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양전공자의 영양지식, 식이 효능감, 식행동 변화간의 관련성

        선영(Kwon Seon-Young),한장일(Han Jang-Il),정영진(Chung Young-Jin) 韓國營養學會 200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1 No.6

        본 연구는 영양전공자들의 영양지식 수준, 식이 효능감과 식행동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식행동 변화에 영양지식이나 식이효능감이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자 초 · 중 · 고등학교의 급식 영양사 [(총 190명) 대전 84명 (44.2%), 충남 106명 (55.8%)]를 대상으로 영양지식 15문항, 식이효능감의 4개 하부 영역으로 구성한 총 18 문항, 식행동조사로 권장 식품과 비권장 식품 총 12종의 6개월 전과 비교한 섭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학교급식 영양사들의 영양지식은 80.3%의 정답률을 보여 높은 편이었지만 특수 분야에 대한 정답률은 낮았다. 조사대상 영양사들은 74.7%의 자아효능감을 보여주었으며 각 영역별 효능감은 식사습관 영역 72.2%, 음식 선택 영역 85.4%, 주위 환경의 자극 영역 69.7%, 정서 상태 영역 74.6%로 음식 선택 영역의 효능감이 가장 높았고 주위 환경의 자극영역의 효능감이 가장 낮았다. 권장 식품의 섭취량 변화에서 생선류와 채소류는 섭취량에 변화가 적은 식품류였고, 과일류와 콩류 및 된장 · 두부는 섭취량이 가장 많이 증가한 식품류였으며, 우유 및 유제품류는 섭취량에 증가와 감소가 비슷한 식품류였고, 미역 · 김 · 다시마 · 버섯류는 섭취량에 변화가 없거나 약간 감소한 식품류였다. 비권장 식품의 섭취량 변화 조사에서 대부분의 비권장 식품류들에 대해 응답자의 약 50%는 섭취량에 변화가 없었다고 응답하였지만 30% 이상은 섭취량에 감소가 나타났다고 응답하여 비권장 식품의 섭취량을 감소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조사 대상 급식 영양사들은 영양지식에 따라 식이효능감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또한 식이효능감에 따라 영양지식에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아 두 요인 간에 서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식이효능감에 따른 권장 · 비권장 식품의 섭취량 변화에서 식이효능감에 따라 권장식품의 섭취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비권장 식품의 섭취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 (p < 0.001)를 보여 식이효능감이 높을수록 권장하지 않는 식품에 대한 섭취량이 감소하였다. 식이 효능감의 4개 하위 영역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식사습관 영역 (p < 0.001)과 정서상태 영역 (p < 0.001)이 권장 식품 섭취량과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비권장 식품 섭취량은 4개 영역 모두 (p < 0.001)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식사습관과 정서상태 영역의 효능감은 특히 권장 식품의 섭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나 모든 4개 영역의 효능감은 비권장 식품의 섭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요인들이었다. 이로써 식이효능감이 전문영양사들의 식행동 변화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나 학교급식 영양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에 있어서도 식이효능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의 강구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self-efficacy and dietary behavior of nutritionist. Total 190 dietician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44.2%) and Chungnam area (55.8%)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s. The change of dietary intakes was used as an index of dietary behavioral change, and dietary self-efficacy are categorized into 4 sub groups of general dietary habit, choice of food, environmental stimulus and emotional conditions. Overall nutritionl knowledge of school dieticians was relatively high as 80.3 score, but specific and detail knowledge about food and nutrition yet have to be strengthened. Dietary selfefficacy of ‘choice of food’ was the highest with 85.4 and self-efficacy of ‘environmental stimulus’ was the lowest with 69.7 in the subjects. There was no influence between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self-efficacy of school dieticians. According to the level of dietary self-efficacy, the intake of desirable foo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intake of undesirable foods decreased as dietary self-efficacy increased (p < 0.001). In the analysis of correlation of change in intake of desirable and undesirable foods with nutrition knowledge and 4 different variables of dietary selfefficacy, a nutrition knowledge variable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with other variables. While, total dietary selfefficacy or each 4 sub item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intake of undesirable foods. And all 4 sub items of dietary self-efficacy could be the principal factors to constrain the intake of undesirable foods, but 2 items of dietary habits and emotional condition of 4 sub items are the factors to increase the intake of desirable food.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hat dietary self-efficacy could be a powerful factor to induce the behavioral change of professional dieticians. (Korean J Nutr 2008; 41(6): 550 ~ 560)

      • KCI등재

        관용구의 어법 설명에 관하여

        경일(Kwon Kyung-Il) 한국사전학회 2004 한국사전학 Vol.- No.4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explanation of idiomatic usage in dictionary and to find new sense item in the explanation which is useful to learners of idioms. Dictionary must present sufficient information of usage of idiom to learner so this article inquire the usage of idiom in the semantic-pragmatic point of view. As a result, it is indicated that not only traditional stylistic elements, but also speaker’s attitude and intention are necessary in order to explain the pragmatic use of idioms in dictionary.

      • KCI등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상징어 학습사전의 편찬 연구

        경일 ( Kwon Kyung-il ),김홍범 ( Kim Hong-beom ) 한말연구학회 2017 한말연구 Vol.- No.46

        This study focus on the itemized discussion for compiling learner’s dictionary of Korean symbolic words for foreigners. The entries of the dictionary is set by symbolic words included in Yonsei Korean dictionary and textbooks using in the major language institutes in Korea. As a prior tasks of setting the entries of dictionary we introduced the criteria for homonym and polysemy and examined the practical problems occurred in applying the criteria. Then we suggested the principle of selecting basic lexical entries and the explanatory method of consonants and vowels alternation’s meaning and their different usages.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subclassifying symbolic words into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To resolve the problems, we redefined the subcategories of symbolic words. We also classified synonymous symbolic words into subtypes and proposed the way to distinguish the synonymous meaning of symbolic words. Additionally we suggested the way to presenting the usages of symbolic words concerning with the features of them as a adverb having restriction. The information of suffix combination was suggested emphasizing that symbolic words enrich expressions in Korean by derivation into verbs and the measure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meaning explanations was proposed by aggregating author’s advanced resear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