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트위터 이용자의 뉴스관

        김균수 한국언론학회 2013 한국언론학보 Vol.57 No.2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와 저널리즘의 관계를 뉴스 생산자가 아닌 뉴스 이용자의 관점에서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트위터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뉴스관을 기자 역할, 기자 규범 그리고 저널리즘 권위로 나눠 살펴봤다. 또한 트위터 이용자의 뉴스관이 트위터를 뉴스 미디어로서 이용하는 동기 및 트위터를 통한 저널리즘 실천 행위와 어떻게 관련되는지 조사했다. 연구 결과, 트위터 이용자의 뉴스관은 전통적인 기자 역할 및 기자 규범에 대한 인식의 공유와 함께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기자 역할 및 기자 규범이 새롭게 형성되고 있었다. 또한 트위터를 통한 뉴스 이용 동기 및 저널리즘 실천 행위와 지각된 뉴스관의 관계가 획일적이기보다는 특정 동기 및 실제적인 저널리즘 실천 행위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제도 및 사회적 기능으로서의 저널리즘이 생산적, 기술적, 그리고 직업적 권위를 유지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한 실용적 함의를 도출했다.

      • Why Partisans Perceive News Media as Biased?: The Role of Motivation and Political Discussion

        김균수 한국언론학회 2012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Vol.9 No.1,2

        The hostile media perception is an interesting twist to media bias studies because it shows that individuals’ own characteristics, such as their ideological standpoints and partisanship, can contribute to their perception of media bias in a biased manner. Using global warming as a political issue in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role of motivations (i.e., preservation vs. accuracy goals) in hostile media perception and investigate political discussion as an antecedent of hostile media perception. The results consistently support the conceptualization of hostile media perception as a preservationmotivated skepticism by indicating a significant decrease of hostile media perception when partisans had an accuracy motivation. Neither safe nor dangerous discussion (i.e. conversations with ideologically similar persons vs. talk with ideologically different people) themselves has influences on the biased perception of media bias. However, an interesting interaction between dangerous discussion and partisan motivations in hostile media perception has been fou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y suggesting ways to reduce hostile media perception.

      • KCI등재

        기자는 트위터를 어떻게 이용하는가?

        김균수(Kyun Soo)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1

        본 연구는 기자들이 직접 올린 트위터 메시지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기자규범이 트위터상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저널리즘의 진화 및 미래와 관련한 몇 가지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첫째, 기자들이 트위터를 이용할 경우 사적공간이기 보다는 기자 업무의 연장 혹은 이러한 구분에 별 의미를 두지 않고 이용하는 경향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기자규범과 관련해 트위터를 이용하는 기자들은 전통적 객관성 규범을 지키기 보다는 의견을 적극적으로 제시했지만 게이트 키핑 역할의 공유는 의견표명만큼 활발하진 않았다. 또한 소셜 미디어의 교류적 특성이 기자규범으로써의 투명성을 높이는 수준으로까지 진전되지는 못했다. 하지만 새로운 기자규범으로 기대되는 독자대화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가능성을 보였다. 끝으로 기자 트위터 이용과 기자 규범의 관계가 획일적이기 보다는 언론사 규모, 매체유형, 그리고 성별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journalistic norms are practiced in journalists tweets by analyzing journalists’ twitter. The study found that journalists consider using twitter as an extension of journalistic practice rather than a private space. In other words, journalists use twitter without a clear distinction about the nature of the twitter. In terms of journalistic norms, journalists expressed actively their opinion rather than keeping the traditional notion of objectivity. There are not much tendency of sharing the gatekeeping role. Also, journalistic use of twitter does not increase transparency as much as expected. However, there is a positive sign of practicing the newly expected journalistic role, conversation with news users. Finally the relationships between journalistic use of twitter and journalistic norms are not straightforward but diverse depending on the size and type of press, and gender of journalists.

      • KCI등재

        공공저널리즘과 수용자 관여 : ‘프로슈머’로서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 후원자의 역할 인식과 저널리즘 실천

        김균수 ( Kim Kyunsoo ),유수정 ( Yoo Soojung ) 한국지역언론학회 2021 언론과학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 프로젝트의 수용자 관여 특성과 공공저널리즘적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후원자들이 자신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펀딩을 통해 뉴스 생산에 관여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저널리즘을 실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크라우드펀딩 후원 동기와 후원자 역할 인식의 관계는 사회적 인정 및 연결 동기가 가장 부각됐으며 사회적 영향력 동기가 뒤를 이었다. 둘째, 뉴스재원 방식에 대한 태도 역시 후원자의 역할 인식과 다양한 관계를 보였지만, 크라우드펀딩 경험이 많은 사람들이 뉴스 ‘공동생산자’를 포함한 세 가지 차원의 후원자 역할 인식과 모두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셋째, 후원자의 역할을 ‘공동생산자’와 ‘투명성 감시자’로 인식할 때 팩트체크와 펀딩 결과물에 책임을 묻는 행위를 더 적극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저널리즘 권위 인식과 관련해 뉴스는 기자가 작성하고 배포해야 한다는 생산 주체 권위 인식과 게이트키핑 관점에서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에 참여하는 동기가 팩트체크 행위와 책임성 행위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과를 토대로 크라우드펀딩 저널리즘을 통한 뉴스 프로슈머의 생산 관여 행위가 궁극적으로 저널리즘의 공공성을 회복하기 위한 공공저널리즘 논의와 어떻게 연결되고 또 지속되어야 하는지 함의를 논의했다. In order to reveal the public journalism properties of crowdfunding journalism, this study examines how people who support crowdfunding journalism perceive their role, and furthermore, how to practice journalism in the process of engaging in news production at the financial level through funding.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related to news prosumers’ involvement in news production including the sponsor’s motives for crowdfunding sponsorship, their attitude toward news funding methods, the general perception of the role of the media, and the perception of journalism authority, and the sponsor’s role perception and journalism practice behavior.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rowdfunding support motivation and role recognition as a supporter, social recognition and connection motivation were the most highlighted, followed by social influence motivation. Second, the attitude toward the news funding method also showed various relationships with the role perception of crowdfunding sponsors, but those with a lot of experience in sponsoring through crowdfunding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perception of the sponsor role in all three dimensions, including the news ‘co-producer’. Third, looking at how crowdfunding sponsors practice journalism through project funding, when they recognize the role of crowdfunding sponsors as ‘co-producer’ and ‘transparency monitor’, the act of fact-checking and holding accountable for the results of funding is more appeared to be active. Fourth, in relation to the perception of authority on journalism, the motive for participating in crowdfunding journalism from the perspective of gatekeeping and the recognition of the authority of the producer that news should be written and distributed by reporters is positive in both fact checking and accountability through crowdfunding journalism.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how news prosumers’ involvement in news production through crowdfunding journalism should be connected and continued with public journalism discussions to ultimately restore the publicness of jour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