Streben’의 특성을 분석하여 이 세 개념이 피히테 체계에서 근대적 주체성을 보장하는 주요 요소임을 밝히는 것이다. 근대적 주체성이란 의식의 최종 근거를 자아 내부에 내재한 자립성인데, 그는 스피노자적 실체와 실천적 영역의 총합에 의식의 최종 근거의 특성이 있음을 말한 바 있다. 따라서, ‘Tathandlung․Tätigkeit․Streben’이 실체적 특성과 실천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이 세 요소가 인간 의식의 근대적 주체성을 근거한다. 실체적 특성은 Tathandlung의 총체성과 대응하며 Tätigkeit의 생성적 특성과 Streben의 지속성은 실천적 특성에 대응한다. 실체의 완결성은 현상의 다양성이 표출되는 근원이며 Tathandlung이 가진 행위와 행위의 성과라는 두 범주는 의식 현상이 표출되는 근원인 점에서 Tathandlung의 총체적 특성은 실체적 특성이라 할 수 있다. Tathandlung의 이러한 실체적 특성에 대해 Tätigkeit, Streben은 실천적 특성을 더한다. Tätigkeit은 무한성의 이념을 축으로 무한성을 향한 절대 자아와 표상적 자아와 비아의 유한적 전개를 이끄는 생성하는 능동적 힘이다. 또한 Streben은 이 운동의 긴장을 지속적이게 한다. 생성적 특성과 지속성은 자기원인에 기반을 둔 창조적 힘과 같은 것이며 총체성과 결합하여 살아 있는 하나의 완전한 창조적 본체가 된다. 요컨대, ‘Tathandlung․Tätigkeit․Streben’은 어우러진 하나의 완전체이며 스스로 운동하며 그 능동적 운동을 지속하려는 살아있는 의식의 힘을 나타내고 있다. 하나의 대상이 가지고 있는 이 세 요소의 작용이 어우러져 그것으로부터 모든 구체적 세계가 펼쳐진다. 그리고 ‘근대 주체성의 근거’는 총체성․생성․지속성에 각기 상응하는 ‘Tathandlung․Tätigkeit․Streben’의 혼연일체 가운데 있다. 이 세 요소의 혼연일체 된 작용은 실천적 특성과 독단론에서 의식 주체가 의존하던 실체적 특성과의 합일인데 이것으로 주체는 완전한 자립성을 가지고 세계 해석의 근거를 자신으로부터 찾고 삶과 세계의 본질을 스스로 구축해나갈 권리와 역량을 보장받게 된다. The subject of this article is to determine that `TathandlungㆍTatigkeitㆍStreben` of Fichte`s main concepts guarantee modern identity in his system. Modern identity has ultimate basis of consciousness in the inner self. In other words, that is complete independence. He has ever said that characteristic of final foundation is in synthesis of Spinoza`s substance and practical area. Therefore, `TathandlungㆍTatigkeitㆍStreben` must possess synthesis of Spinoza`s substance and practical area and then these three elements can be foundation to modern identity of human consciousness. And the substantive features correspond to Tathandlung of totality and the activeness of tätigkeit and the sustainability of Streben correspond to the practical characteristics. Completeness of substance is the source from which diversity of phenomena spews and totality of Tathandlung is substantive characteristic in terms of the product of acts and actions that Tathandlung possesses are source from which sense of phenomena is displayed. Tätigkeit, Streben put practical attributes into Tathandlung. Tätigkeit is living active power which leads unfolding of the infinity and finitude with the idea of infinity as the center. And Streben make the tension in activeness last. Activeness and durability is equal to creative power caused by causa Sui and It becomes living complete substance of creativeness in combination with totality. In its essence, ‘Tathandlung․Tätigkeit․Streben’ is the united whole and moves by itself and is symbolic of living power lasting active movement. These elements can’t be divided and constitute a whole. Based by this the human identity gets perfect independence and is assured of right to construct the essence of life and world by one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