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랑스의 공중보건 위기대응과 위원회의 역할

        권채리 유럽헌법학회 2023 유럽헌법연구 Vol.- No.41

        Needs for effective and prompt actions in public administration of contemporary nations call for almost inevitably diversified and specialized managements in the form of committee system. It is frequently employed by many nations, more prominently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saw to it that science drove the flow of the national economy, culminating in intensive developments including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in various fields. Above all, the constitutional basis for this was established finally. and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Advisory Council Act was enacted in 1991 to provide advice on innov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With the institutional framework on this matter being established, for instance, in the event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the coronavirus comes infectious, expert scientific opinion is required mandatory prior to the government's policy formulation and execution. By now the ptactice is solid, and the advices and technical opinions in almost all cases are formed by way of committees. In France, in order to maintain public health in general and respond to crises such as the recent pandemic like Corvid-19, the Ministry of Health is responsible for healthcare policy formulation, execution of it, and let alone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last part, R&D is shared by an independent administrative agency, the Higher Health Agency, along with various technical institutes and networks of healthcare professionals. In particular in view of the gravity of the Corvid-19 problem the government established a temporary organization on top of the 120-year-old Higher Committee on Public Health and the National Ethics Advisory Committee, which deals with ethical issues and other existing committees. These organizations seek and strive for transparency and fairness in their activities through committee composition, disclosure of committee activities, oaths of professional ethics of members, and ensuring citizen participation.

      • KCI등재

        문화유산의 입법과제 : 프랑스의 접근방식

        권채리 유럽헌법학회 2019 유럽헌법연구 Vol.0 No.30

        Present paper aims to examine various aspects of legislative tasks relating to the cultural property. The French approach or model is frequently borrowed and discussed in many parts of the world, as done here too on the matter. The first thing that brings our attention to is the unique term "patriemoine culturel" and its implications. With the advent of modern statehood in France saw many articles or objects vandalized, thus causing arousing of awareness on the part of citizenry for remedial meassures. The environment of these kinds led calling for state intervention to curtail further deterioration. Outcries for movements of this nature gave rise to enactment for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Backgrounds being as such motives of legislation in the field of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differ a good deal from the case of Korea. Furthermore, the area of protecting cultural heritage poses conflicts, competition let alone coordination and adjustment with other national agendas. These are done in panoramic ways. Among the many competing national agendas, as indicated in the above, one might pose the case of ‘generation conflict’as it relates to the cultural heritage. The cultural heritages, concededly not belonging to the current generation, ought to be shared with future generation in whatever context they suit the nature of legacy. The debate over the issue poses in heated ways in Korea as well. The basic tenet, coming from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also be applied to the cultural assets, in the sense they should be handed down eventually to future generations. Another principle governing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within the context of public law may be the law of tribute. France's tribute law, which represents "non-transferability" and "no effect on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s a principle frequently relied on by the French government whenever it is faced with the issue of return of its stolen cultural assets form foreign governments. The cardinal principle of private property rights should also be noted in terms of its application to the cultural property. The two propositions - the guarantee of individual property rights on one hand and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on the other - guaranteed by constitution in both France and Korea, frequently face the delicate quagmire of compromising or harmonizing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Another implication we might draw from the Cultural Heritage Law of France is in the area related to decentralization. This is especially true in the light of our system, somewhat similar in practice. The reason is law and its practice in this area seem heavily influenced by nations of federal structure such as Germany and the U. S.. In other words, the so-called "national and local interests"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non-federal regions, especially the legal provisions of the cultural and regional decentralization protocols, have significant similarities with Korea, with leaving in-depth comparative studies on the issue for future. The paper concludes with pinpointing three basic issues pertaining to the cultural heritage in terms of law and practice. First, adjustment and coordin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Second, adjustment and coordination between national interests and local interests in case of pblic corporations. Third, coordination among past, present and future generations. It is indeed safe to say that studies on issues of this kind needs to be conducted in these perspectives 본 연구는 프랑스가 근대국가로 들어온 이래 문화유산 보호를 강화해오게 된 동력이 어디에서 나왔으며 특히 그 보호법제의 변용이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가를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문화유산에 대한 국가적 관여의 필요성이라는 인식의 대두와 그 강화의 배경에서 출발한다. ‘문화유산’에 관한 고유의 용어정립, 그리고 사회적 인식의 태동과 고양 및 국가적 개입이 비로소 보호법제의 제정으로 발전되는 과정은 각 국가마다 다른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본다. 뿐만 아니라 문화유산의 보호에서 다른 국가과제와의 경합과 갈등에 따른 전개에 대한 분석 또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그 가운데 하나로 세대 간의 이해경합과 갈등을 꼽을 수 있다. 문화유산은 비단 현 세대의 전유물이 아니며 미래세대에 물려주어야 할 유산인 까닭에 이를 둘러싼 여러 시각과 관점에서의 논의는 우리의 경우에도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지속가능한 개발의 차원에서 나온 이 개념은 본래 환경보호의 필요성에서 출발하였으나 미래세대에 물려주어야 하는 문화유산의 속성을 고려해본다면 문화유산에도 이 원칙이 기본적으로 그대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공법적 틀에서 고안해 낼 수 있는 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또 다른 원칙은 공물의 법리이다. ‘양도불가능성’과 ‘소멸시효 없음’으로 대표되는 프랑스의 공물법리는, 약탈된 자국의 문화재 반환 요청이 있을 때마다 프랑스 정부가 원용하는 원칙이다. 사유재산권에 가하여지는 제한 또한 문화재 보호의 차원에서 주목하여야 할 대목이다. 프랑스와 한국에서 모두 헌법적 가치로 보장되는 개인의 재산권 보장과 문화유산 보호라는 두 명제는 공익과 사익의 절충 내지 조화라는 숙제에 있어 빈번하게 직면하게 된다. 이에 덧붙여 프랑스 문화유산 법리가 우리에게 던지는 주요 과제로 지방분권과 관련된 분야를 들 수 있다. 특히 독일과 미국과 같은 연방국가의 법제 및 사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우리 제도에 적실성이 클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중앙정부와 비연방국가 지방 사이의 이른바 ‘국가이익과 지방이익’, 특히 문화지방분권 프로토콜의 법리전개는 우리 관련 법제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보인다. 요컨대, 이들을 정리하면 문화유산의 보호라는 공통적 목표를 둘러싼 법제와 법리상 논점은 대체로 세 가지 측면에서 이익의 조정으로 요약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첫째, 공익과 사익의 조정, 둘째, 공법인 사이의 국익과 지방이익의 조정, 셋째, 과거세대와 현재세대, 그리고 미래세대 간의 조정이 바로 그것이다. 이 같은 지향성과 관점은 이 연구 전반에 투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이민법제의 쟁점에 대한 입법론적 검토

        권채리 국회입법조사처 2021 입법과 정책 Vol.13 No.1

        In the light of the ever increasing mobilities among individuals between and among nations are becoming more active nowadays than ever before. Unprecedent phenomena of these kind have been more or less curtailed largely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us, it seems to be time for a multifaceted approach to Korean immigration law and administration to be considered not only for permanent or long-term foreigners, refugees and professionals. The recent issues of Korean immigration administration can be summarized as the Unified Immigration Act or the Basic Immigration Act in legislation, and the Immigration Office as a control tower for immigration administration in organizations. Of course, there are countless individual issues, and critics point out that the Korean immigration law system, which is represented by the Immigration Control Act, the Nationality Act, and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lacks systematic and efficiency. Where is the current direction of our immigration law, where globalization, globalism, population decline, and pandemics overlap? In the present paper, attempts are made to overview the characteristics of our immigration legislation, raise questions about our immigration law system, which is represented by discussions on integrated laws,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legislative works on immigration in the future. 팬데믹 발생으로 인한 일시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국가 간 이동이 여느 때보다 활발해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우리 이민법과 이민행정에 있어 비단 영주 또는 장기로 체류하는 외국인뿐만 아니라 단기체류자격의 외국인, 난민 등에 대한 다면적인 접근이 요청되는 시기이다. 근래 우리 이민행정의 화두는 법제에서는 통합이민법 및 이민기본법의 제정, 조직에서는 이민행정의 컨트롤타워로서 (가칭)이민청 신설 논의로 요약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개별쟁점은 무수히 많으며 출입국관리법, 국적법, 다문화가족지원법 등으로 대표되는 우리 이민법제에 대하여 부처 간에 정책이 중복되거나 상충되는 등 체계성과 효율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지적과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세계화 내지 글로벌리즘, 인구감소, 팬데믹 등이 중첩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 이민법이 나아갈 방향은 어디인가? 이 글에서는 우리 이민법제의 특징을 개관하고 통합법 논의로 대표되는 법제 개편에 대한 문제제기 그리고 관련 법률의 쟁점분석을 통해 향후 이민법제와 관련 정책 등이 나아갈 방향성을 모색한다.

      • KCI등재

        복수국적의 허용과 규제 그리고 과제

        권채리 한국비교공법학회 2019 공법학연구 Vol.20 No.2

        The newly amended Nationality Act of 2010 permits, in a limited way, multiple nationalities, for those who certify not to exercise one's own right of nationality, especially in the absence of the obligation to renounce the original nationality as a precondition to the acquisition of the second nationality. It is however important that all the conceivable considerations as to the changing international environments as well as the internal interests should be well taken into accounts before the adoption of the system of plural citizenship. One might raise some problems as follow. First of all,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fully the detailed regulations of the relevant law, in the light of this Act being a limited and exceptional measure for the plural nationality. This means that so many details of exceptions for allowing and banning the cases of plural nationalities. Secondly, it appears enormously difficult to pinpoint the applicable person or cases in relation with the status of multinational nationals in the administrative process. Therefore it is hardly realistic to expect a fair and proper administration of the matter involving nationalities, among the complex and dubious petitioners holding plural nationalities. In addition, the question of expanding or limiting the multiple nationalities in the years to come, let alone at present, might go beyond the limit of the writer with many other factors and contexts broadly taken considerations. Statutory approach may not be the only alternative. Empowering the Ministry of Justice to exercise the discretionary review the selection may very well be another solution in the light of the complexities of the question, A few unique problems, as they relate to cases in Korea, need to be brought to special attentions ; mandatory conscription system of Korea, changes in age group among those emigrants, mostly aged foreign nationality holders, returning or visiting to Korea, and others. Those cases, which have given rise to a revision of law or even new enactment might be viewed piecemeal legal approaches to a very delicate contemporary problem like plural nationality. 우리 국적법은 2010년 개정에서 제한적으로 복수국적을 용인하였고 외국국적 불행사서약을 하면 원국적 포기의무가 면제된다. 그런데, 국제조류와 국익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관련 규정을 개정하고자 복수국적제도가 도입되었고 이러한 취지에 맞추어 개정이단행되었지만 몇 가지 문제점이 제기된다. 우선, 복수국적의 전면허용이 아닌 제한적 허용이다 보니 적지 않은 예외규정이 마련되면서 관련 법 규정을 수범자가 이해하기 쉽지않다. 또한 실무행정에서 정확한 복수국적자 현황 및 관리에 어려움이 있고 이러한 맥락에서 즉, 복수국적자를 모두 파악할 수 없는 구조에서 국적선택명령제도를 운용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합리적이지 못하다. 이어, 보다 근본적으로 복수국적의 허용범위를 확대할 것이냐는 문제와의 연계선상에서 현재처럼 제한적으로 허용하되 그 적용범위를 보다 넓힐 것인지 또는 전면적으로 허용할 것인지 - 사회적 공감대 및 사회적 비용의 증가로 쉽지는 않겠지만 -, 확대할 경우그 방식은 법률로 할 것인지 또는 법무부장관의 재량으로 할 것인지 아니면 그 밖의 방식으로 할 것인지의 문제가 남는다. 국적선택기간은 우리 특유의 병역제도와 맞물려 합리적이지 못한 측면이 존재한다. 다만, 관련 단체에서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있는 영주귀국 고령동포의 연령하향 문제와마찬가지로 (남성의) 국적이탈 문제는 적지 않은 나름의 문제점을 안고 있어 입법안 발의로도 이어졌지만 실질적인 수혜자가 특정 집단에 집중되어 있는 만큼 어느 선에서 조정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 신중한 검토 및 합의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 KCI등재

        세대갈등의 배경과 법적함의 : 68세대부터 코로나 세대에 이르기까지

        권채리 법과사회이론학회 2022 법과 사회 Vol.- No.71

        지난 5월 진행된 대통령 선거에서는 젠더갈등과 더불어 세대갈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사실 사회갈등의 영역 가운데 성별과 세대는 전 세계적으로 목격되는 보편적인 쟁점이라 할 것인데, 한국 특유의 정치 진영갈등과 맞물려 증폭되었다. 물론, 30년 전에도 세대갈등은 노사갈등이나 지역갈등보다 그 정도가 낮았을 뿐 이미 우리가 주요하게 인지하는 갈등의 하나로 이미 기능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대갈등이라는 주제는 오늘날 더욱 심화되는 것처럼 보이며, 팬데믹을 겪으면서 “부머 리무버(Boomer Remover)”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는바, 이는 세대갈등이 얼마만큼 심각한지 단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최근의 언론보도는 한국을 갈등 공화국이라 규정하며 세대 간 불평등을 선정적으로 보도하고 있다. 그렇다면 주변국가와는 또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대한민국의 세대갈등을 현 시점에서 짚어볼 필요가 있다 : 세대갈등의 심각성은 이전보다 두드러지는가 아니면 늘 존재하였는데 우리가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인가? 이러한 문제인식 하에 이 글에서는 세대갈등의 효시라 할 수 있는 1968년 혁명부터 팬데믹의 절정으로부터 엔데믹을 바라보고 있는 현 시점까지 세대갈등의 흐름과 그로부터 도출된 법적함의를 살펴본다. 물론 68혁명은 기성정치, 권위주의 등에 대한 저항으로 구시대적인 사회관습을 뒤바꾼 문화혁명이기 때문에 오늘날 세대갈등과는 같지 아니하나, 68세대가 주도한 새로운 시대는 유럽, 미국, 아시아 등 각지에서 지금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 KCI등재

        비지정문화재 보호의 모색 : 프랑스 법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권채리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6 法學論集 Vol.21 No.2

        우리가 흔히 논의하는 문화재가 ‘보호되는’ 문화재라면, 보호에서 소외된 즉 비보호문화재에 대한 고찰이 본 논문의 연구대상이다. 비보호문화재는 문자 그대로 보호되지 않는 문화재를 가리키나, 지정제도를 취하고 있는 한국에서는 이를 비지정문화재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문화재는 역동적인 분야가 아니기에 일단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보호제도의 체계로 편입되면, 문화적 가치를 잃지 않는 한 공법인의 보호 아래 놓이게 된다. 그러나 특히 지방에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에서 벗어난 상당한 수의 문화재가 존재한다. 프랑스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비보호 농촌문화재’(Patrimoine Rural Non-Protégé)의 보호를 목적으로 재단을 설립하고 예산을 배정하는 등 지정되지 않았으나 실질적으로 문화재적 가치를 지닌 기념물 및 건조물의 복원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에서는 비지정문화재로서 매장문화재, 일반동산문화재, 등록문화재를 규정하고 있으나 그 체계가 일관적이지 않다. 더욱이 동산 문화재는 그 이동성으로 말미암아 보다 정교한 규정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현재 문화재보호법의 실정은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어 비지정문화재의 도난 내지 불법반출 등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비지정문화재에 관한 관심은 주로 ‘근현대’라는 시대성에 주목하여 나타나는 바, 2000년에 도입된 등록문화재를 비롯하여 근래에는 서울시의 미래유산, 그리고 예비문화재 등의 제도가 마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보호대상인 문화재의 범위 및 보호를 위한 법적・행정적 수단을 프랑스와의 비교법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비지정문화재에 대한 개입을 통해 문화재 보호의 외연을 넓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 목표이다. Recognizing that the term cultural heritage commonly refers to the historical assets that are “protected”, this study seeks to shed light on the unprotected heritages that linger in the legal apathetic. Unprotected cultural heritage denotes a social property that is literally unprotected, however, in Korea where the government has adopted the designation framework, the unpreserved assets may classify under the undesignated cultural heritages. A considerable number of cultural heritages in the regional province exist without legal protection. In this connection France, for instance,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this problem and showed their interests in the “Unprotected Rural Cultural Heritages” (Patrimoine Rural Non-Protégé) program, and supports the restoration of edifices that are not designated but pose a substantial cultural value through establishing foundations and allocating budget.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framework of un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do exist, which are buried cultural properties,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nd general movable cultural properties, but nevertheless it ails from its systematic inconsistency. Moreover, as the regulations on the import and export of general movable cultural properties are not as sophisticated as to our French counterparts, theft and illicit export now poses as a social problem. Understanding that the Korean interest on the undesignated cultural heritage mainly stems from the conceptual view of the “the modern age”, new classifications as the future heritages and Seoul preliminary cultural assets were introduced since the year 2000. This paper performs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legal and administrative measures to compare the scope regarding designation boundary of protected cultural heritag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n the aforementioned the French framework. The ultimat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methods to expand the scope of protection through some kind of intervention on the undesignated cultural assets.

      • KCI등재

        아이즈너의 교육적 감식안에 따른 수업 평가 준거 탐색

        권채리,조호제 안암교육학회 2023 한국교육학연구 Vol.29 No.3

        This study aims to develop teaching evaluation criteria by Eisner's educational connoisseurship,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supplement the quantitative method to teaching evaluation. By the developed teaching evaluation criteria, the researcher actually evaluated Korean language class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to find out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Eisner’s teaching evaluation method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classes. The research results are same as the following. First, in intentional dimensions, in addition to the intentional learning goals, the teacher considered practical learning goals. Second, regarding to structural dimensions, problems were displayed from human and temporal configuration. Thirdly, in educational curriculum dimensions, the teacher designed the instruction by considering learners’ interests, levels, and links to other subjects, but there were limitations like teacher directed aspects. Fourthly, in instructional dimensions, warm atmosphere, voices of clear tones, and interesting teaching materials led learners having participated in the instruction, but it was insufficient in class management. Fifthly, in evaluation dimensions, individual and group feedback was properly provided, but authentic assessment was not conducted in the classroom situation. Based on these results, a total of 19 evaluation criteria were derived by Eisner’s educational connoisseurship.

      • KCI등재

        공공외교로서 한국의 문화외교: 프랑스의 “영향력 외교”에 주목하여

        권채리 한국유럽학회 2023 유럽연구 Vol.41 No.3

        This article starts its examination on the public diplomacy since its inception, and developments in the Cold War era and ensuing globalization. The writer purports to illustrate the case of France, the trade mark nation of culture and art, in using its cultural influence as a unique tool in the area of public diplomacy. It is true that while the Soviet Union in the 1920s, the United States after 1945, and China in recent years have all emphasized cultural influence as a growth engine, However, France is unique in conducting the cultural diplomacy, in its own way to strengthen its external influence at a time when its national power was relatively declining. It is to be noted that public diplomacy of a given nation can be executed at a level both universal and specific. At the same time it is a common phenomenon that public diplomacy and soft power have become means of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since the 1960s and 1980s. Yet the timing and methods of applying them vary depending on the given conditions of the country. In particular, France has introduced a new concept of “influence diplomacy” to revive French culture, thus cultural diplomacy, which is obvious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United States. In terms of the national wealth, or of national competitiveness, France has declined compared to the past, and has made its own efforts to promote the cultural industry by reorganizing a network of specialized organizations centered on the Institut Français. On this point the new French model gives rise to an emerging approach deserving a close appraisal in Korea. The Korean government officially declared 2010 as the “Year of Public Diplomacy”, setting out its 3 pillars as ‘political diplomacy, economic diplomacy, and public diplomacy. 6 years henceforth saw to it enactment of the Public Diplomacy Act of 2016. This year, in 2023, the Second Basic Plan for Public Diplomacy will be launched, so while the discussion on public diplomacy is short, Korea's image in the eyes of the world is higher than ever, as evidenced by the National Brand Index, among others. “cultural content powerhouse” is the word rightly dubbed to indicate solidifying trend toward culture. As a result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public diplomacy and cultural diplomacy, especially in comparative perspectives with the Franco-Korean diplomatic practices. 이 글에서는 공공외교가 어떠한 배경에서 등장하여 냉전기, 세계화 시대를 지나며 어떤 모습으로 변모하였는지를 짚어보고, 이른바 문화예술의 나라라고 불리는 프랑스에서는 문화의 영향력을 어떻게 펼치고 있는지 살펴본다. 특히 1920년대의 소비에트연방과 1945년 이후의 미국, 그리고 최근의 중국이 성장동력으로 문화적 영향력을 강조하였다면, 프랑스는 국력이 쇠락한 시기에 문화외교를 통해 대외적인 영향력을 강화하였다는 점에서 그 특징을 갖고 있다. 사실, 한 국가가 공공외교를 수행하는데 있어 보편성과 개별성 내지 특수성을 모두 갖게 마련이다. 1960년대, 1980년대를 지나면서 공공외교 및 소프트파워가 국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수단이 되었음은 공통적인 현상일 것이나 이를 적용하는 시기와 방식은 국가의 주어진 조건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난다. 특히 프랑스의 경우 미국과 차별된 그리고 과거에 비해 쇠락한 프랑스 문화, 문화외교를 부흥시키기 위해 “영향력 외교”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고 Institut Français를 중심으로 여러 전문기관과의 네트워크를 재편하여 문화산업의 진흥을 꾀하려는 나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 정부는 2010년을 “공공외교의 원년”으로 선포하고, 외교의 3대 축으로 정무외교, 경제외교 그리고 공공외교를 설정하고, 그로부터 6년 뒤인 2016년에 공공외교법을 제정하여 시행 중에 있다. 또한 2023년은 제2차 공공외교 기본계획이 새롭게 시작하는 해이다. 따라서 우리의 공공외교의 본격적 논의는 짧다고 할 수 있으나, 국가 브랜드 지수가 증명하듯 세계인이 생각하는 한국 이미지는 여느 때보다도 높다고 할 수 있으며, “문화콘텐츠 강국”으로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소프트파워(Soft Power) 시대에서 스마트파워(Smart Power) 시대로 전환된 시기에 주목하며, 공공외교의 개념과 발전 그리고 문화외교, 프랑스와 한국의 문화외교의 특징을 통해 K-문화외교가 나아갈 방향을 살펴본다.

      • KCI우수등재

        21세기 사회에서 우리 국적법의 과제 ― “진정한 유대이론”의 해석과 적용 ―

        권채리 한국공법학회 2023 공법연구 Vol.52 No.1

        개인과 국가와의 법적관계 내지 특정 국가의 구성원이 되는 자격을 일컫는 개념이며 지위가 국적(國籍, nationality)이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개인에게 국적이란 무엇인가. 모든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속지주의 또는 속인주의에 따라 최소 하나 이상의 국적을 국가로부터 부여받는다. 그런데, 특히 20세기 후반 이후 국가와 개인의 법적관계는 점차 복잡해지기 시작한다. 자발적 이주나 지역분쟁, 그리고 전쟁 등으로 인해 변동을 겪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때 국적은 종종 인종, 종족의 문제와 연결되어 전개되며, 특히 동양보다는 서양, 특히 동유럽과 러시아 등에서 두드러지게 그리고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구 유고슬라비아의 해체, 그리고 현재 진행 중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본질 또한 종족분쟁에서 비롯된다. 요컨대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의 이념대립에 가려진 “종족의 정치”는 오늘날 그 양상을 달리하여 “이민의 정치”로 바뀌고 있고, 이는 다시 유럽 전역에 걸쳐 “국적의 정치”로 그 현상이 옮아가고 있다. 또한 1895년에 확립된 국적유일의 원칙은 단일국적 유지의 의미에서는 오늘날 더 이상 유효하다고 보기 어려우며, 반면 국적변경권, 국적포기권의 행사를 통한 국적자유의 원칙은 여느 때보다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한국은 인종 또는 종족으로 인한 갈등요인은 없어 왔으나, 700만이 넘는 디아스포라를 가지고 있고 동시에 분단국가로 인한 병역문제가 국적법 및 재외동포법제에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재외동포에 관한 정책과 법제는 향후 대한민국 국민의 범위를 규정짓는데 있어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재외국민의 국적이탈에 관한 입법개정과 외국국적동포의 국적회복 요건의 완화 요청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2021년 입법예고는 되었으나 좌초된 보충적 출생지주의의 도입을 언급할 수 있다. 즉, 한국의 재외동포에 있어서는 탈(脫) 국적과 국적취득의 대척(對蹠)과 갈등이 공존하는 것이 다. 그렇다면 재외국민, 외국국적의 동포 또는 민족, 혈통의 기반이 없는 영주권자와 한국사회와의 “진정한 유대관계”는 어떻게 새길 것인가. 이 연구에서는 1948년 제헌헌법의 위임에 따라 제정된 우리 국적법의 주요규정 및 관련 판례가 진정한 유대이론의 시각에서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국적의 변경과 포기, 복수국적, 무국적, 보충적 출생지주의의 도입, 국적유보제도의 도입 등 다양한 변화가 복잡한 법리와 적용의 갈등을 거치며 끊임없이 진행 중이다. 인구구조의 변화에 대한 대응과는 별도로 국적의 문제는 개인에게 있어 국가와의 가장 근원적인 지위이며 바로 그로부터 향유할 권리인 만큼 새로운 원칙과 그 적용기준이 정립되어야 할 시점이다. Nationality, which refers to an individual's legal relationship with a state, or rather his or her status as a member of a given nation. Everyone is assigned at least one nationality by Jus Sanguinis either by Jus Soli. The leg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the individual is subject to change due to voluntary migration or war, or involuntary circumstance. However, nationality is often linked to issues of race and ethnicity, relatively more often in the West, as compared to the cases of the East, as seen notably in Eastern Europe and Russia. The breakup of the former Yugoslavia and its aftermath, and the ongoing Russian-Ukrainian war are fundamentally ethnic in nature. In short, the “politics of race”, which was overshadowed by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after World War II, is nowadays being transformed into the “politics of immigration”, which in turn again is being translated into the “politics of nationality” across good many parts Europe. In addition, the principle of unity of nationality established in 1895 is by all means no longer valid any more today in the sense of maintaining a single nationality, in the face of the right to change nationality and renunciation of nationality, ever developing since the latter part of the 20th century. Although Korea has been a country almost free from racial or ethnic conflicts, it has a diaspora of more than 7 million people, and the unique problem of military service based on the conscription, stemming from the national division, as reflected in the Nationality Act and the Overseas Koreans Act. Therefore, policies and laws regarding overseas Korean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defining the scope of Korean citizenship in the future. In this regard, there have been flood of on-going arguments for legislative amendments favoring denationalization of overseas Koreans and relaxation of the requirements for restoring the nationality of overseas Koreans. In addition, we can mention the introduction of a supplementary birthplace system, which was proposed at the National Assembly in 2021, but stalled. In other words, the pros and cons debates are going on the issues of denationalization and nationality acquisition for overseas Koreans. One might rightly raise the questions like do overseas Koreans, foreign compatriots, or permanent residents with no ethnic or genealogical ties to Korea, inscribe their “genuine connection” to Korea? This study examines how the main provisions of the Korean Nationality Act, enacted under the mandate of the 1948 Constitution, and related case law can be interpreted through the lens of true bond theory. Changes and renunciations of nationality, multiple citizenships, statelessness, the introduction of supplementary birthplace principle, and the introduction of a reservation of nationality are constantly underway. Apart from responding to demographic changes, the issue of nationality is, as aforementioned a fundamental right for individuals requiring close scrutiny in the light of the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