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기업교육에서 학습의 근전이(near transfer)와 원전이(far transfer)의 예측변인 규명을 위한 논의 :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금혜진,정재삼 한국기업교육학회 2005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7 No.1

        학습전이와 관련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학습전이의 개념을 명확하게 설명하게 않은 채 학습내용을 현장에 동일하게 적용하는 근전이(near transfer) 위주의 학습전이 연구가 주로 수행되어 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관련이론과 선행 연구결과들을 분석함으로써 학습의 근전이(near transfer)와 원전이(far transfer)의 개념과 특징, 근전이와 원전이의 관련성을 밝혔다.

      • KCI등재

        미국 학교정원운동(School Garden Movement)의 발전과정

        금혜진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14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학교정원운동의 사상적 배경과 그 발 전과정을 고찰한 후 국내 학교정원 교육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다. 연구결과, 19세기 말, 유럽의 진보주의 교육사상과 미국의 Nature-Study 교육사상이 미국 학교정원운동의 사상적 배경이 되 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정원운동의 발전과정은 형성, 쇠퇴, 재부 흥의 과정을 거쳤다. 1891년을 시작으로 1914년까지 학교정원은 교육개혁차원에서 국가적인 학교정원운동으로 형성되었다. 그러 나 1914년부터 1918년까지 학교정원은 세계대전을 위한 식량생 산의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전쟁이 끝난 이후 학교정원운동은 쇠퇴 의 양상을 보였고 1950년대 이후 기술(technology)이 주도하는 사 회가 되면서 학교정원이 점차 사라졌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심 각해지는 어린이 비만과 자연결핍의 문제를 개선하고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학교정원운동이 새롭게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학교정원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정 원의 존재목적을 명확하게 정의해야 한다. 둘째, 교과목과 연계된 학교정원 커리큘럼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학교정원운동의 대중 화를 위해 개척가적 리더십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현장에 성공적 으로 구현되기 위해서 다양한 분야의 파트너십이 필요하다. 마지막 으로 지역사회와 학교상황에 맞는 융통성 있는 학교정원 교육모델 이 필요하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ome implications for the school gardening programs in Korea by examining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school garden movement in the USA. The study results find that the school garden movement had been emerged from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shaped by the educational ideas in European progressive education and American Nature-Study movement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development of the American school garden movement has clearly demonstrated a process of its formation, decline, and revival. The school garden movement from 1891 to 1914 had been driven by national efforts for school reform purposes. Then the school gardens from 1914 to 1918 had been replaced for the purpose of food production in the midst of the First World War. The school garden movement began to diminish after the end of the war, and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in the 1950s even pushed it in its extinction. However the school garden movement has been resurged to be widespread from 1990s due to the following efforts both to resolve the problems of childhood obesity and nature-deficit, and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are suggested for the school gardening programs in Korea. First, the purpose of the school garden must be clarified. Second, the school garden curriculum integrated with school subjects must be developed. Third, it is necessary to have a pioneering leadership to make the school garden movement widespread. Fourth, it is required to have partnership in various fields to facilitate successfully the school gardens in their school settings. Finally, it is also demanded a flexible school gardening model suitable to its own community and school context.

      • KCI등재

        PBL 우수 사례자로 선정된 교수들의 수업운영 전략 탐색

        금혜진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에서 PBL 수업을 우수하게 운영하는 교수들의 수업운영 전략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남에 위치한 B대학에서 2017년 1학기, 2학기, 2018년 1학기동안 PBL 우수 사례자로 선정된 교수 6명이 작성한 수업결과 보고서와 사례발표회 발표 자료를 활용하여 수업운영 전략 관련 내용을 귀납적 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 구결과 PBL 우수 사례자로 선정된 교수들은 수업운영 시 교실문화, 학습촉진, 평가의 3개 영역과 관련하여 13개의 전략을 사용하고 있음이 규명되었다. 향후 필요한 연구와 지원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BL을 우수하게 운영하는 교수들의 수업운영 전략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PBL을 우수하게 운영하는 교수들과 일반교수들의 운영전략에 관한 비교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셋째, 조직 차원에서 PBL을 우수하게 운영하는 교수들의 수업운영 전략을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 지원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bout PBL implementation strategies employed by faculty members who have successfully managed PBL class. By adopting the inductive content analysi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ntents related with the strategies about PBL implementation in the course result reports and best practice presentation materials made by 6 professors selected as a PBL best practicer of B university from the 2017 to the 2018. After the analysis, it is revealed that PBL best practicers have used 13 strategies in domain of classroom culture, learning facilitation, and assessment. The following further studies and supports have been suggest: First, a study on PBL best practice faculty member’s implementation strategies should be further expanded. Second, a comparative study on the PBL implementation strategies between PBL best practice faculty members and general faculty members should be launched. Third, an organizational system to share PBL best practice faculty member’s implementation strategies should be supported.

      • KCI등재

        대학교수들이 인식하는 PBL 수업운영의 난관 탐색

        금혜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bout various barriers recognized by university faculty members while implementing PBL. By adopting the inductive content analysi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ntents related with the barriers about PBL implementing in the teaching reflection reports submitted by 32 professors of B university. After the analysis, the barriers have been summarized into 5 major topics such as ‘teaching beliefs,’ ‘classroom culture,’ ‘learning facilitation,’ ‘assessment,’ ‘school environment.’ Results suggest: First, a study on the specific solutions for the barriers summarized by 5 major topics should be launched. Second, a teaching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to resolve the barriers should be supported. Third, an innovation of physical school environment and school policy appropriate for PBL implementing should be involved. Fourth, a study on the barriers about PBL implementing should be further expand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수가 PBL 수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인식하는 난관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남에 위치한 B대학에서 2017년 1학기, 2학기, 2018년 1학기동안 PBL 수업을 운영한 교수 32명이 작성한 수업성찰 보고서의 수업운영 난관관련 내용을 귀납적 분석방법(inductive content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PBL 수업운영의 난관들은 교수신념(teaching beliefs), 교실문화(classroom culture), 학습촉진(learning facilitation), 평가(assessment), 학교환경(school environment)의 대주제로 구분되었다. 이와 같은 교수들의 PBL 운영 난관을 해소하기 위해 향후 필요한 연구와 지원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BL 운영 난관별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학교차원에서 교수의 PBL 수업운영의 난관을 극복할 수 있는 교수역량개발 프로그램이 지원되어야 한다. 셋째, PBL 수업운영에 부합하는 물리적 학교환경과 학사제도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PBL 운영 난관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실천학습 기반 리더십교육의 평가방안 및 효과

        정재삼,금혜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3 교육과학연구 Vol.34 No.3

        이 글의 목적은 실천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방식 리더십교육의 평가방안과 리더십교육의 효과를 탐구하는 것이다. 먼저 문헌 고찰을 통해 선진기업을 중심으로 리더십 개발의 방향으로서 실천학습의 추세를 확인하였으며 실천학습의 개념과 발전과정 및 구성요소, 평가요소를 제시하였다. Johnson & Johnson의 사례를 통해 실천학습 평가방안과 리더십 교육의 효과성 측면에서 1)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해 평가연구를 설계했으며 2) 평가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했으며 3) 평가실시를 프로그램 단계별로 지속적으로 하는 등 몇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향후 연구과제로서 실천학습의 이론적 근거와 맥락에 부합하는 실천학습 평가모형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k both the evaluation method and the effectiveness of action learning-based leadership training. Action learning is confirmed as a trend for the direction of leadership development by reviewing the literatures about the competitive company and suggested its concept, development and evaluation factor. This study leads to some suggestions on the effective aspects and the evaluation method of action learning-based leadership training in terms of the case study of Johnson & Johnson. First, qualitative case research method is adopted to design evaluation study. Second, the opinions of various stakeholder are surveyed in the process of evaluation. Third, the evaluation is consistently conducted in a program step by step. The future issues for this study is suggested to demonstrate an action learning evaluation model research in accord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action learning.

      • 교육공학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논쟁 : 학문적 정체성, 간학문성, 소프트 및 하드 테크놀로지 활용 Academic Identity, Interdisciplinarity, Soft Technology and Hard Technology Applications

        정재삼,금혜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3 교육과학연구 Vol.34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최근에 교육공학 분야의 이론과 실제에서 교육공학의 학문적 정체성, 응용과학으로서 교육공학의 가치, 교육공학에서의 간학문성의 중요성, 소프트테크놀로지의 활용상의 문제, 하드테크놀로지의 활용상의 문제, 그리고 교수매체의 효과성 등의 이슈를 논의하는데 있다. 첫째로, 교육공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해서는 타학문이론의 무분별한 도입문제, 연구주제가 학습이론과 학습 환경에 치중하는 문제, 교육공학 분야 고유의 연구방법의 필요성의 논의된다. 둘째로, 응용과학으로서 교육공학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교육실제의 문제를 풀기위해 여러 학문의 지식체계의 도입함으로써 발생하는 혼란과 이해의 어려움, 철학적 패러다임적인 상충의 문제가 노정된다. 셋째로, 교육공학의 간학문성에 대해서 논쟁은 있지만 간학문성 자체가 가진 긍정적인 의미와 학제간의 연계를 위한 체제적 사고를 논의한다. 넷째로, 교육공학의 소프트테크놀로지와 하드테크놀로지에 대하여 여러 비판과 논쟁이 있지만 이 문제는 연성체제이론과 경성체제이론 등 체제과학의 입장에서 ID/ISD의 활용을 설명하고, 이러닝을 활성화하기 위한 소프트테크놀로지와 하드테크놀로지의 조화를 논의한다. 다섯째로, 1차와 2차의 논쟁을 통한 교수매체의 효과성 쟁점을 정리한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교육공학의 이론과 실제를 상황에 적합한 연구와 개발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recent and critical issues of theory and practice in the educational technology field. The issues included here are the academic identity of educational technology, the value of educational technology as an applied science, the importance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educational technology, and the application issues of soft and hard technology in educational technology. First, the academic identity of educational technology deals with indiscreet introduction of theories of other disciplines, research topic focused on learning theories and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necessity of research methodology peculiar to educational technology. Second, the difficulty of educational technology as an applied science covers the confusion and misunderstanding and the conflict between philosophies and paradigms by introducing several disciplinary knowledge scheme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educational practice. Third, in terms of interdisciplinarity educational technologists discuss the systems thinking for the purpose of linking various aspects of disciplines. Forth, using soft and hard technology issue deals with instructional design and 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 in terms of systems science including soft system theory(SST), hard systems theory(HST) and addresses the harmony of soft and hard technology for enhancing e-Learning. Fifth, we discuss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al media via 1st and 2nd disputes among Clark, Kulik, and Kozma. In conclusion, we need to develop continuously the theory and practice through situated research and develop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