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효율적인 Quadratic Projection 기반 홍채 인식: Dual QML을 적용한 홍채 인식의 성능 개선 방안

        권태연,노건태,정익래 한국정보보호학회 2018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8 No.1

        Biometric user authentications, day after day, propagate more to human life instead of traditional systems which usepasswords and ID cards. However, most of these systems have many problems for given biometric information such noisydata, low-quality data, a limitation of recognition rate, and so on. To deal with these problems, I used Dual QML which isnon-linear classification for classifying correctly the real-world data and then proposed preprocessing method for increasingrecognition rate and performance by segmenting a specific region on an image. The previous published Dual QML usedface, palmprint, ear for the experiment. In this paper, I used iris for experiment and then proved excellence of Dual QMLat iris recognition. Finally I demonstrated these results (e.g. increasing recognition rate and performance, suitability for irisrecognition) through experiments. 생체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은 차세대 인증 방법으로서 기존의 인증 시스템에서 급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인증 방법이다. 대부분의 생체 인증 시스템은 수집된 생체 정보가 가지는 노이즈로 인한 문제, 데이터의 품질에 대한 문제, 인식률의 한계 등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적인실제 데이터를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해 비선형기법인 Dual QML을 사용하고, 또한 정확한 영역을 추출하여 인증의정확도를 증가시키는 전처리 과정을 추가로 제안하여 정확도 증가뿐만 아니라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자한다. 앞서 발표된 Dual QML은 생체 정보로 얼굴, 장문, 귀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은 앞선 Dual QML 실험에사용하지 않은 홍채를 생체 정보로 사용하여 홍채 인식을 위한 방법으로도 Dual QML이 우수하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해 이에 대한 실증을 보이고자 한다.

      • 포접화합물을 이용한 미용 PVA 겔의 제조 및 특성평가

        권태연,최성호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1

        Niacinamide는 건강을 위해 필요한 8가지 비타민 중 하나인 비타민 B3로 수용성을 가져 몸에 저장되지 않고 부족할 시 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어 주기적인 흡수가 필요하다. 또한 항염증 효과와 피지 분비 속도를 저하시켜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할 수 있고, 보습 효과를 지녀서 건선 치료 및 생체 내 표피 투과성 장벽 개선과 노화된 피부염, 즉, 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다. 그러나 PVA겔의 제조시, 강한 수소결합으로 인해 방출 될 수 없어, 피부에 접촉시키는 패치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iacinamide를 β-cyclodexrin에 포접시켜 포접 화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방출 성능이 우수한 미용 PVA겔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포접 화합물 미용 PVA 겔에 대하여 UV spectrometer, 1H-NMR spectroscopy, FT-IR spectrometer, FT-Raman spectrometer, Cyclic voltammetry, SEM, 팽윤도, 전기전도도, 열분석(DSC 및 TGA), SEM, UV spectrometer, 기계적 강도, 및 방출성능을 평가 하여 미용 PVA 겔 패치를 제조해 상용화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우울이 초등학교 자녀의 언어발달, 문제행동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권태연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

        본 연구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우울수준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파악하고, 아버지와 어머니 우울수준이 초등학교 자녀의 언어발달, 문제행동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4-8차년(2011~2015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변수들 간의 종단적인 변화 관계를 추정하는데 적합한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1,754 가구의 아버지, 어머니, 자녀였다. 분석결과 아버지 우울수준 초기값이 어머니 우울수준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과 어머니 우울수준 초기값이 어머니 우울수준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 우울은 어머니 자신의 우울 문제 뿐 아니라 아버지 우울 문제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우울의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가 동시에 나타났다. 아버지의 우울수준 초기값과 어머니 우울수준 초기값은 어머니 우울수준 변화율을 매개로 하여 자녀의 수용어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학교생활적응, 학업적응, 또래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령기 자녀의 건강한 발달과 학교적응을 위해 아버지 및 어머니 둘 다를 위한 우울 예방 및 개입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simultaneously. This study also identified the interplay of paternal and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for predicting elementary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their problem behaviors and their school adjustment. Using the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for the 4th-8th years (2011~2015 year), this study used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 which is helpful for examining longitudinal relationship differences among variables. The sample subjects were 1,754 parents and childr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itial level of paternal depressive symptom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rate of change in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The initial level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rate of change in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Mothers' depressive symptoms showed not only the mothers' own depression problem. but also the self-effect and counterpart effect of depression on the fathers' depression problem. The rate of change in maternal depressive symptom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initial level of parental depressive symptoms and children's receptive language, internalizing/externalizing problems, and school adjustment. Therefore, depressio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both fathers and mothers are needed for the healthy development and school adaptation of school-age children.

      • KCI등재

        정신보건심판위원회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권태연,강상경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28 No.-

        정신보건심판위원회는 정신장애인의 치료 및 재활과정, 특히 입·퇴원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정신보건심판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과 대한 개선이 정신장애인의 재활 및 인권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정신보건심판위원회의 운영과 실태에 대한 전국적 차원의 실증적 조사 자료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염두에 두고 전국적 조사를 통해서 정신보건 심판위원회의 구성, 운영현황에 대한 파악 및 심판위원들이 인지한 심판위원회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해서 고찰하기 위해서 이차에 걸쳐서 시행되었다. 일차조사에서는 포커스그룹을 통해 정신보건심판위원들의 애로사항 및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고, 이차조사는 심판위원장과 심판위원들을 대상으로 현황, 애로사항, 및 개선방안에 대한 양적조사가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보고는 심판위원장들의 설문결과를 통해서 알아본 ``정신보건심판위원회의 운영 현황``, 포커스그룹을 통해서 알아본 애로사항 및 개선방안, 심판위원들이 포커스 그룹에서 파악된 애로사항과 개선방안에 찬성하는지 반대하는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순서대로 보고한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결론적으로 향후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 성인의 문제음주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와 생태체계 영향요인 검증

        권태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13 No.-

        본 연구는 성인의 문제음주 수준에 있어 다른 양상을 띠는 잠재계층을 구분하고 생태체계 이론을 토대로 그 계층을 이루는 구체적인 요인들을 밝혀냄으로써 성인들의 문제음주를 예방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7-14차년도의 자료를 활용하여 준모수적 집단중심 방법(semi-parametric modeling)을 적용한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5개 잠재계층이 도출되었으며, 이는 연구기간 내내 큰 변화 없이 적정 음주를 유지하는 비문제음주 집단(53.6%), 저수준 문제음주 집단(27.8%), 문제음주 감소 집단(8.5%), 문제음주 증가 집단(8.6%), 고수준 문제음주 집단(1.6%)으로 명명하였다. 다항로짓분석을 통해 영향요인들을 검증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는 성별이, 개인적 요인에서는 자아존중감이, 가족 요인에서는 가족관계만족도가 모든 잠재계층을 분류하는데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 잠재계층별 예측 요인들도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인기 문제음주의 예방과 개입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Alcohol Consumption : Group Comparison by Employment Status

        권태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1 No.-

        Even though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alcohol use has been widely studied so far, most previous studies examined one-directional effects using cross-sectional data, either depressive symptoms influencing alcohol use or alcohol use influencing depressive symptoms. Using two waves of longitudinal data,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use and depressive symptoms, controlling for possible confounders. This study further examines whether the relationships vary by employment status. A comprehensive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both tension reduction hypothesis and intoxication hypothesis. The hypothesized model was estimated using non-recursiv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order to test which hypothesis fits the data better, and also, using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depressive symptoms varies by employment status. The result of the full sample model showed that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depressive symptom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examined by the employed and the unemployed separately,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depressive symptoms varied by employment status. For the unemployed, only the impact of depressive symptoms on alcohol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positive. By contrast, for the employed, the effect of alcohol consumption on depressive symptoms was significantly positiv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lcohol education programs or mental health prevention programs should be tailored to fit specific needs of people depending on employment status.

      • KCI등재

        미국의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정신재활서비스의 소비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권태연,강상경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24 No.-

        This study examines factors influencing service satisfaction of consumers served by consumer-centered mental health rehabilitation agencies. This study also examines relative effects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i.e. duration of mental illness, psychiatric symptom, diagnosis, self-efficacy)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 (i.e., consumers` evaluation of community-based mental rehabilitation agencies)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survey from 461 psychiatric consumers recruited from 25 community-based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s agencies located in south-east Michigan. Results revealed that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such as self-efficacy and psychiatric symptom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rvice satisfaction. With regard to socio-environmental factors, out of the ten sub-scales of consumers` evaluation of community-based service agencies, four sub-scales such as clarity, support, involvement, and practical orienta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nsumer satisfaction.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socio-environmental factor, specifically consumers` evaluation of agency presented much stronger influence on their service satisfaction than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Considering these results, the directions of social work practice for consumers` service satisfaction improvement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정신재활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Michigan 동남부 지역의 25개 지역사회정신재활 서비스 기관에 등록한 정신장애인 461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서베이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소비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특성 변인(정신과적 증상, 진단명, 유병기간, 자기효능감)과 사회환경적 변인(서비스 환경 평가)으로 나누어, 소비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과 상대적 영향력을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신재활 서비스의 소비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특성 변인에서는 자기효능감과 정신과적 증상이, 사회환경 변인에서는 기관 환경 평가 하위요인 중 명료성, 지지, 참여, 실천지향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사회환경 변인이 개인특성 변인보다 소비자만족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기관 환경 평가 변수가 서비스만족도 수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기반을 둔 정신재활 서비스의 소비자만족도 증진을 위한 사회사업적 실천 방향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