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로 관련 멘토링과 대학생들의 직업탐색행동 간의 관계

        권양이(Kwon Yangyi)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진로 관련 멘토링과 대학생들의 직업탐색행동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궁극적으로는 향후 대학생 대상의 진로 관련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2015년 9월에서 11월까지 서울 소재 3개 대학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이 가운데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한 총 245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이 올라갈수록 예비적 직업탐색행동과 적극적 직업탐색행동이 증가하였다. 둘째, 멘토링의 학위·경력지원 기능이 적극적 직업탐색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멘토링 기능들은 예비적 및 적극적 직업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멘토링 횟수, 유형, 성별, 전공계열 등은 대학생들의 직업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멘토링 유형, 참여횟수와 멘토링 기능이 대학생들의 직업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향후 효과적인 진로관련 멘토링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related mentoring and job search behavior for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four year colleges. The ultimate aim is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areer related mentoring for college students in the future.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in this study,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We analyzed 245 surveys by using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data without invalid surveys that were disloyal, which came from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during the September to November in 2015. Firstly, preparatory job search behaviors and active job search behaviors increased as grade increased. Secondly, the mentoring functions of degree and career support have a positive effect on active job search behavior. The other functions were not significant determinants for preparatory job search behavior and active job search behavior. Thirdly, the results showed that number of participation in mentoring, mentoring type, gender, major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determinants for preparatory job search behavior and active job search behavior. Thu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important basic data that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career related mentoring development by exploring the effects of mentoring type, number of participation and mentoring function on job search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한국대학생들의 글로벌 리더십 역량 요구분석과 HRD 시사점

        권양이 ( Yangyi Kwo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1 HRD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리더십 역량의 중요성에 대한 한국 대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글로벌 리더십 역량 개발에 필요한 우선 순위를 파악하는 것이다. 한국의 4년제 6개 대학에서 234명의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Borich (1980)의 요구 분석 모델과 Mink et al. (1991)의 Locus for Focus 모델을 포함하는 체계적인 요구 분석 절차를 활용하여 분석했다. Borich (1980)의 요구 분석 모델을 사용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래에 가장 필요한 역량이 호기심 영역에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다른 문화적 지식, 낯선 곳으로의 여행, 기술적 지식 순이었다. 한편, 가장 적게 요구되는 역량은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는 등 인격과 관련된 역량 영역과 사람들과 만날 때 정직하고 윤리적인 역량으로 판명되었다. Mink et al. (1991)의 Locus for Focus Model을 사용할 때도 유사한 패턴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는 체계적인 요구 분석 절차를 사용하여 대학생의 글로벌 리더십 역량을 조사한 최초의 연구이기 때문에 그 의의가 있다. 향후 비슷한 연구방법으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피실험자와 상황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실시할 수 있다. The study purpose is to examine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and by doing so, identify the priorities that need to be developed for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234 Korean college students from six Korean 4 year colleges and analyzed by utilizing a systematic needs assessment procedure that included Borich’s (1980) needs assessment model and Mink et al.’s (1991)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Borich’s (1980) needs assessment model indicated that the most required competencies for the future came from the inquisitiveness section, followed by cross-cultural knowledge, travelling to strange places, and technical knowledge. Meanwhile, the least required competencies proved to be competencies related to personal character such as listening to other people’s opinions as well as honesty and ethic when meeting with people. Similar patterns were found when Mink et al.’s (1991) Locus for Focus Model was employed. This research is unique because it is the first to examine the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using a systematic procedure of needs assessment that can be replicated in future similar studies with globally diverse subjects and settings.

      • KCI등재

        위기 사건 경험 노인 여성학습자의 초등학력인정 문해교육과정 학습경험의 의미탐색

        권양이(Yangyi Kwon),이경희(Gyeounghee Lee) 한국노년교육학회 2023 노년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삶의 위기사건을 경험한 여성 노인학습자의 초등학력 인정 문해교육과정 학습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생애사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참여자는 삶의 노년 후반기에 맞이하게 된 크나큰 삶의 위기를 학습을 통하여 극복하는 한편 학습 이전과 크게 달라진 심적 변화를 보고하고 있다. 자신감, 성취감뿐만 아니라 예전과 달리 마음이 누그러지고 타인에게 관대한 마음을 갖게 되었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문해교육 과정은 학력인정학습 그 이상을 내포하고 있다. 문해교육 학습은 위기 상황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욕구에 의해 더욱 동기화되었고 이는 곧 학습과 삶의 즐거움이라는 새로운 인식으로 이어졌다. 둘째, 참여자는 선생님과 동료 학습자들의 지지를 받음으로써 성취감과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셋째, 참여자는 문해학교를 다니면서 남은 생에 대한 삶의 자세를 새롭게 정립하였다. 학습경험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거나 혹은 재해석하고, 행동으로 전환하는 과정(Mezirow, 2000)인 학습경험의 성찰과 반추를 통해서 스스로 긍정적인 의식 변화가 일어날 기회를 만든 것이다.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측면, 학습경험과 남은 생에 대한 인식과 태도 전환과의 관련성을 보다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연구로 재입증할 수 있는 후속연구와, 문해교육에 대한 예산과 지원정책의 확대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learning experiences of the female elderly learner who experienced life crisis events and participated in the literacy program accredited elementary education. For the purpose, th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was employed. The participant overcame the great crisis of life that she faced in the latter half of her lives by learning in the literacy program, while reporting a significant change in her mind compared to before learning. In addition to a sense of confidence and achievement, it is said that unlike before, her mind has softened and her has become more tolerant of others than befor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the literacy program process involves more than academic accreditation. The participant’s learning was further motivated by the needs of escaping from the crisis situation, which led to her perceived joy of learning and life. Second, the participant gained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onfidence by receiving support from teachers and fellow learners. Third, the participant newly established her attitude toward life for the rest of her lives while attending literacy schools. Through introspection and rumination on the learning experience, which is the process of reinterpreting or re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learning experience and converting it into action (Mezirow, 2000), an opportunity for a positive change in consciousness is crea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re-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aspect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xperience, perception and attitude change for the rest of life with a more systematic and structured study in future follow-up studies. Also, the need to expand the budget and support policies for literacy education was suggested

      • KCI등재

        평생교육사 관련 교과목 이수대학생들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특수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권양이(Kwon, Yangyi)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사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특수적 자기효능감을 알아보고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구명하기 위함이다. 궁극적으로 두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구명하여 향후 평생교육사 관련 교과목 운영의 개선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수집은 편의표집방법을 사용하였다.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전문가 6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2009학년도 2학기에 서울, 인천, 충청, 경북 지역에 위치한 6개 대학의 225명의 대학생의 자료를 수집한 후 자료 분석은 일원량분석, 사후비교를 위해 scheffe 검증, 그리고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평생교육사 자격증 취득을 목적으로 수강하는 학생들이 교양과목 이수학점을 취득하기 위하여 수강하는 학생들보다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연령은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미미하게나마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셋째, 평생교육사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일반적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연령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로부터 이수과정동안 특수적 자기효능감인 평생교육사 자기효능감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general self-efficacy and specific self-efficacy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a pre-service program for prospective lifelong educators and to demonstrate the variables affecting these two measures. The ultimate aim is to provide guidelines to improve the pre-service program for prospective lifelong educators by explori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 two measures. A survey was conducted and data were gathered by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scales used in the study, a pilot test was conducted an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cales was examined by 6 experts. The data from 225 college students at 6 universities located at Seoul, Inchon, Chungchung and Kyungbuk areas were analyzed by using ANOVA with Scheffe correlation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general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the purpose of obtaining lifelong educator credentials wa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acquiring liberal education credits. Second, multiple regression demonstrated that the age variable was a slight determinant for general self-efficacy. Third, multiple regression demonstrated that the general self-efficacy and the students' age variable were the first and second most significant determinants for lifelong educator self-efficacy, respective. From the results, we concluded that it is important not only to improve lifelong educator self-efficacy as specific self-efficacy but also to improve general self-efficacy during the programs.

      • KCI등재

        독일 기술전문대학의 듀얼 교육체제 발달 연구 및 시사점

        박성희 ( Park Seong-hie ),권양이 ( Kwon Yangy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연구 문제는 고급기술인력 양성에 성공한 독일 기술전문대학의 듀얼 교육체제 발달과정을 고찰하여 국내 전문대학 발전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언하는 데 있다. 독일 기술전문대학은 1999년 Bologna 프로세스와 2002년 Copenhagen 선언으로 직업교육 및 훈련이 중시되자, 고등직업교육 체제 재정비 일환으로 ‘응용과학대학’으로 교명을 변경, 격상되었다. 독일 기술전문대학은 2009년부터 모두를 위한 대학교육 기회 보장을 목적으로 평생직업교육기관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직업훈련통합형 듀얼 교육과정의 정착에 매진하고 있다. 연구결과 독일 기술전문대학 듀얼 교육체제 발달은 첫째, 듀얼 교육과정은 미래사회의 창조적, 융복합형 역량을 갖춘 인재 육성을 목적으로 기업이 사회적 책무성을 가지고 현장 수요를 반영하여 주 정부와 관민의 긴밀한 협동을 통해 교육훈련의 질을 높이고 있다. 둘째, 국가경쟁력 및 모든 성인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학사, 석사, 박사학위 제도를 정비, 학위취득을 지원, 전 생애에 걸친 평생직업교육 체제 구축에 성공했다. 셋째, 직업훈련통합형, 직업통합형, 실습통합형 등 3가지 듀얼 교육과정을 통해 성적 우수자 및 앙가지망을 가진 인재 확보에 노력하고,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을 둔 연구 및 실제 현장실습을 통해 고급전문기술인 양성에 주력, 교육과 고용 간 연계시스템 구축으로 학습자의 노동시장 이행을 원활히 지원하고 있다.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므로 우리나라도 전문대학의 교육 연한 연장, 성적우수자들의 입학 유인 및 취업과 고용 간 연계성 향상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전문대학이 성인근로자의 재취업과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지원하는 산실이 되도록 평생직업교육체제 전환을 제언해 본다. The research question lies in the review of the development of the dual curriculum of the German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and the implications for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The recent trends of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the dual curriculum enhances the quality of training programs through close collaboration by reflecting on-the-spot demand with the company's social responsibility for the purpose of fostering talented individuals with creative and convergence capabilities of the future society. Second, a bachelor's, master's, and doctoral degree system was established to support the acquisition of a degre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all adult workers and to establish a basic framework for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throughout life. Third, German Fachhochschule strives to secure talented individuals with excellent grades and enthusiasm through the vocational training integrated type, vocational integrated type, and practical integrated type of dual curriculum that are built on project based research and on the job training which lead to the successful employment in the labor market. In a situation where global competitiveness is intensifying, we suggest that Korea also reorganizes Procollege curriculum, increases the length of the curriculum, attracts high-ranking students through employment and employment linkage by which Procolleges support adult workers' re-employment and development of lifelong vocational skills.

      • KCI등재

        독일 Eichehdorf 중등학교 사례를 통해 본 학교공동체 운영의 성공 요인 분석

        박성희(Park, Seong-Hie),권양이(Kwon, Yangyi)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2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학교 현장에서 심화되고 있는 폭력, 교권 침해, 학생 인권 등의 교육 문제를 해결하려는 방안으로 학교공동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높은 교육적 성취를 내는 학교공동체를 만들어 가려면 학교구성원인 학생, 교사,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협동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실제 학교공동체 조성을 위한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우수모델에 대한 선행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문제는 대부분 취약계층의 아동이 재학 중인 학교를 우수학교로 만들어 낸 독일 Eichendorf 중등학교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학교공동체의 형성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언하는 데 있다. 학교공동체 성공 요인의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주 교육법에는 학교공동체 구축을 위한 학교 교육의 임무, 학교의 책무성과 교육의 질 향상 및 보장, 학교의 협력 의무, 교육파트너와 협력 의무, 학교협의체 구성 등에 대한 원칙이 제도화되어 있다. 즉 학교장과 학교협의체는 소통을 통해 학교 운영의 자율권을 갖고 관민이 협동하였다. 둘째, 학교와 교사는 학생의 학업 부진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사회의 다양한 교육 관계기관들과 협력하여 각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대한 책무성을 갖고 개별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함양시켰다. 셋째, 학급평의회를 운영하며 학생이 학교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갈등에 대한 성찰력을 높여 민주시민으로서 역할을 의식화, 실천하도록 하였다. 즉 민주시민 학생 육성을 위한 민주시민성의 함양을 지원하였다. Recently, increasing interest in the school community as a way to solve educational problems such as violence, infringement of school rights, and student human rights, are intensify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However, prior research on the previous model that has, until recently, performed the role of the school community concept,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school councils for the creation of an actual school community, is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 of Eichendorf secondary school and high school in Germany, which moved children of vulnerable classes to be enrolled into excellent schools, and to suggest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formation of a school community in Korea. The research framework analyzed the success factors of the school community in terms of education system,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local commun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ch province’s education law has institutionalized the principles of school education for building a school community, improving and ensuring the quality of school accountability and education, the obligation of school cooperation, the obligation of cooperation with educational partners, and the composition of school councils. Second, schools and teachers worked with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community to overcome the students conflicts, and they were responsible for improv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each student and fostere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individual students. Third, the class councils were operated and students were encouraged to consciously act as democratic citizens by enhancing their participation in various issues in their schools.

      • KCI등재

        Bologna 프로세스 이후 독일 대학 평생교육 체제 동향과 시사점

        박성희(Seonghie Park),권양이(Yangyi Kwon)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9 평생학습사회 Vol.15 No.2

        The German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focuses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for the purpose of actualizing higher education for all. The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improving through education: opening the college door” and has been strengthening financial aid and institutionalization for many adults to study in college. Since 2009, the State Education Ministers finalized the “Principles of Opening Universities”, while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provided university education opportunities for industrial workers, child-raising women. That is, learners centered program so called adult friendly academic system, which led to flexible learning system. We explored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of German universities which is evolving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since the Bologna process.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 of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in German universities is that it focuses on the vocational lifelong education of adult workers while the president is responsible for developing their own unique programs for all. On the basis of this, possible suggestions for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in Korean universities are discussed. 독일 대학 평생교육은 모두의 대학 교육기회 보장을 목적으로 개인의 삶의 질 및 국가경쟁력 향상에 주력하고 있다. 연방교육부는 “대학 문호개방”에 입각하여 성인근로자에게 장학금을 지원함으로써 모두의 대학 교육기회를 보장하는 평생교육 체제를 구축하였다. 2009년 이후 주교육부 장관회는 “대학 문호개방”의 원칙하에 전략적으로 근로자 및 자녀양육기 여성에게 대학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학습자 요구에 기반을 둔 성인친화적 교육과정 개발을 통해 유연한 학습조직을 구축해 왔다. 2019년 우리나라 교 육부도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기본계획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평균수명 연장으로 성인학습자가 성인 친화적 학사체제하에서 선취업 후진학 및 자기 계발을 하도록 체제 개편을 도모하고 있다. 연구 문제는 Bologna 프로세스 이후 대학 평생교육의 재조직화를 통해 상생적으로 발전하는 독일 대학 평생교육 체제 고찰이며, 연구 목적은 우리나라 성인 친화적 대학 평생교육 체제 구축을 위한 시사점 제언에 있다. 연구 결과, 독일 대학 평생교육 체제의 특징은 근로자의 직업평생교육에 중점을 두고, 대학 중앙본부에서 총장의 책임하에 대학의 특성에 기반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궁극적으로 대학 문호개방을 통해 모든 이의 교육기회를 보장한다는 점이다. 이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대학 평생교육에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