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정지용 시론의 수사학적 연구

        금동철(Keum Dong-cheol) 한국시학회 2001 한국시학연구 Vol.-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lyric origin in the poetics of Jeong Ji-yong. In the most of the study on Jeong Ji-yong's poetry, the christianity is neglected But, not only in his middle years that he had exposed the catholicism in his poetry but also in his later term that he had published the natural poem the christianity is deeply immanent in his poetry. Moreover his poetics that was published in the later years of 1930's shows that the concern on the christianity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his view of the world Therefor the study on his poetry and poetics must pay attention to the christianity. His poetics shows that he inferred to the 'mental things'. 'The pursuit of 'mental things' in his poetics is the pursuit of the world of meaning instead of the technical skill of the language. He puts the christian virtue that is 〈love〉 〈prey〉 and 〈thanksgiving〉 in the top of the 'mental things'. It certifies that his view of the world is founded on the christianity. And he mentions that the poem is the incamational coincidence between the mental things and the technical skill of language. In this we can apprehend that his attention to the mental things and his concern to the harmony is the essence of his poetic mind He concerns to the temperance and hammy in his poetics. While he denies the world of material and sensual things, he emphasizes the need of temperance and the hammy of the elements of the poems. Thus his poetics can overcome the power of modernity that deconstructs the lyric poetry.

      • KCI등재

        정지용의 시「백록담」에 나타난 자연의 의미

        금동철(Keum Dong-cheol) 우리말글학회 2009 우리말 글 Vol.45 No.-

        The image of nature in the poem paekrokdam is very important to the study on the images of nature in the natural poem of Jeung Ji-yong. In this poem, the image of nature has a shortage and fear. There are the reduction of body of flower and the shortage of life energy. For examples, at the time of the birth the calf must separate with its mother cow. And the image of nature in this poem has the emotion of fear. That images are not equal to the image of the nature of traditional Confucian. The image of the nature of traditional Confucian has the idal images having a conceptions and morals. But in this poem, the images of nature has no conceptional images. It reflects the worldview of Jung Ji-yong' all poetry. And in that the images are used for itself. So, the images of nature in this poem are related to the christian worldview.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박두진 초기 시에 나타난 자아의 존재방식

        금동철 ( Dong Cheol Keum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ACTS 신학저널 Vol.27 No.-

        본고는 박두진의 초기 시세계에 나타나는 자연 이미지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것을 통해 자아의 존재방식을 분석하고자 한 연구이다. 그의 초기 시에 형상화된 자연 이미지는 현재의 어둡고 외로운 부정적이미지와 미래의 밝고 생명력 넘치는 긍정적 이미지가 함께 공존하는데, 미래의 자연 이미지는 현실의 어둡고 외로운 세계를 초극한 밝고 희망찬 낙원 이미지로 형상화된다. 이러한 낙원으로서의 자연은 자아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행위를 통해 획득되거나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아 외적인 존재에 의해 주어진 존재라는 것이 특징적이다. 자아는 그러한 낙원을 간절하게 소망하기는 하지만, 그것을 성취하기 위한 직접적인 행위는 하지 않고, 주어진 낙원으로서의 자연을 받아서 누리는 존재가 된다. 이러한 주어진 낙원으로서의 자연과 받아 누리는 존재로서의 자아라는 존재방식은 기독교적인 세계관과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다. 자기의 죄로 말미암아 전적으로 타락한 인간이 스스로는 구원에 이를 가능성이 전혀 없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통해 나타난 하나님의 은혜를 믿음으로 구원에 이르는 기독교적 구원 교리의 구조와 유사한것이다. 기독교적 구원은 하나님으로부터 주어지는 전적인 은혜이며, 인간은 믿음으로 그것을 받아 누리는 존재인 것이다. 이러한 둘 사이의 유사성은 박두진의 초기 시세계가 기독교적 세계관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of nature appeared in the early poems of Pak Du-jin, and analyses the way of being of the self in those poems. The image of nature in those poems have two aspects; the one is the negative images full of the dark and lonely emotions and the other is the positive image full of the bright and vital energy. This positive images make the nature paradise. In those poems the nature as paradise is given as a present and the self is only receiving and enjoying i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of nature of given paradise and the image of the self of receiving and enjoying it is very similar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lvation and men in the christian faith. In christian faith the salvation is entirely the gift of God and men fell into sin can not be saved himself. So the salvation is the grace of God and men are the only one receiving and enjoying it. In those poems of Park Du-jin is the sam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of nature and the self. So it is sure that the world of those poems is based on the christian worldview.

      • KCI등재

        박두진 초기시에 나타난 자연 이미지의 이중성과 그 의미

        금동철 ( Dong Cheol Keum ) 한민족어문학회 2012 韓民族語文學 Vol.0 No.61

        박두진의 초기 시에는 밝은 자연 이미지와 어둡고 차가운 자연 이미지가 대비되고 있다. 이 두 가지 자연 이미지를 가르는 것은, 자연 이미지 그 자체에 존재하는 어떤 것이 아니라, 외부적 요소인 ``빛``이다. 빛이 없는 공간에서 자연은 생명력이 사라진 차가운 죽음의 이미지로 형상화된다면, 빛이 비치는 공간에서 자연은 밝고 따뜻하며 생명력이 넘치는 이미지가 된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러한 두 자연이 동일한 존재라는 점이다. 동일한 자연이 그 위에 비치는 빛의 유무에 따라 어두운 존재가 되기도 하고 밝은 존재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는 자연 자체가 독자적이고 절대적인 의미를 가진 것이 아니라, 그 위에 비치는 빛에 의해 그 의미가 변화되는 것을 말해준다. 이는 자연을 신성시하지 않고 하나의 창조물로 보는 기독교적 세계관과 긴밀히 관련되어 있다. 이와 함께 그의 초기 시에 형상화된 자연 이미지는 기독교적 낙원 개념과 결합되어 있는데, 중요한 것은 이러한 낙원 이미지가 미래시제로 서술될 뿐만 아니라 현재시제로도 서술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시인이 낙원을 두 가지 관점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시인에게 있어서 낙원은 미래의 어느 시점에서 경험할 소망의 대상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현실에서 경험하는 밝고 아름다운 세상인 것이다. 이러한 낙원 이미지의 미래성과 현재성은 기독교에서 말하는 "하나님 나라"의 개념에 나타나는 현재성과 미래 성의 혼용과 동일한 것이다. 이러한 자연 이미지의 이중성에 대한 인식은 기독교적 자연 이미지의 특징을 인식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관점이 되며, 박두진의 중·후기 시에 나타나는 현실비판적 세계 인식 태도를 해명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The early poems of Park Dujin has two aspects and those are contrasted each other. The dark and cold image of nature is the one and the bright and warm image of nature is the other. The ``light`` from the outside of the nature separates these two images. The nature lacking the light is full of the dead images and the nature with the light is full of energies of lives. But we must give attention to that the two natures are the same thing in his poems. The same nature can be dark cold nature and bright warm nature according to the existing of light. This means that the nature is not the independent and absolute things but the variable things according to the light. This view point to nature is related to the Christian world view. In that point of view, the nature itself is not the paradise giving the eternal peace to man. Only the grace(the light) of God make the nature to the paradise. The paradise in his early poems is related to the conception of christian paradise and is scribed onto the future tense and the present tense. It has very important meaning in the understanding his world view. The poet cognizes the nature having two aspects of paradise that are the future thing of desire and the present thing of present experience. This conception is very similar to the kingdom of God that is described the concept of "already not yet". The image of nature in christian world view contains this present and future meaning of nature.

      • KCI등재후보

        기독교적 서정시에서 자아의 존재방식과 기독교의 중심 진리

        금동철 ( Keum Dong Cheol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7 ACTS 신학저널 Vol.31 No.-

        본고는 기독교적 서정시의 본질을, 기독교의 중심 진리에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인 인간의 존재 방식에 대한 이해로부터 추적해 본 것이다. 인간이 자아와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에 대한 이해는 서정시에서 시적 자아가 보여주는 세계 이해 방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우선적으로 기독교의 중심 진리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해 ACTS 신학-신앙 운동을 살펴보았다. ACTS 신학-신앙 운동은, 기독교의 중심 진리인 “죄로 인해 멸망할 수밖에 없는 인간이 예수를 믿고 새사람 되어 구원을 얻어 천국에 들어가는 일”을 목표로 하는 신학-신앙 운동이다. 이러한 기독교의 중심 진리 관점에서 볼 때 인간은 전적으로 타락하여 스스로의 힘으로는 결코 구원에 도달할 수 없는 존재이다. 성경은, 인간이 하나님을 배신하고 죄를 지음으로 말미암아 전적으로 타락하여 죽음에 이를 수밖에 없는 존재이기에, 오직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인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은혜가 인간이 구원에 이르는 유일한 길이 된다고 말한다. 인간에 대한 이러한 이해의 바탕에는 인간의 존재방식이 온전히 하나님과의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는 관점이 깔려 있다. 여기에는 인간의 상태를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이 존재한다. 하나는 하나님과의 관계가 단절된 죄인으로서의 인간의 존재방식과, 다른 하나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죄사함을 받고 하나님과의 관 계가 회복된 인간의 존재 방식이 그것이다. 전자가 경험하는 세계는 죄로 인해 멸망할 수밖에 없는 결핍과 부정의 세계라면, 후자는 생명의 근원으로서의 창조주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으로부터 오는 풍성한 생명을 온전히 누리는 생명 세계이다. 인간의 이러한 두 가지 존재 방식은 기독교적 서정시에 형상화되는 서정 적 자아의 존재 방식과 유사하다. 서정시에서 서정적 자아는 시의 화자로 기능하면서 시인의 정서를 표현하는 자아이며, 자아와 세계 사이의 동일성을 달 성하는 중요한 장치가 된다. 이러한 자아가 세계를 바라보는 방법이나 대상으로서의 세계를 형상화하는 방법, 자아와 세계 사이의 관련 양상 등 자아가 존재하는 방식과 관련된 모든 것들이 시인의 세계관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기독교적 서정시에서 자아가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를 유지할 때, 그 시속의 다양한 이미지들은 풍성하고 아름다우며 넘치는 생명력을 소유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된다. 이에 비해 자아와 하나님과의 관계가 단절될 때, 그 시의 여러 이미지들은 메마르고 결핍된 부정적 이미지로 형상화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기독교적 서정시에 형상화되는 자연 이미지의 양상을 결 정하는 것이 자아와 하나님 사이의 관계이며, 이것을 이해하는 것은 시인의 세계관을 이해하는 핵심적인 단서가 되는 것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기독교적 서정시의 특징은 김현승의 시에서 잘 드러난다. 기독교적 서정시가 지닌 자아의 이러한 특징적인 존재방식이 기독교의중심 진리에서 말하는 인간의 존재 방식과 유사하다는 것은, 기독교적 서정시의 본질을 밝히는 중요한 단서 중의 하나가 된다. 기독교적 서정시를 구성하는 세계관이 어떠하며, 이러한 기독교적 세계관이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이다. 이것을 추적해본 본고의 작업은 그러므로 기독교적 서정시의 본질을 밝히는 중요한 단서중의 하나이다. 기독교 적 서정시를 구성하는 세계관이 어떠하며, 이러한 기독교적 세계관이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This paper studies on the way of the existence of the lyrical self in the christian lyric poetry from the understanding of the way of human existence in the central truth of Christianity.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way of existence of the poetic self in lyric poetry for understanding the features of christian lyrical poetry. This paper, in the first, surveys the ACTS theological movement in order to recognize the central truth of christianity. The ACTS Theological Movement is based on the central truth of christianity. It has inherited the apostolic tradition of the right faith and the Calvin and Wesley`s theological traditions and practices in the Christian life. In the central truth of christianity, human beings are totally corrupted and can never saved by his own ability. In the modern humanism, the rationalman was centered in the world and all things even God became a objects of the Self. But in the central truth of christianity, human beings can not be saved himself because of their sin and the only way of salvation is the grace of God the cross of Jesus Christ. In this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is the way of man`s existence completely determined by the relationship with God. There are two aspects on human condition. One is the man exists as a sinner whose relationship with God has been cut off, and the other is the man existed as a righteous man forgiven by faith in Jesus Christ and restored the relationship with God. At the former, the world is deficient and injustice one that was destroyed by sin. But at the latter, the world is full of vitality from the creator God the source of life. These two ways of existence of human beings are similar to the way of lyric self in the christian lyric poetry. In the lyric poetry, the lyrical self is the self that expresses the poet`s emotion as a speaker in the poems. And it is an important device for achieving the identity between the self and the world that is the poet`s inner emotion and the objects` emotion in the poem. Thus the self`s point of view to the world reveals the way of expression of the images in the po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the worl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hat to understand the way of existence of the lyrical self in the poem. In Christian lyrical poetry, when the self maintains the right relationship with God, the images in the poem become a positive images full of vitality. On the contrary, the poems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God are cut off is full of negative and deficient images. This feature in christian lyrical poems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God determines the aspects of the natural images in that poems. This features is well known in the poems of Kim Hyunseung. It reveals us that there is a similarity between the way of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in the central truth of christianity and the way of the existence of the lyrical self in the christian lyrical poetry. Through this we understand one of the features of the christian lyrical poetry.

      • KCI등재후보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기독교적 자연관

        금동철(Keum Dong-cheol) 한국현대문학회 2006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19

        There are tow aspects in the christian point of view on the nature. We can find it in the poetry of Jung, Ji-yong and Park, Mok-wol. One is the cold, hostile and negative nature, the other is warm, bright and positive nature. These two aspects of the christian point of view on the nature are divided by the direction of the eye of poet. In the former the poet' eye sees to the nature itself. But in the latter the poet's eye turn from the nature itself to the God. In that aspect, the poet sees beyond the nature to the God's world. In the Jung, Ji-yong and Park, Mok-wol's poetry, the negative image of nature is appeared by the consciousness of exile. That consciousness is from the christianity. To the christianity, the man and nature are separated from God because of the original sin. In the two poet's poem, when the poet's eyes sees the nature itself the images of nature are cold and negative. And then they describe the self as a exile. But in that poetry, When the self recover the right relationship to the God the images of nature are warm and bright. It is important to know that the image of nature in the christian point of view on the nature is decid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God. And in that point, the nature is not the perfect one, but the sinful one created by God.

      • KCI등재

        김현승 시에서 자연의 의미

        금동철(Keum Dong-cheol) 우리말글학회 2007 우리말 글 Vol.40 No.-

        There are two images of nature in the poetry of Hyun-seung Kim. One is the abundant images of nature related by the world of God. The other is the dried images of nature related by the world of man(the self). The use of this two contrast images in his poetry reveals the worldview of Hyun-seung Kim. He strictly divides the two worlds in his mind. This is the consciousness of dualism to the world. In his middle age's poetry, the theme of the loneliness is not the denial of christianity but the doubt of christianity in the realms of the christian religion. In the final term in his life(after 1973), he tried to integrate the two world in his poetry. In this poetry, the dried images of nature changes to the abundant images of nature. This change is related by the poet's desire of salvation. Therefore, Hyun-seung Kim maintained the christian mind in his all life and his poetry.

      • KCI등재

        백석 시에 나타난 자아의 존재방식

        금동철(Keum Dong-cheol) 우리말글학회 2008 우리말 글 Vol.43 No.-

        The survey of the mode of the existence of the Self in the Paek Seok's poetry is important that it is the achieve of the inside of modern self. Paek Seok's poetry can divide two parts. The one is the poetry that the speaker is a child, the other is the poetry that the speaker is a adult. In the former, the poet put the Self of adult in the back of the childish speaker. So it is true that the image of the hometown nondamaged by the empire of Japan in his poetry is the accumulation of images in the inside of the Self. In the poetry with the adult speaker, the poet is always related the images of things met in the trips to the images of hometown. It is the Self's intention to establish the inside of modern self to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