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지 오염도 평가시 불확실성 정량화 및 저감방안

        김건하,백종환,송영우,Kim, Geonha,Back, JongHwan,Song, Yong-Woo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4 지하수토양환경 Vol.19 No.1

        Uncertainty associated with a sampling method is very high in evaluating the degree of site contamination; therefore, such uncertainty affects the reliability of precise investigation and remediation verification. In particular, in evaluating a site for a small-sized filling station, underground utilities, such as connection pipes and oil storage tanks, make grid-unit sampling impossible and the resulting increase in uncertainty is inevitable. Accordingly, this study quantified the uncertainty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the degree of contamination by total petroleum hydrocarbon and by benzene, toluene, ethylene, and xylene. When planning a grid aimed at detecting a hot spot, major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crease in uncertainty include grid interval 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hot spot. The current guideline for soil sampling prescribes that the grid interval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area of the evaluated site, but this heightens the possibility that a hot spot will not be detected. In evaluating a site, therefore, it is crucial to estimate the size and shape of the hot spot in advance and to establish a sampling plan considering a diversity of scenarios.

      • KCI등재

        토양오염도 평가시 시료채취 불확실성 정량화 및 저감방안

        김건하,Kim, Geonha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3 지하수토양환경 Vol.18 No.1

        It is well known that uncertainty associated with soil sampling is bigger than that with analysis. In this research, uncertainties for soil sampling when assessing TPH and BTEX concentration in soils were quantified based on actual field data. It is almost impossible to assess exact contamination of the site regardless how carefully devised for sampling.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sample reduction for further chemical analysis were quantified approximately 10 times larger than those associated with core sampling on site. Bigger uncertainties occur when contamination level is low, sample quantity is small, and soil particle is coarse. To minimize the uncertainties on field, homogenization of soil sample is necessary and its procedures are proposed in this research as well.

      • KCI등재

        호소 저니의 인 용출 제어를 위한 모래 캡핑

        김건하(Kim Geonha),정우혁(Jeong Woohyeok),최승희(Choe Seunghee)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6 No.1B

        본 연구에서는 호소 바닥의 저니에서 용출된 인이 수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하여 모래를 재료로 하는 캡핑을 저니 위에 포설할 때 기대할 수 있는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실험실에서 제작된 칼럼을 외부 공기의 유출입이 없도록 폐쇄하고, 인의 농도가 높은 저니층에서 인의 용출로 인한 상등수의 인농도 변화와 모래로 이루어진 캡핑으로 격리 처리된 저니층에서 인의 용출로 인한 상등수의 인 농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캡핑을 하지 않은 칼럼과 40 ㎜ 80 ㎜ 캡핑 두께의 3가지 칼럼으로 시험을 수행하였고, DO, ORP, TP, PO₄-P를 측정하였다. 캡핑을 하지 않은 칼럼이 80㎜의 모래 캡핑을 한 칼럼보다 4배 이상의 TP농도 증가가 있은 반면 PO₄-P의 경우는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본 실험조건에서 모래로 캡핑한 저니의 경우 캡핑이 되지 않은 저니 보다 인의 용출로 인한 상등수의 인의 농도를 저감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In this research, possibility of sand capping was experimentally evaluated to control phosphorus release from lake sediment into water body. Three acrylic columns without and with 40 and 80 ㎜ of sand capping were prepared. Phosphorus concentrations of overlying water in these columns were measured. Performances of sand capping were evaluated for 0, 40, and 80 ㎜ of capping thickness by measuring DO, ORP, TP, and PO₄-P. For the case without capping, the releasing rate of total phosphorus was higher and dissolved oxygen decreased faster, comparing with those of columns with capping. Total phosphorus concentrations in overlying water were inversely proportional to capping thickness, while phosphate concentr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th cases. The experiment results suggested that sand capping is effective to retard total phosphorus release from sediment.

      • KCI등재

        농지-임야에서 발생하는 지표미생물 유출 특성

        김건하(Kim Geonha)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8 No.1B

        농지-임야유역의 비점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미생물학적 오염물질 부하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농지와 임야가 혼합된 3개 시험유역에서 동일한 2개 강우사상에 대한 지표미생물 유출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 지표미생물항목은 대장균군(total coliform: TC), 분원성 대장균(Fecal coliform: FC), 대장균 (Escherichia coli: EC), 분원성 연쇄상구균(Fecal streptococcus: FS)이었다. 농지-임야 유역의 강우시 유량변화에 따라 토사유실로 인하여 부유물질 농도가 상당히 증가하였다. 지표미생물 농도는 유량 변화와 상당히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대부분 오염되지 않은 임야로 구성되어 있는 첫번째 유역의 강우유출수 TC EMC(Event Mean Concentration)는 5.3×10³ CFU/100 ㎖이었으며, FC EMC는 1.4×10³ CFU/100 ㎖, EC EMC는 1.1×10³ CFU/100 ㎖, FS EMC는 3.9×10² CFU/100 ㎖이었다. 임야유역과 농지유역이 혼합되어 있는 제 2 유역의 지표미생물에 대한 EMC는 TC EMC가 1.7×10? CFU/100 ㎖, FC EMC가 8.5×10⁴ CFU/100 ㎖, EC EMC가 8.9×10⁴ CFU/ 100 ㎖, FS EMC가 3.4×10⁴ CFU/100 ㎖로 나타났다. 농지와 임야가 혼재되어 있으나, 유역면적이 큰 제 3 시험유역의 지표미생물에 대한 EMC는 TC EMC가 1.9×10? CFU/100 ㎖, FC EMC가 9.6×10⁴ CFU/100 ㎖, EC EMC가 7.0×10⁴ CFU/100 ㎖, FS EMC가 5.1×10⁴ CPU/100 ㎖로 나타났다. To estimate microbial contaminant loading discharged from diffuse sources, rainfall runoff of six rainfall events were monitored at three study watersheds of forestry and agricultural land use. Monitored indicator microorganism constituents were total coliform (TC), fecal coliform (FC), Escherichia coli (EC), and fecal streptococcus (FS). Soil loss during elevated flow rate caused higher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s. Indicator microorganism concentrations were closely related with flow rate. TC event mean concentration (EMC) from unpolluted forestry was 5.3×10³ CFU/100 ㎖, FC EMC was 1.4×10³ CFU/100 ㎖, EC EMC was 1.1×10³ CFU/100 ㎖ CFU/100 ㎖, and FS EMC was 2.9×10² CFU/100 ㎖. From a watershed with agricultural-forestry land use, TC EMC was 1.7×10? CFU/100 ㎖, FC EMC was 8.5×10⁴ CFU/100 ㎖, EC EMC was 8.9×10⁴ CFU/100 ㎖, and FS EMC was 3.4×10⁴ CFU/100 ㎖. Mixed land use of agricultural-forestry with bigger area, TC EMC was 1.9×10? CFU/100 ㎖, FC EMC was 9.6×10⁴ CFU/100 ㎖, EC EMC was 7.0×10⁴ CFU/100 ㎖, and FS EMC was 5.1×10⁴ CFU/100 ㎖.

      • KCI등재

        턴키 제도를 모사한 환경공학 설계과목의 협동학습 적용사례

        김건하(Geonha Kim),오주원(Juwon Oh),이학수(Hacksoo Lee) 한국공학교육학회 2006 공학교육연구 Vol.9 No.4

        본 논문에서는 한남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4 학년 전공선택 과목인 상하수도공학에서 진행한 협동학습을 소개하였다 . 도시 비점원 처리시설을 설계하는 문제중심 학습을 실시하면서 토목구조물의 설계 - 시공 - 감리를 통합하여 수주하는 턴키 ( turn - key ) 제도를 모사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 수강생 25 명을 4 개 조로 나누었으며 각 조를 각각 하나의 회사로 가정하여 사장 - 임원 - 사원에 이르는 직급을 정하게 하였다 . 발주 공사에 대한 설계개념 정립에서부터 공사비용의 산정 , 공정 계획 , 설계 , 응찰에 이르는 전 과정을 수업중 설명하였으며 비점원오염물질 처리시설물 수주를 위하여 각 조간 경쟁하도록 하였다 . 설계가 가장 우수하면서 입찰금액을 낮게 쓴 조가 공사를 수주하되 1 인당 예상 이익으로 과목의 성적을 평가하였다 . 강의 진행과 효과분석을 위하여 각 팀별로 1 명씩을 초점그룹으로 선택하였으며 중점적으로 학기 중 면담을 실시하여 수업에 반영하였다 . 학생들은 턴키 제도의 운용 , 인사고과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었으며 수업의 긴장감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었으며 , 복잡한 설계과제를 수행할 수 있었다 . In this research , a case study for cooperative learning practiced in a design class for environmental engineering was presented . Designing a treatment facility for urban diffuse pollution was a main problem given to the participants . Turn - key system for civil works were simulated throughout class works . Twenty five students were grouped into four virtual companies and assigned own position from chairperson to workers . Each group competed throughout establishing design concept regarding order , expense calculation , process distribution , actual calculation . Best design with lowest bidding won the first place . For evaluating class effectiveness , one student from each group were monitored thorough semester . Participants were improved for their understanding about company establishment , turn - key system management , awareness about personal management , and presentation skills . Tension of the class was effectively elevated as well .

      • KCI등재

        3자 보증의 양적 및 질적 수준이 소비자반응에 미치는 영향

        김건하(Kim, Geonha),김현경(Kim, Hyun Kyung),김종배(Kim, Jong Bae) 한국상품학회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4

        본 연구는 보증의 여러 유형 중, 3자 보증의 효과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3자 보증의 양적 및 질적 수준의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3자 보증의 유무(/개수) 및 등급 수준의 차이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한다. 3자 보증의 양적수준(메달개수 3종류: 0, 1, 2개)와 질적수준(메달등급 2단계: 금메달, 동메달)을 기준으로 3×2 실험설계방식을 사용하였다. 실험대상은 서울소재 대학생으로 하고, 실험제품은 대학생들이 선물로서 선호하는 ‘도킹 오디오’로 하였다. 3자 보증의 양적수준 차이에 따른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하면, 양적수준별 차이는 존재하는데, 특히 금메달의 경우에 양적차이의 효과가 더 확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3자 보증의 질적수준 차이(금메달, 동메달)에 따른 소비자 반응의 분석결과, 금메달이 동메달에 비해 소비자반응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자 보증이 없는 것(0개)보다는 있는 것(1개 또는 2개)의 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은 3자 보증의 획득에 충분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에 비해 3자 보증의 질적수준 차이가 유발하는 소비자 반응은 크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그분석의 바탕이 되는 실험설계, 실험집단, 실험제품 등에 의해 제약된다. 본 연구는 3자 보증의 효과를 좀 더 확장된 개념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3자 보증의 양적 및 질적 수준을 구분하고 이에 따른 다양한 영향력의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이에 대한 좀 더 정교한 실험설계를 바탕으로 좀 더 다양한 양적 및 질적변수의 도입을 통한 실험연구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various effects of third-party endorsement on consumer responses. Especially it investigates several aspects of strength levels of third-party endorsement.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the work conducts experimental designs. The strength level of third-party endorsement is divided into a quantity-related strength(i.e., zero, one, two awards) and a quality-related strength(i.e., gold medal, bronze medal). The dependent variables of consumer responses include perception of perceived product quality, preference, risk avoidance and purchase intention. Out of 215 participants, 183 usable questionnaires a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shows that the quantity-related strength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overall consumer responses. On the other hand, the quality-related strength is found only to have an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Incidentally, an interaction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is found between the quantity-related strength and the quality-related strength. This work suggests several useful implications for third-party endorsement. First of all, it shows that the use of third-party endorsement is meaningful since all of the consumer responses are better than those without any third-party endorsement. However, the results in thework is subject to the experimental design such as respondents, stimulus, etc. This study examines several effects of third-party endorsement on consumer responses in a broader perspective. Furthermore, it shows the differences in effects between quantity-related factors and quality-related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