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조 고등어 섭취가 마우스의 간 및 신경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최형주,김경근,임선영,Choi, Hyung-Ju,Kim, Kyung-Kun,Lim, Sun-Young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n-3계 지방산이 풍부하게 함유된 고등어를 기존의 열풍건조기의 단점을 보완하고 높은 온도에서 손실되는 영양소를 막기 위해 저온진공건조기를 도입하여 건조시킨 후, 건조고등어의 섭취에 의한 간 및 신경조직에서의 지방산 조성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간 지방산 조성의 경우, 고등어군의 총 n-6 지방산 함량은 두 군에서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고등어군에서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N-3 계열 지방산 중에서 특히 DHA의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229% 증가하였다(p<0.05). 대뇌 피질의 지방산 조성의 경우, 고등어군의 총 monounsaturated 지방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총 n-6 지방산의 함량은 감소하였다(p<0.05). 반면 총 n-3 지방산은 대조군에 비해 12%로 증가하였고 그 중에서 22:5n-3와 DHA의 함량은 고등어군에서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p<0.05). 소뇌의 지방산 조성의 경우, 총 지방산 함량과 총 n-6 지방산의 함량이 고등어군에서 대조군보다 감소하였고,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두 군 간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n-3계 지방산중 22:5n-3의 함량은 200%로 증가하였다(p<0.05). 망막의 지방산 조성의 경우, 고등어군의 총 n-6 지방산의 함량은 대조군보다 감소하였으나,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n-3계 지방산 중에서 20:5n-3과 22:5n-3이 각각 200%, 67%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n-3 지방산을 많이 함유한 건조 고등어 식이는 간 및 신경조직의 총 n-3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켰고, 특히 간, 대뇌 피질에서의 DHA의 함량을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건조 고등어 섭취는 뇌의 DHA 함량을 증가시켰으므로 향후 공간 기억력 테스트를 행하여 고등어 섭취에 의한 뇌 기능 개선 효과와 뇌의 DHA 함량 증가와의 상호 연관성에 대하여 검토할 예정이다.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feeding dried mackerel as a means of increasing the intake of these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fatty acid compositions in liver and nervous tissue. Twenty male mice aged at 4 weeks were fed on the control (5% palm oil, control group) and 5% dried mackerel diets (mackerel group) for four weeks. In fatty acid compositions of liver and cortex, levels of total n-3 fatty acid, specially docosahexaenoic (22:6n-3, DHA) and eicosapentaenoic (20:5n-3, EPA) acids, were increased in the mackere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le docosapentaenoic acid (22:5n-6, DPAn-6) levels were decreased (p<0.05). In cerebellum and retina, levels of DH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mackerel groups, but levels of total n-6 fatty acids and arachidonic acid (20:4n-6, AA) were decreased in the mackere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ntake of 5% dried mackerel increased levels of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cortex. Thus, we will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rain function and cortex fatty acid compositions following intake of mackerel by assessing discrimination leaning ability.

      • SCOPUSKCI등재

        멤브레인형 LNG 수송선 코파담내의 난류 자연대류

        정한식,정효민,김경근,노승탁,Chung, Han Shik,Jeong, Hyo Min,Kim, Kyung Kun,Ro, Sung Tack 대한기계학회 1999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3 No.2

        The turbulent natural convection in the membrane type LNG carrier cofferdam with heating points has been studied by numerical method. As the numerical methods, we introduced the three turbulence model, a standard $k-{\varepsilon}$ model and two case of a low Reynolds number models. The parameters considered for this study ore number and capacity of heating points i.e., $1{\leq}Ns{\leq}12$ and $1.0{\times}10^5{\leq}Qs(W/m^3){\leq}1.0{\times}10^8$. The results of the isotherms and velocity vectors have been represented for various parameters. The temperature and velocity at upper position in the space ore shown to be higher than those at lower position. For obtaining the optimal temperatures, $20{\sim}30^{\circ}C$ in the cofferdam space, the heating capacities show $2.0{\times}10^7W/m^3$ at g-heating points and $1.0{\times}10^7W/m^3$ at 12-points. The mean temperature in the cofferdam space can be expressed as a function of number and capacity of heating points.

      • KCI등재후보

        저온 진공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된 고등어의 투여가 마우스 혈청과 조직의 지질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최형주,김창복,김경근,임선영,Choi, Hyung-Ju,Kim, Chang-Bok,Kim, Kyung-Kun,Lim, Sun-Young 한국해양바이오학회 2006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Vol.1 No.3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열풍건조기계의 단점을 보완하고 높은 온도에 의한 영양소 손실을 막기 위하여 저온 진공 건조기를 도입하여 고등어를 건조 시킨 후 마우스에 섭취시켜 고등어에 의한 혈청, 심장, 신장 및 지방조직에서의 지방산 조성 변화와 지질대사 개선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등어군의 혈청, 심장 및 신장 균질물에서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대조군(control)보다 낮은 경향이었으며 HDL-콜레스테롤 함량의 경우 고등어군의 혈청과 심장 균질물에서 대조군(control)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청 지방산 조성의 경우, 고등어군의 총 n-6 지방산 함량은 대조군(control)보다 감소한 반면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고등어군에서 대조군(control)보다 증가하였다. N-3 계열 지방산 중에서 특히 22:6n-3의 함량은 대조군(control)에 비해 185% 증가하였다(p<0.05). 심장의 지방산 조성의 경우, 고등어군의 총 monounsaturated 지방산의 함량에서는 대조군(control)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총 n-6 지방산은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총 n-3 지방산은 대조군(control)에 비해 증가하였고 그 중에서 22:5n-3와 22:6n-3의 함량은 고등어군에서 대조군(control)보다 증가하였다(p<0.05). 신장의 지방산 조성의 경우, 총 지방산 함량은 고등어군에서 대조군(control)보다 감소하였고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대조군(control)에 비해 고등어군에서 증가하였으며 그 중에서 22:6n-3의 함량은 105%로 증가하였다(p<0.05). 지방조직의 지방산 조성의 경우, 총 monounsaturated 지방산의 함량은 고등어군에서 대조군(control)보다 증가하였고 고등어군의 총 n-6 지방산의 함량은 대조군(control)보다 감소하였으나(p<0.05), 총 n-3 지방산들 중 DHA 함량은 고등어군에서 매우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n-3 지방산을 많이 함유한 건조 고등어 식이는 혈청, 심장 및 신장의 n-3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켰으며 이렇게 증가된 n-3 지방산은 각 조직의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농도의 감소와 HDL-콜레스테롤 농도의 증가 경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향후 n-3 지방산의 급원으로 건조 고등어의 활용도가 기대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 use of dried mackerel, which is enriched with docosahexaenoic (22:6n-3, DHA) and eicosapentaenoic (20:5n-3, EPA) acids, as a means of increasing the intake of these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nsumption of mackerel on tissue triglyceride, cholesterol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Twenty male mice were fed on 5% palm oil (control group) and 5% dried mackerel (mackerel group) diets for four weeks. Total triglyceride,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s tended to decrease in serum, heart and kidney of the mackere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le HDL-cholesterol levels were increased with the intake of mackerel. In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rum and heart, the mackerel group showed increased percentages of n-3 fatty acids, especially DHA and EPA, and decreased percentages of arachidonic (20:4n-6, AA) and docosapentaenoic (22:5n-6, DPAn-6) acid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5). There was a similar tendency in kidney and adipose tissue but AA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mackerel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take of dried mackerel as the n-3 vehicle for increasing tissue n-3 fatty acids may be associated with improvement in lipid metabolism.

      • KCI등재
      • KCI등재

        건조 비트(Beta vulgaris) 추출물의 Cell System에서 항산화 및 항암 효과

        장주리(Joo Ri Jang),김경근(Kyung Kun Kim),임선영(Sun-Young L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7

        저온 진공 공정으로 건조된 비트를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이들 비트 추출물 및 분획물들에 의한 인체 결장암 및 위암세포에 대한 증식 및 세포 내 활성산소종 억제 효과에 대해 검토하였다. 인체 결장암세포(HT-29)의 경우, A+M 추출물은 0.5 ㎎/mL 첨가농도에서 65%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p<0.05), MeOH 추출물은 A+M 추출물과 비교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음을 관찰하였다. 건조 비트 추출물을 hexane, 85% aq. MeOH, BuOH, water로 다시 추출하여 얻어진 각각의 분획물들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특히 hexane 및 85% aq. MeOH 분획물은 낮은 농도에서부터 활성을 나타내어 0.5 ㎎/mL 농도에서 76% 이상의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p<0.05)를 나타내었다. 인체 위암세포(AGS)에 대한 결과에서 A+M 추출물은 인체 결장암세포(HT-29)의 결과와 비교했을 때 암세포증식 억제효과가 높았고, MeOH 추출물은 A+M 추출물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앞서 인체 결장암세포(HT-29)에 비해 다소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보였다. 건조 비트 추출물의 분획물들을 농도별로 인체 위암세포(AGS)에 처리했을 때 hexane과 85% aq. MeOH 분획물은 앞서의 인체 결장암세포(HT-29)의 결과와 유사하게 낮은 농도에서부터 활성이 나타나 0.25 ㎎/mL 이상의 농도에서 77% 이상의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 내 활성산소종 억제 실험에서 건조 비트 A+M 및 MeOH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측정시간 120분 동안 500 μM H₂O₂만을 처리한 control군에 비해 세포 내 활성산소종을 크게 억제시켰다. 건조 비트 분획물들을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에 처리했을 때 첨가농도 0.1 ㎎/mL로 처리하였을 때 BuOH 분획물을 제외한 기타 분획물들의 경우 control군보다는 낮은 수치를 나타내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첨가농도 0.25 ㎎/mL에서 85% aq. MeOH 분획물은 세포 내 활성산소종을 감소시키는데 우수한 능력을 나타내었고 hexane과 BuOH 분획물은 500 μM H₂O₂만을 처리한 control군에 비해서는 활성산소종을 감소시켰으나 blank 군보다는 높았다. 따라서 세포 내 활성산소종 감소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85% aq. MeOH 분획물에서 높았고 water 분획물의 효과가 가장 낮았음을 살펴 볼 수가 있었다. The inhibitory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dried beet (Beta vulgaris) on H₂O₂-induced oxidative stress in cell systems and on the growth of cancer cell lines (HT-29 human colon cancer and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were investigated. Inhibitory effects of acetone with methylene chloride (A+M) and methanol (MeOH) extracts on the growth of HT-29 and AGS cancer cells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p<0.05). The inhibitory effect was more significant on the growth of AGS cells and A+M extracts had a higher inhibitory effect compared to MeOH extracts. The treatments of hexane, 85% aq. methanol, butanol and water fraction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rowth of both cancer cells (p<0.05). Among fractions, hexane and 85% aq. methanol fractions showed higher inhibitory effects. In order to determine the protective effect on H₂O₂-induced oxidative stress, DCHF-DA (dichlorodihydrofluorescin diacetate) assay was conducted. The A+M and MeOH extracts of dried beet appeare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levels of intracellular (ROS) with dose responses. Among the fractions, 85% methanol fractions showed a higher protective effect on production of lipid peroxid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take of dried beet may improve oxidative stress in cell and reduce cancer risk.

      • KCI등재
      • KCI등재

        분자동역학법에 있어 인접분자 리스트의 영향

        최현규,김혜민,최순열,김경근,최순호,Choi Hyun-Kue,Kim Hae-min,Choe Soon-Youl,Kim Kyung-Kun,Choi Soon-Ho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5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Vol.29 No.1

        Generally. in the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the Verlet neighboring list algorithm is used for the reduction of a simulation time 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of the Verlet neighboring list forces the time evolution of a simulation system to follow an unrealistic path in a phase space. In equilibrium state, it does not matter with the simulation results because the individual molecule's motion is originally random and any effect due to a small deviation from a real time evolution can be completely ignored. However, if an unsteady state is involved. such a deviation may significantly affect to the results. That i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imulation results Provide ones with any misleading data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due to the Verlet neighboring list in performing the simulation of a non-equilibrium state and suggested the method to avoid it.

      • KCI등재

        저온진공건조 참치추출물의 in vitro 항암 및 항산화 효과

        장주리(Joo Ri Jang),김경근(Kyung Kun Kim),문수범(Soo Beom Mun),임선영(Sun-Young Lim)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5

        저온 진공 공정으로 건조된 참치를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이들 참치 추출물 및 분획물들에 의한 인체 결장암 및 섬유육종세포에 대한 증식 및 세포 내 활성산소종 억제 효과에 대해 검토하였다. 건조 참치의 A+M 추출물과 MeOH 추출물을 0.5, 1, 및 5 ㎎/ml의 농도로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에 처리했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인체 암세포 증식을 억제시켰으며(p<0.05), 특히 A+M 추출물이 MeOH 추출물에 비하여 그 억제효과가 우수하였다. 건조 참치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분획물들의 경우 특히 hexane과 85% aq. MeOH 분획물들에 의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가 높았다. 인체 결장암세포(HT-29)에 대한 결과로 A+M 추출물은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의 결과와 비교했을 때 다소 암세포증식 억제 효과가 낮았으나 5 ㎎/ml의 첨가농도에서 95%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고(p<0.05), MeOH 추출물도 앞서 A+M 추출물 결과와 유사하게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에 비해 낮은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보였지만, 첨가농도 5 ㎎/ml에서는 93%로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건조 참치 분획물들의 경우도 앞서의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와 유사하게 모든 분획물들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효과가 높은 것을 살펴 볼 수가 있었고, 인체 결장암세포(HT-29)에서도 hexane과 85% aq. MeOH 분획물에 의한 항암효과가 우수하였다. In vitro 항산화실험에서 건조 참치 A+M 추출물 및 MeOH 추출물을 농도별로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에 처리하였을 때 A+M 추출물(10 ㎎/ml 농도)를 제외하고 측정기간 120분 동안 모든 추출물들이 blank군과 control군에 비해 세포 내 활성산소종을 크게 감소시켰다. 건조 참치 분획물들 중 BuOH 및 85% aq. MeOH 분획물들은 세포내 활성산소종을 크게 감소시키는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dried tuna on the growth of cancer cell lines (HT1080 human fibrosarcoma and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and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Inhibitory effects of acetone with methylene chloride (A+M) and methanol (MeOH) extracts on the growth of HT1080 and HT-29 cancer cells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p<0.05). The inhibitory effect was more significant on the growth of HT1080 cells, and A+M extracts had a higher inhibitory effect compared to MeOH extracts. The treatments of hexane, 85% aq. methanol, butanol and water fraction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rowth of both cancer cells (p<0.05). Among the fractions, hexane and 85% aq. methanol fractions showed higher inhibitory effects. In order to determine the protective effect on H₂O₂-induced oxidative stress, a DCHF-DA (dichlorodihydrofluorescin diacetate) assay was conducted. All fractions, including crude extracts of dried tuna, appeare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levels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ith dose responses (p<0.05). Among the fractions, BuOH and 85% methanol fractions showed a higher protective effect on the production of lipid peroxid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sumption of tuna may be recommended as a potent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cellular oxidation and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