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小兒屈折性弱視眼에 대한 臨相的考察

        權正允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8 慶北醫大誌 Vol.29 No.1

        1987년 1월부터 12월까지 만 일년동안慶北醫大附屬病院眼科에 내원하였던 환자중 屈折異常때문에 弱視가 초래된 것으로 思料되는 만 3세에서 12세까지 小兒 124名 213眼을 대상으로 屈折異常의 種類와 程度를 檢討하였다. 遠視性屈折性弱視眼은 213眼중 125眼있었는데 단순원시안은 51眼이고 원시성난시안은 74眼이었다. 近視性屈折性弱視眼은 74眼이었는데 이 중 단순근시안은 13眼이었고 나머지61眼은 근시성난시안으로서 난시는 원시보다 근시와 더 많이 동반되어 있었다. 亂視眼은 149眼이었는데 이 중 직난시가 124眼으로 가장 많았다. 전체 대상안213眼 중 不同視性弱視眼은 49眼이었으며 양안굴절이상도의 차이는 주로 1D에서 2D사이에 분포하고 있었다. We evaluated the type and degree of refractive errors of 213 eyes in 124 children with anisometropic and refractive amblyopia aged 3 to 12 years. Of 213 eyes examined, hyperopic refractive amblyopia was found in 51 eyes and hyperopic astigmatism was seen in 74 eyes. Of 213 eyes examined, myopic refactive amblyopia was found in 74 eyes. Of these 74 eyes, simple myopia was seen in 15 eyes and myopic astigmatism was seen in 61 eyes. Astigmatism was associated with myopia more than hyperopia. Astigmatism was found in 149 of 213 eyes. Of these 149 eyes, with the rule astigmatism was found in 124 eyes. Of 213 eyes examined, anisometropic amblyopia was found in 49 eyes. The degree of anisometropia was distributed mostly from 1 D to 2 D.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정서적 공감과 심리적 안녕감이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의 매개효과

        권정윤,조혜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emotional empath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on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their children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mong the relationshi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9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and their 3- to 5-year-old children who live in Seoul. A number of the 109 mothers responded to the scale of emotional empathy, psychological well-being,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ir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analyses were conduct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empath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f the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Second, the direct effects of emotional empath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on the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ere not significant but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of the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significantly mediated the effects of mothers’ emotional empath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ir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recommendation for encouraging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the children in North Korean refugee familie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정서적 공감, 심리적 안녕감, 긍정적 정서표현과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정서적 공감과 심리적 안녕감이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며,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 109명을 대상으로 정서적 공감, 심리적 안녕감, 정서조절 능력, 긍정적 정서표현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한 후, Pearson의 상관관계와 경로모형분석을 사용하여 영향력과 매개효과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정서적 공감, 심리적 안녕감 및 긍정적 정서표현과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정서적 공감과 심리적 안녕감은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긍정적 정서표현을 매개로 하여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 정서표현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정서조절 능력발달을 위한 부모 양육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OECD 8개국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의 놀이와 학습 관점 탐구

        권정윤,정미애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eight OECD countries understand children’s play and learning and how they present them in their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examine the perspectives and the relation of play and learning. Also,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revision and development of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Among the five core issu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high quality early childhood curriculum in OECD(2004), three issues were used as the analysis criteria: educational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s, and learning methods and approach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curriculum of the Nordic countries, English speaking countries, New Zealand, and Australia,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and learning was not dichotomized, but integrated. Second, the view changed in the direction of emphasizing play that promotes learning and development from the traditional free play in the past. It was found that discussions were underway on the balance between teacher-led and child-led activities for children’s play and learning. Third, eight OECD countries included learning or access to learning as an ele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play was commonly emphasized as a way to achieve it.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for Korea were presented in terms of the perspective of play and learning. 본 연구는 OECD 8개국에서 놀이와 학습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이를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 파악하여 놀이와 학습에 대한 관점 및 관계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정 및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OECD(2004)의 질 높은 유아교육과정 개발과 관련된 5가지 핵심이슈들 중 교육목표, 교육내용, 학습 방법 및 접근의 3가지 이슈를 분석기준으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북유럽 국가 및 영미 권 국가 그리고 뉴질랜드와 호주의 교육과정에서는 놀이와 학습의 관계를 이분법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있다. 둘째, 과거의 전통적인 자유놀이에서 학습과 발달을 촉진하는 놀이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관점의 변화가 나타났다. 유아 놀이와 학습을 위해 교사 주도적 활동과 유아 주도적 활동 간의 균형에 대해 논의가 진행 중이다. 셋째, OECD 8개국에서는 학습에 대한 학습 또는 학습에 대한 접근을 교육과정의 한 요소로서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성취하기 위한 방법으로 놀이를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놀이와 학습의 관점 탐구를 기초로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사이버 비행 문제의식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과 교사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권정윤,조혜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3

        목적 본 연구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사이버 비행 문제의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또래애착과 교사관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한국아동패널 11차(2018)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변인에 모두 응답한 707명을 대상으로 SPSS 20.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 비행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교사관계의 친밀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자아존중감, 또래애착의 의사소통, 신뢰, 교사관계의 갈등(역)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측정모형은 적합했으며, 집중타당성이 확인되었다. 구조적 관계를 보면, ‘자아존중감→또래애착→교사관계→ 사이버 비행 문제의식’의 경로로 완전 매개하여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관계형성의 중요성을 다시금 확인하는 것이며, 사이버 비행 문제의식 확립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는점에 의의를 갖는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and teacher relationship in the process of children's self-esteem affecting cyber delinquency cultural consciousness. Methods Using the data from the 11th Korean Children's Panel (2018), 707 people who responded to all research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and AMOS 23.0.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cusing on cyber delinquency problem consciousness, it showed the statistically-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timacy of teacher relationship, 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ly-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esteem, peer attachment communication, trust, and teacher relationship conflict(reverse). Second, the measurement model was suitable, and convergent validity was confirmed.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it was found that it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path of ‘self-esteem → peer attachment → teacher relationship → cyber delinquency problem consciousness’. Conclusions These finding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reaffirm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formation and find ways to establish awareness of cyber delinquency problem consciousnes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권정윤 한국유아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연구 Vol.30 No.6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정서노동과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의 민간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은 정서노동의 수행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지능이 정서노동의 하위요인인 자연적 행동 및 내면적 행동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은 유아교사의 정서노동 수행에 대해 유의한 영향력을 가진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은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개인관련 직무스트레스와는 유의한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인 자기정서파악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은 유아교사의 근무기관 유형, 담임 유아의 연령, 유아교사의 학력, 연령 및 교사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유아교사의 학력과 경력 변인이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에 차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정서를 측정하는 변인과 교사의 교수행위 및 직무수행과 관련된 변인간의 관계 및 영향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work and working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working stress. A total of 152 child-care teachers who work in Seoul and Gyongki area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irs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care teacher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emotional work. In specific,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was highly related to the subcategory of emotional labor, which is,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work. Also,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care teachers was the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on their emotional labor. Seco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care teachers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subcategory of working stress, the personal working stress. Moreover, the identification of self emotions which is the subcategory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the effective factor to influence on child-care teachers' working stress. Third, the emotional labor was not different by the teachers' personal factors such as the type of child care center, children's age, teachers' educational level, age, the length of teaching experiences; however, the educational level and teaching experiences were the factors to make differences i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working stress. Therefore, this study recommended the needs of study to examine the measuring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emotions, teaching, and teaching related work as well as their relationships and effects among these variab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