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달리기 위한 동기: 코스 추천 방식과 메세지 프레이밍의 효과

        김단(Dan Kim),박서정(Seojung Park),이윤진(Yunjin Lee),정서진(Seojin Jung),윤홍석(Hongsuk Yoon),이재길(Jae-gil Lee)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이 연구는 코스 추천 방식과 정보 맞춤화의 효과에 중점을 두고 달리기 앱이 사용자의 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보 전달 방식을 탐색한다. 제안된 달리기 앱은 사용자 추천, 혹은 알고리즘을 통한 코스 추천과 이성적 (Cognitive) 또는 감성적 (Affective) 격려 메시지를 함께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더 나아가, 코스 추천 방식과 격려 메세지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2X2 실험 디자인을 제시한다. 이 연구는 사용자의 달리기 동기를 형성하는 인지적 과정을 바탕으로, 인간-AI 상호작용 (HAAI) 및 건강 커뮤니케이션 분야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도시유역에서 공간적으로 분포된 소규모 강우유출수 관리시설의 최적설치위치선정

        상단 ( Sang Dan Kim ),임용균 ( Yong Kun Lim ),진관 ( Jin Kwan Kim ),강두기 ( Doo Kee Kang ),서성철 ( Seong Cheol Seo ),이재관 ( Jae Kwan Lee ) 한국물환경학회 2010 한국물환경학회지 Vol.26 No.6

        Spatially distributed on-site devices such as bioretentions and bioboxfilters are becoming more common as a means of controlling urban stormwater quality. One approach to modeling the cumulative catchment-scale effects of such devices is to resolve the catchment down to the scale of a land parcel or finer, and then to model each device separately.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emi-distributed model for simulating urban stormwater quantity and identifying best sites for spatially distributed on-site stormwater control devices in an urban drainage system. A detailed model for urban stormwater improvement conceptualization simulation is set up for a 0.9342 km(2).

      • KCI등재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는 국방획득 제도 개선요인에 관한 연구

        김단비 ( Kim Dan-bi ),최기일 ( Choi Gi-il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0 국방연구 Vol.63 No.4

        본 연구는 델파이와 AHP기법을 이용하여 현행 국방획득 제도에 있어 주요 개선사항에 대한 우선순위를 분석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한 합리적인 개선 및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개선요인을 식별하고, 1, 2차 델파이 분석을 통한 대분류 요인으로 획득제도 시스템 차원, 소요 차원, 민군협력 및 부처 간 협력 차원, 정부출연 연구기관 참여 차원, 민간분야 참여 차원으로 구성하였으며, 총 19개의 하위요소들을 도출했다. 이후 AHP 설문조사 분석결과를 통해 대분류별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에서 소요 차원이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나타났고, 16개 하위요소, 즉 평가요소별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에서는 소요 창출을 위한 사전연구 제도, 진화적 R&D 제도, 유연한 ROC 설정에 대한 순서로 수정 및 보완이 중요하게 요구되는 것으로 인식함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있어 국방획득 제도 개선이 시급한 우선분야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국방획득 제도 및 정책 추진 간 중요하게 참고하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바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reasonabl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directions in response to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y analyzing the priorities of major improvements in the current defense acquisition system using Delphi and AHP techniques. First, the improvement factors were identifi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the classification factor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elphi analysis consisted of the acquisition system level, the required level, civil-military cooperation and inter-ministerial cooperation level, the participation level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and the participation level of the private sector, and a total of 19 sub-component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e AHP survey later confirmed that the required dimensions appeared as the most important areas in terms of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for each section, and that 16 sub-elements, namely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for each assessment element, were perceived to require significant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in the order of prior research plans, evolutionary R&D schemes, and flexible ROC settings for generating demand.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defense acquisition system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uld lead to urgent priority areas, and that it could be used as an important reference between the defense acquisition system and policy implementation.

      • KCI등재

        음료 농축액 및 퓨레의 항산화 활성

        김단비(Dan Bi Kim),신기해(Gi Hae Shin),조주현(Ju Hyun Cho),백순옥(Soon Ok Baik),이옥환(Ok-Haw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7

        본 연구에서는 음료 농축액 및 퓨레로 사용되는 석류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양파추출 농축액, 도라지추출 농축액, 흑마늘 농축액, 홍삼 농축액, 아사이베리 퓨레, 새싹유채 퓨레의 이화학적 특성, 총 페놀 함량, 항산화 효능(DPPH radical scavenging, ORAC)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pH는 석류 농축액이 2.81로 가장 낮았으며 양파추출 농축액이 5.12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Brix는 홍삼 농축액이 70.30으로 가장 높았고 새싹유채 퓨레가 1.70으로 가장 낮았다. 총 페놀 함량은 아사이베리 퓨레에서 182.71 mg GAE/mL로 다른 시료에 비하여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양파추출 농축액이 8.80 mg GAE/mL로 가장 낮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총 페놀 함량과 마찬가지로 아사이베리 퓨레에서 69.88%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ORAC 지수는 블루베리 농축액에서 27,514 μMTE/m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아질산염 소거능도 아사이베리 퓨레에서 28.19%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천연물 유래 농축액 및 퓨레는 다양한 항산화 평가모델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농축액 및 퓨레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건강음료의 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pH, Brix), total phenol content, antioxidant activitie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beverage concentrates and purees. All concentrates and purees were produced from natural materials and have been used as the main ingredients in health-related beverages. Our results show that the pH values and Brix of all concentrates and purees ranged from 2.81 to 5.12 and 1.70 to 70.30 Brix, respectively.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 (182.71 mg GAE/m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69.88%)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28.19%) were obtained from acai berry puree. The concentrate from wild blueberry had the highest ORAC value (27,514 μM TE/mL). Amo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data, the total phenol content exhibited a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r=0.9099)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centrates and purees from natural materials contribute to antioxidant activities in healthy beverages.

      • KCI등재

        정책변동의 관점에서 본 개발촉진지구정책과 신활력지역정책의 도입특성 비교

        영단 ( Kim Young Dan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7 地方行政硏究 Vol.31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새로운 정책의 도입이라는 정책변동의 관점에서 김영삼 정부에서 도입된 개발촉진지구정책과 노무현 정부에서 도입된 신활력지역정책 간 특성차이를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두 정책의 도입기에 있어 정책문제에 대한 인식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대안으로서의 아이디어, 그리고 정책의 창이 열린 이후의 구체적인 정책목표와 정책수단의 변화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개발촉진지구정책의 도입은 새로운 정부가 등장한 이후 낙후지역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특정지역개발정책에 대한 한계를 인식하였기 때문이며, 이러한 문제인식은 개발촉진지구라는 정책대안으로서의 아이디어와 결합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이디어는 제약되어 기존 특정지역개발의 개발촉진지구(舊)가 재도입되었다. 결과적으로 정책목표는 자원개발 중심에서 낙후지역개발로 바뀌었으나 정책수단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반면, 신활력지역정책의 도입은 새로운 정부의 등장 이후 도서, 오지, 접경지역, 개발촉진지구 등 기존 낙후지역개발정책의 한계를 인식하면서 정책전환의 새로운 계기가 필요했기 때문이며, 이러한 문제인식은 지역혁신에 기초한 신활력지역이라는 정책대안으로서의 아이디어와 결합하였다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책목표는 하드웨어개발 중심에서 소프트웨어개발 중심으로 바뀌었으며, 정책수단은 지구개발방식에서 지역혁신에 중점을 둔 사업방식으로 바뀌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promotion zone adopted in Young Sam Kim`s administration and new revitalizing regions adopted in Moo Hyun Roh`s administration from a perspective of adopting new policies. Specifically, it is focu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olicy issues, ideas as policy alternatives to solve these issues, the channels of polices, and the detailed goals when the policies of development promotion zone and new revitalizing regions were adopted. The reason why development promotion zone could be adopted is that the Young Sam Kim`s administration recognized the limit of the development policies for certain areas as the necessity for developing the underdeveloped zones had been appeared and this recognition of problems was combined with the ideas as policy alternatives that are development promotion zones. However, the idea was constrained and the development promotion zones for developing certain areas that had been used was re-used. Conclusively, the goal of policy has been changed from resource development into development for underdeveloped areas. On the other hand, the reason why policy of new revitalizing regions could be adopted was that new momentum of policy change was necessary as limit of policies for developing underdeveloped areas such as islands development, hinterlands development, resources development in border areas and development promotion regions etc. was recognized. The recognition of problems could be merged with ideas as policy measure, which is the new revitalizing regions based on regional innovation.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 goal of policy has been changed from hardware development into software development and the policy means have been changed from regional development method into regional innovation centered metho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