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학업중단 위기 청소년 지도경험과 학교 내 예방체계 구축 방안

        김기화 ( Kim Gihwa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5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들의 경험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업중단 예방체계 구축에 필요한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학업중단 청소년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들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자료수집을 위해 개별심층면접(indepth interview)을 실시하였으며, 중심주제 분석법을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핵심주제로 첫째, 학업중단 청소년 발생요인 둘째, 학업중단 청소년 지도 시 어려운 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중단 청소년을 지도한 교사들의 직무경험을 바탕으로 학교 내 학업중단 예방체계 모형을 제시하였다. 학업중단 예방활동은 크게 사전개입-위기개입-사후개입-복교시점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개입단계 별로 학교차원에서 교사들이 실행할 주요내용을 반영하였다. 본 연구가 학업중단 청소년에 대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 마련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eeks to assess experience of teachers who supervise adolescent school dropouts, and provide substantial data necessary for development of dropout prevention plan. For this purpos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faculty members who are currently supervising dropout youths. Qualitativ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and results were derived using the central theme analysis metho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first, the cause behind discontinuation of schooling among adolescents, and second, challenges faced by teachers when counselling dropout youths. This study proposes a model for installation of dropout prevention plan within school, based on the teacher’s experience in dealing with dropout students. The model is largely divided into four stages: pre-crisis intervention, crisis intervention, post-crisis intervention, and finally, readmission into school. And each stage includes protocols to be carried out by the faculty on a school level. I hope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practical plans and policies for adolescent school dropouts.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공동체 활동 경험 연구: 상호문화실천과 임파워먼트를 중심으로

        김기화(Kim, Gihwa) 인천연구원 2022 도시연구 Vol.-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 공동체 활동에서 나타난 상호문화실천과 임파워먼트 경험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한국에서의 거주기간이 5년 이상이며, 현재 공동체 활동을 하는 결혼이주여성 19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석학적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자료수집을 위해 FGI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4개의 주제영역과 9개의 소주제로 도출되었다. 4개의 주제영역은 구체적으로 1) 다문화 공동체의 의미: 안정과 성장의 장 2) 상호문화실천: 다문화 공존 3) 어머니로서의 정체성 형성: “우리는 다문화 어머니” 4) 주체성 획득: 주변인에서 주인공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의 상호문화실천 기능과 결혼이주여성을 주류사회로부터 타자화된 대상이 아닌 주체성을 지닌 존재임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과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와 지속 가능한 통합사회를 준비하는데 필요한 사회적 역할을 제시하였다는데 함의를 갖는다.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의 특성을 세밀하게 구분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며, 추후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고려한 집단 간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ntercultural practice and empowerment process shown in the community activiti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9 married migrant women who had lived in Korea for more than 5 years and were engaged in community activities. Interpretive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ulticultural community is a place of stability and growth; (2) multicultural coexistence is a practice of mutual culture; (3) the women’s identity as mothers (“we are multicultural mothers”) is formed; and (4) the women acquire a new identity: from neighbors to protagonists. This study has limitations because it does not consider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and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groups is needed.

      • KCI등재

        아동양육시설 생활복지사의 역할 및 직무경험 분석

        김기화 ( Gihwa Kim ),양성은 ( Sungeun Yang ) 대한가정학회 2017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5 No.6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ccupational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child care faciliti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six social workers in child care facilities. This qualitative research used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that and classified the main findings into five categories and twelve sub-themes. This study revealed that child care professionals define themselves as “caregivers” and “role models.” Positive effects of institutional life on a child were forming peer relationships and being able to use diverse services while negative effects included acquiring a social stigma, having problems in developing attachment between a child and a surrogate caregiver, developing passive attitude and weak will power from communal living. Meanwhile, conflicts with children and poor working conditions led to burnout for caregivers. Our recommendations on the direction of change for the facilities are: categorizing admitted children, supporting restoration of family functions, reinforcing support for children’s preparation for an independent life, and developing expertise. This paper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child care facilities as well as encourages further social discourse on institutionalized children in order to promote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 KCI등재

        한부모 이주여성의 가족해체와 자립 과정에 관한 연구: 자립지원시설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김기화(Kim, Gihwa) 인천연구원 2021 도시연구 Vol.- No.20

        최근 다문화가족의 이혼율이 증가하고 있어 자녀양육을 책임지고 있는 한부모 이주여성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부모 이주여성 자립지원시설에 대한 사례연구로 경제적으로 취약한 한부모 이주여성을 위한 공적 지원체계인 자립지원시설에 대한 역할과 기능을 규명하고, 나아가 이들의 안정적인 가족생활을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와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주배경을 가진 여성들이 한국에서 경험했던 가족생활과 이혼 후 자립지원시설에서의 생활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한부모 이주여성 6명과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4개의 주제와 8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4개의 주제는 1)국제결혼 결정: 한국사회로의 이주 2)가족 생활: 힘의 불균형 3)가족 해체: 불리한 이혼 4)한부모가족 형성: 시설 생활을 통한 역량 강화와 자립의 시작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의 가족해체로 한부모 이주여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자립이 어려운 실정에서 정책수립 시 고려되어야 할 점들을 제시함으로써 한국사회에서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한부모 이주여성의 자립 지원 담론화에 기여하였다.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increased rapidly in Korea since the mid-1990s due to international marriages. Recently, the number of divorces in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en consistently increasing in Korea. The study focuses on examining how living in a self-reliance facility affects the lives of immigrant single mothers,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The data collection method consisted of in-depth interviews with six immigrant single mothers living in the fac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ecisions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tion to Korean society; 2) Family life; Power imbalance; 3) Family breakdown; Helpless immigrant women; 4) Formation of a single-parent family; Enhancement of competency and beginning of independence by living in the facility.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divorced from their husbands due to violence and joined a self-reliance facility to raise their children alone. These women were able to regain confidence at the facility through care and education, while also achieving both mental and financial independe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iscourse on the self-reliance support of migrant, single-parent women in situations where it is difficult for them to become self-reliant due to dissolu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필드웍 수업 참여 대학생의 협동학습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김기화(Kim, Gihwa),영순(Kim, Youngsoon),오영섭(Oh, Youngsub)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사립 I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전공 선택과목이자 현장답사 과목인‘지역 문화의 탐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협동학습 경험을 탐색한 것이다. 특히, 현장답사는 모둠별로 수행되기 때문에 강의실에서만 이루어지는 협동학습의 양상과는 다를 것이라는 전제를 갖는다. 현장에서의 체험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협동학습 보다 학습자들 간의 긴밀한 소통과 책임의식이 요구된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 연구문제를 첫째,‘필드웍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협동학습 경험은 어떤 의미인가?’, 둘째, 성공적인‘필드웍 협동학습의 요인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FGI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필드웍 협동학습 경험을 표상하는 의미는‘함께 성장하기’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소주제 는‘지식확장의 계기’,‘공동의 학습 목표 달성’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필드웍 협동학습 성공의 핵심요 인은 4가지로 도출되었으며, 집단 내적인 요인으로‘학습자 간의 상호작용’,‘긍정적인 의사소통’과 집단 외적 요인으로는‘교수자-학습자 간의 상호관계’,‘체계적인 수업 설계’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필드웍 학습이 지니는 현장성으로 인해 강의실에서 수행하는 일반적인 협동학습에 비해 학습자들은 상호 간의 친밀감을 높이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협동학습이 단순히 서로 의존하고 협력하여 학습효과를 증진시키는 방법을 넘어 학습자들로 하여금‘함께 성장하기’ 대열에 참가하여 동반 성장을 경험할 수있는 계기를 제공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s of under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Exploring the Local Culture’ which was a field trip course in the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t ‘I’University. This study presupposes that it will b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ooperative learning aspect because it conducts the field work rather than cooperative learning which is performed only in the classroom. The course ‘Exploring the Local Culture’ is an experiential cooperative learning course aimed at exploring activities, so it requires more close communication and responsibility between the members of the cooperative group than most university classes. Based on this context, we set up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s of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ing in fieldwork class?” Second, “What do undergraduate students consider as successful factors of fieldwork cooperative learning?”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we collected data by conducting FGI interviews with under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experience of cooperative learning in fieldwork showed that they ‘grow together’. The sub-categories were derived from ‘opportunity of knowledge expansion’ and ‘achievement of common learning goals’. Second, the core factors of the success of fieldwork cooperative learning were derived from four factors: ‘interactions among learners’, ‘positive communication’ as internal factors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s’, ‘systemic instruction design’ as external factor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fieldwork learners have a strategy to increase the intimacy of learners’ mutuality compared to general cooperative learning, that is, coopera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In addition, we confirmed that cooperative learning provides an opportunity for learners to participate in the ‘growing together’ and experience coexistent growth beyond learning methods that simply rely on each other and cooperate to enhance learning effect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의 권리실제에 관한 질적 연구

        김기화(Gihwa Kim),양성은(Sungeun Yang) 한국아동학회 2017 아동학회지 Vol.38 No.1

        Objective: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childcare teachers at home daycare centers perceive their rights as teachers and what kind of rights situations pertain to them at their respective daycare centers. Methods: Adopt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pproach, this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to collect empirical data. The participants were childcare teachers and directors at home daycare centers, which were shown to have relatively poor work environments compared to other types of daycare centers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at home daycare centers perceived their rights as childcare teachers to be extremely vulnerable. It was shown that their rights could not be protected in various frameworks involving mutual relations between teachers and directors, the Infant Care Act and childcare policy, and social perceptions that fail to recognize them as professionals. Conclusion: The fingdings from the present study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the rights situation faced by childcare teachers at home daycare centers and to the social discourse on finding ways to realize the teachers’ full rights as childcare professionals.

      • KCI등재

        쉼터 거주 경험이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대한 연구

        김기화 ( Kim Gihwa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쉼터에서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쉼터에서의 생활경험이 남한사회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석학적 질적 연구방법(interpretive qualitative research)을 활용하였으며, 자료수집을 위해 연구참여자 총 7명과 개별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북한이탈주민 쉼터퇴소 후 현재는 지역사회에서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이다. 본 연구결과 핵심주제는 1)쉼터의 의미: “터닝 포인트” 2)안정적인 일자리 찾기 3)사회적 관계 심화 추구 4)정체성 재확립: 자아의 확장으로 도출되었다. 쉼터에서 생활하는 동안 북한이탈주민들은 가족적인 돌봄을 제공받았으며, 인생의 터닝 포인트가 될 긍정적인 경험을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쉼터퇴소 후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노력하지만 차별과 편견을 경험하고 부족한 지식과 기술로 노동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한편 이질적인 문화를 극복하고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남한사회 적응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도전과 어려움을 겪으며 자신의 정체성을 재확립해 나가고 있었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의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그들의 적응을 돕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targeted North Korean refugees who once lived in a shelter and explored how the experience of living at shelters affects their adjustment in South Korean society. For data collection,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research participants were done individually.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North Korean refugees who currently live in local communities after leaving shelters for North Korean refugees. The research drew the key points as follows: 1)significance of shelter as “Turning point” 2)finding a stable job 3)seeking to deepen the social relationships 4)re-establishing identity: expanding of self. The research showed that during the shelter stay, North Korean refugees received family-like care and had a positive experience that can be a turning point in their lives. After they left the shelter, however, they encountered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nd experienced difficulty in entering the labor market due to lack of knowledge and skills although they strove for stable settlement. In the meantime, they tried to overcome the difference in culture and to establish new social relationships. They were re-establishing their identity while facing various challenges and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adjusting in South Korean society.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searches strategies to support North Korean refugees` adjustment by analyzing their experience.

      • KCI등재

        장애인들의 복지에 대한 인식과 서비스 이용 경험: 파주시를 중심으로

        김기화 ( Kim Gihwa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5

        본 연구에서는 파주시에 거주하고 있는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복지와 관련된 그들의 일상생활 경험과 욕구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파주시 장애인들의 복지에 대한 인식과 서비스 이용경험을 통해 장애인 복지증진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방안을 모색하고, 궁극적으로 장애인 복지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 방법(Qualitative research)을 활용하였으며, 자료수집을 위해 FGI(Focus Group Interview)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1)이동지원, 2)경제활동, 3)장애인종합복지관, 4)지방자치단체의 복지 정책 및 서비스’ 4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이동지원 서비스는 파주시 장애들이 일상생활 수행에 있어 가장 불편함을 느끼는 취약한 부분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들은 경제활동에 대한 욕구가 높은 반면 안정적인 일자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셋째, 장애인복지관은 장애인들에게 서비스 전달 기능뿐만 아니라 정보 교류, 지지체계 형성, 여가의 장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하지만 접근성의 취약함과 수요자 욕구에 맞는 프로그램 기획 등 지역사회 자원의 발굴과 연계의 노력이 요구되었다. 마지막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에 있어 활동지원 서비스의 보완, 의료비 지원의 요구와 함께 지역사회의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공동체 문화 형성이 필요성으로 부각되었다. 본 연구는 파주시 장애인들의 사회복지 욕구를 탐색하고 향후 지역사회 및 장애인종합복지관의 정책 및 서비스 실현에 필요한 실질적인 내용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al lifestyles and needs of disabled people living in PaBu City in relation to welfare. We will seek ways to improve the welfare of disabled people based on their awareness and experience of welfare. We will ultimately g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welfare of the disabled. In this study,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GI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mobility support, 2)economic activities, 3)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4)welfare policies and services of local governments. First, the mobile support service is the most vulnerable part of the PaBu City disability that makes it inconvenient for daily life. Second, disabled people have difficulty in securing stable Bobs while they have a high desire for economic activities. Third, th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has various roles as well as the service delivery function for the disabled. However, it need to provide community resources such as program planning to meet the need of accessibility and to make efforts to link them. Finally, in the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activities support services, and the medical expenses, and to form the support system of the community.

      • KCI등재

        일반논문 :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법적 지위 비교 분석

        광병 ( Kwang Byung Kim ),김기화 ( Gihwa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5

        우리나라는 유치원교육과 보육이 이분화 되어 발전되어 왔으나 유보통합으로의 정책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법적 지위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앞으로 지속될 유보통합 과정에서 수반되어야 하는 교사 자격관리 체계 정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법률의 내용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법적체계는 상이하다. 유치원교사는 교원으로서 교육을 제공하고, 보육교사는 사회복지서비스로서 보육을 제공한다. 둘째, 유치원교사는 전문성 및 예우, 처우 및 지위 향상, 신분보장에 관한 권리에서 보육교사보다 법적 지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법적 의무(책임)분석 결과, 주요 의무(책임) 내용이 다르게 구성되어 있었다. 유치원교사는 교육관련 규정이, 보육교사는 건강, 안전, 인권과 같은 보육규정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또한, 보육교사는 유치원교사보다 이행해야 할 의무(책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유치원교사는 보육교사 보다 권리 확보가 법적 차원에서 비교적 잘 이루어져 있었다. 반면, 수행해야 할 의무(책임)는 보육교사가 더 높았다. 따라서 유치원교사가 보육교사보다 높은 법적 지위를 확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date in Korea, kindergarten education and childcare have developed separately, but now there is a revolutionary policy that combines the two, called kindergarten and childcare integration. In this regar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egal status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teachers,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necessary to structure a qualification management system that is required in the continuous process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integration. This study made use of the content analysis method of related laws. The key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legal systems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teachers differ. Kindergarten teachers provide education as teachers, whereas childcare teachers provide childcare as part of the available social welfare services. Secondly, kindergarten teachers were shown to have a higher legal status in terms of their rights than childcare teachers, with regard to professionalism and respectful treatment, status advancement, and identity security.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legal obligations (responsibilities), the contents of their main obligations (responsibilities) were structured differently. For kindergarten teachers, they involved education-related regulations, whereas for childcare teachers, they involved such childcare matters as health, safety, and human rights. In addition, childcare teachers were shown to have more obligations (responsibilities) than kindergarten teachers. As shown, kindergarten teachers have more structured acquisition of rights from a legal aspect than do childcare teachers. However, childcare teachers had more obligations (responsibilities). Therefore, it was shown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ve a higher legal status than childcar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