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책동향 - 어선 검사제도의 변화

        권용철,Kwon, Yong-Cheol 선박안전기술공단 2009 선박안전 Vol.27 No.-

        "선박안전법"에 따른 선박 설비기준 및 검사업무에 관한 규정 가운데 어선 관련 부분을 어선법(법률 제9718호, 2009. 5. 27 공포, 2009. 11. 28 시행)으로 이관하여 어선관리업무를 일원화하고, 어선에 관한 검사 및 검사대행기관 지정토록 개정되어, 그에 따라 어선 검사제도의 변화를 통하여 어선관리업무의 정책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元代 中期 관료 高昉의 행적과 출신에 대한 고찰

        권용철(Kwon, Yong-cheol) 호서사학회 2020 역사와 담론 Vol.0 No.96

        본고에서는 원대 중기의 관료인 고방의 출신과 행적에 대해 검토해보았다. 대원제국 역사 연구를 위한 기본 사료인 正史 『元史』에는 고방에게 따로 열전을 할애하지 않고 그 행적의 일부분만 서술되어 있어 고방에 관한 상세한 사항들을 확인하기 어렵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원대의 문집 자료에 기록되어 있는 고방의 신도비명과 「高夫人葬記」라는 제목의 記文을 통해『元史』의 부족함을 채워나갈 수 있었다. 고방은 세조 至元 말기부터 관료로서 활약했던 인물이었고, 세조 재위 당시 과거제가 실시되지 않았던 상황 속에서 천거를 받아 하급관리에서부터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集賢院과 중서성에서 주로 활약했던 고방은 제국 조정의 정치적 상황에 휘말려 지방으로 좌천되는 경험을 겪기도 했지만, 이러한 좌천은 오히려 고방이 지방에서 명성을 쌓게 되는 기회로 작용하게 되었다. 중앙과 지방에서 행정 실무를 수행하며 실력을 알린 고방은 인종 황제에 의해 중앙으로 소환되기에 이르렀는데, 이는 인종이 漢人 관료들을 적극 활용하여 정국을 이끌고자 했던 정책과도 상통하는 것이었다. 비록 고방의 모친이 사망하면서 고방은 3년상을 위해 관직을 수행할 수 없었지만, 인종은 고방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보이면서 고방의 관직 복귀를 압박했다. 하지만 고방은 인종 사망 이후 후원자가 없어진 상황에서 권신 테무데르의 공격을 받아 결국 다시 좌천되기에 이르렀다. 즉, 고방은 원대 중기의 복잡한 정국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인물 중의 한 사람이었다고 할 수 있다. 고방은 大名路 출신의 관료였지만, 그 선조들의 家系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발해와 연관이 깊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고방의 신도비명에는 고방의 선조들이 원래는 요동에 거주했다가 금 제국에서 활약하면서 점점 중원으로 이주했다는 점이 기록되어 있다.『元史』에서는 고방과 발해를 연결시킬 수 있는 단서를 전혀 찾을 수 없지만, 신도비명과 「高夫人葬記」에서는 그 흔적들을 발견할 수 있다. 물론, 발해 멸망 후 오랜 세월이 지나고 중원으로 이주까지 했기 때문에 고방 가문이 발해인의 정체성을 유지한 모습은 찾아볼 수 없지만 그런데도 신도비명에 발해를 기원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 기록된 그 자체는 매우 흥미로운 것이라고 할 수 있다. Gao Fang(高昉) served as a bureaucrat since the end of Qubilai’s reign, and began his official career as a low-ranking bureaucrat through recommendation. Although Gaofang experienced relegation to the provinces due to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imperial government, this relegation rather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Gao Fang to build a reputation in the provinces. He was summoned to the imperial court by the Emperor Renzong(仁宗), which was in line with the policy that emperor actively sought to take full advantage of Han officials. Although the death of Gaofang’s mother prevented him from carrying out office for three years, Renzong continued to show interest in Gaofang, pressuring him to return to office. However, Gao Fang was attacked by powerful individual Temüder and eventually demoted again after the death of Renzong. In other words, Gaofang was one of the figures directly influenced by the complex political situation of the mid-Yuan period. Although Gao Fang was a bureaucrat from Daiming Circuit(大名路), it can be seen that he was closely related to Balhae(渤海) if we examine his ancestors. In particular, the epitaph of Gao Fang records that his ancestors originally lived in Liaodong(遼東), but gradually moved to the “Central Plains” during the Jin Empire. In Yuanshi(元史), no clues can be found to link to Gao Fang and Balhae, but traces can be found in the epitaph. Of course, the identity of Balhae cannot be maintained because it has been a long time since the fall of Balhae and Gao Fang’s family even moved to Central China, but it is still very interesting to discover his Balhae roots recorded in his epitaph.

      • KCI등재
      • KCI등재

        대원(大元)제국 시기 지순(至順) 원년(1330)의 정변 모의(謀議)와 그 정치적 영향

        권용철 ( Kwon Yong-cheol ) 중앙아시아학회 2018 中央아시아硏究 Vol.23 No.1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political history of Mongol empire, centering on the political upheaval that occurred in the first year of Zhishun(1330). This event was recorded very briefly in Yuanshi(元史), so many scholars did not pay attention to this historical event. But, this conspiracy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was a case that reflects the politics of late Yuan(Mongol) empire formed after the civil war between two capitals(兩都內戰). Wenzong(文宗) and El-Temur(燕鐵木兒) suppressed conspiracy quickly and decisively, resulting in the further strengthening of El-Temur’s political influence. In other words, through the suppression of coup of the first year of Zhishun, El-Temur was to have stabilized power. Meanwhile, Huizong(惠宗) Toγon-Temur could only be crowned after El-Temur died. In the early days of his reign, Huizong could not control the excessive power of powerful vassal, so emperor could not establish his own position. In 1340, Huizong drove away powerful vassal Bayan(伯顏) and tried to establish emperor’s authority. As a part of this plan, Huizong completely overturned the evaluation of conspiracy occurred in the first year of Zhishun.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conspiracy were now recognized as loyalists rather than traitors. In the meantime, Huizong basically denied an era that began with the ascension of Wenzong and ended with the expulsion of Bayan.

      • KCI우수등재
      • KCI등재

        高麗人 宦官 高龍普와 大元帝國 徽政院使 투멘데르(禿滿迭兒)의 관계에 대한 小考

        권용철(Kwon Yong-Cheol) 한국사학회 2015 史學硏究 Vol.- No.117

        본고에서는 대원제국과 고려 말기에 두 국가에서 두드러지게 활동했던 고려인 환관 高龍普와 대원제국의 徽政院使투멘데르(禿滿迭兒, Tumender)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환관 고룡보가 곧 휘정원사 투멘데르와 동일한 인물이고 고룡보의 몽골 이름이 투멘데르라고 하는 것에 대해 별다른 의문을 제기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어떠한 뚜렷한 근거가 뒷받침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지 추정을 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물론, 『元史』에는 휘정원사 高龍卜이라 기록된 곳이 한군데 있지만 그 신빙성이 불투명하다. 또한, 이 기록으로도 고룡보와 투멘데르가 동일한 인물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그래서 본고는 고룡보와 투멘데르의 관계를 재검토하기 위해 우선 고룡보의 행적을 살펴보았다. 사실, 대원제국과 고려 양국에서 뚜렷한 활약을 한 것 치고는 고룡보에 대한 기록은 그리 많지 않다. 다행히 『高麗史』에는 고룡보의 열전이 있지만, 그마저도 고룡보의 출생이나 그가 대원제국으로 들어가게 된 배경 등에 대한 설명은 없다. 『高麗史』 이외의 자료들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散見되기는 하지만, 그의 행적을 상세하게 복원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러한 자료들 중에서 고룡보의 몽골식 이름이 투멘데르였다는 기록은 확실히 존재하지 않고, 고룡보가 투멘데르와 동일한 인물이라고 단정하게 만드는 기록은 더더욱 보이지 않는다. 이에 필자는 아예 고룡보가 아닌 다른 인물에 주목하였다. 『稼亭集』에 나오는 禿滿達이 투멘데르와 동일한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 것이다. 가정집의 저자 李穀의 기록은 독만달이 1300년에 대원제국에 들어온 이후 至正5년(1345)까지 고위 관료로서 은총을 받는 혜택을 누렸고, 이에 돌아가신 부모님을 위한 사당을 짓기 위해 이곡에게 부탁하여 지어진 것이다. 독만달은 대원제국에서 여러 관직을 거쳤는데, 이곡은 굳이 그를 徽政公이라고 불렀다. 휘정공은 휘정원사를 의미하는 것이고, 이는 독만달의 대표 관직이 휘정원사였음을 뜻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독만달이 환관이었을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는 기록들도 있어서 투멘데르가 고려인 환관이라고 서술했던 『庚申外史』의 내용과도 맞아떨어진다. 그리고 독만달이 휘정원사에 있을 때 賢能한 자를 추천하는 것을 자기의 임무로 삼았다는 내용은 기황후를 궁녀로 추천한 투멘데르를 연상시키는 대목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한편, 고려의 자료에 기록된 禿滿達과 『元史』의 禿滿迭兒가 과연 같은 人名에 대한 다른 표기인지가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이는 고려의 자료에서 몽골인 인명을 쓰는데 활용한 達의 또 다른 용례를 살펴보면서 우리말의 達이 중국어와는 달리 ‘da’와 ‘r’ 발음을 한꺼번에 표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여 禿滿達과 禿滿迭兒는 같은 인명에 대한 다른 표기임을 주장하였다. 아마 고려 측의 자료와 중국 측의 자료에 대한 비교 작업을 계속 수행하게 되면 이와 비슷한 사례들이 또 발견될 가능성이 높다. 앞으로 대원제국-고려 관계의 구체적인 역사를 들여다보기 위해서는 두 국가의 자료에서 발견되는 같은 인물에 대한 다른 표기 방식을 추적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특히, 대원제국 시기의 자료에는 같은 인물을 다른 한자로 표기한 사례 혹은 동명이인이 많이 발견된다. 그래서 대원제국과 고려의 관계에 관여한 사람들의 이름을 분별하는 작업이 결코 쉬운 것은 아니다. 이에 본고는 추후에 이루어질 상세한 연구들을 위한 試論으로서 우선 투멘데르가 누구인지를 밝혀내어 고룡보와는 전혀 다른 사람이었음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 KCI등재

        윈 제국의 다르칸 제도가 고려에 유입된 양상 -고려 후기 김여우(金汝盂) 공신교서(功臣敎書)의 분석을 중심으로-

        권용철 ( Kwon¸ Yong Cheol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21 學林 Vol.47 No.-

        본고에서는 고려 후기의 신료인 김여우가 받은 공신교서의 내용을 검토하고, 그 내용 중에서 충렬왕이 ‘上國之制’, 즉 元朝의 다르칸 제도를 수용하여 공신에게 면죄의 특권을 내린 것의 연원을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김여우의 공신교서는 고려 후기의 얼마 남지 않은 문서 자료 중 하나로 매우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데, 이에 대한 연구는 역사학계와 한문학계에서 별도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에 두 연구 성과에서 제시한 김여우 공신교서의 판독을 비교하면서 분석했고, 그 결과 조금 더 정확한 원문판독을 제안할 수 있었다. 김여우가 충렬왕으로부터 공신녹권 및 공신교서를 받게 된 것은 충렬왕이 세자의 신분으로 원에 들어갔을 때, 김여우가 충렬왕을 호종했기 때문이었다. 특히 충렬왕이 쿠빌라이의 딸과 혼인을 하면서 고려왕권을 강화할 수 있었던 것은 충렬왕이 김여우에게 특별한 포상을 내린 배경으로 작용했다. 여러 측면에서 원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던 충렬왕은 공신 포상을 내릴 때에 원조의 제도를 활용하여 김여우에게 면죄의 특권을 부여하는 조치를 시행했음이 공신교서에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다. 그 주요 내용은 죄를 9번 범할 때까지는 벌을 주지 않고, 10번 죄를 범할 때부터 처벌을 한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九宥’ 제도는 몽골-원 제국 시기의 공신들에게 특별히 부여했던 다르칸이라는 개념과 연결되는 것이었다. 다르칸은 칭기스 칸이 자신을 호종하면서 목숨을 살렸던 공신들에게 내린 호칭이었고, 충렬왕도 김여우에게 공신교서를 하사하면서 다르칸이 가지고 있던 제도적 성격을 그대로 도입했다. 충렬왕이 원으로부터 도입한 다르칸제도는 고려 후기 공신 포상에서 지속적인 영향력을 발휘했고, 심지어 조선시대에도 공신의 면죄 특권 조항이 지속되었다. 이는 몽골-원 제국의 독특한 제도가 고려와 조선에 영향을 준 하나의 사례라고도 평가할 수 있고, 이러한 사례가 생길 수 있었던 근본적인 원인은 충렬왕 시기에 형성된 고려-원 관계의 독특한 성격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reviews the contents of the meritorious contributor document given to Yeo-woo Kim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examines the history of King Chungnyeol (reign: 1274-1308) granting immunity to the meritorious subject by accepting the Yuan Empire's Darqan system. This piece is one of the few documents remaining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is of significant historical value, and was studied separately. This article compares the results of the two studies to develop a more accurate reading of the document. Kim received the meritorious contributor document from King Chungnyeol while Kim was his attendant when he visited the Yuan Empire to marry the daughter of Qubilai (reign: 1260-1294) to ultimately strengthen his sovereign power. The document states that King Chungryeol, who was influenced by the Yuan Empire in many ways, implemented measures to grant immunity to Yeo-woo Kim by utilizing the Darqan system. He decided not to punish him until he had committed the same crime nine times and to then punish him beginning with his commission of the tenth crime. This procedure was linked to the title of Darqan, an honor which was bestowed on meritorious subjects during the Mongol-Yuan period who saved Genghis Khan’s life. King Chungryeol introduced the concept of Darqan when he presented the document to Kim. The Darqan system, adopted by King Chungryeol from the Yuan Empire, continued to be influential in indulging meritorious subjects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even into the Joseon dynasty. This system’s influence shows how the unique Mongol-Yuan system influenced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However, this influence was only possible because of the relationship formed between the Goryeo dynasty and the Yuan Empire during the reign of King Chungryeol.

      • KCI등재

        한국학계의 거란-遼史 연구에 대한 回顧 그리고 課題

        권용철(Kwon Yong Cheol)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9 역사문화연구 Vol.71 No.-

        한국학계의 거란-遼史 연구는 1950년대부터 시작되어 지금까지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70년이 되어가는 연구의 역사를 통틀어 연구자의 숫자는 10명도 되지 않는다. 이 소수의 연구자들이 한국학계의 거란-遼史 연구를 발전시켜 왔고, 연구를 위한 기본적인 토대를 형성하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다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학계의 거란-遼史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정치사, 사회사, 제도사 등의 방면에서 일정한 성과를 이룩했음을 살펴보았다. 앞으로 이를 기반으로 더욱 폭넓고 상세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거란-遼史 연구의 발전을 향한 해외학계의 움직임과 비교한다면, 한국학계의 성과에는 부족함이 많이 남아 있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1990년대까지만 해도 관련 연구가 활발히 나오는 편이었으나 21세기에 들어서면 그 활발함이 이전과 같지는 못한 느낌이다. 사료의 부족, 『遼史』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 등은 거란-遼史 연구에 늘 따라다니는 한계점이기 때문에 연구자들이 이 시기에 대해 관심을 보이지 않은 것이 하나의 원인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거란-遼史를 자세하게 이해하려는 연구자들의 수요는 큰 편이고, 유목제국 최초로 중원을 경영하면서 이중체제를 운영했다는 점 하나만으로도 연구의 가치는 충분하다. 새로운 사료의 발굴, 고고학 성과의 진전, 거란문자 해독 연구의 발전 등 세계적으로 연구의 발전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제 거란-遼史라는 역사학 연구에만 한정되지 않는 ‘거란학’이라는 분야가 점점 형성되고 있는 단계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른바 최초의 ‘정복왕조’로서 거란-遼가 가지고 있는 역사적 의미는 상당히 중요하고, 아직도 이를 해명하기 위해 밝혀야 할 수많은 과제가 남아 있다. 앞으로 한국학계에서도 거란-遼史를 포함한 거란학의 발전을 위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를 바란다. The study of Khitan-Liao history in Korea has been in existence since the 1950s. However, the number of researchers is not even ten in the history of research that has been going on for 70 years. Few researchers have developed the research on the Khitan-Liao history of Korean academia and have made effort to form a basic foundation for research. In this article, I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Khitan-Liao history in Korean academia and found that researchers achieved certain results in terms of political history, social history, and institutional history. Based on this, further and more detailed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But, when compared with the movement of overseas academic community toward the development of the study of Khitan-Liao history, there are many deficiencies in Korean academic achievements. In addition, until the 1990s, related research was actively coming out, but in the 21st century, it is unlikely that the activity is the same as before. The lack of resource and the question of the reliability of Liao History(『遼史』) were one of the reasons why researchers did not show interest in this period. However, the demand of researchers who want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Khitan-Liao is very large, and the fact that it operated the dual system for the first time is the value of the research. The development of research has been continuing, including the discovery of new resources, the advancement of archaeological achievements, and the development of research on deciphering Khitan scripts. Now it can be said that the field of ‘Khitan Studies’, which is not limited only to the study of history, is increasingly being forme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Khitan-Liao as the so-called ‘the first conquest dynasty’ is very important, and there are still many challenges that need to be clarified to explain it. In the future, I hope that the Korean scholarship will be actively pursued for the development of ‘Khitan Studies’, including the history of Khitan-Liao.

      • KCI등재

        至元 30년(1293) 원 제국 사절단과 베트남의 서신 왕래를 통해 본 원-베트남 관계의 양상

        권용철 ( Kwon Yong-cheol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1 No.-

        본고에서는 쿠빌라이가 사망하기 이전 시기에 마지막으로 베트남에 파견되었던 원 제국의 사절단이 남긴 문서 기록을 검토해 보았다. 베트남에 대한 두 차례의 군사적 원정이 실패로 끝났지만, 쿠빌라이는 베트남으로부터 진정한 복속을 받아내기 위해 쩐 왕조 군주의 친조를 끈질기게 요청했다. 하지만 베트남 측도원 제국과 기존의 조공 관계를 유지하기를 바랐을 뿐, 이를 넘어서는 친조 요청은 끝까지 받아들이지 않았다. 원 제국과 베트남 양측의 주장이 평행선을 달리는 가운데, 양증과 진부를 대표로 하는 원 제국의 사절단은 1293년 초에 베트남에도착하여 또 다시 베트남 군주의 친조를 압박했다. 그러나 베트남의 군주는 여러가지 이유를 들어가며 친조를 거부했고, 이러한 내용은 양측 사이에서 왕래된 서신 기록을 통해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원 제국의 사절단은 칭기스 칸 시기부터 몽골제국이 가지고 있었던 복속의 관념을 언급하면서 기존의 중화제국이 운영한 조공·책봉체제와는 다른 방식을 베트남 측에 요구했다. 원 제국의 사절단은 ‘모범적인’ 복속의 사례로 고려를 언급했지만, 베트남은 군주 대신 아들을 보내도 된다는 원 제국 사절단 측의 제안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즉, 원 제국은 베트남이 익숙하게 받아들이고 있었던 기존의 조공·책봉관계와는 다른 성격의 복속 관계를 강압적으로 요구했고, 베트남은 기존의 조공·책봉관계를 유지하는 선에서 양국의 관계를 형성하자는 주장을 철회하지 않았던 것이었다. 하지만 쿠빌라이의 의도와는 관계없이 베트남은 원 제국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었다. 서로 간의 관계에 대한 인식의 근본적인 차이는 서신의 왕래를 통해서도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고, 그 간극이 줄어들지도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article reviewed the documents left by the envoys of the Yuan Empire, who were last dispatched to Vietnam before Qubilai’s death. Although the two military expeditions against Vietnam ended in failure, Qubilai persistently called for the direct attendance of the Vietnam monarch in order to win true obedience from Vietnam. However, Vietnam only hoped to maintain the existing tributary relationship with Yuan empire, so Annan did not accept the request for direct attendance. With the claims of both the Yuan Empire and Vietnam running parallel, the envoys of the Yuan Empire arrived in Vietnam in early 1293, again pressing for the direct attendance of the monarch of Vietnam. However, the monarch of Vietnam rejected the direct attendance for a number of reasons, and this can be confirmed in detail through correspondence between the two sides. The envoys of Yuan empire called on Vietnam to take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existing tributary relationship operated by the Chinese Empire, referring to the concept of subjugation held by the Mongol Empire from the time of Chinggis Khan. The envoys of Yuan Empire referred to Goryeo as an example of “exemplary” subjugation, but Vietnam refused to accept the proposal from Yuan envoy that monarch’s son could be sent instead of a monarch. In other words, Yuan empire forcefully demanded a subjugation relationship of a different nature from the existing tributary relationship that Vietnam was familiar with, and Vietnam did not withdraw its claim to form relationship in the line of maintaining the existing tributary relationship. Regardless of Qubilai’s intentions, Vietnam could not accept Yuan empire’s demands. The fundamental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Yuan and Vietnam is evident through the correspondence,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gap has not been narrowed.

      • KCI등재

        대원제국 중기(中期) 영종의 위상 강화를 위한 노력 -바이주의 중서좌승상 등용과 그의 활약을 중심으로

        권용철 ( Yong Cheol Kwon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5 No.-

        대원제국의 정치는 황제가 바뀔 때마다 끊임없이 전개되었던 제위계승분쟁을 통해 전개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분쟁과 그로 인한 여파가 중요한 작용을 하였다. 특히 대원제국의 영종은 제위계승분쟁 과정에서 자신의 조모 다기 태후와 테무데르에 의해 부적절하게 옹립된 것이나 마찬가지였던 황제였고, 그로 인해즉위를 한 이후에 권력을 강력하게 행사할 수 없는 환경에 놓여 있었다. 복잡한 즉위 배경으로 인해 만들어진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 영종은 황태자 시절부터 자신을 보좌할 인재를 찾게 되는데, 그 인재 중의 한 사람이 바로 바이 주였다. 바이주는 혈통적으로는 훈구 무칼리의 후손이었고 그의 조부가 세조 시기에 오랫동안 중서우승상을 역임했던 안통이었기 때문에 권력의 핵심 위치에 있어도 전혀 손색이 없는 인물이었다. 부친의 구체적인 관직조차도 기록되어 있지 않고, 다기 태후의 정치적 지원 덕분에 중서우승상이 될 수 있었던 테무데르와는 차원이 다른 존재였던 것이다. 그리고 무칼리 가문의 후손이 맡을 자격을 가지고 있었던 제3케식장의 임무를 바이주가 어렸을 때부터 물려받았다는 사실 또한 중요하다. 이는 바이주가 자신에게 소속된 위사들을 통솔할 수 있었던 것을 의미하고, 그 군사적 실력은 바이주가 중서좌승상으로 등용된 이후 발생한 영종 폐립 모의를 진압하는 데에 있어서 커다란 힘을 발휘했다. 이후 권신 테무데르를 견제하는 데에 있어서도 바이주는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 했다. 또한, 태상예의원사를 지냈던 바이주의 경력과 그 능력은 정통성이 결여된 채 즉위했던 영종의 권위를 의례를 통해 확립하는 데에 활용 되기도 하였다. 이는 영종이 자신을 옹립했던 세 력으로부터의 굴레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권위를 형성하는 과정이었고, 그로 인해 바이주에 대한 신뢰는 빠르게 커져 갔다. Emperor Yingzong (reign 1320-1323) was enthroned by his grandmother, Empress Dagi(答己, ?-1322), and powerful vassal Temuder(鐵木迭兒, ?-1322) in the middle of the Yuan Dynasty. Therefore, he was placed in a position in which he was not able to exercise strong power after his accession to the throne. To overcome this situation, Yingzong sought talented people who could assist him from his days as the crown prince. One of those people was Baiju (1298-1323).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from his young days, Baiju inherited the position of Captain of the Third Kesig(怯薛), which meant that he could assume control over the guards who belonged to him. After being appointed as a Junior Chief Councilor of the Central Secretariat, Baiju exerted his military power to repress the plot to dethrone Yingzong. Later, he also played a leading role in creating a diversion against Temuder. Moreover, as he took charge of the functions related to national rituals, he used his experience and ability to establish Yingzong’s authority through the ritual. Yingzong received crucial help from Baiju in the process of breaking free from the bondage of the forces that had crowned him king and of imposing his own autho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