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규제행정법의 연구동향 및 과제 - 김유환 교수의 연구를 기초로 하여 -

        김대인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法學論集 Vol.28 No.3

        김유환 교수는 평생의 규제행정법연구를 통해 규제의 정당화 사유, 규제행정권의 범위와 한계, 규제통제, 규제의 절차와 조직, 규제의 수단 등에 대해서 많은 연구를 남겼다. 김 교수의 규제행정법 연구의 특징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규제행정법의 모태라고 할 수 있는 미국행정법에 대한 심도있는 비교법연구를 토대로 규제행정법을 연구하였다. 둘째, 행정학이나 경제학에서의 규제이론을 염두에 두면서도 행정법학의 정체성을 가지고 규제행정법을 정립하고자 노력했다. 셋째, 규제행정법을 행정법의 각론분야의 하나로 보기 보다는, 행정의 기능성과 행정통제를 중심으로 한 행정법의 패러다임 전환에 기여할 수 있는 소재로 인식했다. 이러한 김유환 교수의 연구는 향후 규제행정법 연구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첫째, 규제의 다양한 개념을 염두에 두고 규제행정법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규제는 협의로는 행정이 법령 등 공식적 규범을 토대로 사회에 개입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광의로는 국가의 사회에 대한 개입일반으로 볼 수 있으며, 최광의로는 사회적 통제 일반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다양한 규제이론들을 행정법적으로 재구성하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경제학, 정치학, 행정학 분야에서는 공익이론, 시카고학파의 규제이론, 공공선택이론, 윌슨의 규제정치이론 등이 제시되고 있고, 사회학 분야에서는 응답적 규제이론, 스마트 규제이론 등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규제이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행정법의 다양한 분야들과 연계하여 보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비교행정법의 맥락에서 규제를 볼 필요가 있다. 규제행정법의 세계적인 보편성과 각국의 특수성을 균형 있게 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특히 규제국가와 보장국가의 개념도 비교해볼 필요가 있다. 전통적으로 발전국가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규제국가 또는 보장국가가 이러한 발전국가와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 Professor Yoo Hwan Kim has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field of regulatory administrative law through lifelong research. His research entails the justification of regulation, the scope and limitations of regulatory administrative authority, regulatory control, procedural and organizational aspects of regulation, and regulatory means. Professor Kim’s research on regulatory administrative law show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he conducted in-depth comparative legal studies based on a detailed examination of American administrative law,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foundation of regulatory administrative law. Second, while considering theories of regulation from administrative science and economics, Professor Kim endeavored to establish regulatory administrative law from the perspective of administrative law scholarship. Third, rather than viewing regulatory administrative law merely as a subfield of administrative law, Professor Kim recognized it as a subject matter that could contribute to a paradigm shift in administrative law, focusing on administrative functionality and control. Professor Kim’s research offers significant insights for future studies in regulatory administrative law. First, there is a need to conduct regulatory administrative law research with consideration for various concepts of regulation. Regulation, in its narrow sense, can be understood as societal intervention by public administration based on formal norms or statutes. Regulation, in its broad sense, encompasses broader interventions into societal affairs by the state. Regulation, in its broadest sense, means all social control. Second, efforts should be directed towards restructuring various regulatory theories within the framework of administrative law. Economic,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sciences offer various regulatory theories such as public interest theory, Chicago school’s regulatory theory, public choice theory, and Wilson’s regulatory politics theory. Sociology also offers regulatory theories such as responsive regulation theory and smart regulation theory. Critically evaluating these theories while integrating them with various fields of administrative law is essential. Third, there is a need to examine regulation within the context of comparative administrative law. It is crucial to balance the universality of regulatory administrative law in global context with the particularity of each country’s regulatory landscape. To this ends, exploring concepts such as ‘regulatory state’ and ‘Gewährleistungsstaat’ is necessary. Particularly in Korea with its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a developmental state,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understand how regulatory state or Gewährleistungsstaat can be connected with the developmental state.

      • KCI등재

        복권법제의 정당화요건― 재정법과 산업규제법의 관점에서 ―

        김대인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2007 행정법연구 Vol.- No.18

        Pre-Requisites before Justifying Lottery System― From the Public Finance Law and Industry Regulation Law Perspective ― Considering the history and current situation of American Lottery system and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US, there are three conditions that need to be fulfilled before lottery system is justified in Korea. First, lottery system should not be a substitute for procuring public finance in regard to tax system. Second, reasonable portion of revenue from lottery system should be used for public interest. Third, lottery system should be managed not to stimulate excessive speculative spirit. By enacting Lottery and Lottery Fund Act and Supervising Committee on Gambling Industry, legislature made efforts to fulfill these conditions, and succeeded in some respects. But in regard to transparency and format of public finance, improvement needs to be made. Lower Courts Decisions in relation to Public Contracts conducted during management of lottery system should be criticized in that lower courts did not consider the legal nature of this contract properly. Balanced perspective between public finance law, industry regulation law, and entertainment law is necessary for the Lottery System to take root. In viewing various discussions which took place in the American Lottery history, we should not merely follow the American Model, but strive to produce a Lottery Model that is appropriate to Korean situation. Key Words: Lottery, Gambling Industry, Public Finance Law, Industry Regulation Law, Entertainment Law

      • KCI등재

        채무자회생법의 공법상 계약에의 적용에 대한 고찰 : 대법원 2021. 5. 6. 선고 2017다273441 전원합의체 판결에 대한 평석

        김대인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21 法學論集 Vol.26 No.1

        최근에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파산을 이유로 한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상 실시협약의 해지가 문제된 사안에서 「채무자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채무자회생법)상의 쌍방미이행 쌍무계약의 해지규정(제335조 제1항)의 적용여부 및 그 해석에 관한 판단을 내린 바 있다(대법원 2021. 5. 6. 선고 2017다273441 전원합의체 판결). 민간투자법상 실시협약은 기존 판례 및 학설에 의해 ‘공법상 계약’으로서의 성격이 인정되고 있는데, 대상판결에서는 공법상 계약에 채무자회생법이 그대로 적용 또는 유추적용될 수 있는지, 만약 이를 긍정한다면 규정의 해석과정에서 공법상 계약의 특수성을 어떤 식으로 반영할 수 있는지 등을 놓고 다수의견, 별개의견, 반대의견 간에 치열한 의견대립이 있었다. 다수의견과 별개의견은 채무자회생법 제335조 제1항에 따른 실시협약의 해지를 부인한다는 결론에서는 동일하지만, 다수의견은 민간투자법상 실시협약이 쌍방미이행 쌍무계약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점을 논거로 하는 반면에 별개의견은 위 실시협약이 공법상 계약으로서 채무자회생법 제355조 제1항의 적용자체를 받지 않는다는 점을 논거로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반대의견은 위 실시협약이 쌍방미이행 쌍무계약에 해당하고 채무자회생법상의 해지권도 인정된다고 보면서 실시협약이 공법상 계약으로서의 성격을 갖는 점은 이러한 결론에 영향을 미치지않는다고 보았다. 별개의견에서 공법상 계약의 특성을 고려하여 재판관할이나 사법관계 규정 유추적용 문제를 판단한 부분은 타당하다. 그러나 민간투자법과 채무자회생법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공법상 계약에 채무자회생법 제355조 제1항에 따른 파산관재인의 해지권이 배제된다고 해석하는 것은 설득력이 있다고 보기 힘들다. 민간투자법상 사업시행자의 관리운영권이 물권으로서의 성격이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이는 사업시행자가 민간자본을 투자하여 시설물을 건설한 데에 대한 대가이기 때문에 해당 실시협약은 쌍방미이행 쌍무계약에 해당하고 따라서 파산관재인의 해지권도 인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반대의견이 설득력이 있으나 반대의견이 이러한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공법상 계약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점은 아쉬움이 있다. 공법상 계약이라고 해서 행정주체의 우월적인 지위가 당연히 인정되어야 한다고 보는 것은 곤란하며, 공익보호와 국민의 권익보호간의 균형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실시협약에 채무자회생법 제355조 제1항이 적용되는지의 문제도 주무부처, 사업시행자, 채권자들의 이해관계를 종합적으로 보아야 한다. 궁극적으로 공법과 사법의 상호보완을 통해 종합적인 질서로 나아가는 방향에서 공법상 계약을 볼 필요가 있다. Recently, the Supreme Court of Korea dealt with the issue whether termination of executory contract under ‘Act on the 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Insolvency Act) Article 335 (1) can be applied to concession contract under ‘Act on the Public Private Partnership in Infrastructure’(PPP Act). (The Supreme Court of Korea May 6, 2021, 2017Da273441) Concession contract has been evaluated as ‘public contract’ in case law and literature, and there was hot debate on the effect of ‘public law’ nature of this contract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Insolvency Act among majority, concurring, and dissenting opinion in this ruling. Majority and concurring opinion agree in that they all deny termination right under Insolvency Act Article 335 (1). However the ground for this result is differenct: majority opinion has the view that concession contract under PPP Act does not fall within the concept of ‘executory contract’, while concurring opinion argues Insolvency Act Article 335 (1) does not apply to concession contract which has public law nature. Dissenting opinion acknowledges the application of Insolvency Act Article 335 to concession contract and also termination rights based on that clause. Furtheremore, dissenting opinion asserts that public law nature of the concession contract does not make effect to this conclusion. Concurring opinion can be evaluated positively in that it adopts public law perspective on issue of court jurisdiction and analogical application of private law to administrative relationship. However, it is not persuasive that public law nature of the contract leads to the non-application of Insolvency Act Article 335 (1). Although ‘management and operation right’ of PPP asset is deemed as property right under PPP Act, this right is the consider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asset through private finace. Therefore, concession contract should be deemed as executory contract and termination right should be also acknowledged. In this respect, dissenting opinion is persuasive. However, logic of the dissenting opinion is weak in that they do not reflect the public law nature of concession contract in full. Public law nature of the contract does not automatically mean the superior position of public entities, and the balance between public interest and protection of rights of citizens should be realized. In application of Insolvency Act Article 335 (1), interests of public entities, conessionaire, and lenders should be balanced. Ultimately, public contract should be seen from the perspective that comprehensive order in which public law and private law complement with each other.

      • KCI등재

        용인경전철 주민소송 사건에 대한 고찰

        김대인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21 행정판례연구 Vol.26 No.1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20. 7. 29. 2017Du63467) is very meaningful in that this decision, through ‘Local Autonomy Act’ No.4 resident’s suit, acknowledged the legal responsibility to Yongin Everline Public Private Partnership (PPP) projects which is criticized for abuse of local government’s finance. In contrast to first-tier & second-tier court, the Supreme Court relived the mandatory resident’s audit condition and widened the concept of ‘financial accounting act’ as an object of resident’s suit. Furthermore, the Supreme Court clarified that the public officer(including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is responsible only for willful or gross negligence and plaintiff should specify the scope of indemnification. These points can be evaluated positively. However, following points should be criticized. The Supreme Court saw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audit and resident’s suit from the perspective of ‘similarity.’ Furthermore, the Supreme Court deemed plain negligence is sufficient for legal responsibility of ‘Korea Transport Institute’ without consideration of its legal status and calculated mechanically on the scope of indemnification in relation to selecting law firm for international arbitration. In spite of a few points which should be criticized, this decision will contribute tremendously to prevent reckless PPP projects. Based on this decision, resident’s suit is expected to be actively implemented and local government’s ‘financial accounting acts’ are conducted reasonably. 대상판결은 지방자치단체의 대표적인 재정낭비사례로 언급되고 있는 용인경전철 민간투자사업(민자사업)에 대하여 지방자치법상 제4호 주민소송을 통한 법적 책임을 인정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판결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1심과 원심이 감사청구 전치주의의 요건을 엄격하게 해석한 데 비해서 대법원에서는 이를 완화하여 해석하였다는 점, 1심과 원심이 주민소송의 대상이 되는 재무회계행위의 개념을 좁게 이해한 데 비해 대법원에서 이를 넓게 이해하였다는 점, 공무원(지방자치단체의 장 포함)의 책임이 고의, 중과실에 대해서만 인정된다는 점을 명확하게 한 점, 손해배상금 등의 특정을 요구한 점 등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대법원에서 감사청구대상과 주민소송대상간의 ‘관련성’을 ‘기본적 사실관계의 동일성’이라는 ‘동일성’을 기준으로 판단하고 있는 점, 한국교통연구원의 법적 지위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교통수요예측실패에 대해서 경과실 책임이 인정된다고 보고 있는 점, 법무법인 선정과 관련하여 수임료(또는 착수금)만을 근거로 기계적으로 손해배상액을 산정하고 있는 점 등은 비판의 여지가 있다. 몇 가지 아쉬운 점에도 불구하고 이 판결은 향후 무분별한 민자사업이 진행되는 것을 예방하는 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 판결을 계기로 주민소송이 보다 활성화되고 지방자치단체의 재무회계행위가 건전하게 이루어지게 되길 기대해본다.

      • KCI등재

        국가연구개발협약과 공ㆍ사법구별― 대법원 2017. 11. 9. 선고 2015다215526 판결에 대한 평석 ―

        김대인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서울법학 Vol.26 No.2

        The distinction between public law contract and private law contract is important not only for court jurisdiction but also for substantive legal regime. However, the criteria for distinction between public law and private law is not established yet both in academics and practices. In this context, the Supreme Court Decision which deemed Research & Development (R&D) Agreement, based on “Basic Act on Science & Technology” and “Act on the Promotion of Air and Space Industry”, as a public law contract is worth for careful scrutiny. The Supreme Court, pertinently, considered Research & Development (R&D) agreement as a public law contract based on fact that the contents of related statutes and contract 1) have characteristics of public interest and 2) entail aspects of exercising public power. However, Supreme Court’s position which considers public procurement contract, based on “Act on the Contracts in which the State is the Party”, as a private law contract, should be evaluated critically, as the same line of theory (public law elements, public power aspects) can be applied to this type of contract. Article 4 of Presidential Decree of “Act on the Contracts in which the State is the Party” provides that “unduly limitation of contractor’s contractual interest is prohibited”. In deciding whether there is ‘unduly limitation of contractor’s contractual interest’, different criteria, in principle, should be applied to public law contract and private law contract. However, if contracts give too much benefit to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 this contracts should be evaluated as having violated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Article 4 of Presidential Decree of “Act on the Contracts in which the State is the Party”. The Supreme Court referred this case to the Administrative Court of first instance. However, this position should be criticized that it delays the protection of rights. To address this issue, the Supreme Court might handle this kind of case as an administrative one although lower level courts handled this case as an civil one.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insert an Article on the jurisdiction designation by the common upper level court, and it should be allowed to appeal to this decision to harmonize the criteria of distinction of public law/private nationwide. 행정주체가 체결하는 계약의 법적 성격을 공법상 계약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사법상 계약으로 볼 것인지의 문제는 재판관할의 구별이라는 점뿐만 아니라 실체적인 법리의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법과 사법의 구별기준이 실무적으로나 이론적으로 충분히 정립되었다고 보기는 힘들다. 이러한 점에서 「과학기술기본법」, 「항공우주산업개발촉진법」에 따른 국가연구개발협약에 대해서 공법상 계약으로서의 성격을 인정한 최근의 대법원 판례는 연구의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대법원은 국가연구개발협약의 근거가 되는 법령의 내용 및 개발협약의 내용이, 공익성이 강하고, 공권력행사의 요소를 담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하여 개발협약의 법적 성질을 ‘공법상 계약’으로 보았는데, 이러한 판례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대법원이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국가계약법)이 적용되는 공공조달계약에 대해서 사법상 계약으로 보고 있는 것은 비판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 후자의 경우에도 법령 및 계약의 내용이 공익성이 강하고, 공권력행사의 요소를 담고 있으므로 공법상 계약으로서의 성격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국가계약법 시행령 제4조에서 “계약상대자의 계약상 이익을 부당하게 제한하는 특약 또는 조건을 정하여서는 아니된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서 ‘계약상 이익을 부당하게 제한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공법상 계약과 사법상 계약을 동일하게 보는 것은 원칙적으로 곤란하다. 그러나 국가에게 유리한 정도가 지나치다면 이는 비례원칙에 위반될 뿐만 아니라 국가계약법 시행령 제4조에도 위반된다고 보아야 한다. 대법원에서 수년에 걸쳐서 실체법적인 판단이 이루어진 사안에 대해서 1심 행정법원으로 이송을 한 것은 권리구제의 현저한 지연을 가져온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고 보기 힘들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석론상 이번 사건과 같이 1심과 2심에서 주요 법적 쟁점에 대해서 실질적인 판단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대법원에서 행정사건으로 보면서 직접 판단하는 방안을 모색해볼 수 있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입법론적으로 각급 직근상급법원이 행정재판권과 민사재판권 중 지정을 할 수 있는 규정을 행정소송법에 두고, 이에 대해서 대법원에 즉시항고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공ㆍ사법구별에 대한 전국적인 통일성을 기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프랑스 행정계약상 불가항력에 대한 연구

        김대인 한국공법학회 2023 공법연구 Vol.51 No.3

        After enactment of 「Framework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it is necessary to concretize the legal theory of ‘contract under public law’. This paper looks into force majeure which is gaining importance in Corona pandemic era, and reviews especially French administrative contract (contrat administratif) regime. In France, force majeure was developed in civil law in advance, and three conditions (extériorité, imprévisibilité, irrésistabilité) should be satisfied in classical forece majeure. Force majeure is also introduced in administrative contract (contrat administratif) in France and it is called ‘la force majeure exonétoire’. Furthermore, ‘la force majeure administrative’ and ‘la force majeure indemnitaire’ is also acknowledged in France. Théorie de l’imprévision is also accepted in France. In Korea, force majeure and doctrine of change of circumstances is acknowledged in civil law jurisprudence and ‘political force majeure’ (war, terror) and ‘non-political force majeure’ (natural disaster) is divided in ‘Framework Plan on Public Private Partnership Project’, and ‘Model BTO (Build-Transfer-Operate) Concession Contract’. However, general principles of ‘force majeure’ which applies to ‘contract under public law’ is not yet established in Korea. When comparative law analysis on French law is conduct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general principles of ‘force majeure’ in ‘contract under public law’ as follows. 1) classical force majeure which needs three conditions (extériorité, imprévisibilité, irrésistabilité) and exempts liability and 2) administrative force majeure which needs two conditions (extériorité, imprévisibilité) and allows termination should be divided. In interpreting three conditions in classical force maje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balance between public & private interest. It is also necessary to reform the rigorous approach in force majeure risk-distribution in ‘Framework Plan on Public Private Partnership Project’. Force majeure and doctrine of change of circumstances should be understood as complementing each other consider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both regimes, and the public law basis (rule of law, doctrine of legitimate expectation) of both regimes should be clarified.

      • KCI등재

        국방조달법제의 규제개혁에 대한 고찰

        김대인 한국공법학회 2009 공법연구 Vol.37 No.3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DAPA) is striving to support the defense industry as a new source of national economic growth. In the same context, DAPA is launching regulation reform. To this end, DAPA selected 18 agendas which need regulation reform, and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re revised or are planned to be revised accordingly. Current regulation reform in defense procurement tends to be focused on ‘deregulation’ and ‘enhancing business-friendly environment’. We can partly understand this policy-orientation, because high priorities are put on boosting economy nowadays. However, for the successful regulation reform in long term, following aspects should be examined. First, ‘regulation reform’ and ‘deregula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similar concepts. Recently, in EU countries and prominently in UK, ‘better regulation’ is more emphasized than ‘deregulation’. Because in highly risky contemporary society, reasonable level of regulation is important. In the same context, we should understand ‘regulation reform’ as ‘rationalization of risk regulation in public law’ rather than as deregulation. In defense procurement, there still remains areas, which need more regulation. For example, information-disclosure duty should be imposed in adopting best-value award system. Second, ‘regulation reform’ should be pursued in harmony with various public law principles, such as transparency & efficiency. Industrial policy objectives should be pursued with transparency enhancing policies. For example, single-source contracting should be done more strictly. Third, ‘regulation reform’ should be conducted considering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defense procurement and civil procurement. Munition procurement and non-munition procurement should be dealt differently. In non-munition procurement, innovative civil supply system should be actively introduced in defense procurement. In munition system, supply stability, confidentiality are mentioned as different aspects from civil procurement. However, in munition system, ensuring competition is also a critical issue. Public law peculiarity-termination for convenience is typical example-should be more actively realized in munition system. 방위사업청은 국정과제인 ‘방위산업의 신경제성장 동력화’ 추진에 매진하는 동시에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강도 높은 규제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3회에 걸친 ‘국정과제추진위원회’를 통해 규제개혁대상 18건을 선정하였고, 소요군과 방산업체 등이 그 효과를 빠른 시일 내에 체감할 수 있도록 관련법령과 행정규칙의 제‧개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국방조달분야에 대한 최근의 규제개혁은 주로 규제완화 및 이를 통한 친기업적인 환경조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최근 추세는 경제활성화가 국정의 핵심과제가 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이해하지 못할 바 아니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규제개혁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첫째, 규제개혁을 규제완화와 동일한 의미로 보아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최근 영국을 중심으로 유럽에서는 ‘규제완화’(deregulation)보다는 ‘더 나은 규제’(better regulation)를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현대사회에서 리스크가 고도화됨에 따라 오히려 규제가 강화되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경향을 참고할 때 ‘규제완화’라는 좁은 관점에서 규제개혁을 볼 것이 아니고 ‘리스크에 대한 공법상 규율의 합리화’라는 관점에서 규제개혁을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최고가치 제도의 도입과 관련하여 정보공개의무를 부과하는 등 규제를 오히려 강화해야 하는 부분도 고려해야 한다. 둘째, 규제개혁을 통한 산업정책적 목표의 추구는 투명성, 효율성과 같은 공법상의 원리들을 조화롭게 추구하는 한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 국방조달분야에서의 규제개혁의 현황을 살펴보면 방위산업의 진흥이라는 산업정책적 목표가 보다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이러한 산업정책적인 목표의 추구는 수의계약제도의 남용방지와 같은 투명성확보를 전제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국방조달과 일반조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충분히 고려한 규제개혁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기체계와 비무기체계를 구분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 비무기체계의 경우에는 민간조달과의 공통점을 고려하여 민간분야의 혁신적인 공급체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무기체계의 경우는 공급의 안정성, 기밀의 유지 등 일반조달과의 차이를 반영하되 이 분야에서도 역시 경쟁을 통한 투명성과 효율성 증대를 늘 고려해야 한다. 다만 사법상 계약과 비교하여 계약체결이후의 탄력성을 충분히 보장함으로써 공법적 특수성을 반영해야 한다.

      • KCI등재

        영국의 민간위탁법제에 대한 연구

        김대인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경제규제와 법 Vol.12 No.1

        Korean regime on commissioning of governmental functions to private parties has been criticized for inadequate choice of service providers, monopoly of this market, and lack of monitoring of this commission. To address these issues, it is critical to establish legal system of commissioning to private parties in balancing between “efficiency of administration” and “appropriateness and accountability of administration”, To this ends, this paper sees United Kingdom (UK) law, and find some implications therefrom. UK’s contracting-out regime, based on ‘Deregulation and Contracting Out Act 1994’ and other related Acts and regulations, have following characteristics. To achieve “efficiency of administration”, UK uses innovative contracting method such as “outcomes-based commissioning”, “payments-by-results”, “black box commissioning”, implements various evaluation regime in procurement process, and makes efforts to strengthen competition in choosing providers. Meanwhile, to achieve “appropriateness and accountability of administration”, UK requires parliament’s approval for contracting-out “Ministerial Order” thus guaranteeing democratic legitimacy, excludes some governmental functions are explicitly excluded from being contracted-out, and allows government to step-in functions which are contracted out. UK regime which tries to balance “efficiency of administration” and “appropriateness and accountability of administration” shows many lessons to Korea, which are making effort to harmonize these two objectives through adopting “Act on the Commissioning of Governmental Functions to Private Parties”. 행정사무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이외의 법인, 개인에게 위탁하여 처리하는 민간위탁은 그동안 수탁기관 선정의 부적절, 독점위탁의 관행적 장기화, 수탁기관 관리감독의 부실 등 다양한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행정능률의 향상’과 ‘행정사무의 적정성과 책임성의 확보’라는 두 가지 목표를 조화시키는 민간위탁법제를 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이 글에서는 영국의 민간위탁법제를 검토함을 통해 우리나라에의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1994년 규제완화 및 민간위탁법’(Deregulation and Contracting Out Act 1994) 및 관련법령을 토대로 한 영국의 민간위탁법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우선 행정능률의 향상을 위해서 1) ‘성과를 기반으로 한 위탁’(outcomes-based commissioning), ‘결과를 기반으로 한 대가지급’(payments-by-results), ‘포괄위탁’(black box commissioning) 등 다양한 혁신적인 민간위탁계약방식이 활용하고 있으며, 2) 사업자선정을 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평가제도들을 둠으로써 행정능률을 향상할 수 있는 최적의 사업자를 선정할 수 있는 있는 틀을 마련해놓고 있고, 3) 사업자 선정과정에서 최대한 경쟁을 활성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다음으로 행정사무의 적정성과 책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1) 특정사무를 민간위탁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행정입법의 제정절차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도록 하고, 2) 법률에서 일정한 사무에 대해서는 민간위탁을 금지하고 있으며, 3) 사무수행과 관련하여 행정주체가 개입할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해둠으로써 책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놓고 있다. 위와 같은 영국의 민간위탁법제는 「행정사무 민간위탁에 관한 법률」(안)의 도입을 통해 ‘행정능률의 향상’과 ‘행정사무의 적성성과 책임성의 확보’라는 두 가지 목표를 조화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는 우리나라에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규제관련 법제개선을 위한 국민권익위원회의 역할과 과제

        김대인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경제규제와 법 Vol.5 No.2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of Korea (ACRC) has three major powers: 1) to address public complaints, 2) to prevent and deter corruption in the public sector and 3) to protect people’s rights from illegal and unfair administrative practices through the administrative appeals system. Improving the quality of regulatory system or institution is also one of the crucial roles of ACRC,and through this procedure ACRC can implement synergic effect of integrating three major powers mentioned above. To strengthen the power of ACRC to improve the quality of regulatory system or institution, following issues should be addressed. First, it is necessary to adopt re-examination procedure in response to rejection of ACRC’s policy recommendation relating to public complaint. It is to improve level of compliance obligation of each agency in face of ACRC’s policy recommendations.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enhance level of compliance obligation too excessively in such a way that each agency can escape from ACRC’s policy recommendation only in special occasion. Because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public complaint and administrative appeals system in relation to initiating policy recommendations by ACRC.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rruption impact analysis capability of ACRC. It will be difficult to make corruption impact analysis as a compulsory procedure in enacting parliamentary act or presidential/ministerial decree due to lack of personnels in ACRC and excessive burden in legislation procedure. However, it is necessary to make corruption impact analysis as a compulsory procedure in certain corruption-sensitive areas, such as construction, public enterprise, contracting-out. Third, it is necessary to use potential of ACRC in which public complaint, anti-corruption and administrative appeals role co-exist. It is recommended that public officials who have experiences in these three areas should get chance to participate in regulatory system or institutions improvement tasks. To facilitate this point, it is advisable to adopt periodic personnel exchange among these various units in ACRC. Fourth,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the expertise of public officials who are in charg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regulatory legal system or institution. It is critical to view this expertise in the context of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improving the quality of regulatory system or institution by ACRC and by each line ministries. In relation to differences, it is advisable to suggest policy recommendation based on anti-corruption related expertise. For the policy harmonization, it is necessary to have expertise to balance competing policy objectives. For example, in public procurement field,it is critical to balance between transparency and efficiency. 국민권익위원회의 제도개선업무는 고충민원, 부패방지, 행정심판의 세 가지 기능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규제관련 법제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주요한 기능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국민권익위의 제도개선업무의 발전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제시해볼 수 있다. 첫째, 부패방지와 마찬가지로 고충민원의 경우에도 타기관이 이를 수용하기 힘들 경우에 재심의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의무이행의 정도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발동요건의 차이를 고려하면 부패방지와 고충민원과 관련해서 행정심판과 마찬가지로 “이 경우 관계 행정기관의 장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요청에 따라야 한다”라는 정도로 의무이행의 정도를 강화하는 것은 불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둘째, 부패영향평가는 현재 임의절차화되어 있는데, 국민권익위 부패방지조직의 인력상의 한계, 입법절차에 대한 부담 등으로 인해 모든 법령에 대해서 전면적으로 부패영향평가를 필수절차화하는 것은 힘들다고 하더라도 부패방지의 필요성이 높은 일정한 분야(예를 들어 건설, 공기업, 민간위탁 등)를 지정하여 이와 관련해서는 부패영향평가를 필수절차화하여 그 위상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셋째, 고충민원, 부패방지, 행정심판의 세 가지 기능을 모두 갖고 있는 국민권익위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필요가 있다. 국민고충국, 부패방지국, 행정심판국의 현장에서 다양한 법제가 국민에게 미치는 영향을 경험한 직원들이 제도개선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제도개선업무를 담당하는 부서와 위 세 국간의 정기적인 인사교류도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넷째, 제도개선업무를 담당하는 직원들의 전문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개별 중앙부처(예를 들어 국가계약법은 기획재정부)에서 실시하는 제도개선업무와 차별성과 연계성이라는 맥락에서 이러한 전문성을 확보해야 한다. 우선 차별성을 기하기 위해서는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분야의 전문성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제도개선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연계성을 기하기 위해서는 상충되지만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 상반된 정책목표들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전문성을 확보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공공조달에서는 투명성과 효율성의 두 가지 목표를 균형 있게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