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형 기름유출사고와 방제조치에 관한 연구 -1. 국내외 해양기름오염사고 건수와 유출량

        김광수,Kim, Kwang-Soo 해양환경안전학회 201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9 No.2

        해양기름오염방지를 위한 정량적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최근 20년간(1993년-2012년) 국내 및 세계의 해양에서 발생한 기름유출사고에 관한 통계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최근 20년간 국내 연안에서 발생한 기름오염사고건수는 총계 6,608건으로 평균 약 330건/년이었고 기름유출량은 총계 57,328 kL로 평균 약 2,866 kL/년이었다. 국내에서 유조선의 대량기름유출사고로 인하여 연간유출량이 1993년에 15,388 kL, 1995년에 15,773 kL, 1997년에 3,428 kL, 2007년에 13,008 kL로 크게 증가하였다. 최근 20년간(1993년-2012년) 세계의 사고건수는, 기름유출량이 8 kL(7톤) 이상인 경우, 총계 420건으로 평균 21건/년이었고, 세계의 기름유출량은 총계 약 800,000 kL(704,000톤)로 평균 약 40,000 kL(35,200톤)/년이었다. 특히 2012년에는 800 kL(700톤)을 초과하는 기름유출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기름유출량이 8 kL(7톤) 이상인 사고에서 유조선의 대량기름유출사고로 인하여 세계의 연간기름유출량은 1993년에 약 159,000 kL(140,000톤), 1994년에 약 147,600 kL(130,000톤), 1996년에 약 90,900 kL(80,000톤), 1997년에 약 81,800 kL(72,000톤), 2002년에 약 76,100 kL(67,000톤)로 크게 증가하였다. 국내와 세계를 비교하면, 국내적으로나 세계적으로 공히 20년간 연간사고건수와 연간기름유출량과의 상관관계는 명확하지 않았으며 사고건수와 유출량이 모두 연도별로 변동 폭이 크지만 해가 거듭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008년부터 세계의 사고건수와 유출량은 모두 크게 감소하였고, 특히 2012년에는 800 kL(700톤) 이상의 기름유출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In order to obtain quantitative basic data for marine oil pollution prevention, the statistics of oil spill incidents in Korea and in the world for 20 years from 1993 to 2012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relation to the number of oil spills and the amount of oil spilt. In Korea for 20 years, total number and average annual number of oil spills were 6,608 cases and nearly 330 cases/year, respectively, and total volume and average annual volume of oils spilt were 57,328 kL and nearly 2,866 kL/year, respectively. Due to major oil spills from oil tankers, annual volumes of oils spilt in Korea were sharply increased to 15,388 kL in 1993, 15,773 kL in 1995, 3,428 kL in 1997 and 13,008 kL in 2007. In case of worldwide oil spills for 20 years, total number and average annual number of oil spills of 8 kL (or 7 tonnes) and above were 420 cases and 21 cases/year, respectively, and total amount and average annual amount of oils spilt 8 kL (or 7 tonnes) and above were about 800,000 kL (or 704,000 tonnes) and about 40,000 kL/year (or 35,200 tonnes/year), respectively. Major oil spills from oil tankers increased massively annual amounts of oils spilt worldwide to about 159,000 kL (or 140,000 tonnes) in 1993, about 147,600 kL (or 130,000 tonnes) in 1994, about 90,900 kL (80,000 tonnes) in 1996, about 81,800 kL (72,000 tonnes) in 1997 and about 76,100 kL (or 67,000 tonnes) in 2002. Obvious correlation between annual number of oil spills and annual amount of oil spilt was not found in both Korea and the world, while both annual number and annual volume tended to decrease with the lapse of year in both Korea and the world, though there were wide fluctuations from year to year in both annual number of oil spills and annual amount of oils spilt worldwide and in Korea for 20 years. From 2008 to 2012 worldwide, there were sharp decreases in both annual number and annual amount of oil spills. In particular, no oil spill of 800 kL (or 700 tonnes) and above occurred in the year of 2012.

      • KCI등재

        국내 해양시설의 신고 현황과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2. 지역별 및 시설종류별 현황을 중심으로

        김광수,Kim, Kwang-Soo 해양환경안전학회 201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6 No.3

        2009년 말 기준의 국내 해양시설 신고 현황을 지역별 및 시설 종류별로 분석하고 국가차원의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여수청에 신고한 시설이 8가지 종류로 가장 다양하였으나 포항청, 대산청 및 제주해양관리단에 신고한 시설이 각각 3가지 종류에 불과하였다. 기름 및 유해액체물질 저장시설은 모든 지방청의 신고 실적이 있고 시설의 수도 가장 많은 종류이며, 여수청과 마산청이 각 38개소로 공동 1위를, 평택청이 11개소로 최하위를 차지하였다. 오염물질저장시설은 마산청이 4개소, 동해청과 목포청이 각 2개소, 여수청, 군산청 및 평택청이 각 1개소였으며 나머지 지방청에는 신고 실적이 없었다. 선박건조 수리 해체시설은 모든 지방청의 신고 실적이 있는 종류이며, 전국 시설(조선소)의 45%가 마산청과 부산청 관할의 남해 동부해역에 집중되었다. 하역시설은 부산청과 목포청이 각 3개소, 대산청이 1개소였으며 나머지 지방청은 신고 실적이 없었다. 폐기물저장시설은 울산청이 5개소, 군산청이 4개소, 인천청이 2개소, 여수청이 1개소였으며 나머지 지방청에는 신고 실적이 없었다. 취수 배수시설은 전국의 65%가 포항지역과 목포지역에 집중되었고, 유어장은 전국의 78%가 마산지역에 집중되었다. 그 밖의 시설은 동해청이 4개소, 마산청이 3개소, 여수청과 평택청이 각 2개소, 인천청과 울산청이 각 1개소였으며 나머지 지방청에는 신고 실적이 없었다. 종합해양과학기지는 제주해양관리단이 3개소, 여수청, 울산청 및 군산청 각각 1개소였으나 나머지 지방청에는 신고 실적이 없었다. 해양시설에 대한 국가차원의 관리방안으로는 지방청별 여건을 고려한 관리, 시설 종류별 특성을 고려한 관리, 관계 법령 및 규정의 개정, 해양시설 종류별 이행사항 숙지 및 준수, 국가적 견지의 적극적 관리조치 등을 제안하였다. Present state of nationwide marine facilities reported to 12 regional maritime affairs and port offices of MLTM in Korea for two years 2008 and 2009 was analyzed based on region and type of facilities, and national management plan was proposed in this study. As of the end of 2009, 8 types of marine facilities were reported to Yeosu regional maritime affairs and port office, while only 3 types of facilities were reported to Pohang, Daesan and Jeju regional offices, respectively. Oil and noxious liquid substances storage facilities belonged in the type of facility which was reported to all of 12 regional offices, and ranged from 11 facilities reported to Pyeongtaek regional office to the respective 38 facilities to Yeosu and Masan regional offices. In pollutants storage facilities, 4 facilities were reported to Masan regional office, 2 facilities to Donghae and Mokpo regional offices, respectively, 1 facility to Yeosu, Gunsan and Pyeongtaek regional offices, respectively, and none of facilities to the other regional offices. Ship construction, repair and scrap facilities belonged in the type of facility which was reported to all of 12 regional offices, and 45% of the facilities were concentrated in Southeastern Sea of Korea centering around Busan and Masan. In cargo handling facilities, 3 facilities were reported to Busan and Masan regional offices, respectively, 1 facility to Daesan regional office, and none of facilities to the other regional offices. In wastes storage facilities, 5 facilities were reported to Ulsan regional office, 4 facilities to Gunsan regional office, 2 facilities to Incheon regional office, 1 facility to Yeosu regional office, and none of facilities to the other regional offices. 65% of nationwide water intake and drainage facilities were concentrated in the areas of Pohang and Mokpo, and 78% of nationwide fishing spots at play were concentrated in the area of Masan. In other marine facilities, 4 facilities were reported to Donghae regional office, 3 facilities to Masan regional office, 2 facilities to Yeosu and Pyeongtaek regional offices, respectively, 1 facility to Incheon and Ulsan regional offices, respectively, and none of facilities to the other regional offices. In integrated marine science base facilities, 3 facilities were reported to Jeju regional office, 1 facility to Yeosu, Ulsan and Gunsan regional offices, respectively, and none of facilities to the other regional offices. The management based on the circumstances of regional offices, the manageme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of facilities, the amendment of the relevant rules and regulations, facility owner's full knowledge and observance of the relevant rules and regulations with regard to the relevant type of facilities, and positive management actions from national point of view were proposed for national management plans of marine facilities.

      • KCI등재후보

        국내 가축분뇨 해양배출의 현황과 대책

        김광수,Kim, Kwang-Soo 해양환경안전학회 2007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3 No.4

        국내에서 가축분뇨 폐기물의 해양배출에 관한 현황 및 정부와 업계의 입장을 살펴보고, 정부(해양수산부 및 농림부)와 업계(대한양돈업협회 및 해양배출협회) 간의 갈등을 해결하는 대책을 검토하였다. 갈등해결을 위한 대책으로서 첫째, 가축분뇨 전량 육상처리의 가능성에 대한 사전 검토, 둘째, 가축분뇨 육상처리에 따른 민원해결방안의 강구, 셋째, 법제화된 규칙의 시행 가능성에 대한 사전검토, 넷째, 양돈업계나 해양배출업계와 같은 관련 업계를 위한 지원 방안의 강구, 다섯째, 국가차원의 폐기물해양배출제도 전면 재검토 등이 제시되었다. In order to take measures for solving conflicts between the relevant Ministries of Korean government such as MOMAF(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and MAF(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and the relevant industry circles such as KSA(Korea Swine Association) and KODA(Korea Ocean Dumping Association) regarding the prohibition of ocean dumping of livestock excreta wastes from land, the present conditions of marine disposal of livestock excreta wastes and the standpoints of MOMAF, MAF, KSA and KODA were reviewed in Korea. As measures for solving the conflicts, the followings were proposed; A prior examination into the possibility of the treatment and/or disposal on shore for the total amount of livestock excreta wastes in Korea, measures for solving civil appeals against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treatment and/or disposal on shore of livestock excreta wastes, a prior examination into the possibility of the execution of the amendments to the relevant rules and regulations of Korean marine pollution prevention law for the prohibition of ocean dumping of livestock excreta wastes, measures for supporting the relevant industry circles such as KSA and KODA which were expected to suffer from the prohibition of ocean dumping, and an overall review of the national system for ocean dumping of terrestrial wastes in nationwide level.

      • KCI우수등재

        회전형(回轉型) 축열식(蓄熱式) 열교환기(熱交換器)에서의 온도효율(溫度效率)에 관한 연구(硏究)

        김광수,Kim, Kwang Soo 대한설비공학회 1989 설비공학 논문집 Vol.1 No.1

        This paper treats the temperature effectiveness of the two-fluid counterflow regenerator in a rotary type. To avoid continual interpolation and to obtain the simple result in calculating that, it obtained the particular solution for the direct-transfer-type counterflow heat exchanger by the graphical procedures. Also, it introduced the empirical formula for the influence of the ratio of rotor matrix to minimum working fluid heat capacity rate with the particular solution induced. Particularly, substituting the published results of temperature effectiveness into the program, it obtained the simple and convenient equation which can applicate in the counterflow regenerator in a rotary type. To compare and discuss the results induced, selecting the regenerative air preheater and applying the their running datum and specifications to the related results, it shows that the above results are agree with the published results within absolute relative error, 3.0%.

      • KCI등재

        대형 기름유출사고와 방제조치에 관한 연구 2. 국내 해양 기름오염사고 분석

        김광수,Kim, Kwang-Soo 해양환경안전학회 201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9 No.5

        해양 기름오염 방제조치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정량적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최근 10년간(2003~2012년) 국내 연안에서 발생한 기름오염사고에 관한 통계자료를 수집하여 연간 기름오염사고 건수와 연간 기름 유출량을 사고 원인(Cause)별, 오염원(Source)별, 해역(Sea area)별로 분석하였다. (1) 사고 원인별로 분석한 결과, (1) 부주의로 인한 사고 건수(1,429건)와 해양사고로 인한 사고 건수(790건)가 각각 전체 건수(2,833건)의 50.4 %와 27.9 %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해가 거듭될수록 해양사고로 인한 사고 건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부주의로 인한 사고 건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 해양사고로 인한 유출량(17,400 kL)이 전체 기름 유출량(17,877 kL)의 97.3 %를 차지하였고 부주의로 인한 기름유출량(294 kL)이 1.7 %를 점유하였다. (2) 오염원별로 분석한 결과, (1) 어선에 의한 사고건수(1,210건)가 전체 건수(2,833건)의 42.7 %, 기타 선박에 의한 사고 건수(620건)가 21.9 %, 화물선에 의한 사고 건수(367건)가 13.0 %, 유조선에 의한 사고 건수(261건)가 9.2 %를 차지하였다. 해가 거듭될수록 어선에 의한 사고 건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여전히 높은 수치를 보인 반면에 화물선과 기타 선박에 의한 사고 건수는 완만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유조선에 의한 사고 건수는 연간 13~37건으로 해마다 크게 변동하였다. (2) 유조선의 기름 유출량(15,488 kL)이 전체 기름 유출량(17,877 kL)의 86.7 %를, 기타 선박의 기름 유출량(898 kL)이 5.0 %를, 화물선의 기름 유출량(733 kL)이 4.1 %를, 어선의 기름 유출량(590 kL)이 3.3 %를 차지하였다. (3) 해역별로 분석한 결과, (1) 남해에서의 사고 건수(1,613건)와 기름 유출량(3,804 kL)은 전체 사고 건수의 56.9 %와 전체 기름 유출량의 21.3 %를, 서해에서의 사고 건수(700건)와 기름 유출량(13,501 kL)은 전체 사고 건수의 24.7 %와 전체 기름 유출량의 75.5 %를, 동해에서의 사고 건수(520건)와 기름 유출량(572 kL)은 전체 사고 건수의 18.2 %와 전체 기름 유출량의 3.2 %를 차지함으로써 사고 건수에서는 남해가 최고였고 기름 유출량에서는 2006년까지는 남해가 최고(1위)였으나 2007년 유조선 Hebei Spirit호 기름유출사고 이후에는 서해가 최고(1위)였으며, 동해에서의 사고 건수와 기름 유출량이 모두 남해나 서해보다 적은 값으로 나타났다. (2) 해가 거듭될수록 동해와 남해에서의 사고 건수와 기름 유출량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서해에서는 사고 건수가 연도별 증감의 변동 폭이 적어 거의 일정한 경향을 보였으며 기름 유출량은 연도별로 증감의 변동 폭이 컸다. In order to seize quantitative materials as part of studies on measures for oil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the statistics of oil pollution incidents in Korean coastal waters for 10 years from 2003 to 2012 were analyzed with relation to the number of oil spills and the volume of oil spilt according to causes, sources and sea areas of spills. Total number and total volume of oil spills for 10 years were found to be 2,833 cases and 17,877 kL, respectively. 50.4 %(1,429 cases) of total number of oil spills were caused by negligence, although oil spillage due to negligence was 294 kL(1.7 %). While oil spillage caused by marine accidents was 17,400 kL(97.3 %), marine accidents accounted for 27.9 %(790 cases) of total number of oil spills. While negligenc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number of oil spills, marine accidents had a huge impact on the amount of oil spilt. Fishing boats accounted for 42.7 %(1,210 cases) of the number of oil spills, and although oil tankers accounted for 9.2 %(261 cases) of the number of oil spills, oil spillage from oil tankers was 15,488kL(86.7 %). It means that oil tankers such as VLCC or ULCC may be the main sources of major oil spills and a few very large spills are responsible for a high percentage of the amount of oil spilt. While the number of oil spill incidents was closely related to the accidents of fishing boats, the volume of oil spilt was greatly affected by the major oil spill incidents of oil tankers such as M/T Hebei Spirit. The number and volume of oil spills were shown to be 1,613 cases(56.9 %) and 3,804 kL(21.3 %) in South Sea, 700 cases(24.7 %) and 13,501 kL(75.5 %) in West Sea, and 520 cases(18.2 %) and 572 kL(3.2 %) in East Sea of Korea, respectively. The highest number of oil spills was found in South Sea and the most volume of oil spilt was shown in West Sea of Korea for 10 years.

      • Biofeedback in Rehabilitation

        김광수,Kim, Gwang-Su 대한물리치료사협회 1987 물리치료 Vol.46 No.-

        Basmajian JV : Biofeedback in rehabilation: review of principles & Practices. Arch phys Med Rehabil 62:469-475 page ,1981 발행

      • KCI등재

        SNMP를 연동한 콘텐츠 중심 네트워킹 망관리를 위한 이름 구조 및 이의 구현

        김광수,노병희,Kim, Kwangsoo,Roh, Byeong-hee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7 No.5

        Content-centric networking (CCN) is a future Internet technology to reorganize the paradigm of end-to-end communication of the current IP-based Internet architecture into a content-based paradigm. In managing such new networks, the network manage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The standard for typical network management in existing IP networks is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works to implement network management functions on CCN, they have their own limitations to apply them to pure CCN operational environments. The basic reason of the limitation is that existing methods operate in an IP-overlay structure, or do not support push-type information exchang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naming structure that can accommodate both pull and push-type SNMP methods for CCN network management with SNMP. Then, methods to support GET and TRAP methods as well as a SET method of SNMP in the pure CCN environment using the proposed naming structure are proposed. We implement the proposed method using CCNx, and construct a CCN network testbed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by monitoring appropriate exchange of SNMP messages over the testbed.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Contents-Centric Networking, CCN)는 현재의 IP 기반 인터넷에서의 단대단 통신 패러다임을 콘텐츠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한 미래 인터넷 기술이다. 이러한 새로운 네트워크를 운영하는데 있어서, 망관리는 매우 중요한 기능들중의 하나이다. 기존의 IP 네트워크에서 전형적인 망관리 표준은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이다. CCN에 망관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있었으나, 이들을 순수한 CCN 운영 환경에 적용하는데에는 각각의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갖는 주된 이유는 기존 방법들이 IP-overlay 구조로 운용되거나, push 형태의 정보 전달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SNMP를 연동한 CCN 망관리를 위하여, pull과 push-type의 SNMP 메쏘드들을 CCN에서 모두 수용 가능한 새로운 naming structure를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하는 naming structure를 활용하여 순수 CCN 환경에서 SNMP의 network 와 node의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GET과 TRAP 메쏘드 뿐만 아니라, 이들의 설정을 위한 SET 메쏘드를 지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제안 방법을 CCNx를 활용하여 구현하고 한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테스트베드상에서 SNMP 메시지들이 정상적으로 교환됨을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